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PREV 2015 Year NEXT           PREV 02 February NEXT

환경과조경 2015년 2월

정보
출간일 2015년 2월
이매거진 가격 9,000

기사리스트

[CODA] 특별한 편집, 특집
이 글을 쓰는 시점은 드디어 마감 날이다. 그러나 이미 두 시간 전에 자정이 지났건만 마지막 원고가 도착하지 않았다. 예상 못했던 바는 아니다. 마지막 원고는 바로 이번 호에서 특집으로 다루는 토포텍 1의 수장인 마르틴 라인-카노와의 인터뷰 원고다. 해외 출장이 잦은 라인-카노와 인터뷰 일정을 조율하기 쉽지 않았지만, 생생한 지면을 위해 인터뷰를 포기할 수는 없었다. 어쩔 수 없이 평소에 비해 상당히 늦은 시점에 인터뷰가 진행되었다. 아마 지금쯤 멀리 베를린에서 인터뷰어인 고정희 대표가 원고의 마지막 손질을 하고 있을 것이다. 늘 새로운 주제와 형식을 고민해야 하는 ‘특집’에 대한 부담은 만만치 않다. 독자들이 원하는 주제와 우리가 독자들에게 환기하고 싶은 내용 사이에서 우선순위를 정하는 것도 고민스러운 일이다(대다수의 독자들은 과묵(!)하기 때문에 그 숨겨진 요구를 파악하는 것은 늘 어렵다). 또한 시의성 있는 주제를 선정하는 것도 소홀히 할 수 없다. 이러한 줄다리기 속에서 매달 특집이 탄생한다. 예를 들어, 지난해 11월호에 실린 ‘하이라인의 교훈’은 예정에 없었던 특집이다. 편집부는 하이라인 3구역의 공식 오픈 일정을 주시하며 기사화 시점을 가늠하고 있었지만, 처음부터 특집을 염두에 두지는 않았다. 그러다 서울역 고가 공원화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는 점을 감안하여 작품소개에서 특집으로 급선회했다. 다행히 하이라인의 설계에 참여했던 윤희연 교수와 프롬나드 플랑테를 읽어준 황주영 박사가 촉박한 일정에도 불구하고 원고 청탁에 응해주어 깊이 있는 들여다보기가 가능했다. 특히 두 명의 핵심 인사인 제임스 코너와 조슈아 데이비드의 인터뷰는 최이규 뉴욕지사장의 발 빠른 섭외로 가능했던 지면이다. 물론 그 사이에서 수많은 일정을 조율한 JCFO의 조경가 안동혁 씨의 노고는, 전 세계에 동일한 보도자료가 배포되는 상황에서 『환경과조경』만의 콘텐츠를 만들어내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반면 이번 토포텍 1 특집의 경우는 그 준비 기간이 꽤 긴 편에 속한다. 지난 10월호 work & criticism에 ‘포티피케이션 에렌브라이트슈타인’을 소개한 뒤, 토포텍1은 우리에게 작품집 출간을 제의해왔다. 편집부는 『환경과조경』 해외판 론칭을 계획 중이었기 때문에 콘텐츠의 중복이 우려되기도 했고, 국내 조경가들에게 토포텍 작업의 규모와 성격이 단행본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질 만큼 흥미로운지 확신하기 어렵기도 했다. 그러나 2012년 베니스 건축비엔날레 덴마크 파빌리온에서 수퍼킬렌이 소개된 뒤, 국내에서도 수퍼킬렌과 토포텍 1에 대한 관심이 모락모락 피어나고 있던 차였다. 이런저런 논의 끝에 편집부는 토포텍 1에게 작품집 대신 특집을 제안했다. 2015년을 준비하며 편집부는 한 조경가의 작품 세계를 집중적으로 조명하는 특집을 연간 계획 속에 넣어 두었다. 가급적 새롭게 부상하는 오피스를 발굴하는 것을 목표로 삼아, 국내외 조경가를 두루 조명할 요량이었다. 마침 그 대상자와 게재 시점을 고민하던 중이었으므로, 반쯤은 필연적으로 또 반쯤은 우연히 조경가 특집의 첫 번째 작가로 토포텍 1의 이름을 올리게 되었다. 개인적으로 토포텍 1과의 만남은 2013년 여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함부르크 국제정원박람회장에서 아쿠아 사커를, 코펜하겐에서 수퍼킬렌을 답사했다. 고백하건데 아쿠아 사커는 박람회장에서 일별하는 수준이었다. 넓은 박람회장을 빠르게 둘러보아야 했던 촉박한 일정 탓도 있었지만 수많은 정원들 사이에서 아이들을 위한 놀이 정원 정도로 보고 지나쳤던 것 같다. 수퍼킬렌의 첫인상은, 여러가지 이질적인 오브제들이 흩어져 있는 강렬하지만 바랜 듯한 붉은색 공원(아마도 처음 도착한 곳이 레드 스퀘어였기 때문일 것이다)이었다. 그 전에 둘러보았던 그림같이 아름답게 가꿔놓은 유럽의 여러 공원과 달리 수목이 별로 보이지 않는, 어딘지 모르게 나른하고 묘하게 이국적인 분위기 때문에 그런 인상이 남았을 것이다. 당시에는 수퍼킬렌의 다문화적인 맥락에 대해 피상적으로만 이해했을 뿐이다. 그런데 이번에 토포텍 1의 작품이 정원의 전통과 다원주의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점을 이해하게 되면서 그들의 작품이 새롭게 보이기 시작했다. 한 조경가 집단이 보여주는 작업의 진화와 그 다양한 스펙트럼을 살펴보고, 또 그 개념에 몰입하는 과정을 거치다보니, 바로 이 지점에 종이 매체의 역할이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공고해졌다. 인터넷으로 수많은 정보를 거의 실시간으로 접할 수 있는 정보의 홍수 시대에, 종이 매체는 그 존재의 이유를 고민하게 된다. 결국 어떤 정보를 선택하고, 어떻게 가공(편집)하는가에 따라 잡지의 역할이 달라질 것이다. 이번 특집이, 그간 지면의 한계 때문에 부족함을 느꼈을 독자들에게 갈증을 해소해줄 수 있는 특별한 편집으로 다가갔으면 하는 바람이다. 물론 토포텍 1이 도발적인 작업을 하면서도 그 모티브를 설득력 있게, 혹은 논쟁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드문 오피스 중 하나이기 때문에 거는 기대이기도 하다. 이번 특집은 양다빈 기자가 토포텍 1과의 연락을 담당했다. 토포텍 1의 출판 담당자인 이폴리타는 마감이 끝나갈 무렵, 이번 호가 출간되고 나면 다니엘(양다빈 기자의 영어 이름)이 그리울 것 같다는 메시지를 보냈다고 한다. 두 사람이 주고받은 메일만 100통이 넘는다고 하는데, 이폴리타의 그 메일의 의미가 양 기자의 집요한 확인과 질문, 끈질긴 추가 요청에 대한 귀여운 항의인지, 아니면 그간 진짜 정이 들어버린 것인지는 알 수 없는 일이다.
[편집자의 서재] 가무사리 숲의 느긋한 나날
유키는 고등학교 졸업과 동시에 취업을 하게 된다. 불황기에 호박이 넝쿨째 들어온 격이다. 그런데 아뿔싸! 임업이란다. 가무사리, 이름도 들어본 적 없는 산골짜기로 가게 되었다. 자신도 모르는 사이, 정부에서 지원하는 녹색 고용 제도에 가입되어 임업 연수생 신분이 된 탓이다. 이는 모두 선생님과 부모님의 합작품이다. 유키는 그 길로 쫓겨나듯 짐을 챙겨 기차에 올랐고, 도시 청년의 산골 적응기는 그렇게 시작되었다. 『가무사리 숲의 느긋한 나날』은 최근 개봉한 영화 ‘우드잡’(2015)의 원작 소설이다. 영화에서는 전단지 모델로 나온 여자(나오키)에게 반해 임업 연수생에 자원하는 것으로 나오지만, 원작에서는 어떠한 동기도 없이 강제로 떠밀려 시골로 가게 된다. 유키는 끊임없이 탈출을 시도하지만 번번이 실패한다. 문명화 된 첨단의 도시에서 자란 청년에게 휴대전화도 제대로 터지지 않는 시골의 숲은 감옥과 다름없다. 지루하기 때문이다. 거기에 숲은 온갖 위험 요소로 가득 차있다. 봄에는 상상을 초월하는 꽃가루 바람과 싸워야 하고, 눈에 보일 정도로 커다란 이吸蝨目와 거머리까지 그를 괴롭히는 것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억지로 끌려온 마당에 아무런 이유 없이 붙들려 있을 필요가 없다. 영화에서는 탈출 와중에 나오키를 만나면서 가무사리에 남을 결정적 동기가 생기지만, 원작에서는 숲 그리고 자연에 대해 조금씩 알아가면서 스스로 가무사리의 매력에 빠져들게 된다. 유키가 자연과 소통하는 과정을 이야기의 중심으로 다루는 점은 동일하지만, 영화는 몇몇 장면을 통해 이를 단편적으로 나열된 컷으로 표현하는 데 그친다. 반면 원작에서는 계절의 변화에 따라 점층적으로 변화하는 유키의 감정을 세밀하게 담아낸다. 물론 영화는 소리와 시각이 중첩된 공감각적 효과로 관객에게 가무사리 숲을 더 잘 느낄 수 있도록 해주지만, 유키가 자연과 교감하는 지점에 대한 설득력은 부족한 감이 있다. “눈에 부러지는 나무도 살아 있는 존재고, 나무를 보호하기 위해 열심히, 정확히, 신속하게 눈 털기를 하는 사람도 살아 있는 존재다. 나무는 소리를 지르지도 못하고 움직이지도 못하지만 눈에 보이지 않게 살아서 움직인다. 그런 나무들과 오랜 시간을 함께 보내는 것이 바로 이 일이다. 나는 가무사리에 온 지 1년이 지나서야 겨우 그 사실을 깨달았다.” 유키가 자연과 사람 간의 관계에 있어 중도中道를 깨닫는 대목이다. 나무와 가까이 하며 ‘친자연적’임을 표방하는 임업이 사실 가장 직접적으로 나무를 해한다. 나무를 베고 가지를 치고 땅에서 뽑아낸다. 모순이 느껴졌다. 이에 대한 해답은 책을 읽어 나가며 가무사리 사람들의 태도와 생활 방식을 조금씩 이해하면서 얻을 수 있었다. 아직 가무사리에 온 지 얼마 되지 않았을 때 유키는 요키(가무사리 마을의 토박이로 유키의 숲 생활을 돕고 산 일을 가르친다)가 넓은 잎딱총나무의 밑동을 도끼로 잘라내자 “불쌍하다”고 말했다. “불쌍하다고? 이 경사면에서 자라는 잡목을 전부 베어내지 않으면 땅 고르기를 못해. 땅 고르기를 못하면 묘목도 심을 수 없고. 그러면 우리는 일거리가 없어서 굶겠지.” 이어 사장과 또 다른 팀원인 이와오 아저씨가 차례로 답한다. “모두베기를 끝낸 곳에 잡목이 무성해지면 나무도 자라지 않아. 오히려 꾸준한 식목 작업이 산의 환경을 유지시켜주지.” “일본의 삼림도 인간의 손이 닿지 않은 곳은 드물어. 나무를 베고, 나무를 사용하고, 나무를 심어서 산을 유지하는 거야. 중요한 일이지. 그게 바로 우리가 하는 일이기도 하고.” 가무사리의 사람들은 필요한 만큼만 나무를 벌채하고 그 자리에는 같은 종의 묘목을 심는다. 그리고 산을 세심하게 관리하며 경건함을 유지한다. 이들이 직접적으로 나무에게 가하는 1차적 행위보다 그 정도와 마음가짐, 숲을 지속가능하게 하는 느긋한 자세에서 자연과 관계 맺는 사람의 위치가 어디쯤이어야 할지 가늠해 볼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사람 묘사에 능숙한 작가는 이번에 그 재능을 풍경 묘사에 쏟았다. 가무사리의 풍경과 자연의 현상을 생생하게 느끼게 해준다. 묘사된 장면을 통해 독자는 유키가 자연과 교감하는 과정과 자연의 매력을 느끼는 지점을 공유하고 장소에 대한 애착이 생겨나는 걸 공감하게 된다. 교감의 과정에서 유키는 숲의 초자연적 존재 들과의 영적 교류를 경험한다. 가무사리 사람들은 산을 신성하게 여기는데, 산에서는 무슨 일이 일어날지 몰라 산신에게 기대고 노하지 않게 정중하게 대하는 것이다. 가무사리 사람들의 조언을 그저 시골 사람들의 실없는 소리로 여기던 유키는 여러 번 산의 영靈들과 조우한다. 이때 작가는 일상에서 착각으로 여기는 것들을 영적 존재로 상정하지만 이를 판타지적으로 그리지 않는다. 시각적으로 복잡하지 않은 자연 속에서 더욱 분명하게 인지되는 현상으로 그려 가무사리의 모습을 감각적으로 살려내는 데 십분 활용한다. 도망칠 궁리만 하던 유키가 자연의 황홀경에 빠져 “아, 죽을 때까지 여기에 있고 싶다”는 마음을 먹는다. 이 마음은 단계적으로 “갈수록 마음을 사로잡는다”, “가슴이 벅찼다”, “자부심이 충만했다”로 진화해 결국 가무사리 마을의 주민으로 남게 된다. 나는 뉴에이지를 즐겨 듣는다. 대부분 자연을 주제로 하고 때로는 음악에 자연의 소리를 그대로 담기도 한다. 이 책을 읽는 동안 귀가 심심하면 곁들여서 들을만하다. 가무사리의 사람들은 입버릇처럼 ‘나아나아’라는 말을 사용하는데, ‘천천히 하자’, ‘마음을 가라앉혀’ 정도의 뉘앙스를 가진다. 자연의 소리와 함께 이 책을 펼치면 절로 “나아나아”를 읊조리게 된다.
