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PREV 2015 Year NEXT           PREV 05 May NEXT

환경과조경 2015년 5월

정보
출간일 2015년 5월
이매거진 가격 9,000

기사리스트

[CODA] 서론만 있는 글쓰기
글이 써지지 않을 때면, 럼블피쉬의 ‘비와 당신’을 무한 반복해 듣는다. 꽤 오래된 습관이다. 다른 곡을 섞어 들을 때도 있지만 그건 상태가 좋을 때의 이야기다. 한곡만 반복해서 듣는 기능이 있는 줄 몰랐을 때는 ‘비와 당신1’, ‘비와 당신2’, ‘비와 당신3’의 방식으로 파일명을 다르게 만들어 놓고 연이어 재생했다. 왜 ‘비와 당신’이냐고 묻는다면, 답변은 몹시 궁색하다. ‘확실히 멜로디가 키보드 두드리기에 최적화되어 있어’라고 황당한 답을 스스로에게 한 적도 있고, ‘다음 문장을 떠오르게 하는 아련한 목소리야’라며 감탄한 적도 부지기수다. 멋쩍게…. 특히나 ‘빛바랜, 사무친, 이젠 괜찮은데, 바보 같은 난, 눈물이 날까’와 같은 노랫말이 흘러나올 때면, 꾸역꾸역 한 문장 한 문장을 메꿔 나가고 있는 나 자신에게 별 이유 없이 관대해진다. 그런데 이번 달에는 무슨 바람이 불었는지 들국화 노래를 이 곡 저 곡 찾아 듣다가1집에 실려 있는 ‘오후만 있던 일요일’이란 제목에 꽂혔다(노래가 아니라). ‘서론만 있는 글쓰기’란 작위적인 제목은 그 후유증이다. 미리 자비를 구한다. 서론 하나, 종이 잡지 몇 해 전, 오스트레일리아의 미래학자 로스 도슨은 국가별 종이 신문의 사망 연도를 발표했다. 한두 나라만 대상으로 한 것이 아니라, 친절하게도() 전 세계 52개국의 종이 신문이 몇 년도에 사라지게 될지를 구체적으로 예측했다. 그는 현재의 디지털 저널리즘의 확산 속도를 볼 때, 2017년 미국에서 가장 먼저 종이 신문이 파산을 선고하고, 2040년이 되면 전 세계의 모든 종이 신문이 자취를 감추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부에서 보조금을 투입하고 있는 프랑스와 독일은 각각 2029년과 2030년, 일본과 중국은 2031년으로 예측했다. 한국은 이보다 빠른 2026년에 이름이 올라 있다. 언론계의 대체적인 반응은 정확한 연도에는 오차가클 수 있지만, 각 언론사의 기조가 ‘페이퍼 퍼스트paper first’에서 ‘디지털 퍼스트digital first’로 전환되고 있는 만큼 그의 예측이 부도수표가 되지 않을 공산이 크다는 입장이다. 종이 신문의 내일과 종이 잡지의 미래를 전망하는 기사도 심심치 않게 눈에 띈다. 누군가는 한때 우후죽순 늘어났던 지하철 무가지가 이제 1종 정도만 겨우 명맥을 유지하고 있는 점을 예로 들며 종이 매체가 실제로 하루아침에 사라질 수 있음을 경고한다.1 공짜로 손에 쥐어주어도 사람들이 더 이상 종이를 펼쳐들지 않을 만큼 종이 매체가 사람들에게 외면 받고 있다는 것이다. 그에 반해,한 해가 다르게 기능과 디자인, 휴대성을 강화해서 쏟아져 나오는 모바일 기기의 성장 속도는 무서울 정도다. 물론 종이 신문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이들도 여전히 존재한다. 그들은 기업 광고가 아닌 ‘독자’를 기반으로 존립하고 있는 독일 신문처럼 종이 신문이 독자와의 소통을 전향적으로 늘려야2 생명 연장이 가능하다는 점을 강조하며 새로운 생존 전략에 포커스를 맞추기도 하고, 모바일 기기가 대체할 수 없는 종이만의 매력을 어필하기도 한다. 하지만 그들 역시 디지털 매체가 대세로 자리 잡고 있음은 부인하지 못한다. 안타깝지만! 서론 둘, 조경 매체 조경 분야의 매체 환경은 이전과 크게 달라졌다. ‘환경과조경’사에서 발행하는 월간 『환경과조경』과 월간 『에코스케이프』 이외에, 『조경세계』라는 제호를 단 잡지도 있고, 일간으로 뉴스를 전달하는 온라인 매체 ‘라펜트’와 주간으로 발행되는 『한국조경신문』도 있다. 『환경과조경』만 존재하던 시기(1982년부터 2000년대 중반까지)에는 인사 동정이나 행사 소식과 같은 뉴스부터 새로 완공된 작품, 설계공모 수상작, 비평, 에세이, 답사기, 신제품 소개에 이르기까지 백화점식 콘텐츠 구성이 불가피했다. 당시에는 적지 않은 독자들이 인사 동정이 실려 있는 뉴스 지면부터 펼쳐보았다. 그만큼 정보 창구로서의 역할이 요구되던 시기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금의 상황은 그때와 다르다. 이는 꼭 관련 매체가 늘어났기 때문만은 아니다. 1980~90년대와 2000년대의 가장 큰 차이점은 인터넷의 발달에 기인한다. 어느 순간부터 정보가 폭발적으로 넘쳐나기 시작한 것이다. 그렇다면 달라진 환경 속에서 『환경과조경』은 어떤 콘텐츠에 집중해야 할까? 서론 셋, 저널과 매거진 ‘잡지’는 일정한 제호를 가지고 정기적으로 발간되는 출판물을 일컫는다. 동일한 제호와 정기적인 발간이 핵심이다. ‘저널’은 프랑스어인 ‘주르날journal’에서 비롯된 것으로, 1665년 프랑스에서 발간된 『주르날 데 사방Journal des savants』에 그 기원을 두고 있다. 최초의 정기간행물로 인정 받고 있는 이 잡지는 주간으로 발행된 과학 저널이었다. ‘매거진’은 원래 군대의 무기고 또는 총의 탄창을 가리키는 말이 었으나, 1731년 런던에서 발행된 『더 젠틀맨스 매거진The Gentleman’ Magazine』의 제호에서 유래하여 현재는 잡지라는 뜻으로 널리 쓰이고 있다. 한 권의 책에 다양한 주제의 내용이 담겨 있다는 점을 비유적으로 일컫기 위해 ‘무기고’라는 단어가 쓰였다.3 어쩌면 지식의 탄창, 정보의 무기고 같은 의미였을 수도 있다. 잡지는 신문과 다르게 조금 더 제한적인 독자층을 타깃으로 설정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즉 보다 세분화된 분야나 주제 혹은 취향과 관련된 ‘깊이’ 있는 지식과 정보를 (신문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지면을 활용하여) 독자들의 무기고에 차곡차곡 쌓아줌으로써 설 자리를 넓혀 나간 것이다. 신문과 잡지는 같은 제호를 사용하여 정기적으로 발간된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바로 이런 지점에서 그 성격이 나뉜다. 『환경과조경』이 독자들의 무기고에 무엇을 채워줄 수 있을까를 고민하다가, 본론은 시작도 못하고 서론만 세 가지 버전으로 써버리고 말았다. 정보의 홍수 시대에 더욱 그 빛을 발하는 ‘정제된 정보’를, 오직 여기에서만 볼 수 있는 ‘독자적인 콘텐츠’를, (신문과 달리) 충분히 시간을 투자해도 아깝지 않은 ‘깊이 있는 읽을거리’를, (온라인 매체와 달리) 손으로 펼쳐 볼 수 있는 ‘편집된 지면’에, 시선과 마음을 빼앗을 수 있는 ‘감각적인 디자인’으로 담아내면 될 일이건만, 그게 말처럼 쉽지 않기 때문이다. 잡지는 무엇이고, ‘누가’ ‘왜’ 종이 잡지를 읽을까를 다시 고민하게 된다. 이 대목을 쓰고 나니, 타이밍도 기가 막히게 “바보 같은 난, 눈물이 날까”란 럼블피쉬 최진이의 목소리가 흘러나온다. 이러니, ‘비와 당신’을 끊을 수가 없다.
