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PREV 2019 Year NEXT           PREV 06 June NEXT

환경과조경 2019년 6월

정보
출간일
이매거진 가격 9,000

기사리스트

[에디토리얼] 연재의 굴레, 그럼에도
감사하게도, 15년이나 묵은『현대 조경설계의 이론과 쟁점』의 개정판을 내보라는 권유를 받곤 한다. 대폭 뜯어고칠 궁리를 하며 개정판이 나온 책들을 골라 읽는 취미 비슷한 게 생긴 적이 있는데, 진중권의『앙겔루스 노부스』 개정판(아트북스, 2013)서문 한 구절에 그만 나의 심정이 포개지고 말았다. “…13년 전에 쓴 자기 글을 다시 읽는 것은, 마치 밤에 쓴 글을 낮에 읽는 것만큼이나 민망한 일이다. 감상적 어조로 쓴 부분은 특히 그러하다. 그 글을 쓰던 청년의 몸속에 지금은 중년의 사내가 들어앉아 있다. 옛글을 다시 읽는 민망함보다 강렬한 것은 그리움이다.” 진중권은 그 그리움을 양분 삼아 헌 집 위에 새집을 덧대어냈지만, 나는 그 민망함을 받아들이고 주저앉았다. 개정판 포기의 변명을 늘어놓으려는 건 아니다. 정작 하려던 이야기는 책의 초고가 된 연재 글쓰기의 추억과 고통이다. 『현대 조경설계의 이론과 쟁점』의 내용 대부분은 2001년 3월부터 2002년 8월까지 『환경과조경』에 연재한 ‘동시대 조경 이론과 설계의 지형’에 뿌리를 두고 있다. 남기준 편집장의 권유로 시작한 연재. 반은 필라델피아에서, 나머지 반은 천안에서 썼다. 동시대 조경의 지형도를 그려보겠다는 기획 초기의 열정만으로 매달 다가오는 마감의 중압감을 이겨내기란 쉽지 않았다. 마감 전쟁을 치르고 탈진하면 순식간에 닥쳐오는 다음 마감. 좁은 방안을 계속 걸어 다니며 한 문장씩 중얼거린 후 키보드를 두드리고 다시 일어나 걷기를 반복하는 나의 글쓰기 습관은, 벗어나기 힘든 굴레와도 같았던 그 연재 과정에서 생겼다. 지은 지 반세기가 넘은 필라델피아 외곽의 허름한 목조 아파트 아래층에는 조경가 J가 살고 있었다. J 부부와 그들의 갓난아기는 나의 고질적 글쓰기 습관이 발생시키는 극심한 층간 소음을 묵묵히 견뎌주었다. J는 쿵쾅거리는 내 발 소리의 양과 강도만으로도 원고 마감이 며칠 남았는지 정확히 맞출 수 있었다고 한다. 2014년의 잡지 리뉴얼 이후, 많은 필자에게 여러 연재 꼭지를 부탁했다. 편집자의 꾐에 넘어가 덜컥 연재를 수락한 그들은 텅 빈 순백의 모니터 앞에서 속이 타고 피가 마르는 밤을 보냈을 테다. 연재, 그것은 일상을 스스로 감옥에 가두는 일이고 불안과 초조의 늪으로 자신을 내모는 일이다. 과월호들을 다시 펼쳐보니 연재 필자들의 분투가 새삼 피부에 와닿는다.『환경과조경』의 지면을 풍성하게 해 준 그들의 노고에 다시 한 번 깊이 감사드린다. 지난한 과정을 감내하며 집필한 연재물 중 몇 가지가 단행본으로 새롭게 편집되어 독자들의 호평을 받고 있다는 점은 필자에게도, 편집자에게도 큰 기쁨이 아닐 수 없다. 김영민의 ‘스튜디오 201, 설계를 다시 생각하다’(2014년 연재)는『스튜디오 201, 다르게 디자인하기』(한숲, 2016)로, 김세훈의 ‘그들이 꿈꾼 도시, 우리가 사는 도시’(2015년 연재)는『도시에서 도시를 찾다』(한숲, 2017)로 출간되어 한국 조경과 도시설계 이론의 지층을 두텁게 하는 데 기여했다. 장장 3년간 연재된 고정희의 ‘100장면으로 재구성한 조경사’(2014~2016년 연재)는『100장면으로 읽는 조경의 역사』(한숲, 2018)로 묶여 조경 문화와 역사의 교점을 읽는 새로운 틀을 제시했다. 자생적 도시재생의 현장을 탐사한 최이규의 인터뷰 ‘다른 생각, 새로운 공간’(2017~2018년 연재)도 곧 단행본으로 출간될 예정이다. 서영애의 장기 연재 ‘시네마 스케이프’가 이번 달로 막을 내린다는 아쉬운 소식을 전한다. 315호부터 이번 374호까지 60회를 이어온 ‘시네마 스케이프’는 그 어느 지면보다 높은 열독률을 가진 인기 꼭지였고, 연재 3년째를 넘어서던 여름에『시네마 스케이프』(한숲, 2017)로 출간되어 영화와 경관론의 접면을 넓히기도 했다. 이 책의 서문에서 필자는 “영화를 보고 나서 한 호흡으로 써내려 간 적도 있지만, 한 달의 절반을 원고와 보낸 적이 더 많았다”고 술회한다. 2014년 여름은 어느새 2019년 여름이 되었다. 5년간의 수고에 깊이 감사드린다. 이번 호 특집으로는 한국, 중국, 미국을 가로지르며 조경의 사회적 책무를 실천하고 문화적 영향력을 전파하고 있는 랩디에이치Lab D+H의 근작들을 싣는다. 서울의 최영준, 선전의 중후이청, 상하이의 리중웨이, 세 파트너가 함께 이끄는 랩디에이치는 정원과 주거 단지부터 도시 공원과 복합 상업 공간, 신도시 마스터플랜과 도시재생 프로젝트에 이르는 다양한 스케일을 넘나들며 동아시아 조경의 혁신을 실험하고 있다. 아키데일리, 디자인붐, 아키텍트매거진, 도무스웹 등 다수의 저널이 이미 주목한 바 있는 랩디에이치의 작업들은 도전과 가능성의 새로운 지평을 열고 있다. 책장을 뒤져 최영준 소장의 ‘그들이 설계하는 법’(2018년 1월호~3월호)도 재독해보시길.
Lab D+H
랩디에이치 조경설계사무소Lab D+H는 한국, 미국, 중국 등 다국적 문화를 바탕으로 활동하는 디자인 그룹이다. 2014년 로스앤젤레스를 기반으로 설립되어 현재 한국의 서울, 중국의 선전과 상하이에 오피스를 둔 설계사무소로 성장했다. 이번 호는 상업 광장부터 도시재생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스펙트럼의 프로젝트를 수행해 온 Lab D+H의 근작을 소개한다. 이들은 장소와 커뮤니티에 대한 깊은 이해를 기반으로 공공성을 존중하는 설계를 선보인다. ‘용칭 지구’와 ‘옌타이 산 역사박물관과 골목길 재생’에서는 상업 프로그램으로 구도심을 채우고 부지의 역사를 박제하는 전형적인 도시재생의 틀에서 탈피해 지역 커뮤니티, 주민의 삶의 질, 기존 건물의 특성에 주목하며 전통과 현대의 융합을 시도한다. ‘상하이 믹시몰’과 같이 상업성이 강한 공간에서도 상가 입면을 드러내는 동시에 보행자를 위한 넓은 그늘을 드리우는 식재 전략을 통해 공공성의 가치를 추구한다. Lab D+H의 설계를 완성하는 핵심 요소는 무한한 긍정이다. 조경을 통해 사회에 긍정적 영향력을 미칠 수 있다는 믿음은 불합리한 시스템과 여건 속에서도 창조적 반복과 변조를 두려워하지 않게 하는 힘의 원천이 되고 있다. 그 끊임없는 낙천적 도전의 면면을 프로젝트 구석구석과 세 파트너의 설계 철학을 담은 에세이에서 찾아볼 수 있다. 더불어 굳이 풀어 소개하지 않았던 D+H에 담긴 의미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그들이 조경 디자인을 통해 꿈꾼 이상과 사회에 퍼뜨린 영향력이 독자들에게도 전달되기를 기대한다. 『환경과조경』 2018년 1월호~3월호에 최영준 소장이 연재한 ‘그들이 설계하는 법’도 다시 꺼내볼 것을 권한다. 진행 김모아, 윤정훈 디자인 팽선민
[Lab D+H] 프로필
Design + Hope 랩디에이치(Lab D+H)는 설계를 통해 사회에 긍정적 영향력을 확산하고자 하는 조경 중심의 디자인 그룹으로 중후이청, 최영준, 리중웨이가 함께 이끄는 설계사무소다. 한국, 미국, 중국 등의 문화를 기반으로 정원부터 마스터플랜까지 다채로운 성격과 규모의 프로젝트를 다룬다. 정교함, 결정적인 문제 해결 방안, 지속가능성을 기초로 설계에 접근하며, 조경 설계가 환경의 근간을 형성하고 진화시켜 도시를 작동시킨다고 믿는다. 무엇보다 조경의 사회적 책무와 도시 문화에서의 영향력을 중요시한다. 2014년 로스앤젤레스에서 설립되어 현재 한국의 서울, 중국의 선전과 상하이에 오피스를 두고 있다. 중후이청 광저우에서 태어나 자란 중후이청(Zhong Huicheng)은 하이난(Hainan)의 작은 마을에 있는 남중국 열대농업대학교(South China University of Tropical Agriculture)에서 조경학을 전공했다. 2005년부터 2010년까지 베이징 임업대학교(Beijing Forestry University)에서 도시계획을 공부하고 뉴욕 북부의 코넬 대학교(Cornell University)에서 조경을 공부해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2010년부터 4년간 로스앤젤레스의 SWA 그룹에 근무하며 다양한 규모의 프로젝트를 설계하고 이끌었으며, 당시 동료였던 최영준과 함께 2014년 랩디에이치Lab D+H를 설립했다. 2016년부터는 Lab D+H 로스앤젤레스 오피스와 선전 오피스를 오가며 대도시부터 산간 지역에 이르는 여러 지역의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디자인 실무 외에도 교육 및 자선 프로젝트에 참여해 조경 설계를 통해 지역 사회에 희망을 주고자 노력해왔다. 