독회 모임의 세 번째 책은 S가 고른 데이비드 하비의 저작이었다. 그에 대한 수식은 대략 이렇다. “마르크스주의 사상가 중 가장 중요하고 영향력 있는 인물 중 하나,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인용되는 인문학자 20인 중 1인, 급진 지리학 분야에서 가장 뛰어난 이론가, 세계적인 비판적 지성, 유연한 마르크스주의자….” 책날개를 펼친 순간 대학교 4학년 때 스터디를 하며 개념어와 씨름했던 『포스트 모더니티의 조건』(데이비드 하비 지음, 구동회 옮김, 한울, 1994)이 떠올랐다. 머리가 지끈거렸다. 이 책을 고른 S에 대한 원망이 몇 줌 섞여 있는 두통이, 책을 읽는 내내 계속될 것만 같았다.
하지만 예상과는 조금 달랐다. “1970년대 중반 무렵 파리에 머물던 나는 우연히 생태주의자가 붙인 한 포스터를 보게 되었다”로 시작한 책은 “우리는 폐허 위에서 대안을 구축할 절호의 기회를 맞이했다. 이는 우리의 피할 수 없는 의무, 피하려고 해서도 안 되는 의무이다”로 끝났다. 첫 문장에서 엿볼 수 있듯 개인적 경험과 구체적 사례가 책의 후반부까지 이어졌다. 아주 가끔 서울이 등장했고, 중국은 약간 더 비중 있게 다뤄졌다. 보충 도서로 『데이비드 하비의 세계를 보는 눈』(데이비드 하비 지음, 최병두 옮김, 창비, 2017)까지 읽고 온 S의 발제는 이해도를 높였다. P는 매끄러운 번역을 칭찬했다. 일동은 고개를 끄덕였다.
1870년대 파리 대개조, 1930년대 대공황, 1950~1960년대 도시 재개발과 교외화, 2008년 전 세계적인 금융 위기와 부동산 버블 등 여러 사회 혼란의 근원으로 하비는 소수에 의해 사유화된 도시를 주목한다. 도시의 위기는 곧 자본주의의 위기이기도 하다. 어쩌면 ‘자본주의적 도시화’가 현대 도시의 위기를, 또 현대 사회의 위기를 초래했다고 표현하는 것이 더 적절할 수도 있겠다. 앙리 르페브르의 ‘도시에 대한 권리’로 이야기를 시작한 하비는 ‘약탈에 의한 축적이 자행되는 도시에서 주변부로 추방당했던 99%의 도시에 대한 권리 주장’을 강조하며 글을 맺는다. 밑줄 그었던 문장 중 하나는 이런 것이다. “도시 네트워크를 통한 운동은 계급적 지배와 상품화된 시장의 결정이라는 제약을 넘어서 보편적인 인간성이 꽃피는 길을 열어나가야 한다. 마르크스는 물질적 제약을 넘어설 때 진정한 자유의 세계가 시작된다고 했다. 반자본주의 투쟁을 위해 도시를 되찾고 조직하는 것은 그 위대한 출발점이다.”
물론 독회 모임에서는 예상했던 대로 ‘공유지의 비극, 공유재를 둘러싼 투쟁, 도시 공유재의 비극, 공유재 거버넌스 메커니즘, 도시 공유재를 되찾자’ 등에 대한 독후 소감이 이어졌다. 자연스럽게 공원의 공공성과 사회적 역할에도 이야기의 흐름이 잠시 머물렀다. 하비는 마지막 장에서 월스트리트 점령 시위를 거론하며 “권력의 지렛대가 밀집한 장소 부근의 중심적인 공공 공간 즉 공원과 광장을 빼앗아 거기에 눌러앉는 방법으로 공공 공간을 정치적 공유재”로 바꾼 점에 주목하며 “공공 공간에 사람이 모이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대항수단”이라고 갈파했으나, 독회 멤버들은 공원의 근원적 필요성에 대해 성찰할 수 있었다는 점에 만족해했다.
“도시는 누구의 것인가? 바로 우리 모두의 것이다!”라는 하비의 주장에 격하게 공감하며 이어진 2부 독회에서는 ‘나의 도시’에 대한 추억이 하나둘 소환되었다. 지난번에 『당신의 사물들』(허수경 외 48인 지음, 한겨레출판, 2015)을 읽고 각자의 사물을 두 가지씩 꼽아보았던 것처럼, 나의 도시를 정해보기로 한 것.
‘나의 도시 이야기’는 과천, 필라델피아, 베이징, 항저우, 경주, 파리, 하바나, 수원, 치앙마이, 에든버러를 거쳐 서울에서 끝났다. ‘나의 도시’는 태어나서 자란 도시, 그래서 속속들이 가장 알고 있는 도시이기도 했고, 오래 머물렀으나 여전히 모르는 도시이기도 했으며, 우연히 다섯 번이나 방문한 바다 건너의 어떤 도시이기도 했다.
L은 가보지 못한 도시인 쿠바의 아바나Havana를 꼽았다. 송일곤 감독의 다큐멘터리 ‘시간의 춤’을 본 적이 있냐고 물으면서…. ‘인생은 노래처럼, 혁명은 춤처럼!’ 길거리, 공터, 집, 장소를 불문하고 이어지는 쿠바인들의 낭만과 멋을 이야기할 때 그의 감탄사는 최고조에 이르렀다.
반면 S는 뜻밖에(?) 서울 예찬을 펼쳤다. ‘박철수 교수가 그 사람이 누군지 알려면 책장을 보면 알 수 있다는 글을 쓴 적이 있는데, 자신의 책장을 보았더니 서울에 대한 책이 가장 많았다’는 부연 설명과 함께. 자신이 좋아하는 사람들이 모두 있는 도시가 서울이고, 가족과 집이 있으니 그 어찌 좋아하지 않을 수 있겠냐면서. 한강철교를 건널 때 드디어 서울에 도착했다는 안도감이 느껴진다는 유머(?)도 곁들여가면서.
5월호 ‘편집자의 서재’ 말미에서 스스로에게 던진 숙제, S가 애착을 넘어 집착하는 손톱깎이란 사물에 대한 이야기는 결국 하지 못한 채 글을 닫는다. P가 추천한 다음 책 『건축왕, 경성을 만들다』를 하며 할 수 있을까? 어쩌면 결핍의 도시로 에든버러를 기억하는 K의 이야기는 할 수 있을 것 같다. 4차 독회 모임은 짧은 여행을 떠나기로 했으니 말이다.
참, 요즘 모임은 누가 일부러 유도하지 않아도 ‘기 승 전 서울역 고가’로 귀결되는 신기한 경험을 하고 있다는 점을 밝혀두고자 한다. 이 날의 독회 모임 역시 마찬가지였기에. ‘서울역 고가는 다들 가봤어요? 어땠어요?’ 누군가 지나가는 말로 한마디 툭 던지면 다들 두 마디씩 거든다. 정체성부터 과정과 그 결과물까지 참으로 논쟁적인 프로젝트가 아닐 수 없다. ‘논쟁적 = 부정적’이라는 의미는 결코 아니다. 일단, 논쟁은 반갑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