미래의 조경가 키우는 어린이 조경학교
“여기 앞에 있는 건 화단이고요, 정원에 있는 건 파라솔이랑 큰 벚나무고요, 또 이 옥상에 있는 건 작은 벚나무인데 여기는 하늘 공원이에요.” 작품 설명을 부탁하자 정우진 군(숭덕초 4학년)은 부끄러운 듯 망설이는 가 싶더니 이내 또박또박 설명을 이어갔다. 도로변을 따라 지점토와 인조 꽃술로 울타리를 만들고 정원에는 철사를 구부려 만든 키 큰 벚나무로 포인트를 주었다. 칵테일 장식용 파라솔로 휴식 공간도 만들었다. 스티로폼으로 만든 건물 옥상에는 한지로 잔디를 만들어 깔고 작은 벚나무를 심었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옥상녹화’다. 과장을 좀 보태서 전문가 뺨치는 모델링 실력이다. 지난해 12월 30일 문을 연 ‘어린이 조경학교’가 4주간의 과정을 마치고 1월 24일 수료식을 가졌다. 서울시와 환경조경나눔연구원(원장 임승빈)이 공동 주최한 어린이 조경학교는 아이들에게 조경의 미적·생태적·사회적 가치를 가르치고 미래의 조경가를 육성하기 위해 기획됐다. 어린이 조경학교의 교장을 맡은 주신하 교수(서울여자대학교)를 필두로 정욱주 교수(서울대학교), 김아연 교수(서울시립대학교), 송영탁 상무이사(가이아글로벌)가 강의를 맡았으며, 서울시 소재 초등학교에 다니는 4, 5, 6학년 학생 30명이 참가했다. 프로그램은 보라매공원, 꽃과 나무, 놀이터, 공원 조성 과정 등에 대한 강의와 실습으로 구성되었다. 서울대학교, 서울여자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대학생 및 대학원생이 보조 교사로 자원해 아이들 가까이에서 지도했다. 지난 1월 6일, 꽃과 나무에 대해 배우는 두 번째 수업을 방문했다. 이날 강의를 맡은 정욱주 교수는 계절별로 피는 꽃의 종류와 나무의 특징에 대해 설명했다. 아이들에게 알고 있는 꽃 이름을 물어보자 개나리, 장미, 산수유, 모란 등 대답이 끝없이 이어졌다. 정욱주 교수는 “단언하건데 우리 학교 학생들보다 낫다”며 혀를내둘렀다. 이어진 실습 시간에도 아이들은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누가 일러주지 않아도 스스로 재료를 찾고 원하는 형태로 정원을 만들어 나갔다. 스티로폼으로 건물을 만들고 색종이, 수수깡으로 나무를 만들었다. 건물 꼭대기에서 정원까지 미끄럼틀로 연결된 아이다운 상상력이 돋보이는 작품부터 피뢰침이 탑처럼 우뚝 솟은 전위적인 작품까지 아이들의 손에서 다양한 정원이 탄생했다. 두 시간의 실습 시간이 짧다며 “더 잘 만들 수 있는데 아쉽다”고 말하는 아이도 있었다. 어린이 조경학교는 윤세형 과장(서울시 공원여가과)이 독일에서 공원녹지과 행정 인턴으로 일할 당시 경험했던 독일의 공원 문화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기획됐다. 당시 아이들과 함께 놀이터를 만들어보는 프로그램을 진행했는데 어른들도 생각하지 못했던 기발한 놀이터를 만들어 깜짝 놀랐다고. 그에게 어린이 조경학교 프로그램에 대한 아이들의 반응을 묻자 “첫 번째 시간에는 아이들이 조금 쭈뼛쭈뼛 했는데 오늘은 아주 적극적이다. 마지막 수업 즈음에는 아이들이 얼마나 적극적이고 재미있게 임할지 기대가 된다”고 말했다. 또 그는 “조경을 배우고 실습하면서 재미있게 놀 수 있고 아이들의 창의력도 기를 수 있다는 걸 학부모들이 알아주었으면 좋겠다”며 조경의 학습적 효과에 대해서 강조했다. 어린이 조경학교의 교장을 맡은 주신하 교수는 “작년에 시민조경아카데미에서도 강의를 했는데 주로 중장년층이 많았다. 그래서 이번엔 좀 어린 아이들을 대상으로 조경을 알리고 싶었다”며 “앞으로는 중고등학생을 위한 프로그램도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찬란한 유산, 그 두 개의 시간
어릴 적 로마군에 의해 가족을 잃은 마일로는 노예 검투사다. 대규모의 검투 경기에 참여하기 위해 폼페이에 방문한 마일로는 영주의 딸 카시아와 사랑에 빠진다. 마일로는 경기에 참여해 사투를 벌이는데 경기가 절정에 달한 그때, 베수비우스 화산이 터지고 도시는 아수라장이 된다. 마일로와 카시아는 살아남기 위해 도시를 벗어나려 사력을 다하지만 역부족임을 깨닫는다. 두 사람은 마지막 순간을 함께하기로 결심하고 처음이자 마지막 키스를 나눈다. 그 순간 고온의 화산재가 도시를 덮어버린다. 79년 8월 24일 화산 폭발로 폼페이는 세상에서 자취를 감추었다. 영화 ‘폼페이: 최후의 날(2014)’은 폼페이에서 발굴된 실제 인간 화석을 모티브로 삼았다. 폼페이는 1592년 한 농부에 의해 세상에 모습을 드러냈다. 영화의 모티브가 된 서로를 끌어안은 연인의 화석을 비롯해 유독가스와 화산재를 피해 망토로 입을 가린 남자, 치맛자락으로 얼굴을 감싼 채 쓰러져 숨을 거둔 여자, 정원으로 피신한 상태에서 죽은 사람들이 화석으로 출토되었다. 발굴 보고서에 따르면 도시 안에서 발굴된 희생자는 총 1,047명이다. 그중 103건이 캐스트로 제작되었고 일부는 시체의 체적과 형태, 자세가 잘 보존돼 당시의 참상을 생생하게 전달해준다. 현재 국립중앙박물관(관장 김영나)에서 열리는 기획특별전 ‘로마제국의 도시 문화와 폼페이’에서 그 현장을 만나 볼 수 있다. 이번 전시에서는 폼페이에서 출토된 조각품, 장신구, 벽화, 캐스트 등 298건의 다양한 유물을 선보여 고대 로마제국의 화려한 문화를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폼페이 유적을 조명한다. 폼페이는 고대 로마의 도시다. 사르누스 강 하구에 위치한 항구 도시 폼페이는 로마인들에게 각광받는 휴양지이자 상업지로 번성했다. 1997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으며, 18세기부터 현재까지 발굴 조사가 계속되고 있다. 로마 문명은 서양 문명의 본류로 예술과 철학, 종교, 과학, 생활에 이르기까지 다방면에서 현대 문명의 원형을 볼 수 있어 많은 영향을 받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고고학 발굴을 통해 고대 사람들의 생활문화에 대한 정보를 얻기가 어려운데, 폼페이 유적은 화산 폭발로 당시의 생활 모습이 그대로 정지된 상태로묻혀 있어 고고학적 가치가 높다. 당시로서는 안타까운 사연이지만 후대에는 귀중한 사료를 제공해주고 있다. 폼페이 회화에서 자연 풍경은 모든 그림의 배경으로 다양하게 나타난다. 신화와 도시 풍경, 신전, 항구와 바닷가 저택, 목가적인 장면 등을 그렸다. 전시품 중에는 집 내부의 벽을 장식하던 벽화들이 대거 전시되었는데, 전시장 한쪽 벽면을 가득 채운 정원 벽화는 단연 압권이다. 정원 벽화는 4면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실제 건물 벽면을 장식하던 크기 그대로 옮겨와 전시장 높이를 넘어서는 웅장함을 자랑한다. 때문에 3면은 벽면에 그대로 재현되었고, 반원형의 상단부 1면은 다른 벽면에 전시되었다. 정원 속에 심긴 꽃과 나무가 수종을 파악할 수 있을 정도로 자세하게 묘사되어 있고, 물 수반과 가면 등의 점경물, 새가 노니는 모습을 통해 당시의 정원 문화를 짐작해 볼 수 있다. 정원 벽화가 전시된 섹션은 직사각형으로 공간이 구획되어 있는 데, 둘레를 실제 기둥과 같은 건축적 양식으로 재현해 놓아 전시물을 로마인들이 감상하던 느낌대로 간접 체험하는 효과가 있다. 폼페이에서는 실제로 정원 그림에 건축 구조를 도입해 실내 공간에서 외부로 개방되는 구조를 통해 실제 자연을 보는 듯한 효과를 연출했다. 당시에는 정원을 가꾸는 일이 유행처럼 번졌는데, 이는 지속적으로 그림의 소재가 되었고 건축물의 경계 없이 벽 전체를 마치 정원에 와 있는 듯한 착각이 들게 할 정도로 화려함을 장식하는 요소가 되었다. 이밖에 도시 곳곳에 세워졌던 신들의 조각상과 화석으로 남은 젊은 여인의 팔을 두르고 있던 금으로 만들어진 팔찌와 장신구 등이 호화로웠던 도시의 면모를 보여준다. 그리고 상점에서 구워져 판매되었던 빵이 그대로 굳어진 화석, 와인을 담았던 항아리, 저울과 추등은 활발한 경제 활동이 이루어졌던 당시의 역동적인 시대상을 전달해 준다. 아름다운 예술과 풍요로 가득 찼던 고대 로마제국의 도시 그리고 화산 폭발로 한순간에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 비극의 도시. 폼페이는 극과 극의 양면성을 지니고 있다. 폼페이 전시회는 1800년 전의 찬란했던 도시의 유산을 자랑하지만 동시에 처참했던 화산 폭발의 현장을 증언한다. 대비되는 두 개의 상황은 영광의 시간보다 자연 재해로 한 순간에 몰락의 길을 걸은 참사의 시간을 더욱 강렬하게 인상에 각인시킨다. 전시는 전반적으로 화려한 분위기로 꾸며져 있지만, 마지막 섹션의 ‘최후의 날’을 맞이하면 숙연함이 더 짙게 남는다. 이곳을 찾은 날, 한 무리의 초등학생들이 전시관을 점령했다. 정기적으로 진행되는 도슨트 설명을 듣기 위해 어머니 몇 분이 인솔해 오신 모양이다. 설명을 놓치지 않기 위해 섹션을 옮겨 다니는 모습이 마치 자기들이 로마군이라도 된 냥 전투적이다. 어려운 질문도 호기롭게 받아낸다. 여유롭게 감상하기에는 짜증이 일기도 하지만, 일견 대견하다. 조심스레 대열에 합류해 그 모습을 지켜보았다. 시종일관 북적북적하더니 폼페이의 마지막 순간을 맞이하는 섹션에서는 분위기가 잠잠해졌다. 두 개의 시간을 공유한 아이들은 전시관을 나서면서 무슨 생각을 했을까?
영원한 풍경
물 위를 뛰어 건너는 (마치 물 위를 걷는 듯한) 한 남자를 포착한 사진(‘생 라자르 역 뒤에서’, 파리, 프랑스, 1932)은 앙리 카르티에-브레송의 대표작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의 작품 세계를 설명하는 데 있어 빠질 수 없는 ‘결정적 순간’의 미학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말하는 ‘결정적 순간’이란 풍경을 카메라 렌즈를 통해서가 아니라 외부 세계에 대한 작가만의 시선을 통해 바라본다는 개념으로, 미국과 프랑스에서 출판된 카르티에-브레송의 작품집 제목으로 처음 사용되었다. 이 용어는 사진 한 컷에 담겨지는 순간까지, 그리고 그 이후에도 끊임없이 변화하는 세상을 구성하는 사물들이 정돈되고 조직화되어 미학적으로 특정한 의미를 띠는 어떤 ‘절정Clement Cheronx’의 순간을 의미한다. 스토리가 풍부한 이 사진은, 이번 전시를 구분하는 세개의 큰 구성 중에서 ‘거장의 탄생-그의 초기작부터 1947년 MOMA까지’에 속하는 카르티에-브레송의 초기 작품 중 하나다. 카메라를 처음 움켜쥐었을 때부터 이러한 장면을 포착했다는 것은 천재적인 능력이라고 밖에는 달리 표현할 방법이 없다. 어느 특정한 순간에 우연히 이런 피사체를 발견하고 포착했다고만 생각하면 그에 대한 평가를 제대로 한 것이라 볼 수 없다. 저널리즘 교수인 클로드 쿡먼Claude Cookman은 카르티에-브레송이 “사전에 연구하고 계획을 세워 역사적 사건의 현장에 있으려고 만반의 준비를 했으며, 그토록 철저한 자세로 혼신의 힘을 다해 사진을 찍었다”고 말한 바 있다. 그의 작품을 ‘행운’과 ‘우연’이라고 말할 수 없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사진작가가 되기 전의 행보 또한 그의 이런 능력이 단순한 천재성이나 우연의 산물이 아님을 알게 한다. 카르티에-브레송은 화가가 되기 위해 1926년부터 2년간 미술아카데미에서 입체파 예술가 앙드레 로트Andre Lhote로부터 기하학과 황금분할, 신성한 비율, 구도의 법칙 등을 배우며 예술적 재능을 발전시켰다. 전시 감독 김이삭은 그가 이 2년의 시간 동안 “미술을 통해 구도를 배웠을 뿐만 아니라 커다란 창조적 성취를 이루는 데 필수 불가결한 ‘자기 통제’와 프레임의 ‘내적 침묵’을 포착할 수 있는 능력을 익히게 되었다”고 얘기한다. 또한 회화를 할 때부터 교류했던 앙드레 브르통Andre Breton, 살바도르 달리Salvadore Dali, 막스 에른스트Max Ernst와 같은 초현실주의자들과의 교류도 그의 작품에 큰 영향을 주었고, 이는 공방의 화폭에서 거리와 세계의 풍경으로 그의 시야를 넓히게 된 결정적인계기가 된다. ‘풍경landscape’은 사전적으로는 ‘눈으로 보았을 때 한 번의 조망으로 포착되는 사물의 전체’를 의미한다. 이번 전시의 메인 테마인 ‘영원한 풍경’을 접하게 되면, 그의 작품은 이러한 단어의 나열이 한정할 수 없고 수식할 수 없는 그 무엇이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한 번의 조망이고, 분명 한 장의 정지된 사진이지만 생동하는 영원성과 살아 숨 쉬는 영혼을 갖고 있기에 오직 이미지로서의 커뮤니케이션만이 가능하다는 것을 어렵지 않게 알아챌 수 있다. 카르티에-브레송은 1968년 사회변혁운동으로 프랑스가 급진적인 변화를 겪는 동안 이와 관련된 사건의 현장을 찍지 않았다. 오히려 그는 이 시기에 어떠한 움직임도 없는 정적인 프랑스 브리의 광활한 평원을 찍었다(‘브리’, 프랑스, 1968). 어떠한 움직임도 없는 정적인 풍경이지만, 역설적으로 가장 ‘결정적 찰나’가 잘 나타나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화면에서 약간 왼쪽으로 나 있는 길을 따라 늘어선 큰 키의 가로수들은 멀어질수록 작아지며 시선을 깊이 이어진 길의 끝으로 이끈다. 이 사진은 보는 이의 심리 상태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해석되기도 한다. 언제나 사회 속에 살아가는 인간에게 가장 큰 관심을 두었던 카르티에-브레송의 작품이라서 일까? 단 한 명의 인물도 등장하지 않는 사진에서조차 관객들이 자신만의 휴머니즘humanism을 찾아낼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번 전시의 메인 테마는 ‘풍경’이지만, 카르티에-브레송의 ‘결정적 순간’과 그의 천재성을 가장 잘 드러내는 전시는 마지막 구성인 ‘순간의 영원성’이 아닐까 싶다. 보통의 사람들은 사진을 찍기에 앞서, 남에게 보여주고 싶은 이미지를 먼저 탐색한다. 그러나 카르티에-브레송 의 사진은 그런 단계를 생략한 채, 날 것의 생생함을 곧 바로 담아낸다. 달리 스냅숏snapshot의 마이스터Meister라 불린 것이 아니다. 그의 사진 속 인물들은 작가의 피사체가 되었다는 인식을 전혀 하지 못한 듯 자연스럽기 그지없다. 찰나를 포착하는 그의 능력은 인물의 내면을 포착하는 사진에서 그 정점을 이루었으며, 그렇게 찍힌 사진은 삶의 한 순간을 예리하게 관통한다. 카르티에 앙리-카르티에 브레송은 “사진작가라면 어느 개인의 세계에 대해 내면적인 부분만큼, 외면적인 것에 대해서도 진정한 고찰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인물을 찍는 과정에서 그 인물을 둘러싼 환경의 중요성도 인지한 카르티에-브레송은 그만의 ‘주변 환경을 포함하는 포트레이트environmental portait’를 제시했다. 한 인물을 둘러싸고 있는 소품, 의상, 배경 등을 통해 그 인물의 내면까지 담아낸 사진을 완성한 것이다. 담배, 차tea 그리고 고양이를 비롯 사진 곳곳에 배치된 소품들이 사진의 주인공을 스포트라이트하는 방식을 찾아내는 것도 카르티에-브레송의 작품을 보는 특별한 재미가 될 것이다. HCB재단과 매그넘Magnum Photos이 공동 주최한 앙리 카르티에-브레송 10주기 회고전인 ‘영원한 풍경’전展은 한국에서는 최초로 공개되는 작품을 포함하여 카르티에-브레송이 생전에 제작한 총 253점의 오리지널 프린트Original Print가 함께 전시된다. DDP 디자인 전시관에서 3월 1일까지.
살고 싶은 집으로의 초대
“귀를 기울이자, 한 시간이 지나 저기 작지만 영원한 순간이 부드럽게 나를 요람처럼 흔들며 깨우는 신선한 목소리가 들린다. 집에서 나를 부르는 소리다.” 헤르만헤세는 『정원에서 보내는 시간』에서 ‘집이 나를 부르는 소리’에 대해 이야기한다. 우리는 아침에 대문을 나서면서부터 지친 몸을 이끌고 퇴근하기까지, 때로는 모든 것을 잊기 위해 떠난 여행 중에도 ‘집이 나를 부르는 소리’를 듣는다. 2014년 12월 12일부터 2015년 2월 15일까지 아르코 미술관에서 열리는 ‘즐거운 나의 집’ 전시회는 ‘집이 나를 부르는 소리’를 시각화한 전시다. 아르코미술관과 글린트의 협력 기획전으로 까사미아와 대림바스가 후원했다. 전시는 ‘기억의 집’에서 시작해 ‘현재 살고 있는 집’을 거쳐 ‘살고 싶은 집’으로 관객을 초대한다. 집에 대한 추억과 낭만 “우리 삶에는 유년 시절을 보낸 기억의 집, 현재 사는 집, 살아보고 싶은 꿈속의 집이 있다. 이 세 가지 집이 겹친 곳에 사는 사람은 행복한 사람이다. 그것이 불가능할 때는 현재의 ‘집’으로부터 자유로워져 자신만의 삶의 방식을 찾아야 한다.” 전시는 건축가 고故 정기용의 말을 인용하면서 시작한다. ‘기억의 집’을 형상화한 제1전시실을 들어서며 관객들은 누군가의 집에 초대된 느낌을 받는다. ‘집’을 얘기할 때 으레 떠올리곤 하는 일상의 사물들과 ‘집’을 구성하는 공간들이 재구성되었다. 전시실 입구에 설치된 현관문에 다가서자 현관 센서등이 기다렸다는 듯 켜지며 관객에게 작은 즐거움을 준다. 전시실에 들어가자마자 관객들을 맞이하는 상패, 액자, 화병, 시계 등의 일상의 사물들은 있어도 그만, 없어도 그만인 사소한 물건들이지만 동시에 집주인의 취향과 기호를 읽을 수 있는 물건들이다. 찌개 끓는 소리, 그릇 내려놓는 소리, 식기와 집기가부딪히는 소리 등이 맛깔스럽게 담긴 영상과 소담한 식탁을 재현한 베리띵즈의 ‘마주앉는 식탁’은 보는 것 만으로도 즐겁다. ‘가족과 함께 식탁에 둘러 앉아 본지가 얼마나 오래 되었나’ 문득 그리워진다. 금민정의 ‘비밀기지 만들기’는 다락방에 대한 추억을 환기한다. 지붕과 맞닿은 높고 좁은 다락방에서 아이들은 꿈을 키우곤 했다. 하지만 도심에서 나고 자란 아파트 세대들에게 ‘다락방’은 생소한 공간이다. 금민정은 바닥에 붙은 낮은 다락방을 만들어 공간에 대한 추억과 기억을 관객들과 함께 나눈다. 에스오에이SOA의 ‘자기 몸과 생각에 집중하다’는 화장실을 아름다운 사색의 공간으로 재해석했다. 인간의 몸에서 배출되는 가장 더럽고 지저분한 오물을 받아내는 화장실이 전시실에서 가장 깨끗하고 빛나는 공간으로 탄생했다. 하늘거리는 샤워 커튼과 빛나는 조명은환상적이다. 다가가면 자동으로 올라가는 변기 뚜껑과 그 위에 적힌 글귀는 사색을 유도한다. 집, 나의 쉴 곳은 어디에 제1전시실에서 낭만적이고 아름다운 추억의 집을 보여주었다면, ‘현재 사는 집’을 주제로 한 제2전시실에서는 삼포 세대의 불안과 물질화된 욕망이 농축된 집을 보여준다. 옵티컬레이스의 ‘확률가족’은 에코 세대(1979~1992)의 최대 독립 자금과, 에코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1955~1963)로 이루어진 4인 가족의 향후 30년간의 가계 상황을 예측할 수 있도록 그래픽화한 작품이다. 부동산 조사 연구자와 그래픽 디자이너의 합작품인 이작품은 자신의 소득 및 대출 가능 금액과 부모의 증여 가능액을 합한 금액으로 서울에서 구할 수 있는 집을 지도에서 확인할 수 있게 했다. 전시 공간의 바닥과 벽면을 활용한 입체적인 그래프는 관객이 그래프상의 꼭지점이 된 느낌을 받게 한다. 본격적으로 그래프 안으로 들어가기 전, 관객은 열 개의 문 중 자신의 소득 수준이 적힌 발판 앞에 있는 문에 선다. 문을 열고 안으로 들어가면, 적자를 의미하는 흰색 발판이 절반 이상을 채운 그래프를 마주한다. 숨이 턱 막힌다. 조혜진의 ‘섬’은 철거 지역에서 수집한 간유리와 철제대문을 이용해 주상 복합 빌딩을 만든 작품이다. 작품설명을 읽지 않았다면 이 세련된 설치물이 폐자재로 만들어졌다는 것을 상상도 못했을 것이다. 우리 도시의 고급 개발 지역 역시 폐허와 쓰레기 더미 위에 지어졌다. 무너진 폐허에서 나온 폐자재를 고급 주거 문화의 상징으로 만든 작품은 그 자체로 우리 사회의 역설을 담아낸다. 그럼에도, 다시 집으로 제3전시실은 ‘살고 싶은 집’에 대한 아카이브 전이다. 제2전시실에서 ‘집’에 대한 청년 세대의 불안감을 보여주었다면 제3전시실에서는 이러한 현실에 대한 대안을 모색한다. 현재 한국인들이 경험하고 있는 주택불안을 앞서 경험하고 그 해결책을 찾아가고 있는 일본, 스웨덴, 핀란드 등의 주택 정책을 패널로 소개한다. 또한 ‘집’과 관련한 50여 권의 서적과 새로운 마을형태와 대안 주택을 제시하는 건축가들의 평면도도전시된다. 많은 사람들이 동요로 알고 있는 ‘즐거운 나의 집Home, Sweet Home’은 존 하워드 페인 대본, 헨리 비숍 작곡의 오페라 ‘클라리, 밀라노의 아가씨’에서 불린 곡이다. 이 노래는 미국 남북 전쟁 때 전쟁에 지친 군인 사이에서 남군, 북군 할 것 없이 유행하면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집을 떠난 군인들이 불렀던 노래를 전시의 제목으로 정한 이유는 무엇일까. 우리는 ‘나의 쉴 곳은 작은집, 내 집 뿐이네’라고 맘 편히 노래할 수 없는 시대를 살고 있다. 전시의 제목은 ‘즐거운 나의 집’이다.