하버드 대학교(Harvard University)(2018), 홍콩 중문대학교(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2018), 베이징 임업대학교(2012, 2017, 2018)및 난징 임업대학교(Nanjing Forestry University)(2012)등 세계 각국의 대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다. 최영준 최영준은 서울에서 태어나 한강을 보며 자랐다. 서울대학교에서 조경학을 전공하고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디자인 대학원(University of Pennsylvania School of Design)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학사 과정 중에는 한국의 오피스박김에서, 석사 과정 중에는 미국 버클리의 PWP에서 근무했으며, SWA 그룹 로스앤젤레스 오피스에서 본격적인 실무를 경험하며 Lab D+H의 다른 두 파트너를 만났다. 미국 공인 조경가RLA로서 다양한 설계 및 계획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마스터플랜 설계공모(Rio 2016 Olympic Park Master Plan Competition)’ 등의 국제 공모를 이끌었다. 2014년 중후이청과 Lab D+H를 공동 설립하고 2018년 서울 오피스를 세워 국내에서도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조경학과 최우수 졸업생상, 제4회 대한민국 환경조경대전 대상, 미국조경가협회상(ASLA Honor Awards), 2010 뉴욕 신진건축가공모 대상(2010 ENYA Prize),아키프리 인터내셔널 2011(Archiprix International 2011)본상을 받았으며, 오스틴 ‘시홀름 수력 시설 도시재생 설계공모(Seaholm Intake Design Competition)’를 비롯한 국제 공모에서도 수상한 이력이 있다. 국내 대학교에서 조경 설계를 가르치고 있으며, 조경 담론을 글로 생산해내는 전문가 그룹 ‘조경비평 봄’의 일원으로 몇몇 책의 공동 저자로 참여하기도 했다. 리중웨이 톈진의 구도심에서 태어난 리중웨이(Li Zhongwei)는 수집가였던 조부의 영향을 받아 다양한 물성에 흥미를 느끼며 성장했다. 톈진 과학기술대학교(Tianji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에서 디자인을 전공하고 톈진 대학교(Tianjin University)에서 건축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설계대학원에서 조경학 석사 과정을 밟으며 조경가의 사회적 책무에 관심을 두기 시작했다. 보스턴의 사사키 어소시에이츠(Sasaki Associates)를 시작으로 로테르담의 West8에서 형태 감각과 문화 자원을 디자인에 활용하는 법을 익혔고, 뉴욕의 JCFO에서는 조경을 통한 도시설계 전략을 배웠으며, SWA 그룹 로스앤젤레스 오피스와 소살리토(Sausalito)오피스에서 재료의 물성과 이를 공간에 드러내는 일에 집중했다. 2017년부터 Lab D+H 상하이 오피스를 이끌며 다채로운 규모의 오픈스페이스와 상업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도시 환경 본래의 색채를 보존하면서도 지속가능한 변화를 불러오는 경관을 조성하는 도시재생 프로젝트에 관심이 많으며, 이같은 성격의 두 프로젝트―‘용칭 지구’, ‘옌타이 산 역사박물관과 골목길 재생’―로 미국조경가협회 남가주지회(ASLA Southern California Chapter)로부터 상을 받았다.
[Lab D+H] 낙천적 조경의 세대
랩디에이치Lab D+H의 디자인 태도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정신은 낙천성이다. 다시 말해 조경이 만드는 생산적 영향력으로 도시를 풍요롭고 더욱 긍정적으로 바꿀 수 있다는 강한 믿음이 있다. 빼기보다는 더하기이고 융화/상쇄보다는 도입/강화로 새로운 사회적, 문화적 움직임을 기대한다. 덜하기보다 앞서간 뒤 몇 걸음 뒤로 물러나며 가능성을 살피려 한다. 분명한 강조를 두려워하지 않고 창조적 반복과 변조를 디자인의 도구로 즐겨 사용한다. 광저우 반케 클라우드 시티, 청두 워크타임 레지덴셜 가든 등에서는 다채로운 프로그램, 기하 및 패턴의 강조를 통해 조경의 창조성에 대한 실천을 추구했는데, 이는 낙천적 믿음에서 비롯됐다. 여러 도시재생 프로젝트에서 제안한 적극적인 개입 또한 같은 태도를 기반으로 한다....(중략)... *환경과조경374호(2019년 6월호)수록본 일부
[Lab D+H] 숨겨진 희망
2014년 설립 이래 랩디에이치(Lab D+H)의 디자인 전략이 지난 5년간 어떻게 진화하고 발전했는지 되돌아보는 것은 흥미롭고 뜻깊은 과정이다. 최근 국제적으로 조금씩 두드러지는 성과를 보이기 시작하고 있지만, 지금 이 단계에 이르기까지 거쳐온 경로는 겉으로 드러난 것처럼 매끄럽지만은 않다. 설립 초기에 창립 파트너들은 정부의 면허 제한 정책(해외 기업은 실시설계용 도면과 문서를 만들 수 없다)과 관계 딜레마(과업 수행 능력이나 결과를 기준으로 삼는 공정 경쟁이 아닌 발주처와의 관계가 프로젝트의 운명에 큰 영향을 미치는 네트워크 중심의 사회적 분위기)로 인해 중국의 공공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공공 영역에서 여러 번의 시행착오를 겪은 후 새로운 기회를 얻기 위해 민간 영역으로 주된 시장을 전환했다....(중략)... *환경과조경374호(2019년 6월호)수록본 일부
[Lab D+H] 도시재생의 스트리트 배틀
랩디에이치(Lab D+H)의 설립 이래 도시 이곳저곳의 틈에 독특한 공공 공간을 조성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해왔다. 물론 그 모든 시도와 과정은 쉽지 않았다. 기본적으로 쇠퇴한 건물의 재개발이든 도시 중심부의 랜드마크든 관계없이 대부분의 주된 설계가는 건축가가 되고 조경가의 역할은 작게 설정된 제도가 가장 큰 어려움이었다. 이런 이유로 오랜 시간 동안 중국 도시의 공공 공간에서는 건물의 언어, 구조 및 공간의 질서만이 강조되고 시민들의 삶은 의사 결정자와 디자이너에 의해 무시되고 점차 사라져갔다. 이러한 문제에 대응해 구시가지의 버려진 골목에서 일종의 ‘스트리트 배틀(street battle)’을 시작했다. 다소 치열하게 느껴지는 어휘를 사용한 이유는 단지 물리적으로 좁은 골목 같은 공간에서 도시재생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경관을 만드는 것이 어려워서가 아니다....(중략)... *환경과조경374호(2019년 6월호)수록본 일부
[Lab D+H] 용칭 지구
근래 중국 도시 개발은 도시의 확장에서 구도심의 새로운 변화를 모색하는 방향으로 바뀌어 가는 중이다.정부와 계획가들은 구도심의 잠재력을 도시 활력의 구심점이자 도시재생 및 도시 브랜딩 전략으로 삼고 있다. ‘용칭 지구(Yongqing Fang)’재개발 또한 일상과 동떨어진 상업적 프로그램으로 구도심을 채우고 부지의 역사를 박제하는 데 그치는 상의하달식(top-down)계획에서 탈피해 섬세하고 미시적인 방식으로 진행됐다.지역 커뮤니티의 참여,주민의 삶의 질 향상,여가가 혼합된 프로그램,기존 건물의 특성을 살리는 방식,전통과 현대를 융합하는 원칙에 방점을 두고 재개발 지역에 지속적으로 활력을 불어넣고자 했다. 전통 문화가 살아 있는 지역 광저우의 서쪽 구도심 시관(Xiguan)은 광저우 읍성으로 둘러싸인 지역으로,주거 및 상업지가 분포하며 리완(Liwan)지역의 전통 양식을 잘 간직하고 있다.광저우의 아름다운 길로 알려진 언닝 가로(Enning Road)는 시관의 중심 거리다.역사적 가치를 지닌 건물과 함께 옛 도시의 기억이 이곳에 고스란히 남아 있다.길을 따라 늘어진 전통 치러우(Qilou)주택을 통해 링난(Lingnan)건축의 뛰어난 조화미를 살펴볼 수 있다. ‘언닝 가로 재개발 계획(Enning Road Redevelopment)’에 포함된 용칭 지구는 수 세기에 걸쳐 형성된 특색 있는 건축물들의 집합소다.낮고 긴 형태의 대나무 튜브 하우스(tube house)가 전통 가옥 옆에 자리하고,남중국 건축 양식에 서양 및 근대 건축 양식이 혼합되어 있다.전통 작업장의 기능공들과 거리 문화를 통해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링난 문화를 살펴볼 수도 있다.용칭 지구에서의 삶은 광저우의 다른 현대 도시와 다르다.느린 속도의 삶,커뮤니티의 결속력과 강한 전통이 지역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있다....(중략)... *환경과조경374호(2019년 6월호)수록본 일부 Landscape ArchitectLab D+H Design TeamLi Zhongwei, Zhong Huicheng, Lin Nan,Liang Zongjie, Lan Hao ClientGuangzhou Vanke LocationGuangzhou, China Area4,955㎡ Design2016 Completion2017 PhotographsArch-Exist