[편집자의 서재] 언어의 정원
비가 오는 날은 아무래도 좀 별로다. 출근길에 귀찮게 우산도 챙겨야 하고 땅은 질퍽질퍽, 하늘은 또 왜 이렇게 우중충한지, 몸은 비를 피해 건물에서 건물로 빠르게 옮겨 다니는 신세다. 평상시에도 회색탑에 갇혀 사는 건 똑같지만 공간의 선택권을 빼앗긴 기분이랄까. 그래도 가끔은 비를 즐긴다. 정확히 말하면 프레임 속에 채워진 비오는 풍경이 좋다. 대부분은 비를 피해 건물 속에 웅크리고 바깥은 쳐다보지도 않지만, 어떤 장소냐에 따라 그 풍경은 사뭇 다르게 보인다. 막걸리집에서 파전에 동동주 시켜놓고 잠깐씩 창밖을 응시하면,처마를 타고 현악기의 줄처럼 길게 늘어지는 빗줄기가 시야를 적신다. 마음이 착 가라앉는 기분이 든다. 커피향 은은한 카페에서 내다보는 풍경도 좋다. 특히 처마가 없는 유리창이라면 빗줄기가 씻기듯 흐르는 선은 가히 예술적인 모습이다. 비 내리는 공원은… 글쎄, 좀 애매하다. 비 오는 날 공원을 찾는 이가 있을까? 『언어의 정원』에는 그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비 오는 날 공원에 가본 적은 없지만, 이 작품을 보면 왠지 낭만적이어서 ‘가볼 걸’ 하는 후회가 든다. 어쩌면 내 인연이 더 빨리 시작되지 않았을까 하는 헛된 생각이 들 정도다. 『언어의 정원』은 2013년에 개봉한 동명의 애니메이션을 감독이 직접 재구성한 소설이다. 남녀가 공원에서 우연히 만나 서로 알게 되고 소통하면서 겪는 내면의 치유와 성장을 다룬 일종의 감성 멜로다. 애니메이션에서는 공원을 중심으로 비 내리는 풍경을 묘사하고, 두 남녀 주인공과 공원, 비의 표현에 초점이 맞춰졌으나, 소설에서는 비의 영역을 확대하고 등장인물을 모두 입체적으로 표현했다. 영상에서 담지 못했던 내용을 해석하듯 각 인물의 이야기와 내면을 자세하게 다룬다. 『언어의 정원』의 원제는 ‘고토노하노니와言の葉の庭’다. 고토하言葉는 말이나 언어를 뜻하는데 한자를 직역하면 ‘말을 적은 잎’이다. 종이가 없던 시절에 파피루스나 나뭇잎에 글을 적었던 데서 유래한 말이다. 이 말을 보다 시적으로 표현한 말이 고토노하言の葉인데,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시가집인 『만요슈』를 인용한 의미가 제목에담긴 것으로 보인다. 고전 소설은 시를 읊어 인물의 마음을 묘사하는 기법을 쓰는 특징이 있다. 『언어의 정원』은 이러한 기법을 활용해 인물의 내면을 표현함으로써 서정적 분위기를 북돋운다. 그 언어를 구사하고 관계가 시작되는 장소로 공원이 등장한다. 제목은 정원이라는 용어를 채택하고 있지만, 이는 공원과 정원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거나 보다 부드러운 표현으로 정원을 택한 것으로 보인다. “우렛소리 희미하고 구름이 끼고 비라도 내리면 그대 붙잡으련만”(『만요슈』, 11권 2513번). 떠날 것 같은 남자를 붙잡는 여자의 노래다. 비가 내려 남자가 떠나지 못하길 바라는 내용이다. 『언어의 정원』에서 비는 중요한 소재로 다루어진다. 감독은 이작품의 진짜 주인공은 ‘비’라고 할 정도로 영상 표현에 신경을 기울이고 소설 속에서도 다양한 모습으로 묘사한다. 비가 내리면 세상은 이어진다. 서로 떨어져 있는 하늘과 대지가 비를 통해 만나고 새로운 생명을 잉태한다. 하이데거는 비가 내리는 모습을 “하늘과 대지의 결혼식”이라고 표현했다. 하늘의 태양과 대지의 자양분이 내밀한 관계를 맺어 포도나무가 열매 맺는 모습을 ‘결혼식’이라고 표현함으로써 그 가치를 높였다. 여기서는 비가 만남을 주선하는 중매인으로서 역할을 한다. 등장인물들은 저마다 상처를 가지고 있다. 소설 속에서 다루기엔 소소해 보일 정도지만, 우리 일상에 대입해 봤을 때 누구나 하나씩 가진 상처 혹은 사연이 될 수 있을 것 같아 감정이 이입된다. 현대인은 치열한 경쟁 체제 속에 피로한 사회를 살아가고 있다. 이로 인해 마음의 병을 앓고 있는 현대인의 이야기를 들어주는 청자가 바로 ‘비’로 은유된다. 서로의 영역에서 혼자가 되고 상처 입은 두 사람은 피난처로 공원을 찾았다. 상처는 혼자보다 같이 이겨내는 게 더 쉬운 법이다. 그런데 누군가와 관계를 맺는 건 쉽지 않다. 어른이 되어 학교나 직장이 아닌 곳에서는 더욱이 그렇다. 두 사람은 공원이라는 공공 공간에서 처음 만나고 서로를 통해 치유의 과정에 도달한다. 공원은 개인의 영역이 아니다. 누구의 영역도 될 수 있다. 이에 서로 모르던 두 사람이 대화의 기회를 갖게 되고 관계를 맺을 수 있었다. 공원이 소통의 매개체가 된 셈이다. “소년의 손이 살그머니 엄지발가락 끝에 닿았다. 뜨거운 숨결이 닿는 감촉에 차디찬 발끝이 흠칫했다. 