오도바이를 탄 조경가
작년 12월 26일부터 30일까지, 청담동의 갤러리 원에서는 조금은 생소하지만 특별한 전시가 열렸다. ‘오도바이를 탄 조경가’라는 제목의 이 전시회는 젊은 나이에 안타깝게 세상을 떠난 조경가 고故 이광빈(1972~2013)1을 추모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획되었다. 그와 함께 공부하고 일했던 경신원, 김아연, 박희성, 배정한, 손방, 송영탁, 신준호, 안세헌, 오형석, 정욱주, 주신하가 준비하고, 가원조경, 현디자인, 서울대학교 조경학과 91학번, 서울대학교 조경미학연구실이 후원한 이번 추모전에는, 고 이광빈이 생전에 설계를 하면서 그렸던 드로잉 수십여 장이 전시되었으며, 전시장 한쪽에는 그가 그림을 그렸던 작업실도 재현되었다. 또 ‘이광빈의 작업실’ 맞은편에서는 그가 음악 감독으로 참여했던 애니메이션 ‘서커스Circus’도 상영되었다. 고 이광빈은 ‘손 드로잉’에 대한 남다른 애정과 탁월한 능력을 지녔던 조경가다. 단지 손재주가 있었다거나 보기 좋은 그림을 그렸던 조경가라는 의미가 아니다. 그는 거의 모든 설계 구상과 작업이 컴퓨터 그래픽으로 생산되는 환경 속에서도 손 드로잉의 역할과 의미를 재조명하고 그 가치를 발견하고자 했다. 이광빈의 드로잉은 그가 생전에 발표했던 글 제목인 ‘드로잉, 탐구와 소통을 위한 미디움’(『LAnD: 조경·디자인·미학』, 도서출판 조경, 2006)에서 나타나듯 ‘탐구’와 ‘소통’을 위한 매체로 기능했다. 그는 자신의 드로잉이 설계안을 재현하는 그림보다는 설계 과정에서 ‘창조적 탐구를 위한도구’로, 또 설계 주체 및 여러 이해 당사자 간의 ‘소통수단’으로 작동하기를 원했고, 실제로 다양한 방식으로 그러한 탐구와 소통을 실험했다. 전시회가 마무리된 후, 여러 선후배와 함께 전시를 기획하고 준비한 김아연 교수(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를 만나 조경가 이광빈과 이번 전시에 대해 더 많은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김 교수는 그의 20대를 다음과 같이 회상했다. “덩치가 꽤 컸어요. 근데 그 덩치에 안 맞게 여렸고요. 재즈를 즐겨 들었죠. 설계에 대해 이야기하자면, 정말 ‘꾸역꾸역’했어요(웃음). 학교 다닐 때부터 그랬죠.” 전시된 드로잉의 섬세함과 자신감에 차있는 선의 움직임에 놀라움을 표시하자, 김 교수는 “한 장의 드로잉을 그리기 위해 얼마나 많은 시간을 쏟아보았나요”라는 질문을 역으로 던졌다. 고 이광빈이 그림 한장을 그리기 위해 들였던 시간을 알면 그리 놀랍지 않을 거라는 이야기였다. 김 교수는 가원조경기술사사무소 때의 이야기를 이어나갔다. “설계를 참 좋아했어요. 자리에 앉아서 계속 그렸죠. 그렇게 ‘꾸역꾸역’, 아주 섬세한 그림을 그리다가도, 어느 순간 ‘할리 데이비슨’을 타러 나가곤 했어요. 그러곤 언제 그랬냐는 듯이 다시 또 그림을 그렸어요. 꾸역꾸역.”전시회의 기획 의도와 관련하여 김 교수는 “단지 한 개인을 추모하는 것에 그치지 않길 바랐다”며 그를 모르는 사람들에게도 의미 있는 전시회가 될 수 있는 방향을 고민했다고 밝혔다. 50평 넘는 전시실에 모두 펼쳐놓을 수 없을 정도로 방대한 양의 정교한 드로잉은 그의 설계에 대한 열정과 꿈을 다시 한 번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고도 했다. 그의 추모전이라는 것도 중요했지만, 한편으로는 그의 드로잉을 통해 “설계에 대한 애정은 물론 관심조차 찾아보기 쉽지 않은 지금의 젊은 세대, 그리고 과거의 열정을 잃어버린 듯한 기성 세대 조경가들 모두에게 설계가 주는 즐거움을 다시 한 번 일깨워 줄 수 있지 않을까”하는 바람도 있었다고 전했다. 김 교수는 이러한 설계에 대한 열정과 고민의 흔적을 보여줄 수 있는 ‘드로잉 전’을 계속 기획하고 싶다는 생각도 밝혔다. “지금은 컴퓨터로 하는 작업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과거에는 이러한 ‘수작업’이 설계과정의 전부였던 시절도 있었다”며 각 세대를 대표하는 이들의 드로잉 작품을 모아 한 곳에 전시해보고 싶다는 것이다. 물론 그 과정이 쉽지만은 않을 것이라는 점도 덧붙였다. 아무래도 이러한 드로잉은 전시를 목적으로 준비된 것들이 아니고, 중간 단계의 결과물이다 보니 보관이나 수집, 분류하는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는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김 교수는 “이번 전시에도 방대한 양의 드로잉이 수집되었지만, 그의 사고의 깊이만큼 정교하게 분류하고 기록하기에는 불완전할 수밖에 없었다”며, 조경 분야도 아카이빙archiving에 대한 고민을 시작해야 할 때가 아닌가 싶다는 의견을 밝히기도 했다. 최종 결과물들만큼 중간 과정이나 체계적으로 분류된 기록들에서, 조경이 새로운 차원으로 발돋움 할 수 있는 발판을 찾을 수도 있을 거라는 얘기였다. 조경가 이광빈이 좋아했던 음악가 빌 에반스의 가장 빛나는 시기로 평가받는 작품은 ‘익스플로레이션즈explorations’다. ‘탐험’이라는 뜻의 이 단어는 완성형이 아닌 진행형을 나타내며, 공간이든 음악이든 창조적인 무엇을 할 수 있게 하는 원동력 그 자체다. 고 이광빈은 드로잉 또한 그런 원동력을 바탕으로 설계자가 내적 사고를 통해 생산해내는 결과물이며 소통 수단이자 설계를 완성하는 도구라 했다. 그가 드로잉을 통해 실험하고자 했던 ‘탐구’도, 완성형이 아닌 진행형의 가치를 보여준다. 재즈를 즐겨 듣고, 키보드로 음악을 만들고, 외롭고 답답할 때면 할리 데이비슨을 타고 세계를 탐험했던 ‘오도바이를 탄 조경가’ 이광빈, 그의 설계에 대한 고민과 열정은 수많은 드로잉 속에서 여전히 진행형이라 믿으며, 이번 전시가 훗날 그의 ‘탐구와 소통을 위한 드로잉’을 재평가하는 기반이 될 수 있길 바라본다.
[시네마 스케이프] 업
어릴 적 꿈을 그대로 실현하고 살아가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꿈이 이루어지면 과연 행복할까? 대부분의 사람은 학창 시절에 본인이 무엇을 원하는지 알지 못한다. 어른이 된다고 해도 마찬가지다. 혹시 알게 되더라도 ‘나’의 행복은 이미 사회나 가족의 구조 속에 너무촘촘히 구속되어 있기 마련이다. ‘나’보다는 그 관계 속에서 찾아야 할 때가 많다. 언젠가부터 내 욕망으로 산다기보다는 타자의 욕망을 욕망하면서 살아가는 건 아닌지 가끔 불안해진다. ‘업Up(2009)’은 평생 동안 꿈꾸던 신비의 폭포를 찾기위해 수많은 풍선을 매단 집을 타고 떠난 칼 할아버지와 꼬마 러셀의 모험담이다. 어린 시절, 칼은 말이 없고 소심한 아이였다. 우연히 말괄량이 소녀 엘리를 만나기 전까지는 본인의 욕망을 드러내지 못하는 아이였을 것이다. 적어도 그녀가 포도 소다 병뚜껑을 칼의 가슴에 달아주기 전까진 그랬다. 엘리가 어느 날 밤 창문을 넘어들어와 자기의 꿈은 남아메리카의 파라다이스 폭포로 탐험을 가는 것이고 폭포 옆에 집을 짓고 살고 싶다고 속사포 같이 쏟아내기 전까진 확실히 그랬다. 바로 다음은 어른이 된 칼과 엘리가 결혼식을 올리는 장면으로 이어진다. 약 4분간 대사 한마디 없이 칼과 엘리가 함께 살 집을 수리해서 꾸미는 장면으로 시작해 그들의 일상, 그들이 함께 꾸는 꿈과 좌절, 할머니가 된 엘리가 먼저 세상을 뜨는 장면으로 끝난다. 이시퀀스는 잔잔한 음악과 함께 한 편의 시같이 그려진다. 최근 개봉해서 감동을 준 독립 영화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를 4분으로 축약한 듯하다. 몇 번을 다시 봐도 아프게 아름답다. 영화는 엘리가 세상을 떠나고 칼이 홀로 남겨지면서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엘리의 부재가 그녀의 빈 의자와 항상 둘이 같이 앉았던 빈 식탁으로 표현되어 칼의 상실감이 전달된다. 칼과 엘리의 아름다운 목조 주택은 개발 사업으로 들어선 고층 빌딩에 둘러싸여 있다. 칼은 집값을 두 배로 쳐 준다는 제안도 거절하고 수없이 많은 자물쇠를 걸어 잠근 채 공사로 인한 소음과 먼지 속에서 살아간다. 그에게 집은 단순한 집이 아니라 엘리의 등의자, 엘리의 사진, 엘리와 같이 동전을 모은 저금통, 엘리와 함께 꾼 꿈이 담긴 ‘엘리’ 그 자체다. 결국 집을 비워주고 요양원으로 떠나는 날, 칼은 거대한 풍선 다발을 이용해 집을 하늘로 띄워서 탈출에 성공한다. 오래전부터 엘리와 함께 가고 싶었던 파라다이스 폭포로 향한다. 형형색색 아름다운 풍선이 하늘로 튀어 오르고 집을 대지에 고정했던 장치들이 떨어져 나가면서 오래된 목조 주택이 하늘로 솟아오르는 장면은 가히 압도적이다. 주변 고층 빌딩 사이에 고립된 섬 같았던 칼의 집은 풍선으로 띄워져 보란 듯이 자유롭게 날아간다. 형형색색의 원색 풍선 그림자가 회색 빌딩의 유리창을 화려하게 물들인다. 서영애는 ‘영화 속 경관’을 주제로 석사 학위를 받았고, 한겨레 영화 평론 전문 과정을 수료했다. 조경을 제목으로일하고 공부하고 가르치고 있으며 영화를 삶의 또 다른 챕터로 여긴다. 영화는 경관과 사람이 구체적으로 어떻게관계 맺는지 보여주며 인문학적 상상력을 풍부하게 만들어주는 텍스트라 믿고 있다.
[100 장면으로 재구성한 조경사] 윌리엄 켄트와 스토우 정원
#36 후원자 – 샤프츠베리 백작 때 1712년 11월 장소 나폴리에 있는 샤프츠베리 백작의 저택 등장인물 샤프츠베리 백작, 비서, 윌리엄 켄트 영국의 정치가이자 저술가, 초기 계몽철학자, 박애주의자였던 샤프츠베리 백작Shaftesbury, 3rd Earl of(본명은 Anthony Ashley Cooper, 1671~1713)은 그의 독특한 윤리적·자연주의적 종교관으로 후세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특히 알렉산더 포프가 그를 흠모했다. 1712년, 백작은 지병인 천식을 치유하기 위해 1년 가까이 나폴리에서 거주하고 있었다. 이 무렵 영국은 헨리 8세 이후 근 200년 가까이 지속되었던 구교와 신교 사이의 분쟁을 뒤로 하고 앤 여왕의 통치하에 어느 정도 안정된 삶을 누리고 있었다. 겉으로는 평화가 왔으며 구교도와 신교도도 큰 갈등 없이 화합하며 지내는 듯했다. 문제는 앤 여왕이 후사가 없다는 점이었다. 만약에 앤 여왕이 갑자기 승하하는 경우, 후사 문제로 다시 분쟁이 발생할 여지가 있었다. 비록 1701년에 다시는 가톨릭 왕이 영국의 왕좌를 차지할 수 없다는 법이 제정되었지만1 당시 프랑스에 망명하고 있던 가톨릭 왕 제임스 3세2는 자신의 왕위 계승권을 포기하지 않으려 했고 소위 자코바이트Jacobites라 불리는 그의 추종자들 역시호시탐탐 반정의 기회를 노리고 있었다. 샤프츠베리 아, 드디어 왔구나. 이번엔 로랭이군. 님프와 파우누스와 사티루스가 있는 풍경이라… 아주 좋군. 이번에도 윌리엄 켄트William Kent 군이 심부름을 했다지? 켄트 군은 아직 있나? 비서 예, 마이 로드. 제가 식사나 하고 가라고 해서 지금 기다리고 있는 중입니다. 샤프츠베리 켄트 군은 로마에서 그림 공부를 하고 있다고 했지? 미술품 구매를 중재하는 건 체류비를 벌기위해서라고 했고. 그 친구 스승이 누구인가? 비서 주세페 키아리Giuseppe Bartolomeo Chiari(1654~1727)라는 마스터 밑에서 공부하고 있습니다. 3년 전에 런던에서 존 탈만John Talmann(1677~1726)과 같이 왔답니다. 존탈만이 젊은 화가 지망생을 몇몇 모아 팀을 짜서 왔다고 합니다. 모두 키아리 밑에서 공부하고 있고요. 샤프츠베리 존 탈만? 윌리엄 탈만William Talmann(1650~1719)의 자제? 수집가 윌리엄 탈만의 자제란 말이지. 흐음. 골수 가톨릭 가문이 아닌가. 그림을 수집하러 유럽에 다닌다는 핑계를 대고 사실은 제임스 3세를 옹립하기 위한 거사를 준비하고 있다는 말이 있어. 로마에 아마 연락책이 있는 모양이야. 비서 (사색이 되어) 마이 로드! 샤프츠베리 걱정 말게. 늘 그래왔지 않나. 이번에 거사를 한다 해도 실패할 걸세. 영국에서 가톨릭은 이제 더 이상 세력을 구축할 수 없어. 그나저나 켄트 군도 가톨릭인가? 그 친구 어딘가 호감이 가던데. 비서 그런 것 같지는 않습니다. 아무 것도 모른 채 그냥따라 왔을 겁니다. 그 친구 좀 백치 같은 데가 있어서 정치 쪽으로는 통 무관심한 것 같습니다. 샤프츠베리 그렇다면 다행이네. 이번에도 수고비 넉넉히 챙겨주게. 참, 자네도 잘 알다시피 우리 영국이 지난 몇십 년 동안 스페인, 프랑스와의 전쟁에서 연거푸 승리하면서 지금 유럽의 강국으로 부상하고 있지 않은 가. 다만 문화적으로는 크게 내세울 게 없네. 미술이나 건축은 이탈리아, 프랑스에 비해 백 년 이상이 뒤져 있어. 음악은 독일이 앞서가고 있고. 그러니 우리 귀족들이 능력 있는 젊은이들, 특히 서민 출신의 젊은 인재들을 적극 후원해야 한다네. 그게 우리의 의무야. 앞으로도 켄트 군에게 계속 주문을 넣게. 비서 분부대로 하겠습니다. 아 참. 음악 말씀을 하시니 생각나는데 미스터 헨델이 런던으로 아주 이주했다는 데요. 하노버 왕실에서 많이 노하지 않을까요? 샤프츠베리 그거 일이 재미있게 되었군. 하노버 왕실에서 미스터 헨델을 곧 따라올 걸세. 하하하. 비서 네? 샤프츠베리 이 친구 이렇게 말귀를 못 알아들어서야. 생각해보게. 여왕 폐하께서 옥체가 미령하시니 조만간 후사 없이 승하하실 가능성이 크지. 그렇다면 다음 왕좌에는 누가 앉겠나. 계약대로라면 하노버 왕실에서 영국 왕위를 계승하게 되어 있지 않은가. 두고 보게 독일인이 영국 왕좌에 올라앉을 날이 머지않았네. 어허, 그렇게 이상한 표정 지을 것 없네. 유럽 왕족들이 따지고 보면 모두 친인척 관계 아닌가. 조지 왕은 재목이 썩 시원치 않다지만 그 아들과 며느리는 똘똘해. 특히 왕자비 캐롤라인이 대단히 명민하고 씩씩해요. 라이프 니츠가 애지중지하며 기른 제자라네. 그런 여인이 나중에 왕비가 된다면 영국에 해 될 일 없을 걸세. 그건 그렇고 저 그림이 볼수록 마음에 드는군. 비서 저, 마이 로드. 오늘 크라플리 경Sir John Cropley(1633~1713)에게 편지 쓰신다고 하셨는데 그건 어떻게 할까요? 샤프츠베리 참, 그랬지. 잊을 뻔했네. 구술할 테니 받아적게나. 인사말은 늘 하던 대로 하고. (잠시 생각에 잠긴다)이렇게 쓰게. “경께서 지난 번 편지에서 말씀하시길 새로 지은 저택에 어울리는 정원을 만들고 싶다고 하셨지요. 지상 낙원을 만들어 여생을 쾌락하게 지내고 싶다는 데에 저도 깊이 공감하고 있습니다. 송구하나 저는 신께서 부르실 날이 머지않은 듯합니다. 먼저 가서, 신의 정원에서 경과 함께 거닐 날을 고대하며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신의 정원은 어떤 곳일까요? 곧 그곳에 갈 생각을 하니 가슴이 두근거립니다. 오늘 새로 그림 한 점을 주문해서 받았습니다. 그걸 보고 있노라니 바로 저런 곳이 아닐까 생각이 듭니다. 강이 바다로 흘러들어가는 곳의 풍경을 그린 것 같습니다. 저 멀리 푸른 산이 아득히 보이는 것을 보니 아마도 만灣인가 봅니다. 강은 완만한 곡선을 그리며 평화롭게 흐르고 있습니다. 주변의 능선에는 아름다운 빌라나 성이 서 있는데 암울한 고딕 양식도 아니고 폐허도 아닙니다. (가만, 그런데 저 원형 신전은 폐허가 아닌가. 쯧쯧, 옥의 티로구먼) 그래요. 모든 사물이 미소를 짓고 있는 듯합니다. 물은 잔잔하고 훈풍이 수면을 가볍게 스치고 지나갑니다. 장면 앞에는 큰 나무가 서서 그늘을 드리워줍니다. 해가 이미 반쯤 넘어가 노을이 물들기 시작하고 님프들이 동굴을 떠나춤을 추러 나타났습니다. 파우누스와 사티로스도 이에 합류했고요. 파우누스는 플루트를 연주하고 사티루스는 젊은 님프에게 춤을 청합니다. 이 어찌 즐거운 낙원의 정경이 아니겠습니까. 고정희는 1957년 서울에서 태어나 어머니가 손수 가꾼 아름다운 정원에서 유년 시절을 보냈다. 어느 순간 그 정원은 사라지고 말았지만, 유년의경험이 인연이 되었는지 조경을 평생의 업으로 알고 살아가고 있다. 『식물, 세상의 은밀한 지배자』를 비롯 총 네 권의 정원·식물 책을 펴냈고,칼 푀르스터와 그의 외동딸 마리안네가 쓴 책을 동시에 번역 출간하기도 했다. 베를린 공과대학교 조경학과에서 ‘20세기 유럽 조경사’를 주제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베를린에 거주하며 ‘써드스페이스 베를린 환경아카데미’ 대표로 활동하고 있다.
