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분단의 기록, 한반도 오감도
제14회 베니스 비엔날레 국제 건축전 11월 23일까지
  • 환경과조경 2014년 7월
JMS3.jpg
김일성 광장, 평양, 2010. ⓒPhilipp Meuser

 

지난 6월 7일 개막한 제14회 베니스 비엔날레 국제 건축전에서 한국관이 65개국 전시관 중 최고 영예인 황금사자상을 수상했다. 비디오 아티스트 고 백남준이 1993년에 독일관 공동 작가로 참여해 황금사자상을 받았지만, 한국관이 건립된 1995년 이후 최고상을 받은 경우는 미술전과 건축전을 통틀어 이번이 처음이다. 개막식 5일 뒤인 6월 12일에는 대학로 예술가의 집에서 조민석 커미셔너(매스스터디스 대표) 귀국 기자회견이 열려 그간의 사정을 들을 수 있었다.

현지에서 한국관을 찾은 렘 콜하스(전시 총감독)와 심사위원단은 한국관을 꼭 봐야 하는 국가관으로 꼽고 많은 관심을 보였다. 이에 조민석은 “렘 콜하스의 관심이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담론이 일어난 미국과 유럽에서 다음 지역으로 옮겨가는 시점에 (한국관이) 그 퍼즐조각 역할을 해준 것”이라고 말해 비엔날레 총감독의 방향성을 읽고 전시를 기획했음을 암시했다. 더불어 베니스 비엔날레에 참여하는 전시는 보통 9개월의 준비 기간을 거치는데 반해, 조민석은 14개월에 걸쳐 전시부터 관련 행사까지 치밀하게 준비했다고 전했다.


분단으로 달라진 한국 건축과 도시의 모습

이번 베니스 비엔날레는 국가관을 모두 아우르는 ‘모더니티의 흡수: 1914~ 2014’라는 하나의 주제로 준비되었다. 이전까지 나라마다 각기 자유 주제로 전시를 진행했던 것과 대비된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위원장 권영빈)는 지난 해부터 커미셔너 선정을 지명에서 공모 방식으로 전환했는데, 지난 백 년 간 한반도를 규정짓는 가장 거대한 역사적 현실은 분단의 비극이라고 판단해 남북 공동 건축전을 제안한 조민석을 커미셔너로 선정했다. 여기에 배형민 교수(서울시립대학교)와 안창모 교수(경기대학교)가 큐레이터로 함께 참여했다. 조민석은 연세대학교와 미국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건축을 전공했으며, 뉴욕 콜라튼 맥도날드 스튜디오Kolatan/Mac Donald studio와 폴쉑 앤드 파트너스Polshek and Partners, 그리고 렘 콜하스가 이끌고 있는 OMA를 거치며 다양한 실무 경험을 쌓았다. 2003년 귀국해 매스스터디스를 설립해 활동하고 있으며, 대표작으로는 딸기 테마파크, 부띠크 모나코, 자이 갤러리, Daum Space.1 등을 꼽을 수 있다.

“자칫 잘못하면 건축은 없고 정치적 상황만 남을 우려가 있었다.” 많은 이들이 우려한 바다. 접근이 제한적인 북한의 건축을 이해하고 전시로 담는 데는 한계가 있고, 북한 건축가들의 참여 가능 여부도 장담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조민석은 “건축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풍족한 배경 설명과 맥락에서 이해하는, 건축을 비스듬히 보는 전시라 걱정하지 않았다”고 말했는데, 이를 대비해 북한 전문가들이 직접 참여하는 플랜 A와 참여하지 못하는 경우를 대비한 플랜 B를 마련해 전시준비에 돌입했다. 실제로 이번 전시에 북한 건축가는 참여하지 못했고, 플랜 B에 돌입해 여러 나라를 누비며 다양한 전문가와 기관을 접하는 수고가 더해졌다.

안창모 교수는 이러한 우려에 대해 “오히려 지난 한세기 동안 현대화를 이룬 한국의 건축 역사가 자리매김할 기회”였다고 말했다. “지난 100년 동안 자본주의와 사회주의가 상응하면서 세계의 도시를 만들어왔는데, 한반도는 분단으로 각각의 단점을 보완할 기회를 갖지 못했고 도시와 건축이 이를 반영하고 있다.” 이번 한국관 전시를 통해 이념의 차이로 도시와 건축이 어떻게 달라질 수 있는지 전 세계 사람이 공유하는 기회가 되었다는 설명이다.


한반도 오감도

이번 전시의 주제인 ‘한반도 오감도’는 이상(1910~1937)의 시 ‘오감도’에서 영감을 받았다. 오감도의 시각은 보편성과 전체성을 전제로 한 조감도의 시각과 대비를 이루며, 분단 체제의 건축이 일원적인 시각으로는 이해 불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건축가, 시인, 화가 등 국내외 작가의 다양한 작업을 모았지만 작가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남과 북의 건축 모두에 접근할 수 있는 개념으로 작품을 엮었다.

한국관은 총 네 개의 소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남북이 대립 관계에 있으면서 서로 주고받은 폭넓은 건축현상을 ‘삶의 재건Reconstructing Life’, ‘모뉴멘트Monumental State’, ‘경계Borders’, ‘유토피안 투어Utopian Tours’로 구분했다. ‘삶의 재건’은 한국 전쟁 이후 각기 다른 방향으로 달려온 재건의 역사를 담았다. 백지 위에 새로운 사회주의 국가의 건설 신화를 만들어온 평양과 국가 주도의 성장 과정에서 변해온 서울의 기억을 엿볼 수 있다.

‘모뉴멘트’는 최고지도자의 권위 안으로 사라진 북한건축과, 자본주의 논리와 타협한 개인의 이상에 고취된 남한의 건축을 표상한다. 사회적 이상이 만들어낸 건축과 경제적 힘이 작용한 건축의 양 단면을 볼 수 있다. ‘경계’는 분리의 시작점이자 서로를 연결하는 시작이기도 하다. 경계는 분단된 상황 속에서 서로를 구분 짓지만 관계가 맞닿아 있는 증거가 되는데, DMZ를 포함해 경계에 있는 공간의 가능성을 시사하는 작품을 전시해 상호 연결된 복잡한 메커니즘을 보여준다. 특히 한국관 전시에는 닉 보너Nick Bonner가 크게 기여했다. 닉 보너는 중국 베이징에 고려그룹을 설립해 20년 이상 북한에서 다양한 활동을 이어왔다. 북한 건축가와 예술가에게 다양한 작품을 의뢰해왔는데, 이번에 한국관에 그 작품들을 선보였다. ‘유토피안 투어’ 섹션을 구성한 상당수가 닉 보너의 커미션 작품으로, 북한이 주장하는 유토피아적 사회 건설에 건축이 중요한 요소였음을 보여준다.


이번 한국관의 최고상 수상은 한국의 건축이 국제적인 관심을 이끌어냈다는 점에서 고무적인 일이지만, 북한의 건축가가 참여하지 못한 부분은 여전히 아쉬움으로 남는다. “오히려 북한의 불참으로 최고상을 수상할 수 있었다”는 의견도 있지만, 남한은 경험한 건축인 반면 북한은 외부적 시각으로 바라본 건축을 표현했다는 균형의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 전시는 자본주의와 사회주의라는 이념의 차이로 달라진 한국 건축에 대한 새로운 담론을 형성하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