심장이 콩닥콩닥 뜀박질을 했다. 혹여 소년이 들으면 어쩌나 겁이 날 만큼 고동소리와 숨소리는 격렬했다.” 구두 디자이너를 꿈꾸는 타카오는 마음이 가는 이성 유키노에게 구두를 만들어주고자 공원에서 그녀의 발을 이리저리 만지며 치수를 잰다. 영화평론가 이동진의 표현을 빌리자면, 이는 사실상 베드신이다. 영화 ‘일대종사’(2013)를 보면 양조위와 장쯔이가 겨루는 장면이 있다. 겨루는 과정에 서로의 신체와 호흡이 맞닿고 눈빛이 마주치는 모습이 세밀하게 묘사된다. 이 장면을 슬로우 모션으로 처리하고 교감의 지점을 클로즈업해 관객에게 보여준다. 베드신은 관객에게 등장인물의 심리적 교감을 전달하는 극적 장치다. 『언어의 정원』에서는 이를 구두 치수를 재는 장면으로 대체했다. 감독은 “사랑, 그 이전의 사랑 이야기”를 하고 싶었다고 한다. 단순히 『만요슈』의 시구만 인용하지 않고 1,300년 전에 쓰인 옛날 가요의 ‘사랑’이란 단어가 담은 정서를 모티브로 이야기를 풀어냈다. 지금의 ‘사랑’이란 단어의 정서와 다르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 것이다. ‘사랑’의 영원성을 강조하려 한 것인지, 아니면 ‘사랑’이란 단어를 통해 언령言靈을 확인하려 한 것인지 잘 모르겠지만 그 전략이 가슴을 두드렸다. “우렛소리 희미하고 비가 오지 않아도 나는 여기 머무르오 그대 가지마라 하시면”(『만요슈』, 11권 2514번). 사랑의 언어가 비와 함께 파문을 그린다.
국제 도시 공원 컨퍼런스, 샌프란시스코 4.11~14
‘Greater & Greener’는 오늘날 도시 공원이 직면하고 있는 다양한 이슈와 도전, 새로운 기회를 모색하기 위해 도시계획가 및 설계가, 공공 행정가, 그리고 공원 운영 관리 조직 및 민간 조직의 구성원들이 모이는 국제 도시 공원 컨퍼런스International Urban Parks Conference다. 미국의 각 도시에서 2년에 한 번씩 개최되는 본 컨퍼런스에는 매 회 천 명이 넘는 도시 공원 커뮤니티 리더들이 모여 경험을 공유해 왔으며, 도시공원의 디자인과 개발 방식, 운영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 및 재정에 대한 지속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특히, 건강과 과학기술 등 다른 분야와의 연계 및 논의 확장을 통해 경제와 환경, 사회적 참여의 새로운 콘텍스트에서 공원을 재구축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참여하도록 촉구한다. 이 행사를 개최하고 이끄는 시티 파크 얼라이언스City Parks Alliance(CPA)는 미국의 도시 공원 및 녹지 조성과 지속가능한 운영관리를 위해 앞장서 온 독립적, 범국가적 멤버십 조직으로 2000년 처음 조직된 이래 15년째 활동하고 있다. 혁신적 공원, 활기 있는 도시 이번 컨퍼런스는 ‘Innovative Parks, Vibrant Cities’라는 주제로, 4월 11일에서 15일까지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렸다. 컨퍼런스를 주관한 CPA의 상임이사인 캐서린 네이겔Catherine Nagel은 환영사에서 “도시 공원은 사회적이고 문화적인 이슈-건강, 교육, 거주성과 사회적 혼합에서부터 경제적인 개발과 도시의 회복탄력성- 등 폭넓은 범위에서 영향력이 커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더불어 “이에 대한 비전과 혁신 요소들은 지역 단위에서 구현되어야 하며, 이번 컨퍼런스의 무대인 샌프란시스코와 베이 지역Bay Area의 공원 커뮤니티들이 미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도시 공원이 직면하고 있는 많은 일반적 이슈에 대한 창의적인 해법을 모색할 수 있는 곳”임을 강조했다. 이번 컨퍼런스의 핵심 어젠다는 도시 공원의 혁신과 활력 있는 도시를 위한 지속가능성의 모색이었으며. 4개의 세부 주제(Advancing Technology, Weaving Parks into 21st century City Planning and Design, Living and Learning in the New Urban Habitat, City Parks 101 and Beyond) 아래 진행되었다. 특히 각 지역 공원 운영관리 조직에 소속된 실무자들이 다수 참여해 실천적인 사례를 공유하고 실현가능성에 기반한 논의와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장으로 운영되었다는 점이 인상적이었다.