[그들이 꿈꾼 도시, 우리가 사는 도시] 큰 도시, 작은 도시
뉴욕은 지나치게 크다 “전 세계에서 가장 살기 좋은 상위 도시들은 시간에 따라 크게 바뀌지 않았다. … 이들은 대체로 부유한 나라에 있는 중간 크기의 도시다.”1 이러한 영국 『이코노미스트』 기사에 따르면 ‘도시 규모’와 ‘살기 좋은 환경’ 사이에는 꽤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처럼 보인다. 정말일까? 너무 크지도 작지도 않은 중간 크기의 부유한 도시들—이를테면 멜버른, 비엔나,밴쿠버, 헬싱키 등—에서 공통적으로 살기 좋은 환경이라는 특질을 발견할 수 있을까? 반대로 일정 규모를 초과하는 대도시는 그 거대함으로 말미암아 불가피한 도시 문제로 신음해야 할 운명일까(그림1) 흥미롭게도 이미 1990년대 말 미국 시카고의 리처드 데일리 전 시장도 비슷한 생각을 한 것처럼 보인다. “뉴욕은 지나치게 크다.” 데일리 시장은 … 두 팔을 양 옆으로 쭉 펴며 덧붙였다. “마찬가지로 로스앤젤레스도 너무 크다. 그 외의 다른 도시들은 너무 작다. (우리) 시카고가 딱 적절한 크기다.”2 이러한 “딱 적절한 크기”의 도시에 대한 추구는 일부 지역에 국한된 것이 아니었다. 신규 도시 개발에 대한 수요가 큰 시기에 전 세계 여러 나라에서 보편적으로 이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이를테면 중국에서는 개혁 개방을 전후로 1970~80년대에 적정 규모의 도시에 대한 논의가 정점에 다다른다. 미국 밀워키 대학교 데이비드 벅 교수나 하와이 대학교 궉인왕 교수에 따르면 특히 작은 도시(小城镇 xiǎo chéngzhèn)에 대한 정책적 추구가 이 시기에 두드러졌으며, 이는 중국에서 큰 도시의 수에 비해 작은 도시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나는 이유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3 작은 도시에 대한 정책적 선호는 1980년 개최된 국가도시계획 콘퍼런스에서 잘 드러났다. “큰 도시의 성장을 억제하고, 중간 도시의 확장을 적절히 추구하며, 작은 도시의 개발을 적극적으로 권장하라”는 원칙이 여기서 선언되었고,4 같은 해 12월 중국 도시 개발에 막강한 권한을 행사하는 국무원에서 이를 승인하게 된다.이렇게 한 지역이나 국가에서 몇몇 도시가 과도하게 성장하는 것을 규제하자는 주장을 반-수위도시론anti-primate city 혹은 반-대도시론anti-metropolitanization이라 부를 수 있다. ‘수위 도시’란 한 국가나 지역에서 인구, 경제, 일자리, 서비스 등의 측면에서 그 비중이 지배적인 도시를 말한다. 이를테면 한국에서는 서울(혹은 수도권)이, 중국 양쯔 강 델타 지역에서는 상하이가 수위 도시에 해당한다(그림2). 국내에서도 수도권 과밀 해소나 지역 균형 발전과 같은 일종의 반-수위도시론이 서울의 행정 기능 분산이나 지방 거점 도시 육성을 통해 구체화된 바 있다. 좀 더 지역적으로는 서울주변에 분당(계획 인구 39만 명)이나 일산(27만 명)과 같이 비교적 큰 규모의 신도시 개발이 가져올 폐해에 대한 우려가 팽배한 적이 있다. 이에 따라 수도권 신도시 정책을 인구 10만 이하의 미니 신도시 건설로 선회하자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 그럼에도 안건혁 교수는 “자족적 신도시의 적정 인구 규모”에 대해 20~30만 명을 그 기준으로 삼아도 별 문제가 없다고 밝혔다. 그리고 인구 집중은 해당 지역이 여러 가지 도시적 매력이 있음을 방증하기 때문에 인구를 강제로 분산시키기보다는, 제한된 수의 신도시를 만들고 인구 집중에 따른 여러 문제를 계획적으로 잘 해결하면된다고 주장했다.5 안 교수의 주장이 옳다. 다수의 미니 신도시를 건설하여 인구 집중의 폐해를 해소하자는 주장은 억지스러워 보인다. 더욱이 현재 분당이나 일산의 규모가 너무 커서 통제 불가능할 정도의 문제가 일어난다고 보기도 어렵다. 적정 규모 이론 주변 사람들에게 한 번 질문해 보자. 당신이 살고 있는 도시는 큰 도시입니까? 아마도 대부분의 사람들이 잠시 기억을 더듬은 후 이에 답하는 데 큰 어려움을 겪지 않을 것이다. 그렇다면 이런 질문은 어떠한가. 지금의 도시 규모가 적절합니까? 혹은 인구 천 만의 도시와 백 만의 도시 중 삶의 다양성, 주거 만족도, 출퇴근의 편리성을 모두 고려하면 어느 쪽이 더 좋습니까? 이쯤 되면 난처하다. 적정성 자체와 여기에 영향을 주는 여러 요소에 대한 가치 판단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인류 역사에서 도시의 적정 규모에 대한 고민은 기원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그의 저서 『정치학』에서 도시 규모는 일정한 하한선과 상한선 사이에서 결정된다고 했다. 그에 따르면 도심지 면적의 하한선, 즉 최소 규모는 도시민들이 요구하는 음식이나 땔감을 자급자족할 수 있는 최소 영토로 결정되며, 상한선은 적의 침입으로부터 도시를 효과적으로 방어할 수 있는 최대 면적이라고 보았다.6 꽤 그럴듯한 논리임에도 여기에는 큰 약점이 있다. 물론 도시가 최초로 형성될 시점에 규모의 상·하한선이 존재한다는 설명은 이해할 만하다. 하지만 상·하한선이라는 기준 자체가 시대와 관습의 산물임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이를테면 땔감을 구하는 방법이나 효과적인 방어를 위한 영토라는 기준은 시대에 따라 크게 다르다. 정확한 기록이 없는 상태에서 과거로 돌아가 하나의 규모에 대한 기준이 가장 효과적이었는지를 파악하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그리고 한 시대의 상·하한선은 다른 시대에 큰의미가 없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조선 초 한성부의 방어를 위한 적정 성곽 규모가 조선 중기 임진왜란 시기에 방어를 위한 최적의 성곽 규모와 얼마나 다를지 떠올려 보자. 적정 규모에 대한 논의는 이와 같은 시·공간적 맥락성과 함께 도시 규모를 결정하는 데 영향을 주는 여러 가지 잠재적 요소—이를테면 도시의 지형적 특성, 주요 이동 수단의 기술적 수준, 또는 한 사회가 익숙하게 받아들이는 도심지 크기나 과거 도시 개발의 관습—까지 함께 고려해야 한다. 김세훈은 1978년생으로 서울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한 후 하버드GSD에서 도시계획학 석사와 박사 학위(DDes)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에서 도시설계 이론과 스튜디오 수업을 가르치고 있다. 저서로 『신흥도시 개발 모델』, 『도시형태변화분석방법론노트』, 『도시와 물길(A City and Its Stream)』 등이 있으며, 한국, 중국, 동남아시아의 도시 연구와 설계를 함께 진행하고 있다.
[그들이 설계하는 법] 자진감리自進監理
산수전략 김정윤(이하 김): 우리가 2006년 로테르담에서 서울로 오피스를 이전한 후, ‘서울은 이래야 한다’라는 명제thesis를 만들어 놓고 일을 시작했던 것은 아닙니다만, 3년 정도 일을 하다 보니 그 시점까지 우리가 수행했던 공공 공간 설계를 관통하는 하나의 ‘자세’를 발견할수 있었는데, 저는 그것이 ‘산수전략山水戰略’이었다고 생각합니다. 즉, 산과 물을 다루는 전략을 우리 스스로 발견했던 것이죠. 아마 이걸 깨닫게 된 계기는 2007년 청라신도시 호수공원 설계공모 때 출품작 제목을 ‘산수전략’이라고 쓰기 시작했던 데 있는 것 같습니다. 지금의 산수전략은 무엇입니까? 박윤진(이하 박): 일단, 산수전략의 첫 번째 의미는 산과 물을 다루는 기술입니다. 두 번째는 급속한 근대화 과정에서 잃어버린 우리나라의 지형적 혹은 경관적 문맥을 되살려야겠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방식에 있어서는 그대로의 복원이 아니라 동시대의 라이프 스타일을 함의하는 동시대적인 복원, 즉 ‘시학적 복원’을 하자는 설계 전략입니다. 세 번째는 산수 문화의 일상적인 가치를 인정하되, 산수라는 지리적 한계를 넘어서는, 혹은 대체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자면 우리가 수행한 ‘강남 대체 자연Gangnam Alternative Nature’ 리서치가 이에 해당된다고 생각합니다. 사실 이것 외에도 산수전략에 대한 크고 작은 아이디어들이 있는 것을 보면, 아마 계속 진행 중인 어젠다라고 말씀드릴 수 있겠네요. 김: 그간 우리는 많은 대형 오픈스페이스 설계공모에 참여했지만, 그중 실시설계까지, 그야말로 끝까지 기회가 주어진 경우는 양화한강공원이 처음이었죠. 우리가 양화에서 가졌던 산수전략은 무엇이었나요? 박: 우선, 아이러니하게도 우리의 다른 프로젝트와 비교해본다면 양화한강공원은 가장 가벼운(?) 경쟁을 통해 당선된 경우라 말할 수 있습니다(하하).아무튼, 양화한강공원에서 가장 중요했던 것은 한강의 수문학적 특수성을 면밀히 이해하는 것이었습니다. 한강에 엔지니어링적으로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방재기능의 허용 범위는 어디까지인지, 이를 바탕으로 우리가 취해야 하는 포지션은 무엇인가를 고민했습니다. 즉, 엔지니어링과 무관하게, 그 표피를 ‘장식하는 디자인으로 마감하는 것’이 아니라, ‘양화한강공원에 어떤 수문학적인 기능을 부여할 수 있을까’라는 보다 근본적인 질문으로 시작했습니다. 김 대표의 질문에 답을 하자면, 양화 프로젝트는 산수전략의 첫 번째 항목인‘기술’ 혹은 ‘엔지니어링’에서 출발했습니다. 좀 더 부연하자면, 과거 한강은 수운이 발달한 바다와 같은 큰 강이었고, 그 주변으로 여러 가지 여가 문화가 꽃을 피웠죠. 수많은 정자가 있었고요. 마치 조선의 센트럴 파크와 같은 역할을 해왔다고 할까요. 그러나 지금은 서울이 대도시가 되면서 고수부지의 아래 위에방재 시설로서 보가 설치된 것이 가장 큰 변화죠. 양끝에 보가 생기다보니 접시 물처럼 찰랑거리는 고인 물과 다름없었던 거죠. 그래서 지금은 모래 이동이 중지되었고, 하류에서 올라오는 뻘과 지천에서 나오는 모래뻘이 한강 호안을 변화시키고 있죠. 이렇게 접시 물 같음에도 불구하고, 하루에도 1m씩 수위가 변하기도 하죠. 따라서 우리가 한강에서 가장 주목했던 것은 뻘이었어요. 여름에 범람할때마다 엄청난 양의 뻘이 한강 변에 쌓이게 되었죠. 이는 유지 관리의 문제를 항상 불러왔고, 그래서 ‘어떻게 하면 뻘을 더 원활하게 유통시킬 수 있는 공원으로 만들 수 있을까’에 초점을 맞추게 되었습니다. 김: 결국 우리는 한강을 낭만적인 물길로만 보기에 앞서 도시의 인프라스트럭처로 본 거죠. 박: 그렇죠. 뻘에 의해 효용가치가 좌우되는 호안이라고 봤고, 그렇기 때문에 이를 잘 다루는 것이 공원의 성패를 좌우한다고 봤어요. 김: 그리고 거기에 지형과 동선이 잘 부합하게 설계함으로써 공원으로서의 공간 경험을 만들어 내려고 했었죠. 인프라스트럭처이면서 경험을 만들어 내는 공원, 즉 인프라스트럭처 시스템과 지형과 동선이라는 각각의 시스템이 관계하면서 만들어내는 ‘다양한 경험의 매트릭스’를 의도했습니다. 박: 사실은 많은 정책 입안자들이 ‘한강을 과거로 복원시키자’, ‘모래밭이 있는 강으로 돌아가자’라는 말은 쉽게 했었지만, 댐이나 보와 같은 인프라스트럭처의 기본적 변화 없이는 낭만적 그림에 불과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가장 현실적인 뻘에서 출발했던 거죠. 박윤진은 하버드 대학교 GSD를 졸업하고 Sasaki Associates, West 8 등에서 실무를 쌓고 치치 지진 메모리얼 국제설계공모 당선을 계기로 김정윤과함께 오피스박김을 설립하였다(2004). 미국 보스턴 건축대학교 등에 출강하였고, 타이완 쉬이첸 대학교(2007), 미국 하버드 대학교(2008, 2010), 오하이오 주립대학교(2011), 호주 멜버른 대학교(2012) 등에서 교육, 전시, 강연을 위해 초청되었다. 김정윤은 서울대학교와 하버드 대학교 GSD 졸업 후 네덜란드 West 8 등에서 실무를 쌓았다. 네덜란드 조경건축사이며 바허닝엔 대학교에 출강하였다. 차세대디자인리더(산업자원부 2007), 광교공원 디자인커미셔너(2008), 서울형공공건축가(2011)로 선정되었고,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놀튼 건축대학원이 선도적 조경가에게 수여해온 글림처특훈교수(2011)로 임명되어 강의하였다.