[Lab D+H] 상하이 믹시몰
상하이 믹시몰(Shanghai MixC Mall)은 우중(wuzhong)거리에 위치한 대형 쇼핑몰과 이를 둘러싼 녹지 구역이다.대상지는 상업성이 강한 쇼핑몰 전면 광장임에도 불구하고 면적의80%이상을 공공 녹지가 차지해 공공 공간으로 기능하는 곳이다.또한 인근에 지하철 노선 두 개가 교차하며 건너편에 또 다른 큰 규모의 쇼핑몰이 있어 유동 인구가 많다.따라서 많은 사람을 수용할 수 있는 동시에 상업적이며 공적인 성격이 하나로 통합된 도시 공원 같은 공간을 만들고자 했다. 세 개의 입구 주변에는 다양한 이벤트를 열 수 있는 열린 광장을 마련하고,광장 사이 폭40m의 공공 녹지는 풍성한 수목으로 생명력 넘치는 공간으로 연출했다.광장 경계부는 유연한 활용을 목표로 설계됐는데,길게 뻗어나가는 다채로운 질감의 석재 포장 패턴은 사람들의 활동과 프로그램을 담는 캔버스가 된다.광장 둘레에는 긴 벤치와 플랜터 벽을 놓았다....(중략)... *환경과조경374호(2019년 6월호)수록본 일부 Principal in ChargeChoi Youngjoon Team Member of DesignerTai Hao, Lan Hao, Ling Qimei LocationShanghai, China Area75,243m2 Design2016.12. ~ 2017. 7. Construction2017. 6. ~ 2017. 9. Completion2017 PhotographsArch-Exist
[Lab D+H] 옌타이 산 역사박물관과 골목길 재생
대상지의 역사와 현재 푸저우는1841년 아편전쟁 이후 난징 조약에 의해 개항된 다섯 개의 항구 중 하나다.특히 옌타이(yantai)산은 차(茶)의 세계적인 무역이 이루어지던 곳으로 동양과 서양의 문화가 만나는 교역의 중심지였다.당시 영국,미국,프랑스,네덜란드 등17개국 이상의 영사관, 40여 개의 중개상, 30여 개의 외국 기업, 14개의 교회,수십 개의 선교사 학교가 자리 잡기도 했었다.이 역사적 가치를 지닌 건축물 대부분이 보존되며 옌타이 산은‘세계 건축 박물관’이라는 별명을 얻었다.하지만 아주 오래전부터 그곳에 있었던 아홉 개의 골목길은 사람들의 기억에서 점차 잊혀 갔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세워지며 옌타이 산 일대는 경기 침체를 맞았다.좁고 구불거리는 골목길이 산을 오르내리기에 좋은 형태가 아니었기 때문이다.원주민이 떠나고 새로운 이주민이 유입되며 대상지의 전통성이 옅어졌고 도시재생의 필요성이 대두됐다.아홉 개의 골목길을 비롯해9헥타르에 달하는 옌타이 산 전역이 도시재생 프로젝트 대상지로 선정됐다....(중략)... *환경과조경374호(2019년 6월호)수록본 일부 Principal in ChargeZhong Weili Team Member of DesignerZhong Weili, Lin Nan, Xu Jie,Zhou Jian, Fan Yufei, Zhang Jiaqian, Li Xiujuan, Qin Chao,Hui Lili, Qian Liu ClientFuzhou Vanke Company LocationYantai Mountain, Fuzhou, China Area9,000㎡ Completion2017 PhotographsArch-Exist
[Lab D+H] 청두 워크타임 레지덴셜 가든
주거 단지 안의 정원 ‘청두 워크타임 레지덴셜 가든(Chengdu Walktime Residential Garden)’은 고층 주거 타워에 둘러싸인 중정이다.대상지는 다섯 동의 주거 타워와 쇼핑몰이 함께 있는 복합 주거 단지이며,다양한 계층의 사람들과 독립 예술가들이 거주하는 지역에 위치한다.단지 내 소규모 정원과 더불어 중·대규모의 공공 공간을 한데 통합하고 활기가 넘치는 커뮤니티 공간을 마련하고자 했다.프로젝트의 전략‘라이프스타일의 모자이크(Mosaic of Lifestyles)’는 모자이크 패턴으로 이루어진 중정을 조성함으로써 주민들의 다채로운 생활 방식을 수용하는 공간을 마련한다....(중략)... *환경과조경374호(2019년 6월호)수록본 일부 Principal in ChargeChoi Youngjoon Team Member of DesignerChoi Youngjoon, Zhong Huicheng,Huang Jin, Lin Miao, Liang Zhongjie, Deng Liujun, Ouyang Qiong ClientChengdu Longfor Company LocationChengdu, China Area320㎡ Completion2017 PhotographsArch-Exist
[Lab D+H] 광저우 반케 클라우드 시티 테트리스 스퀘어
픽셀 커뮤니티 광저우 반케 클라우드 시티2단계는 저가형 주택,소형 아파트,스타트업 사무실,쇼핑몰,외국인 학교 등으로 구성된 주상 복합 단지 개발 프로젝트다.복잡하게 혼재된 구성 요소를 감싸는 조경 프레임워크를 통해 완전하고 풍부한 픽셀 커뮤니티(pixel community)를 만들었다.그리드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이 프레임워크는 공간을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도울 뿐만 아니라 커뮤니티의 정체성을 뚜렷하게 드러낸다.그리드 시스템이 적용된 상업 광장 북서쪽 모퉁이에 테트리스 스퀘어(Tetris Square)가 조성됐는데,이6,000㎡크기의 광장은 인근 지역 공동체의 가장 큰 공공 공간이다. 작은 공원 상업 구역 한가운데 위치한 테트리스 스퀘어는 인접 오픈스페이스와 커뮤니티를 연결하는 공원으로 기능한다.광장의 양측 입구에는 다양한 연령의 어린이가 이용할 수 있는 놀이터를 설치했다.그 중심 공간인 패밀리 포켓(family pocket)은 다채로운 형태로 설치된 해먹을 통해 부모와 아이가 교감할 수 있는 곳이다.인근에 자리한 프리 아일랜드(free island)에서는 입체적 놀이 시설을 이용해 운동과 놀이를 즐길 수 있다.이외에도 클라우드 커튼/마운틴(cloud curtain/mountain),파빌리온,야외무대 등 다용도 시설이 배치되었는데,그중 삼각형의 야외무대는 이벤트 장소이자 인근 외국인 학교의 야외 교실 역할을 톡톡히 수행하고 있다. ...(중략)... *환경과조경374호(2019년 6월호)수록본 일부 Principal in ChargeZhong Huicheng Team Member of DesignerSong Feimin, Lan Hao,Choi Youngjoon, Yuan Shaozhong, Ye Wanlu,Deng Liujun, Xiao Bingru, Shen Yongkai ClientGuangzhou Vanke LocationGuangzhou, China Area6,000㎡ Design2016. 6. ~ 2017. 7. Construction2018. 1. ~ 2019. 2. Completion2019 PhotographsHoli(Arch-Exist), Tang Xi, Song Femin
[Lab D+H] 쿤위 산 휴게 스테이션
쿤위 산 국립공원을 위한 시설물 중국 쿤위(Kunyu)산 국립공원에서는50k㎡에 이르는 자연 보호 지역의 여러 시설을 개선하는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우리는 국립공원 내 공공 시설의 새로운 기준을 마련하는 파일럿 프로젝트를 맡아 공중 화장실을 설계했는데,다양한 지형에 적용할 수 있는 모듈 구조를 제안했다. 아늑한 휴게 공간으로서의 화장실 영어 단어 레스트룸(restroom)은 화장실이 휴게 공간임을 암시한다.기본적인 화장실 기능만 갖춘 공간보다 아름답고 아늑한 쉼터를 조성해 이곳에서 사람들이 자연과 소통하기를 바랐다.휴게 스테이션이 조성될 곳은 숲 경계 부근 고산 식물원이 자리한 단구 지대였다....(중략)... *환경과조경374호(2019년 6월호)수록본 일부 Principal in ChargeZhong Huicheng Team Member of DesignerChoi Youngjoon, Liang Zongjie,Huang Jin, Lan Hao, Song Feimin, Xiao Bingru LocationYantai, China Area6,000m2 Design2017 Construction2017. 3. ~ 2018. 2. Completion2018 PhotographsXi Tang, Yu Conggang