‘서울100’ 프로젝트
거리를 천천히 걷다보면 조금만 더 신경 썼더라면 하는 도시 경관들이 눈에 밟힌다. ‘서울100’은 사소하고 소소한 부분이지만 조금 더 걷기 편하고 정돈된 거리로 마주하게 하는 보도 환경 개선부터, 도시를 생동감 있게 만드는 작은 아이디어까지 우리가 무심코 지나치던 일상의 공간을 관찰하고 작은 변화를 상상하는 작은 연구다. 소수의 전문가가 그려내는 마스터플랜이 아닌, 시민이 함께 만들어가는 도시를 지향하며 ‘누구나 쉽고 재밌게 즐길 수 있는 공공디자인’을 목표로 한 걸음씩 나아가고 있다. 시작 - RTM100 ‘서울100’ 프로젝트는 한 권의 책으로부터 시작되었다. 네덜란드에서 도시와 건축을 공부하던 중 『RTM100』이란 미스터리한 책을 만났다. 표지를 넘기면 비슷한 듯 비슷하지 않은 한 쌍의 도시 경관 이미지가 전과 후 Before & After 형식으로 보인다. 마치 틀린 그림 찾기같은 100쌍의 이미지는 보도 환경·도시 경관 개선에서 유휴 공간 활용에 이르기까지 작은 개입(변화)으로 공공 공간을 변화시키는 아이디어들을 담고 있다. 이는 2010년 벨기에의 URA와 네덜란드의 토포트로닉Topotronic이라는 두 건축 집단에 의해 진행된 스터디의 결과물로AIRarchitecture center of Rotterdam의 후원을 통해 한 권의 책으로 만들어졌다. 공공 건물, 카페 등 로테르담 시민들이 일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장소에 배포되어 공공 공간에 대한 일반 시민들의 관심을 환기시키는 작은 기제가 되기도 했다. 그동안 항공사진 위에서 선을 그려가며 손에 잡힐 듯 잡히지 않는 설계를 해오던 나에게 이는 신선한 물음으로 다가왔다. 서울100 ‘서울100’ 프로젝트는 ‘작은 공간을 자세히 관찰해 작은 변화를 만들어내는 작은 연구’라는 의미로 한국에 돌아온 이듬해(2014년)부터 시작했다. 10년 넘게 매 수요일마다 서울의 마을들을 답사하는 건축가 조정구처럼, 공간을 다루는 디자이너로서 눈의 화소 수를 높이는 연습이자 작은 실천들을 긴 호흡으로 이뤄보자는 소박한 마음가짐으로 출발했다. 유명무실하게 놓인 노란색 점자블록부터 도시 속 유휴 공간에 이르기까지, 날마다 서울이라는 도시의 풍경을 자세히 관찰하다 보니 평소에 무심코 지나치던 도시의 일상이 새롭게 다가왔다. 작은 변화로 사람들의 무표정한 얼굴과 무채색의 도시 공간에 활기를 줄 수 있는 상상들을 더해 갔다. 매일 아침 현관문을 열고 나와 사무실에 도착하기까지 통과하는 무수한 도시 공간부터 시작한 ‘서울100’ 프로젝트는 두 명의 동료를 만나면서 박차를 가했다.
Biomimicry
“저급한 자는 베끼고, 위대한 자는 훔친다.” 예술적 행위의 속성과 창의적 사고의 핵심을 지적하는 말로 자주 인용되는 피카소의 말이다. 전자와 후자의 차이가 어디서 오는걸까? 독일 슈트트가르트 대학교University of Stuttgart의 컴퓨터응용디자인연구소The Institute forComputational Design(ICD)와 동 대학 건축구조설계 연구소The Institute of Building Structures and Structural Design(ITKE)의 연구진으로 구성된 프로젝트 팀이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 위한 노력을 올해로 6년 째 이어가고 있다. 이들은 생체모방biomimicry1 분야의 한 갈래를 지향하며 매년 ‘ICD/ITKE 리서치 파빌리온ICD/ITKE Research Pavilion’이라는 새로운 모습의 공공 공간을 만들어 내고 있다. ‘ICD/ITKE 리서치 파빌리온 2013-14’는 이 연구의 네 번째 결과물로 인간의 엄지손가락만한 ‘딱정벌레’의 건축 비법을 담고 있다. 의생학적 연구 이번 연구는 슈트트가르트 대학교의 건축가 및 공학자들과 튀빙겐 대학교University of Tübingen의 생물학자들의 학제 간 협업을 통해 진행되었으며, 올리베르 베츠Oliver Betz(생물학) 교수와 제임스 네벨시크James H. Nebelsick(지구과학) 교수(이상 튀빙겐 대학교)가 주도한 ‘생체공학과 건축적 모듈에 대한 연구the Module: Bionics of Animal Constructions’가 그 바탕이 되었다. 다양한 동식물에 대한 표본 연구가 이루어졌고, 그 과정에서 딱정벌레의 날개와 복부를 보호하는 껍질인 엘리트론elytron(키틴질 섬유 다발로 구성된 단백질 매트릭스 조직)이 건설 재료의 모델로써 고도의 효율을 낼 수 있을 것이라는 기초 자료가 확보되었다. 보다 구체적인 활용법을 고안해 내기 위해서 다양한 딱정벌레의 엘리트론에 대한 고해상도 3차원 모델이 필요했다. 카를스루에 공과대학교Karlsruhe Institute of Technology에 속한 ANKA 싱크로트론 방사광 시설ANKA Synchrotron Radiation Facility과 광양자·싱크로트론 방사광 연구소Institute for Photon Science and Synchrotron Radiation의 기술력이 결합된 컴퓨터 단층 촬영을 통해 여섯 가지 모델을 추출해냈다. 이렇게 추출된 모델은 튀빙겐 대학교에서 제공한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스캔본과 함께 조합되었고 딱정벌레 껍질의 내부 구조에 대한 분석을 가능하게 했다. 건축 재료로서 엘리트론이 지닌 고효율성은 딱정벌레 껍질의 기하학적 형태와 각 껍질을 구성하는 천연 섬유 합성물natural fi ber composite의 기계적 특성에서 비롯된다. 