[조경의 경계를 넘어, 조경 속으로] 제니퍼 키스맷
도시계획 시정의 까다로운 전문가 회의를 지역 방송에 공개하고 실시간으로 트위터를 통해 시민들과 의견을 주고받으며 대중과 토론으로 소통하는 도시계획가, ‘캐나다의 미래를 이끌어 갈 가장 중요한 인물’ 중 한명, 걷는 도시의 전도사, 휴먼 스케일의 도시를 실현하는 전위대로서 전 세계 어바니스트의 주목을 한 몸에 받고 있는 토론토의 도시계획국장, 제니퍼 키스맷이다. 2012년 공직에 임명되기 전에는 캐나다 굴지의 도시컨설팅 기업인 ‘DIALOG’의 공동 창업자이자 탁월한 도시설계 컨설턴트로 업계에 널리 알려져 있었다. 복잡하고 따분한 남성적 문화가 주도적인 도시 분야에서 그녀는 이미 스타였다. 그러나 그녀를 진정 유명하게 만든 것은 그녀의 아이디어다. 명쾌하고 또렷한 논리와 진정성 있는 소신을 통해 수많은 사람의 마음을 감동시켰고 우리가 당연하다고 생각해 왔던 것에 근본적인 질문을 던짐으로써 새로운 희망을 일구어냈다. 그녀는 누구나 생활에서 직접적으로 느끼는 경험과 얼핏 사소해 보이는 관찰에서 부터 시작했다. 어린 시절, 친구들과 함께 했던 등하굣길의 모험이 어째서 한 세대가 지난 지금에는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사라졌는지 스스로 원인을 찾아보고 느낀 것을 나누었는데 많은 사람들의 공감을 이끌어냈다. 비단 학생의 건강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뿐 아니라 지역 사회의 경제를 살리는 일에도 걷는 사람들, 특히 걷는 학생들의 역할이 막대하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설득력을 더했다. 걷는 사람들은 운전자에 비해 지출이 20% 가량 많다고 한다. 걸으면서 많은 자극에 노출되기 때문이다. 자전거 이용자의 경우도 비슷하다. 다양한 도시 환경에서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쌓은 경험도 값지다. 잘 사는 도시, 살기 좋은 도시로 유명한 밴쿠버에서 실시된 한 조사에 의하면, 사람들이 느끼는 가장 큰 도시 문제는 가난도 범죄도 공해도 아닌 ‘외로움’이었다고 한다. 사람 간의 연결과 연대 또한 걷는 환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이 키스맷의 관찰이다. 고밀도 주거 단지에 걷는 환경이 조성되지 못할 경우, 주차장, 엘리베이터, 유닛으로 연결되는 단순한 동선 구조가 즉흥적인 만남의 기회를 앗아가고 일종의 수직적 교외 지역vertical suburb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키스맷은 인간이 걷도록 설계된 존재라는 것을 믿으며 도시 또한 그러한 자연적 서식처의 특성에 맞게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걷는 사람의 규모에 맞게 계획된 도시, 그러한 도시가 성장을 추동하는 도시다. 그녀는 하워드Ebenezer Howard의 ‘전원 도시’ 이론을 통렬히 비판하며 그러한 단순 도식화와 거리에 대한 무지, 위계를 상실한 공간 개념이 완결적인 마을 형성을 저해하고 넓은 면적에 밀도를 흩뿌림으로써 사람과 건물과의 관계 설정을 무력화했다고 설명한다. 차를 타고 다닐 경우, 건물과 거리 사이의 상호 작용이 사라지고 도시적 맥락의 중요성은 현격히 줄어든다. 공원에 고층 건물이 들어서고, 도시 공해가 증가하며, 대중교통은 낮은 밀도로 인해 실용성이 급격히 줄어든다. 키스맷은 기존의 현대 도시계획이 각각의 토지 이용을 구분하는 것도 문제지만, 실질적으로 건물과 거리 사이가 벌어지고 그 사이의 대화가 단절되는 결과가 더 심각하다고 말한다. 제인 제이콥스Jane Jacobs가 지적한 ‘거리의 눈eyes on the street’, 혹은 ‘공원의 눈eyes on the park’이 사라지기 때문이다. 그녀의 도시 철학인 ‘모두를 위한 도시’라는 명제는 ‘보행자 생태계’, ‘보행자 일조권’이라는 흥미로운 개념을 던져준다. 토론토를 예로 들면, 최근에 이루어진 성장 중 약 40%가 걷기 편한 작은 면적의 도시 지역에 집중되었다. 사람들의 활동이 있어야 걸을 맛이 나는, 걷기 좋은 도시가 되는데, 사실 명품 건축보다는 서민들의 어설픈 건축 스타일이 늘어선 곳이야말로 가장번성하는 거리였다는 관찰도 많은 시사점을 준다. 공적 영역을 무시하는 거만한 건물은 결과적으로 시민의 건강을 해치는 반면, 주인공이 아니라 배경으로서위치하는 건물은 공적 공간을 보호하고 보행자의 위상을 드높이기 때문이다. 건물은 거리와 대화해야 하며 보행자는 건물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정보를 얻을 수 있어야 한다. 거대하고 디테일이 없는 빈 벽으로 형성되는 대형 마트나 호텔 건물이 도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이유다. 한편, 건축 스타일은 환경 윤리적 측면과도 연결되는데, 지속성, 복원가능성, 시간에 따른 가변성이 높은 재료와 공법으로 지어진 건물이 장기적으로 도시 폐기물을 줄이고 에너지를 절감하며 좋은 도시를 만든다는 주장 또한 되새겨 볼 만하다. 제니퍼 키스맷은 창조적인 도시계획을 강조한다. 특히 도시계획가는 복잡하고 어려운 도시 문제를 시민에게 차근차근 쉽게 설명해 줄 의무가 있음을 역설한다. 본 인터뷰에서는 그녀의 대표적인 소통의 철학이 담긴 혁신 사례들을 간략히 다루어 본다. 이 꼭지를 연재하고 있는 인터뷰어 최이규는 1976년 부산 생으로, 그룹한 어소시에이트 뉴욕 오피스를 이끌며 10여 차례의해외 공모전에서 우승했고, 주요 작업을 뉴욕시립미술관 및 소호, 센트럴파크, 두바이, 올랜도, 런던, 위니펙 등지의 갤러리에전시해 왔다. 저서로 『시티 오브 뉴욕』(공저)이 있다.
[공간 공감] 삼성출판사 공개공지
서초동에 위치한 삼성출판사 사옥에는 정원이 딸려 있다. 이 정원은 사유지이지만, 동네 주민들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개방된 공개공지다. 좁은 골목과 건물만 빼곡할 것 같은 장소에서 만난 뜻밖의 열린 정원은, 공간의 질에 대한 논의와 별개로 사유 공간의 공공적 활용에 대한 이야기 소재가 되기에 충분하다. 겨울에 방문한 정원이라 을씨년스럽고 황량하기까지 하다. 겨울의 흔적을 통해서 푸르렀을 때의 상황을 짐작하기란 쉽지 않지만, 다행히 지난 여름에 이곳을 찾았을 때 찍어 둔 사진이 있어서 참고할 수 있었다. 전체적인 공간 구성을 살펴보면, 삼성출판사 건물이 안쪽 벽을 맡고 그 좌우는 높은 코르텐 스틸 벽면과 자작나무에 의해 위요되어 있다. 특히 코르텐 스틸의 단순명료한 질감과 과감한 스케일이 눈에 띈다. 이미 만들어진 공간에 대해 호불호를 말하기는 쉽지만, 설계 단계에서 재료와 스케일에 대한 확신을 갖는 데는 오랜경험이 요구된다. 입구 주변은 단차를 극복하기 위해 설치된 계단이 둘러싸인 느낌을 주고 있어, 공간 전반에 걸쳐 정원다움의 기본 속성 중 하나인 위요감은 꽤효과적으로 설정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곳에 서 있으면 주변 요인들의 방해를 받지 않고 온전하게 ‘내부에 들어와 있음’을 느끼게 된다. 하지만 다른 측면에서 생각해 보면, 이곳이 과연 공개공지로서 적합한 구성을 취하고 있는가를 따져볼 수 있다. 공개공지는 건축주가 일정 인센티브를 받고 공공에게 제공하는 공간이다. 따라서 개방성과 접근성이 매우 중요하며, 다른 사례를 떠올려 보아도 스퀘어나포켓 파크의 형태로 조성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정욱주는 이 연재를 위해 작은 모임을 구성했다. 글쓴이 외에 factory L의 이홍선 소장, KnL 환경디자인 스튜디오의 김용택 소장, 디자인 스튜디오 loci의 박승진 소장 그리고 서울시립대학교의 김아연 교수 등 다섯 명의 조경가가 의기투합했고, 새로운 대상지 선정을 위해 무심코 지나치던 작은 공간들을 세밀한 렌즈로 다시 들여다보고 있는 중이다.
도전적인, 너무나 도발적인
토포텍 1Topotek 1의 베를린 오피스에서 마르틴 라인-카노Martin Rein-Cano를 만났다. 그는 그의 작품만큼이나 도발적이고 강렬했고, 그의 오피스는 그의 작품 이상으로 절제된 표면이었다. 즐거움과 에너지로 가득했던 그와의 대화를 옮긴다. 고정희(이하 G): 지난 주말에 한국에 다녀왔다고 들었다. 아직 여독도 풀리지 않은 상태에서 인터뷰에 응해주어 감사하다. 한국에 대한 인상은 어땠는가? 마르틴 라인-카노(이하 R): 열흘 동안 인도를 경유하여 아시아 여러 나라를 다니고 마지막에 한국에 머물렀다. 젊은이들의 팝 문화의 수준이 대단히 높다고 느꼈다. 그러나 가장 인상 깊었던 것은 음식이다. 몹시 독특하고 강렬하더라. 각종 김치 종류, 불고기에 미끄러운 홍합 미역국까지 모두 먹어보았다(웃음). 너무 강렬하고 독특해서 좋다 싫다 말하기 어렵다. ‘나중에 집에 가면 익숙한 음식을 먹을 수 있을 테니까’라는 마음으로 일단 모두 시도해 보았다. G. “집에 가면”이라고 했는데 어디를 말하는가? 베를린? 아르헨티나? 스페인? R. 일단은 베를린을 집으로 생각하고 있다. 아버지는 유대인이고 어머니는 스페인계 가톨릭인데, 열세살 때 독일로 이주했다. 그래서 독일 개신교에 대해서도 깊은 유대감을 가지고 있다. 종교적, 문화적으로 좀 복잡하게 섞였다. G. 더 이상 복잡하기는 어려울 것 같다. 그래서인지 토포텍 1의 작품을 보면 다원적인 점이 눈에 띈다. 토포텍 1이란 이름을 제공한 토포텍처와 도시 광장이 다르고 공원이 또 다르다. 최근 작품이라고 할 수 있는 수퍼킬렌Superkilen의 도시 구역은 대단히 강렬하다. 사회 문제에 정면으로 도전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 R. 그렇다. 내 개인적인 출신과 성장 배경으로 인해 다원적이지 않을 수가 없다. 지금은 무신론자이지만 가톨릭의 영향도 많이 받았다. 특히 외할머니는 아주 독실한 가톨릭 신자였다. 가톨릭은 신비주의적이고 영적인 종교다. 그 반면에 아버지의 유대교나 독일의 개신교는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면을 가지고 있다. 궁극적으로 내가 어떤 종교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았는지나 자신도 잘 모른다. 이렇게 복잡한 종교적·문화적 배경과 이주자라는 사실이 내 사고에 큰 영향을 미쳤다. 많은 것을 동시에 보고 이해하는 다원적 능력이 키워진 것 같다. 내게는 ‘낯선 것stranger’과 ‘이주migration’가 중요한 테마다. G. ‘낯선 것’이라는 테마는 도처에 나타난다. 특히 정원 자체를 낯선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는데, 매우 독특한 견해인 것 같다. ‘이주자들’이라는 테마의 경우, 특히 덴마크 코펜하겐의 수퍼킬렌 프로젝트에서 극명하게 드러나는데 이 점은 뒤에 다시 이야기하기로 하고, 우선 토포텍 1의 트레이드마크처럼 인정되고 있는 ‘표면 전략surface strategy’에 대해 듣고 싶다. R. 표면 전략은 우리 디자인의 가장 핵심이다. 나는 대학에서 처음에 미술사를 공부했었다. 미술사 중에서도 정원의 역사에 관심이 컸고 나중에 정원 문화재 관리사가 되고 싶었다.1 그때 이탈리아의 르네상스 정원으로 답사를 갔던 것이 계기가 된 것 같다. 그 다음 프랑스 정원과 영국 정원을 둘러보았다. 정원의 역사가 내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흥미진진함을 알게 되었고, 현대 조경에서 역사적 맥락이 사라져간다는 것을 느꼈다. 학문도 좋지만 직접 작업을 하고 싶었다. 그래서 조경학과로 옮겼다. 처음부터 정원의 회화적인 면에 매료되었다. 그래픽적인 것이라고 해도 좋겠다. 예를 들어 바로크 정원의 파르테르, 소위 자수화단이라는 것을 보면 결국 표면에 수를 놓은 것인데, 나는 이를 평면 그래픽으로 이해했다. 영국 정원은 풍경화를 모델로 삼았으며, 현대에 와서는 로베르토 부를레 막스Roberto Burle Marx, 마사 슈왈츠Martha Schwartz 등이 그래픽적으로 작업했다. 거기서 많은 영향을 받았다. 대학 때 피터 워커Peter Walker와 마사 슈왈츠의 설계실에서 6개월간 실습한 적이 있다. 그때 두 사람이 실험하던 랜드 아트 혹은 대지 예술을 보고 이야말로 예술적인 것과 조경적인 것을 연결하는 교량임을 깨달았다. G. 그렇지만 마사 슈왈츠의 작품을 보면 조경을 공간적인 것으로 다루는 면이 강하다. 그 밖의 모든 사람들도 조경을 3차원의 예술로 파악하고 있다. 당신만은 유독 정원과 경관의 2차원성을 주장한다. 이를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가. R. 3차원은 건축의 영역이다. 벽을 세우고 지붕을 덮으면 그 내부에 3차원의 공간이 형성된다. 그 반면에 우리가 하는 작업은 외부의 표면, 즉 2차원에서만 이루어진다. 산, 언덕, 호수, 모두 표면의 일부다. 3차원이 아니다. 지표면은 하늘과 직접 맞닿아 있다. 농담반 진담 반으로 신은 최초의 조경가라고 말한 적이 있다. 지구를 만들었기 때문이다. 이처럼 지구 전체의 표면과 지형을 다루는 것이 바로 내가 생각하는 조경이다. 어떻게 보면 과대망상증에 가깝다(웃음). 지구 전체를 놓고 본다면 우리 인간은 표면에 붙어서 살며 표면을 통해 우주와 소통한다. G. 그렇다면 표면에 그리는 그래픽은 하늘과 소통하기 위한 기호인 셈인가. R. 바로 그렇다. 예를 들어 페루 나스카Nazca의 지상그림geoglyph을 보면 우리 인간은 선사시대부터 지표면에 부호를 그려 하늘과 소통했다. 나는 바로크 정원 역시 같은 맥락이라고 본다. 바로크 정원은 거대하게 비어 있다. 채운 공간에서는 사람들이 채워진 것들에 집중하지만, 빈 외부 공간에 들어서면 위를 바라본다. 이것이 바로 지붕 덮인 건축의 폐쇄적 속성과 외부공간이 다른 점이며 외부 공간의 매력이자 강점이다. 하늘은 매우 흥미로운 요소다. 볼 것도 많고 역동적으로 변화한다. 이를 체험할 수 있게 하려면 공간을 비워야 한다. 대개는 빈 공간을 보면 채우고 싶어 한다. 빈것에 대한 두려움 때문일지 모르겠다. 바로크 정원의 평면 기하학과 더불어 대형 연못은 하늘을 인지하게 하는 요소들이다. 하늘과 지표면이 닿아 있다는 것을 이처럼 분명하게 증명하는 것도 없다. 평면과 하늘로 압축한 것이다. 20세기의 바우하우스디자인도 마찬가지다. 철저하게 환원reduction하고 절제한다는 점이 그렇다. 단지 비율만으로 승부한다. 사실상 바우하우스 디자인이나 바로크 정원 모두 ‘비움’이 특징이다. 나는 빈 것에 관심이 많다.