양산사송 공공주택지구 조경 설계공모
설계공모경과 양산사송 공공주택지구는 산지에 둘러싸인 분지 형태의 땅에 자리잡게 될 주거 단지다. 지난 1월 LH는 대상지 남동측에 위치한 부산시의 주거 기능을 분담하고 교통 요충지로 기능하며 쾌적한 환경을 갖춘 단지를 조성하고자 ‘양산사송 공공주택지구 조성사업 조경(공원·녹지)기본 및 실시설계 공모’를 개최했다. 공모는 금정산, 군자산, 다방천, 내송천 등 인근의 산과 강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친환경적 주거 단지 계획을 요구했다. 이를 위해 생태 녹지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지구특화계획을 고려해 지구 전역을 유기적으로 연계할 수 있는 설계 모델을 제시해야 했다. 공공 공간은 보행자 중심 공간으로 계획하고, 수림대와 하천변은 근린공원 또는 수변공원으로 탈바꿈시켜 주민에게 적절한 휴식 공간을 제공하도록 했다. 주변을 두른 산지가 자연스럽게 형성한 스카이라인과 통경축을 해치지 않는 건축물 배치 계획 역시 중요한 설계 요소 중 하나였다....(중략)... *환경과조경374호(2019년 6월호)수록본 일부 최우수작 인터랙티브9테라스Interactive 9 Terrace 그룹한+수성엔지니어링 주최LH 위치경상남도 양산시 동면 사송리,내송리 일원 면적 사업 면적: 2,766,465m2 조경 면적: 671,176m2 (공원175,332m2,녹지468,718m2,기타27,126m2) 공모 금액1,113백만 원 이하(관리용역비,부가세 포함) 추정 공사비370억 원 이하(부가세 및 제잡비 포함) 설계 기간 조경 설계: 2019. 5. ~ 2020. 8. 관리 용역:설계 용역 준공일 다음날로부터 사업 준공일까지 방식 일반 설계공모 시상 최우수작(1점):조경 기본 및 실시설계권,공모 금액(1,113백만 원 이하) 우수작(1점): 3개 업체 응모 시2,000만 원, 4개 업체 이상 응모 시2,500만 원 장려작(1점): 3개 업체 응모 시1,000만 원, 4개 업체 이상 응모 시 상금1,500만 원 참여작(전체): 3천만 원/4위 이하 업체 수(단1,000만 원 이하) 진행 김모아 디자인 팽선민 자료제공LH도시경관단,수상팀
[양산사송 공공주택지구 조경 설계공모] 인터랙티브 9 테라스
굽이굽이 펼쳐진 금정산과 군자산의 산등성이 아래 낙동강으로 이어지는 다방천이 흐르는 사송지구는 천혜의 자연환경이 있어 예부터 천옥 같은 땅이라 불린 곳이다. 사람들은 금정산 골짜기를 따라 마을을 이루고 드넓은 들판을 삶의 터전으로 삼아 살아왔다. 하지만 고속 도로가 놓이는 등 도시가 개발되고 기후 환경이 변화하며 주민의 일상적인 삶이 위협받고 있다. 우리는 이 땅이 품었던 테라스형 구릉지의 자연 경관을 되살리고자 한다. 또한 양산의 4차 산업 기술을 접목해 아홉 가지 성격의 커뮤니티 공원과 기후 변화와 미세 먼지에 대응하는 새로운 유형의 스마트 공원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설계 전략 4차 산업 기술과 도시 공원의 접목은 변화하는 환경에 대응하는 능동적인 공원 이용, 커뮤니티 활동 증진, 공원의 효율적 이용 및 운영 관리를 가능케 한다. 이러한 기술과 공원의 결합을 통해 자연과 인간, 사물이 상호 작용하는 지능형 공원이라는 비전을 제시한다. 프레시 리버웨이 10km에 달하는 프레시 리버웨이(fresh riverway)는 다방천을 중심으로 공원과 도시를 연결하는 기후 변화 대응형 순환 동선이다. 미세 먼지, 폭염 등의 기후 변화에 대응할 수 있어 쾌적하고 안전한 도시 환경 조성에 기여한다. 도시 주요 결절점에 배치한 프레시 키오스크(fresh kiosk)를 통해 환경 정보를 측정, 공유할 수 있어 이용자에게 기후 변화에 대응하며능동적으로 공원을 이용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9 테라스 파크 영상 기술로 즐기는 공원, 스마트 데이터로 배우는 공원, 자연과 상호 교감하는 공원 등 세가지 테마로 설계된 아홉 개의 공원을 4차 산업 기술과 결합한다. 공원 곳곳에 설치된 시설물은 사람들의 행동이나 자연의 변화에 따라 반응한다. 이를 통해 눈에 보이지 않는 자연의 에너지를 직관적으로 체험하고 이해할 수 있으며, 나아가 이용자가 주체가 되어 새로운 경관을 생산하는 커뮤니티를 활성화하게 된다....(중략)... *환경과조경374호(2019년 6월호)수록본 일부
[바우하우스와 모더니즘 조경] 도시 녹지, 조경의 플레이그라운드
바우하우스의 격한 움직임에 자극받아 표현주의와 입체파 미술의 방법론까지 차용해가며 ‘우리도 바우하우스’처럼 새로운 정원 예술을 창조하려던 몸부림은 브라질의 부를레 막스나 멕시코의 루이스 바라간 등 발군의 예술가들이 나타나 일단락 지었다. 그러나 진정한 정원 혁명은 이런 화려한 무대 뒤편, 도시 전체에서 따로 진행되고 있었다. 건축과 거의 시기를 같이해 변화하기 시작했으나 매우 서서히 진행됐기에 아무도 인식하지 못했다. 백 년이 지난 1980년대에 비로소 지난 세기에 커다란 변화가 있었음을 인식하게 되었고, 최근 들어 바우하우스 10 0 주년 기념행사들을 준비하며 조경계를 되돌아보는 과정에서 재삼 확인되었다. 심지어는 19세기 중후반부터 20세기 초에 걸쳐 서서히 일어났던 변화를 제2의 정원 혁명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제1의 혁명은 영국 풍경화식 정원을 말한다. 신세계의 지옥, 산업 도시가 도시계획을 부르고 제2의 정원 혁명을 초래하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20세기 정원의 가장 큰 변화는 정원 예술의 영역이 아니라 사회정치적 영역에서 일어났다. 이는 산업혁명 이후 일어난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변화와 큰 관계가 있다. 특히 도시의 팽창이 결정적 원인이 되었다. 불과 수십 년 사이에 도시 인구의 비율이 몇 곱으로 증가하고 도시가 걷잡을 수 없이 비대해짐으로써 도시 재정비, 즉 도시계획이 불가피해졌다. 도시계획은 건축가뿐 아니라 정원사의 일에도 큰 변화를 초래했다. 주 활동 무대가 개인의 영지에서 도시로 이전된 것이다. 뿐만 아니라 지배층을 위해 일하던 종속적 관계에서 벗어나 시민 사회 전체의 용역을 받는다는 새로운 신분과 사명을 얻게 되었다. 이는 ‘사회적 책임’을 동반하는 위치였으며 이에 따라 직업관도 달라졌다. 변화는 19세기 중반부터 20세기 초반까지 거의 반세기에 걸쳐 서서히 진행됐다. 하루아침에 전통과의 단절을 선언한 건축가들과는 달리 평생 자연의 원리를 익히며 살아온 정원사들은 겸허했고, 하루아침에 정원을 갈아엎고 새것을 만들 수 없음을 너무나 잘 알고 있었다. 그들은 감히 세상을 새롭게 창조하겠다고 기염을 토하지 않았다. 그보다는 당면한 사회적 문제를 풀어내는 데 골몰했으며 그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변화와 혁신이 이루어졌다. 지배층을 ‘모시는’ 위치에서 도시 녹지를 조성하는 전문가로, 건축가와 나란히 도시설계를 책임지는 위치로 신분 상승하고 보니 다른 문제가 불거졌다. 전통적인 정원사 교육만으로는 충족이 어려운 과제였고 특히 아카데미 교육을 받은 건축가들을 만나 수세에 몰릴 수밖에 없었다. 대학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나라마다 차이가 있었겠지만, 독일의 경우를 예로 든다면 기존의 2년제 고등정원학교가 있었으나 1929년 베를린 농과대학에 조원 석사 과정이 설치되면서 드디어 대학 교육의 막이 열렸다. 긴 개혁의 과정에 화룡점정을 찍은 것이다. 이는 대단히 근본적인 변화였다. 이로써 정원의 사회화 과정, 민주화 과정이 시작된 것으로 해석하는 시각도 있다. 시작이라고 말하는 이유는 20세기 말에 들어서야 비로소 사회화, 민주화 과정이 어느 정도 마무리된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고정희는 1957년 서울에서 태어나 어머니가 손수 가꾼 아름다운 정원에서 유년 시절을 보냈다. 어느 순간 그 정원은 사라지고 말았지만, 유년의 경험이 인연이 되었는지 조경을 평생의 업으로 알고 살아가고 있다. 『식물, 세상의 은밀한 지배자』, 『신의 정원, 나의 천국』, 『고정희의 바로크 정원 이야기』, 『고정희의 독일 정원 이야기』, 『100장면으로 읽는 조경의 역사』를 펴냈고, 칼 푀르스터와 그의 외동딸 마리안네가 쓴 책을 동시에 번역 출간하기도 했다. 베를린 공과대학교 조경학과에서 20세기 유럽 조경사를 주제로 박사 학위를 받았고, 현재는 베를린에 거주하며 써드스페이스 베를린 환경아카데미 대표로 활동하고 있다.