이러한 특성은 엘리트론 내 기둥 모양의 이중 곡선 지탱부, 즉 섬유주trabecula에 의해 연결된 이중층 구조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중층 구조를 이루는 껍질의 윗부분과 아랫부분은 끊임없이 이어진 섬유주를 통해 결합된다. 섬유주 다발의 분포 및 기하학적 결합 방식이 딱정벌레 껍질 전체에 걸쳐 상당한 정도의 변화무쌍함을 보이고 있었고, 이러한 비등방성anisotropic2은 껍질 전체에 걸쳐 부분마다 차별화된 소재적 특질이 나타날 수 있도록 하여 더욱 안정적으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구조 논리 및 소재 이렇게 분석해낸 자료를 바탕으로 실제 건축 가능한 형태를 개발하기 위해 이중층 구조 모듈 시스템double layered modular system이 고안되었다. 이 시스템은 유전적으로 발현되는 생체 구조를 공학적 방식으로 재구성하는 데 사용된다. 추출된 유전 정보의 해석을 바탕으로 수차례의 컴퓨터 시뮬레이션 연구가 이루어졌고, 적합한 기계식 제작 방식이 마련되었다. 생성적 디자인generative design(컴퓨터를 활용한 디자인 개발 및 시뮬레이션 기법으로 기계화된 제작 방식에 필요한 알고리즘을 생성해낸다) 기법을 기반으로 이 기계식 제작 방식을 구동시키는 데 필요한 알고리즘을 생성해 냈다. 건축 재료로는 유리 및 탄소 섬유 강화 폴리머가 사용되었다. 이 소재는 중량 대비 강도가 높고 섬유질 배열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연출할 수 있다는 것이 강점으로 뽑혔다. 이러한 성형성moldability을 논외로 하더라도, 탄소 섬유 강화 폴리머는 딱정벌레에서 추출된 복잡한 기하학적 형태를 실현하기에 적합한 소재였다. 기존의 섬유 공학적 제조 방식에서는 형태를 만들기 위한 몰드mold가 반드시 요구된다. 몰딩molding 기법은 대개의 경우 지나치게 복잡한 틀과 그에 적합한 특정 소재를 사용해야 한다는 점에서 건축물에는 부적합한 방식이라고 판단되어 왔다. 또한 어떤 구조를 만드는 데 있어 다수의 몰드와 시간을 요구할 수밖에 없다는 구조적 문제도 안고 있었다. 반면에 이 이중층 구조 모듈 시스템은 하나의 기계 공정 안에서 다수의 모델을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로보틱 무심 곡선화 공정 이중층 구조 모듈 시스템을 구동시킬 수 있는 로보틱무심 곡선화 공정robotic coreless winding method 개발이 다음 단계에서 이루어졌다. 이중층 구조 모듈 시스템이 소프트웨어라면, 로보틱 무심 곡선화 공정은 하드웨어가 되는 것이다. 여섯 개의 축을 중심으로 작동하는 두 대의 산업용 로봇에 고정된 프레임 이펙터frame effector(이하 이펙터)가 회전하며 수지 함침 섬유 다발resin impregnated fiber bundles을 구부리며 조직하는 방식이다. 쉽게 말하자면, 두 개의 로봇 팔이 뜨개질을 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처음 두 개의 이펙터에 엮이는 섬유 다발은 팽팽한 직선의 형태를 유지하며 층을 만들어 간다. 이후 일련의 섬유 층이 서로의 위아래에 놓이며 압박을 가하고 원형 방패와 같은 곡면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섬유 곡선화 과정에서 로봇팔의 움직임에는 구체적인 순서가 정해져 있으며, 압력과 곡면기울기 등에 대한 데이터 분석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모든 개별적 섬유에 대한 디자인 통제가 가능하다. 이 한 쌍의 이펙터는 소재가 가진 다양한 기하학적 특성에 맞춰 움직임을 조정하며 초기 설정값 설정에 따라 36개의 부분을 모두 만들어낸다. 무심 곡선화 공정이 개발된 덕분에 여러 개의 개별 몰드를 만들 필요가 사라졌고, 이는 상당한 자원 절약 효과로 이어졌다. 뿐만 아니라 무심 곡선화 공정은 그 공정 자체에서도 매우 자재 효율성이 높은 제조 공법으로 폐기물을 거의 발생시키지 않는다. 기성 자재를 잘라낼 때 발생하는 폐기물이 거의 없는 것이다. 유리 섬유 층 한 개(경우에 따라 섬유 층 두 개 필요)와 탄소 섬유 층 다섯 개가 하나의 부분을 구성한다. 이 중 첫 번째 유리 섬유 층이 재료의 기하학적 형태를 결정하게되며, 이후의 탄소 섬유 층을 위한 일종의 거푸집으로 기능하게 된다. 탄소 섬유 층은 구조적 강도를 높이는 역할을 하며, 섬유들의 비등방적 배열을 통해 조금씩 다른 형태를 갖게 된다. 탄소 섬유의 개별적 구조는 각각의 구성 요소에 작용하는 힘에 의해 결정되는데, 이는 포괄적 구조에 대한 유한 요소 분석법finite element analysis(FEA)3을 통해 산출된다. ‘ICD/ITKE 리서치 파빌리온 2013-14’를 구성하는 36개의 부분은 딱정벌레의 엘리트론에서 추출한 기하학적 원리를 따르고 있으며, 전체 무게를 지지하는 데 있어 최소한의 자재를 사용하도록 각기 다른 레이아웃을 갖는다. 기계식 생산 방식을 사용한 덕분에 사람이 해야 할 일이 상당히 줄어든다. 처음 이펙터에 섬유 다발을 연결하고 알고리즘을 입력하는 것만으로 모든 구성요소가 생산되며, 이렇게 생산된 구성 요소를 블록을 쌓듯이 조립하면 파빌리온이 완성된다. 완성된 파빌리온이 차지하는 총 면적이 50m2, 부피는 122m3, 그리고 무게가 593kg으로 적지 않은 규모지만, 구성 요소 하나만을 보면 가장 큰 것도 지름 2.6m에 무게는24.1kg밖에 나가지 않는다. 