창사 글로벌 빌리지 마스터플랜
중국 후난성Hunan Province의 성도인 창사 동쪽에 위치한 글로벌 빌리지Changsha Global Village는 다양한 형태의 주거 공간, 공공 공간, 상업 시설 및 녹지 등을 포함하며, 최대 35,0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새로운 복합 단지다. 대상지는 두 개의 뚜렷한 경계로 규정된다. 서쪽으로는 현존하는 철도선을 따라 자연 발생적으로 자라난 야생 식물이 하나의 녹지축을 이루며 강까지 펼쳐지고, 단지 내의 녹지는 이 녹지축과 연결되어 광범위한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한다. 대상지의 동쪽에 접한 고속도로는 이 복합 단지가 도시 조직으로 분명하게 전개될 수 있도록 한다. 이 계획은 이러한 대상지의 조건을 극대화하여 창사 글로벌 빌리지가 도시의 맥락 속에서 기능하게 하고 하나의 통합된 정체성을 갖도록 한다. 디자인 개념은 세 개의 영역에 구분되어 적용된다. ‘포레스트 밴드Forest Band’는 서쪽 영역의 개념으로서 두터운 그리드 형태의 식재 기법을 통해 무성한 숲을 형성한다. 포레스트 밴드는 대상지의 다양한 주거 형태를 담아내며 이곳의 자연적 특성을 더욱 강화한다. 중앙 영역은 정원 문화를 기반으로 하는 복합 주거 공간이다. 포레스트 밴드와 복합 주거지인 ‘가든 컴파운드Garden Compound’는 좀 더 자연적이며 평화로운 환경을 제공하며, 다양한 주택 유형이 공동체 내부의 프라이버시가 보장된 주거 환경을 가능하게 한다. Client China Vanke Co., Ltd. Location Changsha, China Area 430,000m2 Planning 2013~2014 Completion 2016 Commission Type Direct Commission
하케셔 쿼터
독일의 수도 베를린 시 미테Mitte 지구의 중심부에 위치한 하케셔 쿼터Hackescher Quarter는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많은 피해를 입었던 지역 중의 하나다. 한때 가르니손 교회Garnison’ church가 있었던 대상지는 서독과 동독의 통일 이전까지 수년간 사용되지 않았다. 이후 급격하게 성장한 미테 지구는 전쟁으로 파괴된 하케셔쿼터와 같은 곳을 복구하며 새로운 공간으로 변모하기시작했다. 이 프로젝트의 디자인은 대상지 주변의 모습을 반영하면서, 색채와 재료에서 변화를 주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하케셔 쿼터에 사용된 컬러 팔레트color palette는 명암대비가 특징적인 주변 건물의 파사드에서 착안되었다. 대상지에는 이러한 색채 개념뿐만 아니라, 좁지만 높게 열려있는 외부 공간을 강조할 수 있는 재료 팔레트material palette의 개념도 도입되었다. 새로운 하케셔 쿼터에는 화려한 색채감이나 특별한 장식적 요소는 없지만, 세련되고 정제된 질감의 재료가 사용되었다. 주 광장인 리트파스플라츠Litfaßplatz는 아스팔트 포장 위에 새하얀 카펫이 깔려있는 듯한 모습이다. 이 하얀 광장은 주변 도시와 비교해 낮은 밀도의 공간을 제공하고, 더 이상의 특별한 설명이 필요치 않을 만큼의 명료함을 보여준다. 인근 기차역과 광장 사이의 소로도 이러한 개념에 따라 어두운 색감의 작은 돌로 포장되어 독특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Architect Müller Reimann Architects Client IVG Development LLC Location Berlin, Germany Area 5,500m2 Planning 2005~2009 Completion 2011 Photographs Hanns Joosten
KPM 쿼터
베를린의 샤를로텐부르크Charlottenburg는 19세기부터 지금까지 상공업 지구로 분류되어 왔다. 이 지역을 따라 흐르고 있는 슈프레Spree 강과 란트비어카날Landwehrkanal 사이에서는 상업·주거 복합 지구가 개발되고 있다. 이 지구 안의 상업 용지에는 새로 들어선 나쉬프NA SHIP(National Association of Statutory Health Insurance Physicians)라 불리는 독일의 의사생명보험협회 건물과 로열도자기팩토리의 독일 본부Royal PorcelainFactory Berlin(KPM, Königliche Porzellan-Manufaktur Berlin) 건물을 중심으로 하나의 도심이 형성되고 있다. 토포텍 1이 제시한 마스터플랜에는 이와 같은 상업 관련 오피스 빌딩이 상당수 포함되어 있다. 이 마스터플랜에서는 날렵하고 매끈한 형태의 건축물들이 넓은 면적의 대지 위에 들어서고, 이렇게 완성된 건축물에는 다양한 전문 산업 분야의 회사가 입주하게 된다. 외부 공공 공간의 디자인은 이러한 건축 계획에 대응한다. 대규모의 건축물이 차지하고 남은 좁은 길목과 작은 광장들은 평범한 오피스 빌딩 내부에서 볼 수 있는 ‘라운지’를 닮았다. 건물 내부를 외부로 끌어옴으로써, 오픈스페이스의 모습은 더욱 화려해진다. 이러한 틈새 공간들은 공공의 로비foyer가 되고, 입주자들을 환영하고 건물로 이어주는 공간으로 기능한다.건축물과 외부 공간을 이어주는 설계 언어는 정제된 느낌의 재료 팔레트material palette를 통해 구현된다. 광장의 모습은 마치 거친 돌바닥 위에 커다랗고 부드러운 베이지 색의 깔개를 덮은 것 같다. 베이지 색의 화강석 타일은 새 마스터플랜의 주 광장인 헤르베르트-라빈-플라츠Herbert-Lewin-Platz의 경계를 만들고 이 광장에 들어설 공간 구성 요소의 기반이 된다. 동시에 외부공간을 아우르는 전체적인 분위기를 잡아준다. 광장의북쪽 건물에 있던 카페에 야외 테라스를 조성하여 외부 공간과 유기적 관계를 갖도록 유도했고, 광장 주변의 화분과 쓰레기통을 황동 재질로 제작하여 재료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했다. Architect Heinle Wischer & Partner, Braun & Vogt Architects, Ortner & Ortner Architects, Frosch Samara Architects Client Bavaria Object and Building Assistance LLC, Apo Letting LLC Location Berlin, Germany Area 6,500m2 Planning 2001~2005 Completion 2004, 2006, 2009 Commission Type Competition 3rd Prize Photographs Hanns Joosten
마르틴 루터 할레-비텐베르크 대학교
독일 할레Halle에 위치한 마르틴 루터 할레-비텐베르크대학교Martin-Luther-Universität Halle-Wittenberg(이하 할레-비텐베르크 대학교)1에 새로운 법학도서관Juridicum Library과 대강당Auditorium Maximum이 들어서면서 이 도심 캠퍼스는 도시 조직과 지형 속에 녹아들게 되었다. 기존의 건축물들은 캠퍼스 내의 외부 공간과 조화를 이루지 못 하고 있었다. 새로운 건물들이 들어서면서 이러한 이질적인 특성이 더욱 두드러졌고, 여러 분절된 공간 구성 요소를 통합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했다. 이렇게 공간과 건축물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지 못하고 구석구석 틈새가 있는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던 할레-비텐베르크 대학교의 중심부는 하나의 캠퍼스 광장university square으로 재구성되었다. 광장 자체는 사실상 비어있지만, 할레-비텐베르크 대학교에서 분절되지 않는 유일한 공간이 된다. 이 광장은 캠퍼스 내부를 밀접하게 연결하여 할레-비텐베르크 대학교를 일관성 있고 역사적 의미도 담고 있는 공간으로 만들어낸다. Architect Gernot Schulz Architects Client Ministry of Education Saxony-Anhalt,Gernot Schulz Architects Location Halle(Saale), Saxony-Anhalt, Germany Area 8,100m2 Planning 2000 Completion 2002 Commission Type Direct Commission Photographs Hanns Joosten
그리시셰 알리 킨더가르텐
베를린의 쉔바이데Schöneweide 지역에 새로운 유치원을 건설할 당시 외부 공간의 개념을 결정하는 것은 프로젝트 전반에 걸쳐 매우 중요한 문제였다. 이 프로젝트는 새롭게 유치원 건물을 확장하는 과정에서 화재대피 장치를 마련하려던 계획이 야외 공간의 중심축이자 포용성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시설로 발전한 것이다. 그 결과 탄생한 조형적 성격의 램프는 필수적인 화재 대피 장치의 역할뿐만 아니라, 유치원의 내부와 외부의 놀이 공간을 이어주는 편리한 연결 통로로서의 기능도 함께 담당한다. 덕분에 휠체어를 사용하는 어린이들을 비롯한 모든 어린이들이 ‘같은 통로’를 통해 건물과 외부 놀이 공간 사이를 드나들 수 있게 되었다. 야외 공간의 북쪽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이 램프는 공간의 영역을 명확하게 규정하는 한편, 도로와 유치원공간을 확실히 구분 짓는다. 램프를 프로젝트의 중심 요소로 활용함으로써 원래의 정원에서 주변부를 차지하던 공간의 잠재력을 끌어올려 외부 공간의 효용성을극대화할 수 있도록 했다. 이 조형성 강한 램프는 유치원 건물 2층을 정원과 연결시키면서 외부 공간을 두배로 늘려주는 효과를 주고, 원래 소규모 정원을 구성하고 있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램프는 두 개 층을 아우르며 모든 놀이 시설을 한 공간에 모으는 효과를 거두고 있다. Architect Behles & Jochimsen Architects Client Borough of Treptow-Köpenick, Berlin Location Berlin, Germany Area 3,600m2 Planning 2004~2005 Completion 2007 Commission Type Competition 1st Prize Photographs Hanns Joosten
보드 가이스 네트워크 센터
아일랜드 더블린Dublin에 위치한 보드 가이스 네트워크 센터Bord Gáis Network Centre는 건축물과 이를 둘러싼 외부 경관의 상호작용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곳이다. 대상지를 중심으로 도시 기반 시설, 주거 지역, 그리고 상업 개발 지구가 서로 접하고 있으며, 그 너머로는 농업용 그린벨트가 자리하고 있다. 대상지의 북쪽으로는 M50 고속도로도 지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요소들을 융합하여 극적으로 전개시키는 전략을 제시한다. 이 프로젝트에서 조경과 건축의 일반적인 관계는 도치된다. 경관과 건축이 서로를 감추고, 또 위장시킨다. 건축물은 옥상 녹화를 통해 경관의 일부가 되기도 하고, 외부 공간을 건축물이 둘러싸기도 한다. 콜라주와 기하학을 사용한 옥상 녹화 방식을 통해 푸른 들판과 목축업으로 대표되는 아일랜드의 농업 경관agricultural landscape을 모방한다. 보드 가이스 네트워크 센터의 식재 팔레트는 다양한 질감과 부피감을 보여주는 8가지의 잔디와 관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식재 팔레트는 지붕을 따라 플랜터planter와 기하학적으로 구획된 공간에 적용되어 다양한 그래픽 패턴graphic pattern을 만들어낸다. 높은 빌딩에서 보드 가이스 네트워크 센터의 옥상을 내려다보면, 이 그래픽 패턴은 단순하고 변화 없는 2차원의 휘장insignia처럼 보일 것이다. 하지만, 옥상에 설치된 보드워크를 따라 걸으면 이 휘장은 전혀 다르게 읽힌다. 휘장의 점과 선일뿐이었던 라벤더, 황면국santolina, 무어그라스moor grass, 그리고 수상화류fountain grass와 같은 식물은 보는 각도에 따라, 불어오는 바람의 세기에 따라, 또는 햇빛의 방향에 따라 시시각각 다른 모습을 보여준다. 이렇게 끊임없이 변화하는 식물이 만들어내는 그래픽 패턴은 계절이 바뀜에 따라 또 한 차원 다른 모습으로 구현된다. Architect Denis Byrne Architects Client Bord Gáis Networks LLC Location Dublin, Ireland Area 20,000m2 Planning 2009~2010 Completion 2012 Commission Type Direct Commission Photographs Hanns Joosten
르 크루아상
프랑스 파리 ‘왕정 축Axe Royal’의 서쪽에는 파리의 최대 업무 지구인 라데팡스La Defense가 자리 잡고 있다. 남서쪽에는 주로 1970년대의 혼합된 건축 양식을 사용한 근린주구가 위치하고 있으며, 현재 우뚝 솟은 주차 시설이 주거 지역과 업무 지구 사이를 침범하고 있다. 하지만 거대한 주차 시설은 철거될 예정이고 이 공간은 완전히 새로운 오픈스페이스로 재탄생 할 것이다. 르 크루아상Le Croissant은 항상 활기찬 오픈스페이스가 될 수 있도록 새로운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프로젝트는 다양한 문화 요소를 이용해 개인적인 공간을 조성하는 전통적인 정원 설계 개념에서 영감을 받았다. 르 크루아상은 전 세계에서 특별히 엄선된 시설물을 수집해 컬렉션을 만들었으며 이것은 르 크루아상만의 고유한 프로그램 성격을 구축하는 데 보탬이 된다. 시설물은 세 가지 기준에 의해 선정되었다. 첫 번째는 ‘참신함’이다. 참신한 시설물은 평범한 아이템에 약간의 변형을 줌으로써 그것만의 고유한 특징을 갖게 한다. 예를 들면, 싱가포르에서 공수해 온 ‘원형’ 탁구대는 한 번에 여러 게임을 즐길 수 있고, 타이어 펌프가딸린 자전거 고정대는 자전거 문화를 장려한다. 두 번째로는 주변 맥락에서 벗어난 시설이 선정되었다. 캘리포니아에서 공수한 야외 체육 시설과 같이 언뜻 보기에 서로 관련이 없고 엉뚱해 보이는 시설물이 르 크루아상 곳곳에 설치됨으로써 하나의 정체성을 형성한다. Collaboration Les Eclairagistes Associés, OGI Engineers Client EPADESA public planning agency ofLa Défense Seine Arche Location Nanterre/Paris, France Area 80,000m2 Planning 2013~2014 Completion 2016~2020 Commission Type Open Competition, 1st Prize
반데켈 테레지엔회에
조경에 인공적인 요소를 활용하는 방식은 오래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이 방식은 자연 경관을 모사하려는 시도에서 출발했는데, 영국 풍경화식 정원English landscape garden이 그 전형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18세기의 정원은 의도적으로 자연과 인공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드는 경향이 있었다. 대상에 대한 모방 및 변형, 독특한 문화적 요소, 공간에 대한 내러티브는 새로운 공간 정체성을 형성했다. 로즈마리 트로켈Rosemarie Trockel과 캐서린 베나르트Catherine Venart와의 협업 프로젝트인 독일 뮌헨의 반데켈테레지엔회에Bahndeckel Theresien höhe는 이러한 오래된 전통을 따랐다. 반데켈테레지엔회에의 설계 개념은 현대 도시 경관에서 이루어지는 추상화, 모방, 복제에 대한 탐구에서 시작했다. 반데켈bahndeckel, 즉 글자 그대로 ‘철로의 덮개’인 대상지는 새로 건설된 인접한 주거 단지와의 연결을 위해 지하철 노선 위에 구축되었다. 반데켈(철로 덮개)은 그 아래를 지나가는 철로의 형태대로 조성되었으며 밝은 오렌지색 범퍼가 가장자리를 에워싸고 있다. 인근 주택 단지 앞쪽에는 독일의 사질 지역에 자생하는 소나무가 깔끔하게 열식되어 공원의 경계를 이룬다. 공간이 점점 넓어지는 북쪽에는 소나무가 불규칙하게 식재되었다. 반데켈은 모든 방향에서 접근하기 쉽게 설계되었으며 이 지역의 건물 밀도를 완화한다. Collaboration Rosemarie Trockel, Catherine Venart Client City of Munich Location Munich, Germany Area 16,800m2 Planning 2003~2008 Completion 2010 Commission Type Competition 1st Prize Photographs Hanns Joosten
인플래터블스
경관은 시간과 계절에 따라 달라지는 면도 있지만, 흔히 지형학적으로 고정된 것으로 이해되곤 한다. 인플래터블스inflatables는 장소특정적site specific이거나 정적이지 않은 ‘무언가something’를 설계하기 위해 경관의 개념을 다시 생각해 본 설치 작품이다. 이 작품은 실내나 실외에 상관없이 세계 어느 지역에 설치되더라도 즉시 그 주변 공간을 변화시키고 재구성할 수 있도록 디자인되었다. 고무 튜브로 만든 인플래터블스는 공기를 주입하면 커다랗게 팽창하면서 공간의 분위기를 바꾼다. 이 튜브는 주변 맥락과 상관없이 그것이 놓인 환경을 촉각적 경험이 극대화된 공간으로 바꾸어 놓는다. 전 세계를 순회하며 전시되고 있는 이 공기주입식 설치 작품은사람들이 직접 만지고 장난치며 놀도록 유혹한다. 작품의 감각적이고 매력적인 특징에 이끌린 사람들은 이 고무 튜브를 가지고 놀면서 웃고 떠들며 서로 소통하게 된다. 인플래터블스는 쉽게 공기를 빼고 상자에 담아 어디로든 운반할 수 있다. 보는 사람을 유쾌하게 만드는 분홍색의 인플래터블스는 경관과 사회적 분위기를 변화시키는 ‘뿌리 없는 정원garden without roots’이다. Location Wolfsburg(2004), Berlin(2006), Venice(2008),Montreal(2008), Chicago(2009~2010), Beijing(2011),Shanghai(2013), Verona(2014),Planning 2003 Commission Type Direct Commission Photographs Hanns Joosten, Michel Legendre
빅 딕