[도면으로 말하기, 디테일로 짓기] 디자인과 방정식
일관성 있는 디자인은 하나의 방정식으로 해석될 수 있다. 디자인 과정에서 사유와 개념은 구체적 형태로 발전하면서 수치화 또는 도면화 단계를 거치고, 이를 통해 기호와 숫자로 된 도면이 만들어진다. 이러한 방법으로 형태를 만드는 작도 과정에서는 일종의 규칙성이 나타나는데, 마치 방정식을 세우는 것과 같다. 예를 들어 x2+y2=0, 사인(sine), 코사인(cosine), 탄젠트(tangent)등은 다양한 모양의 곡선을 만들어낸다. 이러한 그래프를 그려본 적이 있을 것이다. 최근 코딩으로 구현하는 디자인도 이러한 수학적 방정식을 근간으로 한다. 단위(unit)또는 단위에 기반한 시스템이 만든 경관에 대한 생각은 제임스 코너의 저서1에 잘 나타난다. 일정한 수식에 근거한 디자인은 어떻게 실제 공간과 경관으로 구현될까? 이때의 작도 방식은 어떻게 방정식으로 변환될까? 나아가 새로운 디자인 방식으로 발전할 수 있을까? 제임스 코너 필드 오퍼레이션스JCFO에 근무할 당시, ‘두바이 크리크 하버(Dubai Creek Harbour)’ 프로젝트를 맡아 약 4km의 해안선을 디자인했다. 물결 모양의 반복적 형태를 구현한 이 작도 과정은 일종의 방정식으로 변환될 수 있다. 우선 두 개의 물결 모양 곡선으로 외부 해안 산책 동선(방파제 에지)과 내부 순환 동선을 만들었다. 두 곡선이 만나는 지점(동선의 접합 지점)은 인공섬 내부로 연결되는 주요 결절점이 되고, 해안으로 뻗은 곡선의 끝점은 바다를 향한 조망점이 된다....(중략)... *환경과조경374호(2019년 6월호)수록본 일부 각주 1.James Corner, Taking Measures Across the AmericanLandscape, Yale University Press, 1996. 조용준은 서울시립대학교와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서 조경을 공부했다. 진양교 교수의 ‘채우기와 비우기’ 설계 이론과 제임스 코너의 실천적 어바니즘을 기반으로 한 간단명료한 디자인에 영감을 받았다. 15년여의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한 실질적 설계와 페이퍼 아키텍처를 추구하며, 독자적인 설계 방식으로 보이지 않는 깊이(invisible depth), 생성적 경계(generative boundary), 언플래트닝 랜드스케이프(unflattening land-scape)를 탐구하고 있다. 최근 CA조경기술사사무소 소장으로서 새로운 광화문광장 조성 설계공모 팀의 당선을 이끌었으며, 개인 자격으로 서울형 저이용 도시공간 혁신 아이디어 공모에서 대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그리는, 조경] 설계 전략 그리기
설계할 때 가장 먼저 그리게 되는 드로잉 유형은 아마도 다이어그램일 것이다. 설계가는 대상지의 여러 정보를 고려하며 설계 아이디어를 간단히 그려본다. 대상지의 자연, 문화, 역사, 경제, 사회를 포함하는 다양한 현황을 지도 위에 표시해보며 대상지를 충분히 이해하고, 부지의 바람직한 이용 방법을 합리적이면서도 창의적으로 상상하고 표현한다. 이러한 상상은 점차 진화하고 구체화되어 (이전 연재에서 살펴본)평면도나 입단면도, 투시도 형식으로 그려진다. 다이어그램은 사전적으로 “어떤 것의 겉모습, 구조 혹은 작동 방식을 보여주는 단순화된 드로잉, 즉 도식(schematic representation)” 또는 “그래픽 형식으로 무언가를 그리는 행위”를 뜻한다.1이러한 의미에서 보면 간단한 평면도나 입단면도, 투시도도 다이어그램에 포함된다. 하지만 조경 설계에서 다이어그램은 경직된 하나의 유형이라기보다 평면도, 입단면도, 투시도로 표현하기 힘든 요소를 도식화한 것을 광범위하게 의미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보이지 않는 경관 요소, 움직임, 생태와 문화 프로그램, 그러한 요소 간의 관계, 시간에 따른 변화 등의 설계 전략을 시각화한 것을 다이어그램이라고 부른다(그림 1). 그러므로 다른 드로잉 유형과 달리 다이어그램은 경관의 겉모습과 반드시 닮아야 함을 전제하지 않는다. 설계안의 논리를 그림으로 스토리텔링하는 것이 다이어그램의 주된 임무다. 다이어그램과 유사해 종종 혼용되는 드로잉 유형으로는 맵핑(mapping)이 있다. 맵핑은 말 그대로 지도를 만드는 것 혹은 설계를 위해 새로 만든 지도를 의미한다.2맵핑은 여러 경관 정보를 지도 형식으로 단순하게 나타낸 도식이라는 점에서 다이어그램에 포함된다(그림 2). 조경 설계에서 맵핑이라는 용어를 다이어그램만큼이나 자주 사용하는 이유는 조경에 땅을 다루는 작업이 많이 포함되기 때문일 것이다. 조경적인 다이어그램은 곧 맵핑인 셈이다. 어쩌면 조경 설계는 새로운 지도를 만들어내는 작업일지도 모르겠다. 미국 모더니스트의 다이어그램 조경 다이어그램과 맵핑을 광범위하게 생각한다면, 그 시작은 드로잉의 역사와 함께한다고 할 수 있다. 지난 연재(『환경과조경』 2019년 3~5월호)에서 다룬 켄트의 드로잉, 즉 투시도 형식에 마운드 조성을 위한 지형 변경 사항을 점선으로 그려 넣은 드로잉이나 렙턴이 그린 입단면도는 오늘날의 다이어그램과 닮은 구석이 있다. 옴스테드도 조경 설계를 위해 다이어그램을 남겼다(그림 3과 4). 하지만 본격적으로 다이어그램이 등장한 때는 20세기 초반 미국의 모더니스트, 즉 개릿 엑보(Garrett Eckbo)(1910~2000), 제임스 로즈(James C. Rose)(1913~1991), 댄 카일리(Dan Kiley)(1912~2004)의 드로잉에서였다. 이들은 클라이언트를 비롯한 다른 누군가에게 설계 전략을 보여주기 위해 다이어그램을 공들여 그리기 시작했다. 설계 과정에서 다른 드로잉 유형과 함께 다이어그램을 중요한 시각화 방식으로 여기기 시작한 것이다. 엑보는 식재 계획을 다이어그램으로 표현했다(그림 5). 평면도 형식의 이 드로잉을 다이어그램이라 부르는 이유는 식재 정보를 간단한 기호로 시각화했기 때문이다. 이전의 조경 평면도에서 식재의 겉모습이 사실처럼 보이도록 그려졌다면, 엑보는 식재 유형별 형태와 질감 등의 특성을 간단한 기호로 환원해 표기했다. 물론 이제 평면도에서 나무는 정면을 그리는 플라노메트릭이 아닌 완벽한 탑뷰로 시각화되고 있다. 수종의 복잡한 정보를 간단한 규칙으로 나타내 어떻게 공간에 배치할 것인지 간결하면서도 잘 읽히게 하는 것이다.3...(중략)... *환경과조경374호(2019년 6월호)수록본 일부 각주 정리 1.https://en.oxforddictionaries.com/definition/diagram 2.나디아 아모로소는 드로잉 유형을 분류할 때 다이어그램과 맵핑을 한 범주로 본다. Nadia Amoroso, “Representations of the Landscapes via the Digital: Drawing Types”, in Representing Landscapes: Digital , Nadia Amoroso, ed., London: Routledge, 2015, pp.4~5. 또한 안드레아 한센은 “지도는 광범위한 의미에서 다이어그램의 유의어”이며 두 유형이 “복잡한 것을 명확히 하려는 의도로 추상화하거나 단순화하여 시각화한다는 점에서 유사성을 지닌다”고 말하면서, 두 범주를 분리하기보다 혼용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Andrea Hansen, “Datascapes: Maps and Diagrams as Landscape Agents,” in Representing Landscapes: Digital , p.29. 배정한은 다이어그램의 형식적 유형의 하나로 맵핑을 포함시키며, 조경진은 다이어그램이 대체로 장소와 관련이 있거나 없을 수도 있지만 맵핑은 구체적 장소와 반드시 관련된다고 본다. 배정한, “현대 조경설계의 전략적 매체로서 다이어그램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4(2), 2006, p.102; 조경진, “환경설계방법으로서의 맵핑에 관한 연구”, 『공공디자인학연구』 1(2), 2006, pp.77~78. 장용순은 건축 다이어그램을 보이지 않는 것과 복잡한 관계를 사고하는 도구라고 보며, 현대적 다이어그램 유형을 세 가지로 분류한다. 첫째는 네트워크, 동선, 인프라를 보여주는 연결적 다이어그램, 둘째는 조닝과 프로그램 배치를 보여주는 집합론적 다이어그램, 셋째는 공간 데이터를 시각화한 데이터스케이프 혹은 시간에 따른 변화와 잠재성을 보여주는 변이적 다이어그램이다. 또한 이러한 현대적 다이어그램 이전에는 구상적 다이어그램이 있었다고 하면서, 여기에 평면도, 단면도, 입면도, 투시도를 포함시키고 있다. 장용순, 『현대 건축의 철학적 모험: 01 위상학』, 미메시스, 2010, pp.117~145. 3.Dorothée Imbert, “The Art of Social Landscape Design”, in Garrett Eckbo: Modern Landscapes for Living , Marc Treib and Dorothée Imbert eds.,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7, pp.152~154. 이명준은 서울대학교 조경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조경 설계와 계획, 역사와 이론, 비평에 두루 관심을 가지고 있다. 박사 학위 논문에서는 조경 드로잉의 역사를 살펴보면서 현대 조경 설계 실무와 교육에서 디지털 드로잉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했고, 현재는 조경 설계에서 산업 폐허의 활용 양상, 조경 아카이브 구축, 20세기 전후의 한국 조경사를 깊숙이 들여다보고 있다. 가천대학교와 원광대학교, 서울대학교에서 강의하고 있으며, ‘조경비평 봄’과 ‘조경연구회 보라(BoLA)’의 회원으로도 활동한다.