각 구성 요소가 다소 기괴한 모습을 갖고 있는 것에 비해 최종적으로 나타난 기하학적 형태는 대학교 건물은 물론 주변 공원 풍경에 상당히 잘 어울린다. 2010년 시작된 ‘ICD/ITKE 리서치 파빌리온’의 연구진은 섬유조직합성건축fiber composite construction methods이라는 혁신적인 분야를 이끌고 있다. 이들은 기존의 생체모방 기술이 벨크로velcro(일명 찍찍이)를 시작으로 웨일-파워wale-power(고래, 에너지), 신칸센 고속열차(물총새, 교통), 홍합 접착제(건축·의료) 등 인간의 효율적이고 안전한 삶을 위한 기술에 집중되었던 것을 넘어 이제는 내 뒷마당, 집 앞 공원 등에서도 그러한 기술의혜택을 체감할 수 있는 시대가 다가오고 있음을 알리고 있다. 생체모방 분야의 선구자, 제닌 베니어스Janine Benyus의 말처럼 “셀룰로오스를 처리하여 종이를 만든 것도, 최적화된 화물 배치를 시도한 것도, 방수 혹은 어떤 구조체의 가열 및 냉각을 시도한 것도, 누군가를 위해 집을 지은 최초의 존재도 인간이 아니라는 사실을 인지한다면” 지금까지와는 전혀 다른 방식의 디자인이 가능할 것이다. 분명 우리 주위의 자연계는 인류가 해야할 일과 상당히 비슷한 종류의 일을 해내고 있다. 게다가 그들의 방법은 지난 수십억 년 동안 지구상에서 우아하고 안전하게 살아올 수 있게 한 보장된 비법이 숨겨져 있다. “당신이 무언가를 발명하고자 할 때마다, 우선 자연이라면 어떻게 할지 생각해보면 어떨까”
[시네마 스케이프] 위플래쉬
위플래쉬Whiplash(2015년 국내 개봉)는 입소문을 타고 절찬 상영 중인 음악 영화다. ‘재즈 연주자를 위한 공포 영화’, ‘음악 영화 탈을 쓴 무협 영화’라고 알려졌지만 ‘그래봤자 장르가 음악인데 과장이 좀 심한 것 아냐’라고 생각하며 영화를 보러 갔다. 나는 놀이동산의 롤러코스터도 무섭고 멀미가 나서 못 타고, 피가 낭자하는 칼부림 영화도 제대로 보지 못하는 심약한 심장의 소유자다. 원빈의 셀프 삭발 장면이 영화 ‘아저씨’에서 마지막으로 본 장면이다. 그가 제대로 싸우기 시작할 때쯤엔 극장 문을 나와 안전한(?) 장소에서 동행을 기다렸다. ‘채찍질’이라는 의미 그대로 ‘위플래쉬’는 가히 충격적이었다. 마지막 시퀀스가 끝나고 엔딩 크레디트가 올라갈 때쯤에야 정신이 차려질 만큼 영화 내내 긴박감이 넘친다. 보는 동안 심장 박동수가 평소보다 몇 배는 빨리 뛰었다. 어지간한 자동차 추격신보다 스릴감이 넘쳤고, 칼 한 자루 등장하지 않지만 칼부림 영화보다 더 잔인하게 느껴졌다. ‘아저씨’를 두 번이나 본 강심장인 지인도 비슷하게 느꼈다고 한다. 밴드 지휘자와 드럼 연주자, 이 두 주인공이 영화의 처음부터 마지막 장면까지 팽팽한 긴장감을 이어간다. 스승과의 교감을 통해 음악을 매개로 성장하는 스토리는 사실 진부한 소재다. ‘위플래시’의 특별한 전략은 이 흔한 소재를 완전히 새로운 음악 영화로 바꾸어 놓았다. 스승의 인격과 방식이 올바른지, 과연 제자가 성장한 건지는 별개문제로 두기로 하고, 다음에서는 영화의 성취에 대해 집중해 보기로 한다. 영화는 한 괴물과 점점 괴물이 되어 가는 두 사람이 어떻게 만나고 어떻게 부딪혀서 결국 어떤 불꽃이 튀는지 그 발화 과정을 드럼이라는 악기의 연주를 통해 전개하고 있다. 서영애는 ‘영화 속 경관’을 주제로 석사 학위를 받았고, 한겨레 영화 평론 전문 과정을 수료했다. 조경을 제목으로일하고 공부하고 가르치고 있으며 영화를 삶의 또 다른 챕터로 여긴다. 영화는 경관과 사람이 구체적으로 어떻게관계 맺는지 보여주며 인문학적 상상력을 풍부하게 만들어주는 텍스트라 믿고 있다.
[편집회의] 난중일기의 전략
온라인 미디어의 등장으로 매체의 수가 늘어나고 그 결도 다양해졌지만, 오히려 저널리즘은 풍요 속의 빈곤을 겪고 있다. 실시간으로 바뀌는 검색어와 자극적 헤드라인, 이미지의 향연 속에서 독자들을 사유와 반성, 새로운 시각의 길로 이끌던 저널리즘의 철학은 설곳을 점점 잃어가고 있다. 특히 급변하는 매체 생태계 속에서 종이 잡지는 존폐의 위기마저 겪고 있다. 실시간으로 올라오는 인터넷 뉴스와 손쉽게 얻을 수 있는 정보의 포화 속에서 독자들의 시선을 모니터와 스마트 폰에 빼앗긴 탓이다. 하지만, 조경이나 건축 매체의 환경은 상황이 조금 다르다. 종이 매체가 몹시도 고전하고 있다는 점은 동일 하지만, 최근 2~3년 동안 종다양성 측면에서 새로운 변화가 감지되고 있기 때문이다. 국내 첫 건축비평지를 표방하며 창간된 『건축평단』(2015년 3월 창간), 건축 과정을 이미지 다큐멘터리 형식으로 기록하는 『다큐멘텀』(2014년 5월 창간), 건축 밖의 사람들과 연대를 모색하며 하나의 주제에 대한 다각도의 논의를 담아내고 있는 『건축신문』(2012년 4월 창간) 등이 연이어 등장한 것이다. 또한 2008년 1월에 창간된 격월간 건축 리포트 『와이드』 역시 그 색깔을 굳건히 지켜나가고 있다. 이도저한 온라인의 시대에 종이를 기반으로 해서 말이다. 이는 2000년대 중반 이전과도 미묘하게 다른 상황이다. 당시 『SPACE』, 『건축과환경』, 『건축문화』, 『건축인 포아』, 『이상건축』, 『플러스』 등의 건축 전문지들은각기 다른 색깔로 이슈와 담론을 생산해냈지만, 그 내용과 형식이 지금처럼 크게 갈리진 않았다. 실험적이라는 (혹은 무모하다는) 느낌이 드는 잡지도 눈에 띄지 않았다. 오히려 모두가 (지나치게) 잘 만들어졌지만, 변별력이 커 보이지 않았다. 이후 그 잡지들 중에서 몇몇은 기존의 색깔이 점차 희미해지면서 해외 작품 위주의 화보집으로 바뀌거나 폐간의 고비를 넘기지 못했다. 그리고 그 자리에 확연히 구분되는 포맷과 지향점을 내세운 색다른 종이 매체들이 뿌리내리기 시작했다. 