유년 시절의 수많은 판타지는 ‘정원’에서 탄생한다. 동화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에서 앨리스가 토끼를 쫓아 구멍 아래로 떨어진 곳도 정원이었다. 정원은 상상의 세계와 현실이 이어지는 곳이다. 이 같은 정원에 대한 판타지는 서양에서 전해져 내려오는 여러 이야기 속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그 수많은 이야기 중에서 우리의 관심을 사로잡은 것은 바로 “땅을 파고, 파내고, 또 파내려가면, 그리고 계속해서 파 내려가다 보면, 결국엔 그 노력의 결실로 중국에 도달하게 될 것이다”라는 속담이다. 이 서양의 신화 이면에는 먼 이국땅을 경험해보고 싶은 사람들의 욕구가 자리하고 있다. 2011 시안 국제원예박람회Xi’an International Horticultural Exposition 2011에 설치된 ‘빅 딕Big Dig’은 서양인들이 옛 속담에서 파내려갔던 거대한 땅굴이 도달한 다른 한 쪽 구멍이다. 땅 속으로 빨려들어 가고 있는 듯한 모습의 이 인조 잔디밭은 눈으로 확인할 수는 없지만 분명히 지구 반대편으로 이어질 것이다. 구멍 주위에는 유리 울타리가 쳐져 있어 이곳을 방문한 중국인들이 의도치 않은 세계 여행을 떠나지 않도록 막아준다. 이 유리 울타리는현실과 가상 세계 사이에 가느다란 경계선을 만들어 낸다. 인조 잔디는 대상지 내의 모든 표면을 덮고 있어 정원 전체가 하나의 공간감을 갖도록 한다. 빅 딕의 이러한 인공적 구현 방식은 ‘진짜 같은 가짜real fake’라는 생각을 심어주기에 충분하다. Client Xi’an International Horticultural Exposition 2011 Location Xi’an, China Area 1,000m2 Planning 2010 Completion 2011 Commission Type Direct Commission Photographs Geng Wang, Wang Xiangrong
아쿠아 사커
아쿠아 사커Aqua Soccer는 독일 함부르크에서 열린‘2013 함부르크 국제정원박람회International Garden Show Hamburg 2013’에서 선보인 임시 설치 작품이다.이 작품은 대중에게 잘 알려져 있고 사랑받는 스포츠인 ‘축구’의 전통적인 경기 구조를 상상력을 통해 재구성했다. 이 경기장은 그 형태를 한눈에 인식할 수 있으면서도 동시에 독특하다. 작품의 목적은 먼저, 축구 경기장의 전통적인 직사각형 형태를 왜곡시켜 경기의 빠른 진행 속도를 늦추는 것이다. 두 번째는 경기장을 물에 완전히 잠기게 하여 사람들을 당황하게 하는 것이다. 이로써 단순한 체험이나 의도된 범위 내의 참여를 넘어서 이용자들이 예상 밖의 상호적 체험이 가능하도록 한다. 아쿠아 사커를 설치하면서 축구 경기장의 조건을 의도적으로 변형했다. 쉽고 간단했던 모든 것들이 힘겨워졌다. 직선 슛은 거의 불가능해졌고 골대는 서로 마주보고 있지 않으며 경기장은 극단적으로 좁아졌다. 경기를 하는 데 필수적으로 수반되었던 전략들이 무시되면서 경기의 규칙이 실종된다. 경기장의 직사각형 형태가 변형되면서 마주보는 상대편의 골대에 직선 슛을 할 수 없게 되었고 인조 잔디 대신 물이 채워져 빠르게 움직이는 것이 불가능해졌다. 경기장은 축구장과 수영장을 결합한 새로운 종류의 경기를 가능하게 한다. Client International Garden Show Hamburg 2013 LLC Location Hamburg, Germany Area 650m2 Planning 2011~2012 Completion 2013 Commission Type Direct Commission Photographs Hanns Joosten, Katharina Von Ehren
헤어렌슈얼리 스포츠 콤플렉스
스위스 취리히에서 가장 큰 종합 운동 시설인 헤어렌슈얼리Heerenschürli 스포츠 콤플렉스는 자연 보호 구역, 철도 건널목, 주거 지역, 대규모 공업 지역의 사이에 위치한다. 이러한 입지 조건을 감안하여 헤어렌슈얼리 스포츠 콤플렉스의 설계는 인근 지역을 고려한 도시설계 주제들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1950~1960년대에 건설된 취리히 외곽의 근린 지구는 위계와 중심성이 부족해 단조로운 지역 사회를 형성하고 있고 쓸 만한 공공 공간이 없는 상태다. 통상적인 여가 활동뿐만 아니라 운동에 필요한 전반적인 시설을 지역 사회에 제공함으로써 헤어렌슈얼리는 종합 운동 시설과 공원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곳에는 벤치, 식당, 아이스링크, 라커 룸 등을 갖춘 광장도 조성되었다. 지역의 스포츠 클럽이 문을 닫는 시간에는 대중이 접근할 수 있도록 잔디 구장을 개방한다. 직각 그리드의 기단과 수직 펜스를 강조한 설계는 단조로운 근린 지구에 결여된 도시적 밀도를 이끌어낸다. 강한 그리드 축을 형성하는 보행자와 자전거 이용자용 포장도로는 마텐호프Mattenhof의 남쪽 지역을 북쪽의 우버란트스트라세Uberlandstrasse와 연결하고, 서쪽의 새로 생긴 히어첸바흐Hirzenbach 전철의 환상선과 동쪽의 슈테트바흐Stettbach 녹지를 연결해 체육 시설 전체에 걸쳐 연결성을 확보한다. 헤어렌슈얼리의 도로 체계는 도심의 골목길, 광장 모습과 유사하고, 구장은 도시의 단위 블록 역할을 한다. 안전과 공간 분할을 위해 필요한 구장의 높은 펜스는 이곳의 밀도를 더 극명하게 드러낸다. 헤어렌슈얼리 구장의 펜스는 필요에 의해 설치된 흉물스러운 것이 아니라 그 자체로 하나의 디자인 오브제다. 즉, 이 과도하게 큰 녹색 펜스는 활용도가 높은 오브제다. 이 펜스는 방문자의 시점에 따라 구장의 광경을 열고 닫음으로써 일종의 시각적 게임을 연출할 수 있도록 이중으로 설치되었다. Architect Dürig Architects Client Grün Stadt Zürich(Park Development Agency) Location Zurich, Switzerland Area 97,000m2 Planning 2005~2008 Completion 2010 Commission Type Competition 1st Prize Photographs Hanns Joosten
마젤라케카날 스포츠 파크
독일 베를린에서 서쪽으로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한 슈판다우Spandau는 과거 산업 지구였던 곳으로 현재 도시 활성화 사업이 광범위하게 진행 중이다. 이곳의 임시 설계 계획은 지속적으로 진행되는 슈판다우 재개발 사업의 일환이며 변화의 기로에 서 있는 이 지역이계속 유용한 공간으로 남을 수 있도록 유도해 왔다. 활성화 사업의 주요 목표 중 하나는 기존의 산업 운하를 주변의 도시 조직과 연계시켜 대중을 위한 새로운 워터프런트로 조성하는 것이다. 마젤라케카날Maselake kanal 프로젝트는 임시 스포츠 광장Sportsplatz과 이후에도 유지될 워터프런트를 포함한다. 이 프로젝트는 이전에 황폐하게 남겨진 산업 지구를 공공 오픈스페이스로 탈바꿈시켜 새로운 공간적 가치를 창출하고자 한다. 스포츠 광장은 과거에 산업용으로 사용되다 버려진 부지에 위치한다. 현재 이곳은 아스팔트로 포장되어 산업잔해나 오염물이 남아있지 않으며 완전히 새로운 지형을 갖추고 있다. 부지 곳곳을 가로지르는 노란색 선형패턴이 인상적인 아스팔트 지면은 유쾌하고 기하학적인 패턴을 통해 과거의 산업 지대에 다시금 활기를 불어넣고 공간의 역사를 재해석하고 있다. 노란색과 검은색 분리대와 같은 과거 산업 시대의 요소들은 이 장소의 역사를 기억할 수 있게 하는 미묘한 표식이다. 건설과 도로 공사를 상징하는 노란색과 검은색을 이곳이 놀이 공간임을 알려주는 표시로 재해석했다. 물결 무늬로 표현된 바닥면의 그래픽 패턴은 ‘움직임’을 상징한다. 즉, 공원에서 이 노란 선은 아이들이 행위의 제약 없이 공간을 자유롭게 활용하여 놀 수 있도록 유도하는 하나의 놀이 요소다. 임시로 설계된 이 공간은 하나의 정의로 공간을 규정하지 않으며, 추후 이 지역이 도시재생을 통해 활력을 되찾을 때까지 공원으로서의 역할을 할 것이다. Client Wasserstadt LLC Location Berlin, Germany Area 25,000m2 Planning 2005 Completion 2006 Commission Type Direct Commission Photographs Hanns Joosten
카이아크 마켓 파킹
베를린 남부의 트렙토 쾨페니크Treptow-Köpenick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구역이다. 이 지역의 공공 가로, 광장, 오픈스페이스 등은 개발로 인해 많은 영향을 받고 있다. 그 가운데 공간의 용도가 확실히 정해지지 않은 틈새 공간들이 도시 조직을 비집고 생겨나고 있다. 대개 차후 개발을 위해 남겨진 이러한 틈새 공간을 주민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일시적인 개입과 개조가 이루어지곤 한다. 이 프로젝트는 주차장으로 이용되고 있는 황량한 틈새 공간에 임시적으로 공간의 정체성을 부여했다. 지역 주민과 함께 회의를 하면서 설계가 시작되었다. 대화를 통해, 주민들이 이 공간을 기존처럼 주차 공간으로 이용하면서 동시에 장터와 아이들의 놀이 공간으로도 활용하고 싶어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일견 상충되어 보이는 세 가지 이용 방식을 통합해서 주간 일정에 따라 공간의 기능이 달라질 수 있도록 설계했다. 이 설계의 목표는 모든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유연하고도 흥미로운 공간을 만드는 것이었다. 이곳은 평일에 주변의 상업 지구 이용객의 주차장으로 쓰인다. 주말이 오면 광장 중앙에 빨간색 우산이 펼쳐진다. 이 우산은 한 주의 마감을 알리며 주차장을 놀이공간과 장터로 변신시킨다. 바닥에 그려진 주차 구획선도 다용도로 활용된다. 주말이 되어 주차되어 있던차들이 전부 빠져나가면, 주차 구획선은 시장 좌판의 구역을 표시하는 선이 된다. 한편 토요일에 이 공간은 시장으로도, 주차장으로도 이용되지 않는 공간으로 남는다. 공간이 텅 비게 되면 바닥에 그려진 유쾌한 도형들이 더욱 뚜렷하고 분명하게 강조된다. 따라서 아이들은 이곳에 그려진 곡선이나 커다란 숫자 표시를 거대한 사방치기 놀이판이나 자전거 경주 트랙으로 상상할 수 있다. 아이들에게 이곳은 재미있는 상상의 공간이다. Client Stadtkunstprojekte e.V. Location Berlin, Germany Area 1,022m2 Planning 2006~2007 Completion 2007 Commission Type Cooperation Process 1st Prize Photographs Hanns Joosten
수퍼킬렌
수퍼킬렌은 다양한 민족의 사회 구성원이 거주하는 코펜하겐 뇌레브로Nørrebro의 도시 공원이다. 이곳은 덴마크 수도에서 가장 역동적이고 다문화적인 구역 중 하나이면서 폭동과 길거리 폭력이 잦기로 악명 높기도 하다. 공모전은 지역의 사회적 이슈를 환기하는 공원을 구상할 것을 요구했다. 수퍼킬렌의 최종 설계안은 이민과 관련한 갈등을 새로운 맥락에서 해석recontextualize하고 이를 자극하지만 동시에 이주자 사회의 다양성을 기념함으로써 고유의 정체성을 가진 새로운 공공 공간을 창조했다. 해외의 이국적 장식품folly을 수집하고 활용하는 아이디어는 전통적인 영국 풍경화식 정원English landscape garden의 핵심 디자인 원리다. 영국식 정원은 정원에 활용한 오브제를 통해 소유자의 개성과 정체성을 투영한다. 수퍼킬렌은 다문화적인 뇌레브로 지역 사회를 상징하는 아이콘이 되고자 했다. 문화적인 차이와 이와 관련한 갈등을 노출시키는 작업이 설계의 핵심이었다. 수퍼킬렌의 해외 오브제 컬렉션은 서로 관련이 없어 보이는 다양한 오브제가 모여 하나의 ‘장관’을 이룰 수 있음을 보여준다. 지역 주민들이 직접 선택한 수퍼킬렌의 오브제는 공원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정체성을 표현하며 그들의 출신 배경을 덴마크의 공공 공간에 투영하고 통합한다. 수퍼킬렌은 이주자 사회에 대한 현대적인 개념을 외형적인 형식으로 드러냈으며 디자인에 있어서 대중 참여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Collaboration Bjarke Ingels Group, Superflex Client City of Copenhagen and Realdania Location Copenhagen, Denmark Area 27,000m2 Planning 2008~2010 Completion 2012 Commission Type Competition 1st Prize Photographs Iwan Baan, Mike Magnussen, Hanns Joosten,Jens Lindhe
이주하는 경관
이주migration를 하고자 하는 욕구는 더 낫거나 다른 생활 여건에 대한 호기심과 바람에서 비롯된다. 이주는 각기 다른 다양한 층위에서 이루어진다. 즉 국제적, 국내적, 혹은 농촌에서 도시로의 이동 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최근 발생하고 있는 전 지구적인 대규모 이주는이주라는 개념 자체를 심대하게 바꿔놓았는데, UN이 내놓은 보고서에 따르면 2013년 한 해 동안 세계적으로 2억3천2백만 명의 사람들이 이주했다고 한다. 다시 말해 2억3천2백만 명에 달하는 사람들이 이전과는 다른 삶의 공간을 적극적으로 찾아 나섰다는 것이다. 이러한 현대적 의미의 이주는 끊임없이 요동치는 상태에 놓여있는데, 이주가 단기적 성격과 장기적 특징을 동시에 갖고 있기 때문이다. 서로 밀접하게 연관된 국제 사회 속에서 이주자의 풍습은 더 이상 고향에 남겨두고 떠나야 하는 대상이 아니다. 국제 항공편과 인터넷을 통해 누구든 손쉽게 고국의 문화를 접할 수 있기때문이다. 따라서 이민자 사회는 이국적 문화를 생생하게 보여줄 뿐만 아니라, 동시에 새로운 지역성을 역동적으로 창출하게 된다. 이처럼 대규모 이주가 일어나는 상황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공공 공간 설계에 있어서도 몇 가지 새로운 고려 사항이 등장하게 된다. 동시대의 다채로운 문화가 서로 만나는 접점으로서 공공공간은 이민자 사회가 정체성을 확립하고 통합을 이뤄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게 된다. 조경 분야에서 유서깊은 방법들, 특히 정원 영역의 여러 방식들이 공공 공간 내의 낯선 지역성이라는 새로운 형태를 만들어나가는 데 통찰력을 제공해 줄 것이다. 이주란 일종의 열망할 만한 낙원으로서 향상된 환경을 찾아내려는 인류의 욕망이 물리적으로 표현된 것이다. 이러한 에덴동산에 대한 갈망을 통해 인간은 문학, 경관 그리고 도시계획에 이르기까지 다채로운 문화적 양태들을 수세기에 걸쳐 창조해 왔다. 정원은 끊임없이 미지의 낙원을 상징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종교적이든 형이상학적이든 간에 정원은 본질적으로 목가적 아름다움, 조화로움, 그리고 행복을 간직한 공간인 것이다. 에덴동산이 그 안에 있는 인간을 보호해주는 낙원이었던 것과 마찬가지로 벽으로 둘러싸인 전통적인 정원 역시 일종의 낙원으로 여겨지는 것이다. 따라서 사막의 오아시스처럼 정원은 외부 세계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유보된 공간인 셈이다. 페르시아지역의 정원들이 이란 고원의 가혹하고 건조한 경관에 대한 대척점으로 개발되었던 것이나, 뉴욕의 복잡한 거리 한복판에 센트럴 파크Central Park가 자리잡고 있는 것처럼 정원은 언제나 이방인인 것이다. 낙원에 대한 인공적인 개념으로서 정원은 전통적으로 이상화된 현실과 사회적 동기를 구현해 왔다. 사상과 정체성이 구체적인 형태로 표현된 정원에 있어서 거대한 사회적 변화는 정원의 혁신을 불러오곤 한다. 기하학적인 파르테르 parterre와 가지런한 토피어리가 주를 이루는 바로크식 정원은 엄격한 위계질서 및 절대왕권을 표상하는 반면, 낭만주의 시대의 정원은 격식을 갖추지 않은 식재와 자유분방한 이동 등을 토대로 세속적이고 민주적인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정원은 사회적 정체성을 간접적으로 반영해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
일탈, 재맥락화, 그래픽 비전
18년 전 창립한 이래로 토포텍 1Topotek 1은 작거나 큰 규모, 전통적이거나 예측 불가능한 방식, 몽환적이거나 이성적인 형태, 그리고 논란의 여지가 있거나 조화로운 스타일 등 광범위한 디자인 영역을 지속적으로 개척해 왔다. 초창기부터 우리는 극단적 표현을 하는데 주저하지 않았으며, 디자인 접근법에 있어서도 타협을 모르는 솔직하고 단호한 성격을 견지해 왔다. 다양한 유형을 바탕으로 다채로운 소재를 활용하면서도 아름다움에 대한 신념을 바탕으로 일관성을 창조했다. 더불어 주어진 현실을 가공하고 변용하려는 열망과 단호하지만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접근법을 포기하지 않았다. 우리는 평화로운 것을 추구하든 도발적인 것을 요구하든 우리만의 방식을 결합, 분할, 확장, 단순화, 취합, 역발상, 과장, 차용, 제거, 축적, 그리고 강조등의 방법을 통해 적절히 활용함으로써 고객이 원하는 그 어떤 것도 해낼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이 모든 것은 매력적이고 강력한 공간을 창조하는 동시에 우리가 만든 작품이 분명한 색깔을 띠게 하려는 궁극적 목표에 귀속된다. 우리는 만병통치약 같은 주먹구구식 접근법을 따르지 않는다. 대신 대상지에 특화된 문화적, 사회적, 역사적, 그리고 물리적 맥락을 바탕으로 한 다양한 디자인 도구를 끊임없이 발전시키고 있다. 토포텍 1의 철학은 일탈aberration을 그 근간으로 한다. 다시 말해 합리성에 대한 회의를 바탕으로 특이함, 부조화, 그리고 예측 불가능성이 부추겨지는 성격의 철학이다. 현대의 도시설계 사조는 다양성과 갈등을 상쇄시킴으로써 도시를 조직하고 구획하고자 하는 것이보편적인 데 반해 우리는 상충하는 특성들을 디자인을 위한 디딤돌로 삼는다. 설사 표준화가 평화를 가져다주는 방법일지라도, 갈등을 빚는 상황을 회피하는 것은 혁신적 디자인을 추구할 수 있는 기회를 상실하는 것이라고 믿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부정적인 측면’을 새롭게 해석함으로써 호락호락하지 않은 상황을 반전시키고 불리해 보이는 요소들을 디자인의 견인차로 활용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간혹 외부적인 요구 조건들이 디자인 프로젝트의 일부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헤어 렌슈얼리 스포츠 콤플렉스Heerenschürli Sports Complex의 경우 경기장 규격이 거의 추상 미술 작품에 가까운 울타리를 필요로 했다. 우리는 딱히 정이 가지 않고 주변을 갈라놓기만 하는 울타리 요구 조건을 그대로 수용하기로 결정했으며, 과잉 디자인을 통해 수월성을 추구하는 사례를 남기게 되었다. 우리는 실용성을 풍성함으로 대체했으며, 6m 높이의 강렬한 녹색 울타리는 두 배로 늘렸다. 코펜하겐 인근 뇌레브로Nørrebro에서 진행한 수퍼킬렌Superkilen 프로젝트의 경우 지역 주민들은 특히 거리 폭력에 대한 우려를 분명히 드러냈다. 우리의 해결책은 야외 권투 경기장을 설치하는 것이었다. 태국의 복싱 링을 본떠 만든 이 경기장 덕분에 당면한 문제를 직시하고, 이를 겉으로 드러내는 한편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게 되었다. 긴장 상태를 겉으로 드러내고 다른 방향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우리의 열망은 계획적 충돌calculated collision이나 독창적 이종교배inventive hybridisation 같은 디자인 전략을 통해 고스란히 드러난다.