[공간의 탄생, 1968~2018] 1970년대 공간의 탄생, 농촌의 도시화
농촌을 도시화하라 지난 5개월간의 연재에서 한국 도시화 50년의 문제의식과 현황, 메커니즘을 살펴보았다. 이제 한국 도시화 50년의 구체적 공간 사례를 시대별로 탐구한다. 첫 번째 사례로 1970년대 공간의 탄생에 대해 농촌의 도시화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이를 위해 농촌과 농촌의 도시화에 대한 기본적 질문에서 시작하고자 한다. “농촌은 과연 무엇이며, 농촌의 도시화는 어떠한 변화와 관련되어 있을까?” 농촌은 도시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삶터, 일터, 쉼터 등이 융합되어 있는 마을, 즉 물리적 정주 환경을 기본 단위로 구성된다. 따라서 농촌의 도시화는 단순히 마을의 물리적 변화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농민의 생활 변화, 농업의 경제적 의존 변화, 자연자원 관리의 변화 등 여러 사회생태적 변화와 긴밀하게 연관된다. 1970년대 농촌의 도시화를 한반도의 역사적 맥락에서 바라보면, 전통적인 농촌·농경 사회가 도시·산업 사회로 변모하는 과정에서 일어난 농촌 지역의 문명사적 전환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명사적 전환은 한반도 최초의 농경 시점까지 소급해 보면, 지금으로부터 약 6,000년 이전부터 유지, 진화, 발전되어 온 정주 환경의 물리적·사회생태적 변화라고 규정할 수 있다.1 다시 말해 1970년대 농촌의 도시화는 풍수 사상, 배산임수, 씨족 마을 등 전통 마을의 구성 원리에 따라 형성된 농촌 마을의 근대화 과정이다. 이 중심에는 ‘새마을운동’이 있었으며,2 ‘새로운 도시만들기’를 향한 정부 주도의 도시화에 따라 전국의 모든 농촌 마을에서 대규모의 물리적 변화가 일시에 일어났다. 한국의 정부 주도 도시화와 대규모 물리적 개발은 1960년대 계획 국가의 형성과 함께 시작됐으며, 1960년대에는 특정 지역 개발과 경부고속도로 건설 등이, 1970년대에는 국토종합개발계획의 토대 하에 본격적인 국토 개발이 추진됐다. 이와 같은 도시화 맥락에서 1970년대 새마을운동이 정부 주도로 추진됐다. 1972년 내무부의 새마을농촌건설계획 보고서의 첫 페이지는 당시의 도시화를 향한 열망적 선언을 강렬하게 드러낸다.3 이에 따르면 기존의 전통적인 농촌의 취락과 기반은 개조와 개벽의 대상이며, 1980년대의 선진화된 농촌을 목표로 농촌 정주 환경의 도시 형태 형성 및 도시 성격화를 추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실 새마을운동에서 보이는 농촌의 도시화는 한국만의 일은 아니며, 근대 산업 국가로 진입하며 직면하게 되는 도시화 과정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새마을운동의 시작과 경과 새마을운동은 박정희 정부 주도의 농촌 개발 또는 농촌 근대화 운동으로 알려졌지만,사실 새마을운동이 처음부터 중앙 정부 주도로 체계적으로 추진된 것은 아니다. 새마을운동은 1970년에 새마을가꾸기사업으로 실험적으로 시행됐으며, 1972년이 되어서야 비로소 새마을운동이라는 현재의 명칭을 사용하게 됐다. 새마을운동은 농촌 개발이라는 표면적 이유뿐만 아니라 쌍용양회의 시멘트 과잉 생산, 박정희 정부의 정치적 기반 유지 등 여러 복합적인 이유가 원인이 되어 시작됐다. 특히 박정희 정부는 1969년 삼선개헌 이후 1971년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자신에게 큰 지지를 보이는 농촌을 안정적인 정치적 기반으로 삼아야 했다. 이에 따라 중앙 정부는 1970년 전국 33,267개의 마을 각각에 시멘트 335포대와 철근을 무상으로 제공해 시멘트와 철근의 자유롭고 효율적인 활용을 유도했다.그 결과는 중앙 정부의 기대를 훨씬 넘어선 것이었으며, 중앙 정부는 이같은 성공에 고무되어 향후 새마을운동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게 됐다. 1971년에 이르러 마을 조림,진입로 확장, 소하천 정비, 퇴비장 만들기, 소류지 준설, 관정 보수, 하수구 정비, 공동 우물, 빨래터 만들기, 쥐 잡기의 10대 새마을가꾸기사업을 지정해 추진했다. 새마을운동은 초기 실험의 성공에 따라 기반 조성(1971~1973), 사업 확산(1974~1976), 사업 심화(1977~1981)의 단계를 거쳐 급속도로 확대되어 추진됐다.4 결과적으로 새마을운동은 기초 환경 개선 위주에서 점차 농가 소득 증대의 방향으로 전환됐으며, 농촌을 벗어나 도시, 공장, 직장, 학교 등으로 점차 확대됐다....(중략)... *환경과조경374호(2019년 6월호)수록본 일부 김충호는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공학과 도시설계 전공 교수다. 서울대학교 건축학과에서 학사와 석사를 마치고, 미국 워싱턴 대학교 도시설계·계획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삼우설계와 해안건축에서 실무 건축가로 일했으며, 미국의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와 워싱턴 대학교, 중국의 쓰촨 대학교, 한국의 건축도시공간연구소에서 건축과 도시 분야의 교육과 연구를 했다. 인간, 사회, 자연에 대한 건축, 도시, 디자인의 새로운 해석과 현실적 대안을 꿈꾸고 있다.
[이미지 스케이프] 두 자리
“영 불편해서 못 살겠어요. 옆방으로 가려면 신발 신고 가야 하는데, 비라도 오면 아주 힘들어요. 콘크리트 벽으로 둘러싸여 있어서 아늑한 느낌도 없고…” 안도 타다오가 설계한 집에 살고 계신 분을 우연한 기회에 알게 되었습니다. 유명한 분이 설계한 집에 사는 소감을 물었더니 불만 가득한 표정으로 이렇게 대답하시네요. 의외로 유명 설계가의 ‘작품’에 살고 있는 사람 중에는 불만을 갖고 있는 사람도 많은 것 같습니다. 아마 그분도 유명세에 비해 실용성이 부족한 ‘작품’에 불만이 많았던 모양입니다. 깔끔한 노출 콘크리트 마감에 군더더기 없는 형태, 권투 선수 출신의 괴짜 건축가, 프리츠커 건축상을 수상한 일본의 현대 건축가. 모두 안도 타다오를 지칭하는 수식어들이죠. 그는 건축계뿐만 아니라 대중에게도 인지도가 아주 높은 건축가입니다. 국내에도 원주의 뮤지엄 산, 제주도의 본태박물관과 지니어스 로사이(Genius Loci)같은 작품들이 있습니다. 아직 모르시는 분도 많은데 서울에서도 그의 작품을 만날 수 있습니다. 바로 혜화동에 위치한 전시 및 업무 공간인 JCC아트센터와 크리에이티브센터. 지난 봄 혜화동 근처에서 약속 시간이 한 시간쯤 남아서 어디를 둘러볼까 하다가, 미뤄두었던 JCC를 방문했습니다. 골목 안쪽에 자리 잡은 JCC는 안도 특유의 노출 콘크리트 마감 덕분에 멀리서 봐도 그의 작품 같아 보이더군요. 바깥쪽 외관을 대충 훑어 보고 안쪽 중정으로 들어가서 옥상 쪽으로 이동하다가 벽에 붙은 의자를 만났습니다....(중략)... *환경과조경374호(2019년 6월호)수록본 일부 주신하는 서울대학교 조경학과를 거쳐 같은 학과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토문엔지니어링, 가원조경, 도시건축 소도에서 조경과 도시계획 실무를 담당했고, 현재 서울여자대학교 원예생명조경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조경 계획과 경관 계획에 학문적 관심을 두고 있다.
[시네마 스케이프] 안도 타다오
설계공모에서 또 떨어졌다. 갖가지 핑계를 대보고 아쉬움으로 투덜대봐야 오로지 승자만 기억되는 게임이다. 설계공모에 도전할 때는 매번 가슴 뛰지만 막상 떨어지고 나면 시간과 경제적 손실이 크다. 주어진 일을 할 때와 달리 압축적으로 집중하고 조율하는 과정에서 많은 에너지가 소모된다. 치열하게 토론하고 고민을 거듭한 결과물이 심사자들을 설득시키지 못했다는 정신적 타격이 가장 크다. 이번에는 대체 무엇이 부족했을까. 뒤끝 있고 쪼잔한 성품이라 깔끔하게 돌아서서 마음을 접지 못한다. 한동안 담아두었다 당선작이 완공된 다음에 기어이 확인하고 흠집을 찾아내야 분이 조금 풀린다. “다음엔 이기자고 다짐하지만 또 져요, 하하하.” 익숙한 바가지 머리의 안도 타다오가 말한다. 촌스러운 하얀색 추리닝을 입고 동네 공원에서 섀도 복싱을 하는 장면으로 다큐멘터리 ‘안도 타다오(Tadao Ando - Samurai Architect)’(2015)가 시작한다. 복싱 선수 출신으로 전문 교육을 받지 않고 독학으로 본인만의 스타일을 구축한 건축가는 배시시 웃으며 좋은 작품을 위한 “창조의 근육”을 강조한다. 1980년대 작품인 ‘빛의 교회’와 ‘물의 절’처럼 익숙한 작품부터 최근작인 상하이 폴리 그랜드 시어터(Poly Grand Theatre)에 이르기까지 설계와 시공에 얽힌 에피소드를 건축가가 직접 소개한다. 오사카에 있는 그의 스튜디오에서 초기 구상안을 놓고 회의하는 장면, 책상에 구부리고 앉아 칼질하는 모습, 문제에 부딪혔을 때 해결해나가는 과정, 정교한 거푸집을 짜고 ‘공구리’를 부어 만드는 안도식 노출 콘크리트 제작 과정까지도 볼 수 있다....(중략)... *환경과조경374호(2019년 6월호)수록본 일부 서영애는 고등학교 때부터 미술과 영화를 좋아했다.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한국 영화에 나타난 도시경관의 의미 해석”으로 석사 학위를,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역사도시경관으로서 서울 남산”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기술사사무소 이수 소장으로 일하고, 연세대학교 겸임교수로 가르치며, 조경연구회 보라(BoLA)에서 공부하고 있다. 2014년 7월부터 2019년 6월까지 5년간 『환경과조경』에 ‘시네마 스케이프’를 연재했다.