조경 매체는 이와는 사정이 또 다르다. 2000년대 중반 이후, 온라인을 기반으로 한 ‘라펜트’, 주간으로 발행되는 『한국조경신문』, 해외 작품 위주의 『조경세계』 등이 하나둘 새롭게 생겨났지만, 조경 포털이나 주간신문이라는 본연의 역할에 충실했다. 실험적이지는 않았다는 의미다. 『환경과조경』 역시 마찬가지다. 오히려 2000년대 초반에 두 차례 발간된 조경 무크지 『로커스』가 가장 실험적인 조경 매체였다. 물론 모든 매체가 실험적일 필요는 없다. 하지만 종이 잡지를 만드는 이들과 그 (잠재적) 독자들에게 색다른 매체의 등장과 그들의 도전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그리고 그 매체들을 보면서 자연스럽게 『환경과조경』만의 색깔은 무엇인지를 고민하게 된다. 이번호에는 그 고민의 연장선상에서, 대폭적인 리뉴얼을 단행한 2014년부터 잡지 제작 전반에 걸쳐 도움을주고 있는 편집위원 다섯 분과 함께 ‘편집회의’를 진행하여 그 내용을 지면에 옮긴다(김진오 편집위원(경희대학교 교수)은 당일 부득이한 사정으로 참석하지 못했다). 가장 열성적인 독자이기도 한 편집위원들은 잡지 전반에 대한 평가부터 조경 매체의 역할과 비평의 활성화 방안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아이디어와 의견을 보태주었다. 먼저, 박승진 소장이 들려준 이야기를 맛보기로 전하며 ‘편집회의’를 시작한다. 그는 요즘 『징비록』을 읽고 있다는데, 비교가 불가할 정도로 『난중일기』가 재미있다며 엄지손가락을 치켜세웠다. 전쟁이 모두 끝난 후 과거를 회고조로 기술한 『징비록』보다는 전쟁터의 한 가운데에서 그 긴박한 순간을 생생하고 치밀하게 묘사한 『난중일기』가 독자 입장에서 단연 재미있고 박진감 넘친다는 것. 한국 조경의 오늘을 기록하고 있는 『환경과조경』은 징비록일까, 난중일기일까? 아니면 손자병법이 되어야 하는 걸까? 김세훈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도시설계전공 교수 김영민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교수 남기준 편집장 박성태 정림건축문화재단 국장, 「건축신문」 편집인 박승진 디자인 스튜디오 loci 소장 배정한 편집주간,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교수 서영애 기술사사무소 이수 소장
[100 장면으로 재구성한 조경사] 세대교체
#45 자연보다 더 자연스러운 미스터 브라운의 풍경 1783년 2월 5일, 윌리엄 켄트의 뒤를 이어 30년 이상 영국 조경계를 장악했던 랜슬롯 브라운Lancelot Brown(1715~1783)이 갑자기 세상을 떠났다. 68세였지만 아직 왕성히 활동하고 있었는데 어느 날 딸의 집을 방문하러 갔다가 문지방에서 쓰러져 그 자리에서 숨을 거두었다고 한다. 그의 부음을 들은 조지 3세는 곧 리치몬드 정원으로 가서 정원사를 붙들고 “미스터 브라운이 죽었다는군. 이제 자네랑 나랑 맘대로 정원을 만들어도 되네”라고 했다는 우스개가 전해진다. 물론 지어낸 이야기겠지만 랜슬롯 브라운의 영향력이 어느 정도였는지 짐작하게 한다. 이 ‘백만 파운드짜리’ 가십을 호레이스 월폴HoraceWalpole (1717~1797)1이 듣고 친구에게 편지로 전한 덕에 지금 우리에게까지 전해지게 되었다. 한 정원사의 죽음에 이처럼 사회가 들썩였던 경우는 어느 시대에도 없었다. 윌리엄 켄트의 시대에 알렉산더 포프가 있었다면 랜슬롯 브라운의 시대에는 호레이스 월폴과 토머스 훼이틀리Thomas Whatley(1716~1772)2가 있었다. 브라운이 정원을 만들면 이 두 사람은 정원이 완성되기가 무섭게 찾아가서 살펴보고 평론을 남겼다. 작가와 평론가의 수가 극히 한정되어 있기는 했지만 정원 평론을 쓰는 전통이 이 때 만들어졌다고 볼 수 있다. 훼이틀리는 진지하고 분석적이어서 후세에 의해 ‘최초의 정원 평론가’로 인정받는 인물이다. 호레이스 월폴은 그의 소책자 『모던 가드닝』 외에도 수천 통의 편지를 써서 당대의 정원에 대한 생생한 기록을 남겼다. 특유의 비꼬는 필치로 쓴 풍자적 리뷰는 지금도 즐겨 인용된다. 1744년, 알렉산더 포프를 선두로 하여 풍경화식 정원을 이끈 1세대들이 모두 세상을 떠났다. 이후 1750년대부터 랜슬롯 브라운이 조경 시장을 독점했으므로 다른 사람들의 작품은 찾아보기 힘들다. 자타가 인정하는 ‘켄트주의자’였던 월폴은 브라운의 초기 작품인 워릭 캐슬Warwick Castle을 보고 관심을 두기 시작했으며 이후 그의 행보를 유심히 살폈다. 브라운의 작품으로 확인된 것만 모두 170여 개에 달하는데 정원 하나의 규모가 100헥타르에서 1,200헥타르 사이였으므로―용산공원 부지 면적이 약 240헥타르― 결과적으로 브라운이 잉글랜드의 풍경을 새로 만들었다는 말이 크게 과장된 것이 아니다. 처음 워릭 캐슬을 보고 월폴은 이렇게 말했다. “워릭 캐슬은 동화적이다. 내가 거기서 본 풍경은 말로 표현하기 어려울 만큼 즐거웠다. 에이번Avon 강이 굽이치다가 캐스케이드가 되어 쏟아져 내리는 장면이 압권인데 브라운이라는 이가 연출한 것이다. 일을 제대로 한 것 같다. 그는 켄트와 사우스코트의 아이디어를 수용했다. 아이디어의 전파가 주는 효과가 이런 것이다. 워릭 캐슬의 주인 브루크 경은 자연적인 정원 양식을 대담하게 수용했다.”3 월폴은 이십 년후에는 브라운을 명실 공히 켄트의 후계자로 인정했을 뿐 아니라 브라운의 풍경을 ‘개선된 자연improved nature’이라고 정의 내렸다.4 자연 풍경이 완벽하다고 누가 말했던가. 자연이라고 하지만 사실 진정한 자연 풍경은 브라운 시대에도 이미 존재하지 않았다. 