토포텍 1
수퍼킬렌Superkilen을 통해 우리에게 깊은 인상을 남긴 토포텍 1Topotek 1은 통념을 뛰어 넘는 디자인으로 조경 설계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가고 있는 디자인 오피스다. 1994년, 그래픽으로 완성한 ‘아파트 주차장 놀이터’로 독일 조경계를 떠들썩하게 만들었던 마르틴 라인-카노Martin Rein-Cano는 1996년 베를린을 기반으로 토포텍 1을 설립했다. 이후 20여 년 동안 토포텍 1은 작은 옥상 정원에서 부터 대규모 역사유적지까지, 정원박람회의 쇼가든에서 신도시의 마스터플랜까지 다양한 규모와 지역을 넘나들며 전복적인 형태뿐 아니라 풍부한 상징과 문화적 해석을 선보여 왔다. 처음 베를린 미테Mitte 지역에 작은 설계사무소를 설립했을 당시에는 상상할 수 없던 일이다. 현재 토포텍 1은 다양한 국적과 배경을 가진 40여 명의 인력을 보유한 회사로 성장했다. 1999년부터 렌츠 덱슬러Lorenz Dexler가 경영 파트너Managing Partner로 함께 일해 왔고, 2010년부터는 프란체스카 베니어Francesca Venier(현 공동 대표)가 합류해 건축 설계를 담당하고 있다. 토포텍 1은 다양한 유형과 규모의 대상지를 다루는 과정에서 지역 구성원들은 물론, 로스메리 트로켈Rosemarie Trockel과 수퍼플렉스Superflex와 같은 예술가, 그리고 MVRDV, BIG, 치퍼필드 아키텍츠Chipperfield Architects와 같은 건축사무소와 협업하며 그 활동 영역을 넓히고 있다. 본지는 2013년 1월호와 2014년 10월호에서 각각 ‘수퍼킬렌’과 ‘포티피케이션 에렌브라이 트슈타인Fortification Ehrenbreitstein’을 소개한 바 있다. 이번 호는 최근 10여 년의 주요 작업들을 통해 토포텍 1의 작품 세계와 철학을 엿볼 수 있는 기획을 준비했다. 토포텍 1의 작품에는 ‘갈등의 미학’, ‘계획적 충돌’, ‘독창적 이종교배’, ‘위치 변경’, ‘재맥락화’, ‘그래픽적 표면’ 등 다양한 수식어를 붙일 수 있다. 이번 특집에서는 모두 17개의 작업을 전복subversion, 종합synthesis, 이중성duplexity, 명료성clarity, 프레임워크framework 다섯 가지 카테고리로 나누어 소개한다. 함께 수록된 두 편의 에세이에서는 분명한 색깔을 추구하는 이들의 작품이 정원의 전통과 동시대의 현실에 뿌리내리고 있음을 흥미롭게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고정희 대표(써드스페이스 베를린 환경아카데미)가 베를린에서 라인-카노를 만나 못다 풀어낸 이야기를 나누었다. “조경의 세계에 유머, 예술성, 사회적 상호작용, 그리고 감성”을 부여하고 싶다는 토포텍 1의 작품 세계를 탐험하는 흥미로운 여정에 독자들을 초대한다. essay 일탈, 재맥락화, 그래픽 비전: 토포텍 1의 디자인 철학 _ 마르틴 라인–카노 로렌츠 덱슬러·키아라 펠리츠 디 팔마 이주하는 경관: 다원주의와 정원 _ 마르틴 라인–카노·로렌츠 덱슬러·키아라 펠리츠 디 팔마 subversion 수퍼킬렌 | 카이아크 마켓 파킹 | 마젤라케카날 스포츠 파크 | 헤어렌슈얼리 스포츠 콤플렉스 아쿠아 사커 | 빅 딕 | 인플래터블스 | 반데켈 테레지엔회에 | 르 크루아상 synthesis 볼프스부르크 캐슬 가든 | 클로이스터 로르쉬 duplexity 보드 가이스 네트워크 센터 | 그리시셰 알리 킨더가르텐 clarity 마르틴 루터 할레–비텐베르크 대학교 | KPM 쿼터 | 하케셔 쿼터 framework 창사 글로벌 빌리지 마스터플랜 interview 도전적인, 너무나 도발적인: 마르틴 라인–카노와의 대화 _ 고정희
[칼럼] 한국 조경과 리얼리티의 회복
“레알이야” 리얼이 리얼로 보이지 않는 세태에 대해 청춘들은 ‘리얼’ 대신 ‘레알’로 말한다.“레알리!” 나도 믿기 어려운 꿈과 같은 현실이다. 조경 40년의 숙원이던 ‘조경진흥법’을 우리는 작년 말에 제정해냈다. 조경 공동체는 재작년 말에 조경 가문의 가훈이라 할 ‘한국조경헌장’을 제정한데 이어 드디어 법이라는 제도적 집을 갖게 되었고, 대한민국에서 조경은 더 이상 임의적 분야가 아닌 정규적 분야로서의 지위를 공인받았다. 이제 조경은 조경진흥법 이전과 구분되는 진흥법 이후의 역사를 새로 쓰게 되었다. 이제 이 ‘집’의 구성원인 조경 가족과 함께 리얼한 실천을 통해 가정을 이루고 주변 세상의 행복에 기여해야 할 차례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서 한국조경의 대내외적 현실을 새로운 각도에서 반성하고 전망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대외적으로 보자. 조경의 인접 분야들은 21세기의 전환기에 시대 정신을 꿰뚫는 담론과 개념들을 창출하여 해당 분야의 사회적 위상을 제고하고 이들 담론을 국가적 어젠다로 추동하여 중장기적인 공공 수요를 창출한 선례들을 내보였다. 도시 쪽은 일찍이 1990년대 후반에 ‘걷고 싶은 도시’나 ‘살고 싶은 도시’ 담론을 시민 운동으로 추진하여 근 10년 이상 국가적, 지역적인 연구와 사업 수요를 창출해 왔다. 이에 따라 도시 곳곳에 보행 전용 가로와 공원, 광장 등 보행 공간들이 증설되었으며, 조경 분야 또한 이의 시행 단계에서 수혜를입었다. 산업디자인 분야도 2000년대에 들어 ‘공공디자인’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창안해 도시 환경의 새로운 분야로서 입지를 확보한 바 있었고, 건축 분야는 더욱 저돌적으로 ‘건축기본법’ 속에 ‘공간 환경’이라는 전대미문의 개념을 만들어 도시와 조경까지 건축의 영역에 포섭하려는 전략을 제도화하고 있다. 이들과 함께 그동안 지속적인 애증관계를 가져왔던 산림 분야에 이르기까지 최근의 업역 경쟁은 가히 담론 전쟁과 개념 전쟁의 형태로까지 가열되고 있다. 이에 비해 조경 쪽에서는 그간 이들에 필적할 만한 정책적 담론 제시가 미약했다. 뼈아픈 고백이지만 조경의 기원에서 최근의 급성장에 이르기까지 우리는 외부의 정치·경제적 계기와 여건에 편승하여 발전해 왔던 것이 사실이다. 우리 스스로 창출한 가치와 담론, 그에 의한 사회적 수요의 견인은 상대적으로 희박했던 것이다. 그 이면에는 조경 지성의 현실 인식의 부재, 이론 연구의 부재가 있었다. 이것이 과거 한국 조경의 대외 정책의 리얼리티였다. 다음으로 대내적 현실을 보자. 교육·연구 분야와 계획·설계 분야의 현실에 대한 많은 지적이 있어왔으나, 주요 쟁점들에 대해서는 충분한 논쟁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문제가 계속 잠복되어 온 상태다. 특히 현재 50여 개 대학에서 행해지는 교육·연구의 틀은 조경 40년의 역사에도 불구하고 고식적·획일적이며 실무와 연동되지 못하여 개혁과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이 대표적인 지적이었다. 계획·설계에 있어서는 생태적 접근이든 예술적 접근이든 아직도 ‘그림 같은’ 녹색 낭만주의에 머물러 있다는 자성의 목소리가 반복되어 왔다. 내가 보기에 조경 교육과 연구의 기본적인 한계는 조경의 본질적 가치인 지역성과 현장성을 등한시한 데 있었다. 특히 이론 연구에 있어서는 1980년대 이래 미국발 실증주의의 프레임에 의한 추상적논리가 아직도 연구 방법을 지배하고 있다는 점또한 지적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연구 방법은 생생한 현장의 구체성을 수리적 예측 모형으로 추상화시키는 반면 조경의 전통적인 인문적·예술적·미학적 가치를 위축시킴으로써 조경 교육과 연구의 불균형을 초래하고 이론 연구와 계획 설계의 연동성을 약화시켜 왔다. 계획·설계의 경우, 새로운 프로세스와 표현 방법에도 불구하고 많은 결과물이 반복해서 낭만적 자연주의에 그치고 있다. 이는 수요층의 완고한 보수적 관점 때문이라고 볼 수도 있겠으나, 결국 냉정하게 말하자면 조경가들의 시대 정신의 인식 부족과 실험 정신의 부족 때문이라고 기록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와 같은 조경 문화의 정체성 결핍을 타개할 수 있는 한 방안으로 새삼스럽게 사실주의의 회복, 리얼리티의 복권을 거론하고 싶다. 사실주의란 문예사에 있어서 낭만주의와 근대주의 사이에 위치하여 후자를 태동시킨 계기적 사조로서 근대 이전의 이상주의를 타개하고 동시대의 사회문화적 현실 그 자체에서 미적 가치를 발견하고 표현하려 한 태도를 말한다. 미술의 여러 인접 장르 중에서 유독 조경 디자인은 사실주의를 건너뛰었다. 조경사조에서는 이 부분이 공백이었는데, 최근에 이르러 설치 미술이나 팝아트 등을 적용한 조경의 등장과 함께 일상의 세속 환경을 모티브로 채택하는 작품들이 눈에 띄게 늘어나면서 신사실주의적 조경이 대두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독일의 피터 라츠가 설계한 철강 공장 공원의 장중한 회고적 리얼리즘을 지나서, 최근 세상을 크게 한방 때린 아르헨티나 출신 마르틴 라인-카노Martin Rein-Cano의 수퍼킬렌Superkilen 공원이 대표적인 예다. 바닥에 그린 전위적 페인팅, 다문화적 낙서 그림과 같은 이 공원은 마치 미국 지하철의 낙서 화가 바스키야를 연상케 하는 독특한 실험적 경관을 통해서 주변 문화 집단의 다양한 노스탤지어를 느끼게 한다. 나는 다른 글에서 한국 최초의 사실주의적 공원으로 쌈지공원을 든 바 있는데, 최근의 도시재생 운동과 함께 도시 가로와 골목길의 생활 환경을 주민과 함께 재탄생시키는 현장 지향적 리얼리즘이 점차 힘을 얻어가고 있다. 이는 시대 정신의 반영으로 보인다. 조경 운동도, 교육과 연구도, 설계도 이러한 최근의 리얼리스틱한 흐름을 주의 깊게 보고 현장 연구를 통해 조경 독자적인 창의적 방법론을 세울 필요가 있다. 당장 큰 사업성을 기대하기는 어려우나 이 속에서 그동안의 조경의 거품과 리얼리티의 빈곤을 반성하고 보다 윤리적인, 그래서 조경인과 시민이 함께 행복한 차세대 조경의 싹을 키울 수 있다고 본다. 또한, 이를 도시 전역으로 확장시키면서 새로운 도시의 경관 양식의 창조를 조경이 주도할 수 있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생각해 본다. 이 글이 아직 레알에 이르지 못한 가설이라 하더라도. 김한배는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교수로 한국조경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우리 도시의 얼굴 찾기』 외 다수의 저서를 집필하였고, ‘도시 환경 설계의 합리주의와 경험주의 사조에 관한 고찰’,‘혼성적 환경 설계의 기원과 전개’, ‘동양 그림의 경관관이 작정원리에 미친 영향’ 외 많은 논문을 발표했다. 미술과 조경, 도시경관 양식의 상호 관계에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연구 중이다.
[에디토리얼] 편집된 공간
방배동에 짐을 푼 지 한 달 반이다. 『환경과조경』 식구들의 행동 반경이 슬슬 넓어지기 시작했다. 마감에 쫓기더라도 매끼를 배달 음식으로 해결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일주일 전에는 요즘 뜨고 있다는 ‘사이길’로 진출하기에 이르렀다. 간식이라고는 맥주밖에 모르는 남기준 편집장도 이곳에서는 수제 아이스크림을 입에 물었다. 방배동 사이길은 함지박사거리 근처에서 서래초등학교까지 이어지는 작은 골목길이다. 입에 쉽게 붙는 길 이름은 도로명 주소 ‘42길’을 그대로 사용한 것인데, 20세기 초의 옛 지도에서도 이 길의 형태를 확인할 수 있을 정도로 강남에서는 보기 드물게 시간의 흔적이 쌓인 장소다. 300미터 남짓한 거리지만 느긋하게 산책하며 커피 한 잔 하거나 아이 쇼핑을 즐길 수 있는 골목이다. 당근 케이크로 유명한 동네 빵집, 개성 강한 가죽 수제품 가게, 발길을 유혹하는 아트갤러리, 제작과 판매를 같이 하는 향수 공방, 빈티지 소품 가게와 디자인 편집 숍이 적당한 여유와 밀도 속에 늘어서 있다. 건축가나 조경가가 폼 잡고 설계한 공간이 아니다. 과하지 않게 디자인된 잡지처럼 자연스럽게 잘 “편집된 공간”이다. 허나, 아쉽지만, 뻔하다. 매체를 조금 더 타고 셀카족 언니들이 더 많이 몰려들기 시작하면 이 사이길도 예의 ‘길 시리즈’처럼 대기업 프랜차이즈 숍에 점령당할 것이다. 가로수길처럼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할 것이다. 더 세련되고 쾌적하게 개선하자는 심산으로 조경가를 불러 가게 앞에 녹지를 끼워 넣으면, 건축가가 폼잡고 손을 대면, ‘걷고 싶은 길’이라는 이름을 내걸고 보차를 분리하거나 없던 인도를 억지로 만들면,이런 길이 오히려 망하기 시작한다. 우리는 전문가의 디자인이 자연발생적인 공간 편집을 망쳐놓은 사례를 무수히 목격해 왔다. 진한 농도의 수제 밀크 아이스크림콘이 녹아내릴 때쯤, 토포텍 1Topotek 1의 마르틴 라인-카노Martin Rein-Cano에게 사이길을 설계 사이트로 맡기면 어떤 기막힌 아이디어를 내놓을지 궁금해졌다. 이번 호 특집을 위해 몇 달째 토포텍 1을 붙잡고 있기 때문만은 아닐 것이다. 이례적으로 100쪽의 지면을 할애한 토포텍 1의 작품들에 독자들이 어떤 반응을 보이실지 기다려진다. 토포텍 1처럼 평가가 엇갈리는 동시대의 조경가를 찾기란 쉽지 않다. 생태, 과정, 작동 등과 같은 최근의 설계 이슈가 이제 지겨우시다면, 라인-카노라는 쟁점적 인물과 그의 문제작들을 놓고 모처럼 신선한 토론을 즐겨보시길 권한다. 강렬한 패턴과 고채도의 색과 굵은 선으로 가득한 토포텍 1의 작품은 과격하고 도발적이다. 꼭 포르노그래피를 보는 느낌이다. 재작년 여름에 만났던 코펜하겐의 수퍼킬렌Superkilen은 숨이 막힐 정도로 자극적이었다. 데뷔작인 스카이 가든Sky Garden부터 최근작에 이르기까지 라인-카노의 많은 작품들은 ‘시각적’ 어필만을 위해 원색과 강한 선으로 ‘바닥’에 마음껏 그림을 그렸군, 하는 첫인상을 준다. 그러나 그렇게 한방에 단언해 버리며 책장을 덮을 일은 아니다. 토포텍 1의 작업을 가로지르는 핵심은 ‘표면 전략surface strategy’이다. 3차원의 공간에 대한 관심보다는 지구의 표면, 즉 바닥에 주목한다. 설계의 대상이 정원이건 공원이건 광장이건 넓은 대지이건 간에, 라인-카노는 그것을 무언가를 채워야 하는 공간이 아니라 하늘과 만나는 이차원의 표면, 즉 바닥으로 환원한다. 표면으로 환원된 공간을 그는 시각적으로 ‘편집’한다. 질서를 부여하기 위해, 때로는 통제된 규칙을 허물고 자유를 얻기 위해. 이러한 편집의 매개체가 되는 것이 그의 일관된 ‘그래픽 비전graphic vision’이다. 토포텍 1의 작품들은 물리적 스케일이나 표면 질료의 성격과 상관없이 늘 그래픽적이다. 의도적인 선형 패턴의 그래픽을 통해 시각적 편집을 넘어서는 역사적·문화적 편집을 시도하기도 한다. 그리스의 신전, 모로코의 분수, 팔레스타인의 토양, 프랑스 정원의 자수화단, 영국 풍경화식 정원의 낭만, 일본 정원의 사색, 중국 정원의 정자 등 이질적 역사와 문화의 성분이 편집된다. 라인-카노의 작업은 표면이라는 같은 텍스트에 그래픽이라는 같은 매개체를 투입하여 이종의 가치와 복수의 문화가 교배된 새로운 콘텍스트를 편집해낸다. 그의 디자인에 단 하나의 개념을 달 수 있다면, 그것은 아마도 ‘편집’일 것이다. 편집 앞에 조금 거창한 수식어를 붙이자면 ‘미학적’보다는 ‘사회학적’이 오히려 나을 것 같다. 잘 편집된 공간 사이길에 토포텍 1의 편집된 공간들을 엎고 섞다 보니, 불현듯 “세상의 모든 창조는 이미 존재하는 것들의 편집”이라는 김정운의 구라가 그럴듯하게 와 닿는다. 이번 마감이 끝나면 요즘 잘 팔린다는 그의 신간 『에디톨로지』를 날라리 책이라는 편견을 버리고 한번 찬찬히 읽어봐야겠다. 그나저나 이번 호가 잘 편집된 잡지일지, 근심이다.
팔로 알토 어도비 크리크 보행·자전거 다리
101번 고속도로 보행교 프로젝트 실리콘 밸리의 심장부에 위치한 팔로 알토Palo Alto에는 101번 고속도로와 베이 트레일 주변에 자리한 기술 및 연구 회사―구글, 인튜이트(Intuit), 스페이스 시스템즈 로랄(Space Systems Loral) 등―에 다니는 수백 명의 회사원이 거주한다. 이 직장인들이 출퇴근 시 이용할 수 있는 지하도―101번 고속도로 아래를 통과한다―가 마련되어 있지만 인근의 연못이 자주 범람하기 때문에 일 년 중 절반 정도만 이용이 가능하다. 이에 팔로 알토 시는 101번 고속도로 위를 지나는 보행교 프로젝트The Highway 101 Pedestrian Overpass Project를 계획했다. 이 공모 프로젝트를 통해 조성되는 다리는 기존의 지하도를 대체할 뿐만 아니라 팔로 알토 지역과 산타 클라라 밸리 정비 지구Santa Clara Valley Water District를 연결하게 된다. 따라서 팔로 알토에 거주하는 직장인은 전보다 쉽게 회사로 이동할 수 있으며 산책로와 자전거의 이용이 활발해져 베이랜드의 아름다운 경관을 많은 이가 즐길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2015년 1월 최종 후보에오른 세 팀 중 64노스64North의 작품이 당선되었다. 당선작은 2016년 의회의 승인을 받은 후, 2018년 건설을 시작해 2019년 완공될 예정이다. 수년 동안 이 지역의 인프라스트럭처는 자동차를 중심으로 조직되고 설계되었다. 덕분에 지역 간 이동과 연결은 쉬워졌지만 상당한 비용 지출, 탄소 배출, 소음,분진 등의 문제도 발생했다. 이에 팔로 알토의 지역 사회는 보행로와 자전거 도로, 레일, 무인 자동차 등을 활용하여 보다 다각적인 미래를 구상하기 시작했다. 오늘날 인프라스트럭처는 하나의 기능만을 염두에 두고 단기간에 설계된다. 64노스는 인프라스트럭처가 오히려 다양한 기능을 지녀야 한다고 생각했다. 인프라스트럭처 중 하나인 다리는 연결이라는 기능뿐만 아니라 좀 더 유연하게 미래 계획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다리는 아름다운 경관과 경험을 선사하며, 더 나아가 주변의 자연 세계를 다채롭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수년 동안 이 지역의 인프라스트럭처는 자동차를 중심으로 조직되고 설계되었다. 덕분에 지역 간 이동과 연결은 쉬워졌지만 상당한 비용 지출, 탄소 배출, 소음, 분진 등의 문제도 발생했다. 이에 팔로 알토의 지역 사회는 보행로와 자전거 도로, 레일, 무인 자동차 등을활용하여 보다 다각적인 미래를 구상하기 시작했다. 오늘날 인프라스트럭처는 하나의 기능만을 염두에 두고 단기간에 설계된다. 64노스는 인프라스트럭처가 오히려 다양한 기능을 지녀야 한다고 생각했다. 인프라스트럭처 중 하나인 다리는 연결이라는 기능뿐만 아니라 좀 더 유연하게 미래 계획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다리는 아름다운 경관과 경험을 선사하며, 더 나아가 주변의 자연 세계를 다채롭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Architect64North Landscape ArchitectBionic EngineeringHNTB ArtNed Kahn Environmental ConsultingWRA LightingSean O’Connor Lighting CyclingAdvisor Jeff Selzer LocationPalo Alto, California, USA Design2015 로스앤젤레스에 기반을 둔64노스(64North)는 종합 설계사무소로서 혁신적인 공간과 경험을 만들기 위해 전통적인 경계를뛰어넘어 다양한 분야의 예술가와의 협업에 주력하고 있다. 디자인 소장인 윌 카슨(Wil Carson)이 이끌고 있으며 엔지니어링 뉴스-레코드(Engineering News-Record)가 선정한 40세이하의 상위 20위 설계 전문가(Top 20 Design ProfessionalsUnder 40)에 이름을 올렸다. 미국건축가협회(The AmericanInstitute of Architects), 헤이즈 브랜다이스 펠로우십(TheHays Brandeis Fellowship)의 예술 부문, 대통령 우수 환경 메달(Presidential Medal for Environmental Excellence)에서여러 상을 수상하고 각종 국제 디자인 공모전에서 우승하면서두각을 나타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