일과 삶, 그 사이에서의 정원 일
일과 삶의 균형을 중시하는 워라밸(work-life balance)시대다. 하지만 균형을 맞추는 것에 너무 치중한 나머지 많은 사람이 일과 삶을 분리한 채 주로 여가와 소비에서 만족을 얻고 있다. 반면 워라인(work-life integration)은 일 또한 가정이나 건강 같은 삶의 일부이며, 통합된 일과 삶에서 행복과 성취감을 얻을 수 있다고 말한다. 블루메미술관이 개최한 ‘초록엄지-일의 즐거움’ 전은 미래 사회가 워라밸을 넘어 워라인을 추구하게 될 것이라 예측한다. 그렇다면 워라인 시대 행복하게 일하는 삶은 어떤 모습일까? 일에서 어떤 의미를 발견할 수 있을까? ‘초록엄지-일의 즐거움’ 전은 이에 대한 실마리를 정원 일에서 찾는다. 블루메미술관은 그동안 정원에 관한 인문학적 고찰을 담은 전시를 열어왔다. 정원의 느릿한 시간성을 사유한 ‘정원사의 시간’ 전(2017), 정원 일의 가치를 놀이와 접목한 ‘정원, 놀이’ 전(2017)에 이은 이번 전시는 정원 일에서 행복한 일의 원형을 탐구한다. 김도희, 박혜린, 아리송, 슬로우 파마씨(Slow Pharmacy), 베케 더가든(Veke The Garden)다섯 팀이 전시 작가로 참여해 일과 정원에 관련된 다양한 작품을 선보였다. 정원 일은 고된 노동이다. 잡초 뽑기, 물 주기 등의 반복 노동뿐만 아니라 날씨, 병충해같이 예측할 수 없는 각종 변수가 도사린다. 이 가운데 식물이 자랄 때까지 기다리기도 해야 한다. 정원 일은 현대 사회가 요구하는 효율성, 생산성과는 거리가 멀다. 그러나 땅의 시간에 따라 멈추기도 하고 예측하기 어려운 결과를 기다릴 줄 아는 정원사의 모습은 효율을 바탕으로 한 기계에는 없는 능력이다. 전시는 “정원 일의 더딤과 고요함, 한가로움은 미래 사회가 품을 일의 속성에 가 닿아 있다”고 말한다. 박혜린의 ‘봄여름가을겨울’은 정원에서 머뭇거리고 기다리는 행위를 통해 만나는 계절의 변화와 그로 인해 얻는 삶의 풍성함을 이야기한다. 싹이 움트듯 좁은 통로를 통과해 마주하는 봄, 소리가 많고 움직임이 많은 여름, 무언가를 조용히 바라보게 되는 가을, 고요하게 어딘가 숨어들고 싶은 겨울을 네 가지의 조형물로 표현했다....(중략)... *환경과조경374호(2019년 6월호)수록본 일부
마곡 커뮤니티 팜
지난 5월 10일 ‘농업공화국 조성사업 설계제안공모’의 당선작이 발표됐다. 서울시가 개최한 이번 공모는 도시 농업 활동을 총괄적으로 지원하는 거점 공간의 조성을 목표로 한다. 참가자들은 도시농업을 배우고 체험할 수 있는 건축물 및 외부 공간에 대한 마스터플랜을 수립해야 했다. 또한 건축가와 조경가의 공동 응모가 참가 필수 조건이었다. 시는 2015년부터 도시농업을 육성하는 ‘서울도시농업2.0 마스터플랜’을 수립해 도시농업 공간 확보, 관련 기술 보급, 네트워크 형성을 도모하는 프로그램을 진행해왔다. 산발적으로 흩어진 프로그램을 아우르는 베이스캠프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마을 개념의 도시농업 커뮤니티를 구축하는 공모가 지난 3월 29일 개최됐다. 대상지는 서울시 마곡동 일대 11,817㎡크기의 부지이며, 마곡 지역은 서울에 마지막으로 남아 있던 농경지다. 대상지 인근에 위치한 서울식물원과의 연계성 확보가 주요 과제 중 하나였다....(중략)... *환경과조경374호(2019년 6월호)수록본 일부
[이달의 질문] 『환경과조경』에 제안하고 싶은 특집 주제가 있다면?
20대 젊은 조경가에 대해 알고 싶다. 최근 설계사무소를 이끄는 30~40대의 젊은 조경가가 주목받고 있는데, 아직 내공은 부족하지만 설계에 애정이 많은 20대나 다른 분야와 조경을 연계해 색다른 활동을 펼치는 20대도 있다. 조경이 설계, 시공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를 아우를 수 있는 폭넓은 학문이라고 배우는 만큼 실제로 조경이 다른 분야와 어떻게 융합되고 있는지 궁금하다. 이러한 젊은 조경가들의 활동과 생각을 다뤄주었으면 한다. 백규리 동심원 조경 가까운 미래 조경은 어떻게 변화하게 될까? 최근 4차 산업 혁명, 스마트 기술 등 미래를 연상케 하는 단어가 조경 설계에 사용되고 있지만 정작 조경과 어떻게 접목되고 있는지 실질적으로 와닿지 않는다. 조경의 미래에 대해 직접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특집을 진행했으면 한다. 김진아 경기도 과천시 유럽 여행 중에 꼭 가봐야 하는 공원과 그 공원을 즐기는 방법을 소개하는 특집을 제안한다. 전 세계에 좋은 공원은 많지만, 그 공원의 역사와 프로그램 등을 소개한 여행 안내서는 찾아보기 힘들다. 조경에 친숙하지 않은 비전공자도 관심을 가질 수 있는 특집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김지애 환경조경나눔연구원 사무국장 조경 사무소의 구체적인 업무를 다루는 특집을 제안한다. 조경 업무가 어떤 식으로 진행되는지 현실적인 정보를 얻고 싶다. 많은 학생이 막연한 상상에 기대어 기계적으로 전공을 공부한다. 자신이 하게 될 일에 대해 구체적으로 파악하게 된다면, 좀 더 효율적으로 학업에 임할 수 있을 것이다. 박지원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조경 경기 위축에 대응하는 방법을 다루면 좋겠다. 개인 정원, 주택 단지 내 조경, 공원 등으로 인해 일반인들도 조경에 대해 많이 알게 되었지만, 실질적인 조경의 수요는 줄어들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인지하고 대처 방안을 미리 준비할 수 있는 특집이 필요하다. 박진하 미담 과장 20세기부터 지금까지 현대 조경 디자인이 어떻게 변해왔는지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특집을 보고 싶다. 특히 가까운 과거, 예를 들어 지난 50여 년간 조경 디자인에도 유행이 있었는지, 그 유행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살필 수 있으면 좋겠다. 이유진 서울시 동작구 조경을 공부하며 가장 많이 듣는 질문이 “그래서 조경이 정확히 뭐 하는 거야?”다. 설계, 수목, 시공 등 조경이 포괄하는 것들을 헤아려 볼수록 점점 조경이 무엇인지에 대한 의문이 커진다. 『환경과조경』에서 현대 조경의 다원적 면모를 망라하는 특집을 기획해보면 어떨까. 학생은 진로를 고민하는 데 참고할 수 있고, 전문가는 사고의 폭을 넓히고, 비전공자는 조경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는 기획이 될 것이다. 신명진 서울대학교 통합설계·미학연구실 조경인의 삶에 대한 특집을 기획하면 어떨까. 설계 및 시공 사무소, 엔지니어링 회사, 공사 및 공무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일하는 조경인들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이 마련됐으면 한다. 각자의 자리에서 느끼는 조경인의 삶에 대한 깊이 있고 진솔한 이야기를 한다면 후배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최근 조경 분야에서 심화되고 있는 인력난 문제도 함께 살펴보면 좋겠다. 설문 조사 등을 통한 보다 현실적인 기사를 담은 특집을 제안한다. 송동근 부영주택 조경부 일본 출장을 가서 부러운 광경을 목격했다. 도심 빌딩 근무자들의 점심시간의 모습이었다. 빌딩 숲 사이 조성된 숲과 같은 공간에서 그들은 피크닉을 즐기는 것처럼 여유롭게 담소를 나누고 있었다. 귀국 후 점심시간 서울 도심에서 비슷한 규모의 빌딩 주변을 살펴보았지만, 대부분의 회사원은 커피숍을 오가거나 빌딩 로비 안팎을 서성이는 정도였다. 『환경과조경』에 녹지가 잘 조성된 도심 휴게 공간을 소개하는 특집 ‘다양한 도심 속 숲 들여다보기’를 제안한다. 더불어 휴게 공간으로 거듭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닌 공간을 소개한다면 보다 흥미롭고 풍성한 특집이 될 것이다. 이지영 롯데건설 조경팀장
[편집자의 서재] 피프티 피플
하나의 이름에는 그 사람을 향한 궁금증을 갖게 만드는 묘한 힘이 있다. 잘 모르면 모르는 대로 알면 아는 대로, 누군가의 이름은 새로운 이야깃거리를 던져주고 더 알고 싶은 마음을 자극한다. 내 이름만큼 익숙한 가족의 이름도 몇 번 곱씹다보면 금방 새삼스러워진다. 엄마가 동네 아줌마와 통화하면서 열정적으로 다른 아줌마 흉을 볼 때, 할머니가 시골에서 보내준 쑥개떡을 먹을 때, 나는 종종 호칭을 생략한 순수한 이름을 떠올렸다. 그러다보면 서울 사는 최지연 씨의 스펙터클한 동네 인간 관계를 파헤치고 충남 사는 김보물 씨의 떡 짓는 소소한 하루를 엿보고 싶어졌다. 엄마와 할머니가 아닌 지연 씨와 보물 씨를 떠올리면 머릿속에서 단편적으로 인식됐던 두 사람이 입체적으로 그려지곤 했다. 정세랑의 『피프티 피플』은 많은 이름으로 이루어진 소설이다. 각 장의 제목은 송수정, 이기윤, 권혜정, 조양선, 김성진, 최애선, 임대열, 장유라, 이환의, 유채원, 브리타 훈겐 등으로, 평범한 이름을 가진 50명의 이야기가 약 400쪽의 지면에 촘촘하게 전개된다. 소설의 주요 배경은 온갖 사연이 우글대는 종합병원. 병원을 찾은 환자부터 시작해 의사, 간호사, 보안 요원, 또 다른 환자의 가족, 그 환자의 가족의 가족, 그 가족의 가족의 친구의 사연이 꼬리에 꼬리를 문다. 14쪽부터 18쪽까지는 쉴 틈 없이 돌아가는 응급의학과 레지던트 이기윤의 하루이고, 24쪽부터 27쪽까지는 데이트 폭력에 희생된 승희라는 여자의 엄마 조양선의 이야기이며, 152쪽부터 157쪽까지는 승희와 종종 말을 섞었던 친구 권나은이 나오고, 77쪽부터 84쪽까지는 이기윤 몸에 있던 타투를 그린 타투이스트 한승조가 등장한다. 애잔한, 섬뜩한, 발랄한, 훈훈한, 처량한, 찌질한, 통쾌한 등 이야기는 저마다 다른 분위기를 자아낸다. 한 편을 읽고 나면 우여곡절 많은 하루를 보낸 것 같고, 다음 편엔 누가 나올까 기대하게 된다. 익숙한 이름이 다른 이야기에서 불쑥 나타나면 우연히 아는 사람을 만난 듯 반갑다. 전혀 다른 상황에 놓인 사람들 틈에서 나와 닮은 구석이 있는 사람을 발견하는 소소한 쾌감은 덤이다. 하나의 서사는 보통 한두 명의 주인공을 구심점으로 전개된다. 주인공 곁에 나타났다 사라지는 주변인들의 사연은 통편집되거나 많은 생략이 이루어지기 마련인데, 이 책에 나오는 사람들은 주인공이면서 동시에 조연이고 엑스트라다. 분명한 이름과 생생한 에피소드를 입은 인물들은 복잡한 관계망에 놓여 다른 사람과 이쪽저쪽으로 연결된다. 그래서 모든 사람은 납작하지 않고 두툼하게 묘사되며, 작가는 소소한 이야기들로 하나의 큰 그림을 만들어낸다. “아무것도 놓이지 않은 낮고 넓은 테이블에, 조각 수가 많은 퍼즐을 쏟아두고 오래오래 맞추고 싶습니다. … 그렇게 맞추다보면 거의 백색에 가까운 하늘색 조각들만 끝에 남을 때가 잦습니다. 사람의 얼굴이 들어 있거나, 물체의 명확한 윤곽선이 모이거나, 강렬한 색이 있는 조각은 제자리를 찾기 쉬운데 희미한 하늘색 조각들은 어렵습니다. 그런 조각들을 쥐었을 때 문득 주인공이 없는 소설을 쓰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아니면 모두가 주인공이라 주인공이 50명쯤 되는 소설. 한 사람 한 사람은 미색밖에 띠지 않는다 해도 나란히 나란히 자리를 찾아가는 그런 이야기를요."2 마지막 장에서는 책 속 모든 인물이 한 자리에 모이게 되는데, 이 대목에서 작가가 한 명 한 명의 이름을 부각하고 각자의 이야기를 독자 손에 쥐여 준 이유를 알 수 있다. 나는 많은 사람이 주인공이 될 수밖에 없던 이유를 납득하며 책을 덮고 목차의 이름들을 찬찬히 복기했다. 다시 떠올린 이름들은 또 다른 이야기를 상상하게 만들었다. 이름에 관해 덧붙이자면, 다음 달 『환경과조경』에도 많은 이름이 등장할 예정이다. 7월호 특집으로 ‘2019 대한민국 조경설계사무소 리포트’를 준비하고 있기 때문이다. 모든 사무소를 하나하나 자세히 다루진 못하겠지만 각 사무소의 이름들, 그 속에서 일하는 사람들의 이름을 한데 모아 더 많은 이에게 불리기를 내심 바라고 있다. 그러다 보면 이름 속 이야기에 대한 궁금증도 누군가의 마음에 심기지 않을까. 각주 정리 1. 정세랑, 『피프티 피플』, 창비, 2016. 2. 같은 책, p.392.
[CODA] 공간은 어떻게 장소가 되는가
새 학기가 다가오면 시험만큼이나 긴장되는 순간을 맞이하게 된다. 한 학기의 운명을 좌우하는 수강 신청 기간. 학점이 후한 수업이나 팀플이 없다는 교양도 좋았지만, 나는 그중에서도 1교시 수업을 탐내곤 했다. 당시만 해도 아침형 인간에 가까웠던 나는 기왕이면 일찍 하루를 시작해 단 일 분이라도 빨리 학교에서 벗어나겠다는 열망에 가득 차 있었다. 운 좋게 수강 신청의 전쟁에서 썩 괜찮은 승리를 거둔 난 오후 세 시면 캠퍼스를 탈출할 수 있는 자유를 얻게 됐다(그래봤자 설계 스튜디오 과제 때문에 다시 학교로 돌아와야 했다). 시간만 많고 돈은 없는 대학생의 발걸음은 뻔한 루트를 따라 돌았다. 경비 없이 여행할 수 있는 낯선 동네를 탐색하거나 티켓값이 만만한 전시회에 들락거렸다. 주머니 사정이 괜찮은 날에는 영화관에 갔다. 한 잔에 오천 원가량 하던 아메리카노와 비교하면 영화 감상은 가성비가 좋은 취미 활동이었다. 더울 땐 시원하고 추울 땐 따뜻하고, 무엇보다 설계 스튜디오 하나를 마무리할 때마다 바닥을 드러내는 머릿속을 영화의 무언가가 채워줄 것이라는 기대감도 컸다. 서랍 한구석에 쌓인 영화표가 설계에 도움이 됐는지는 알 수 없지만 많이 보다 보니 영화가 좋아졌다. 전공 때문일까 유독 영화의 배경에 눈이 갔고, 한때는 그런 풍경을 만드는 사람이 되고도 싶었다. 갑자기 영화 이야기를 꺼내든 첫 번째 이유는 최근 그 꿈을 어설프게나마 이루게 됐기 때문이다. 작년부터 영화 공부를 시작한 친구가 20분가량의 단편 영화를 찍는다며 도움을 요청해왔다. 기껏해야 짐을 옮기거나 심부름을 하는 허드렛일인 줄 알았는데, 그는 내가 설계를 배웠다는 이유 하나로 부담스럽기 그지없는 미술 감독이라는 타이틀을 달아주었다. 덕분에 뜻하지 않은 책임감에 허덕이며 주말과 저녁 시간을 자진해서 내어놓아야 했다. 가구와 소품 배치 위주의 실내 공간을 꾸리는 일은 어렵지 않았으나 야간 야외 촬영이 문제였다. 적당한 장소를 물색하는 일부터 난관이었다. 말싸움을 한 두 주인공이 갈등을 해소할 겸 맥주 한 캔을 나눌 장소가 필요했는데, 벤치와 테이블이 있으며(주인공의 키, 앉은키 모두에 어우러지는 적당한 높이어야 한다) 뒤로는 녹지가 적당히 풍부하고(주인공은 낡은 아파트에 살기에 잘 관리된 느낌을 풍기면 곤란하다)많은 조명을 설치할 필요가 없이 밝기가 적절하며(테이블 근처에 가로등이 있으면 역광이 진다)인적이 드물어야 했다. 분위기가 그럴듯한 어느 골목은 녹지가 지나치게 잘 관리되어 있어 좋은 동네라는 느낌이 물씬 났고, 가로등이 많은 놀이터에는 저녁 산책을 즐기러 온 사람도 많았다. 편의점 앞 테이블을 찍자니 촬영 감독이 차도 한가운데서 서 있어야 할 판이였다. 결국 찾아간 곳이 아파트 내 녹지였다. 심심하게 심긴 수목과 일정한 간격으로 놓인 조명, 그 아래 어디에나 있을 법한 테이블과 벤치, 뒤를 스쳐 지나는 몇몇 주민과 고양이까지. 틀에 박힌 지겨운 풍경이 프레임에 담기자 새삼 정겹게 느껴졌다. 줄곧 다세대 주택에 살아온 내겐 조금 부러운 모습으로 다가오기까지 했다. 더불어 이 정도의 녹지와 벤치와 테이블과 조명이면 밤에도 즐길 수 있는 휴게 공간으로 충분하지 않나 하는 생각을 했다. 로케이션 헌팅 중 화려한 조명으로 치장한 수경 시설이나 독특한 모양의 퍼걸러가 보이는 곳은 번번이 후보에서 제외됐는데, 일상적 이야기를 담던 뷰파인더에 그러한 공간이 잡히는 순간 극의 흐름이 틀어지는 느낌을 강하게 받았기 때문이다. 유독 그런 공간에 오가는 사람이 적었던 걸 보면, 그 일상적 흐름이 뷰파인더 안에서 깨지는 것만은 아니구나 하는 짐작을 하게 된다. 영화 이야기를 시작한 두 번째 이유는 이번 호로 막을 내리는 ‘시네마 스케이프’에 대한 아쉬움과 고마움 때문이다. 영화 속 경관을 풀어낸 서영애 소장의 글은 여러 번 보아 익숙해진 영화를 색다른 관점에서 바라보게 만들어주었다. 내겐 공간이 누군가의 경험과 기억으로 새로운 정서와 의미를 갖게 되며 비로소 장소로 탈바꿈한다는 사실1을 가장 흥미로운 방식으로 보여준 글이기도 하다. 영화와 조경의 경계를 리드미컬한 걸음으로 오가던 연재를 떠나보내며, 언젠가 조경과 또 다른 무언가를 잇는 징검다리 역할을 할 연재 필자를 발굴해 오겠다는 약속을 드리며 글을 닫는다.
자연 속 모험을 즐길 수 있는 ‘아이붐 동물 가족 시리즈’
아이붐I-BOOM은 아이들의 놀이 문화에 새로운 붐을 일으키겠다는 목표로 개발된 예건YEKUN의 복합 놀이 시설 브랜드다. 아이붐은 다양한 감각 체험과 모험을 즐길 수 있는 놀이 시설의 개발에 힘써 왔으며, 국내 최초로 놀이 시설에 1등급 목재를 사용하기도 했다. 좋은 자재로 만든 아이붐의 놀이 시설은 목재 고유의 따뜻한 색감과 촉감을 아이들에게 고스란히 전달한다. 이를 통해 아이들은 자연스럽게 오감을 발달시키고 자연에 대한 무한한 창의력을 키울 수 있다. ‘아이붐 동물 가족 시리즈’는 아까시나무 목재로 제작한 동물 테마의 놀이 시설이다. 새로 출시된 ‘두더지 가족’은 귀여운 두더지 가족과 함께 숨바꼭질을 한다는 테마로 만들어졌다. 친근한 두더지 얼굴, 직선형 및 나선형 미끄럼틀, 다양한 높이의 계단, 네트 등이 입체적으로 조합되어 아이들은 두더지들 틈에 숨어 흥미로운 모험을 즐길 수 있다. 이밖에도 호랑이와 보물찾기를 하는 ‘숲속 호랑이’, 고래와 함께 바닷속을 여행하는 ‘고래 가족’ 등 다양한 동물 테마의 제품들을 만나볼 수 있다. TEL. 02-324-0070 WEB.www.iboo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