사람의 손에 의해 기형화된 풍경의 결점을 보완하고 본연의 잠재력을 살려 완성의 길로 이끌어 주는 것, 이것이 랜슬롯 브라운의 원칙이었다. 그러므로 풍경화‘식’ 정원이라는 개념은 랜슬롯 브라운의 시대가 되면서 더 이상 유효하지 않게 된다. 귀족들은 “우리도 드디어 유명한 미스터 브라운을 초청하여 ‘랜드스케이핑landscaping’을 의뢰했다”라는 내용의 서신을 주고받았다. 정원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랜드스케이핑 한다’는 새로운 개념이 자리잡아갔다. 랜슬롯 브라운은 스물 여섯의 나이에 스토우의 정원사로 채용되어 윌리엄 켄트의 설계대로 시공하며 켄트로부터 많은 것을 배웠다. 실무 경력이 많지 않았던 켄트와는 달리 브라운은 정통적인 정원사의 길을 걸었다. 물론 정원사 학교가 있었던 것은 아니고 자신의 고향, 노섬벌랜드의 커크할Kirkharle 수목원에서 십여 년간 일하며 잔뼈가 굵은 것이다. 그러므로 화가의 안목으로 장면, 장면을 세트처럼 연출했던 윌리엄 켄트와는 달리 브라운은 처음부터 풍경을 그 자체로 바라보는 시각을 갖고 있었다. 풍경을 액자에 갇힌 장면의 연속으로 보지 않고 하나의 커다란 전체one great whole로 이해한 것은 당시로서는 혁신적 안목이었다. 그가 생각한 ‘하나의 커다란 전체’는 비교적 단순하게 요약된다. 물, 초원, 숲의 세 가지 요소로 이루어지며 강줄기나 계류를 막아 대형 호수를 만들어서 풍경의 맥을 삼는 것으로부터 출발했다. 그의 호수는 대개 긴 호리병 형태를 하고 있는데 마치 자연이 만들어 놓은 것처럼 이리저리 꺾이며 풍경 전체를 굽이굽이 적시는 것이 특징이었다. 그 외에는 수십에서 수백 헥타르의 초원을 펼쳐놓았고 외곽은 숲으로 에워쌌다. 이것이 아무 군더더기 없는 브라운식 자연의 기본형이었으며 그의 모든 작품에 예외 없이 적용되었다. 문제는 집이었다. 초원, 즉 자연 풍경이 먼저 있고 그 위에 집이 얹히는 것이 자연스러운 순서라고 보았다. 집을 새로짓는 경우에는 별 문제될 것이 없었으나 집이 먼저 있던 경우, 대부분 이탈리아식 정형 정원이나 평면 기하학 정원도 함께 존재했다. 브라운은 이 정원들을 훌훌 뽑아 내버리고 집 바로 앞까지 초원을 끌어들였다. 초원에는 드문드문 나무를 심었는데, 쩨쩨하게 한 그루씩 심지 않고 커다란 덩어리clumps로 심었다. 집을 향해 정면 돌파하는 중앙 축을 버리고 S라인 진입로를 만들어 측면에서 빙 돌아 접근하도록 했다. 길 주변에도 정연한 가로수가 아니라 수목 덩어리를 드문드문 배치했다. 이런 스케일로 정원을 만들기 위해서 브라운은 강물을 막는 댐 공법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야 했고 거목을 이식하기 위해 이식 전용 수레도 고안했다. 어떤 땅이 주어져도 이런 자연 풍경으로 ‘개선’할 수 있는 여건은 충분했다. 땅이 갖고 있는 가능성과 잠재력은 사실어디에나 있었으므로 ‘캐퍼빌리티apability’라는 말을 입에 달고 살았다고 한다.5 그래서 그의 별명이 캐퍼빌리티 브라운이 되었다. 스타파주를 만들어 세우고 그 주변에 나무를 자연스럽게 배치하던 켄트 스타일에서 아주 멀리 진보한 것이다. 물론 그가 다루었던 땅은 거대한 스케일로 지형을 바꾸고 물줄기를 막아 새로운 자연을 창조하기에 부족함이 없었을 것이다. 지금 우리가 소위 ‘풍경화식’ 정원의 결정적 요소라고 믿는 것들이 모두 랜슬롯 브라운에 의해 ‘완성’되었다. 한바탕 소동을 부리며 공사가 끝나고 나면 그의 풍경은 조용히 가라앉아 한없이 평화로워 보였다. 호레이스 월폴은 브라운의 부음을 듣고 여러 통의 편지를 썼다. 그 중 위의 가십을 전한 것도 있지만 레이디 오소리에게는 마음을 가다듬고 이렇게 썼다. “그대들 숲의 요정들은 검은 장갑을 끼셔야 할 것 같습니다. 요정들의 시아버지, 마담 네이처의 두 번째 남편이 숨을 거두었습니다.”6 브라운 사후에 그의 명성은 빨리 사라진다. 브라운식 풍경의 완벽한 조화와 평화를 불편해 하는 사람들이 있었다. 낭만주의 시대가 열리며 브라운의 풍경에는 ‘숭고한 전율’이 결여되어 있다고 결론지었다. 19세기 내내 브라운은 비난의 대상이 되었다가 20세기에 들어 와서 다시 명성을 회복한다. 고정희는 1957년 서울에서 태어나 어머니가 손수 가꾼 아름다운 정원에서 유년 시절을 보냈다. 어느 순간 그 정원은 사라지고 말았지만, 유년의경험이 인연이 되었는지 조경을 평생의 업으로 알고 살아가고 있다. 『식물, 세상의 은밀한 지배자』를 비롯 총 네 권의 정원·식물 책을 펴냈고,칼 푀르스터와 그의 외동딸 마리안네가 쓴 책을 동시에 번역 출간하기도 했다. 베를린 공과대학교 조경학과에서 ‘20세기 유럽 조경사’를 주제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베를린에 거주하며 ‘써드스페이스 베를린 환경아카데미’ 대표로 활동하고 있다.
[그들이 꿈꾼 도시, 우리가 사는 도시] 땅의 도시, 기념비적 도시
땅의 도시 전 세계 여러 도시를 걷다 보면 땅의 고유한 형상이 유난히 기억에 남는 곳을 만나게 된다. 인도네시아 중부 자바 섬의 북쪽 끝에 있는 스마랑Semarang이라는 도시가 한 예다. 환태평양 지진대에 속한 자바 섬은 오늘날에도 활화산의 활동 범위 안에서 지진 피해의 가능성에 노출되어 있는 ―현재는 일시적 휴전 상태에 있지만― 이른바 ‘땅의 전쟁터’다. 스마랑의 도심은 스페인 바르셀로나 혹은 미국 캘리포니아의 샌프란시스코 공항 주변과 마찬가지로 바다와 산자락 사이에 낀 좁은 띠 모양의 땅에 자리 잡고 있다. 도시 면적의 상당 부분이 바다를 향해 완만하게 경사진 판 위에 놓여 있어서 처음 이곳을 방문한 사람도 좀처럼 방향 감각을 잃지 않는다(그림1). 도심 곳곳에 있는 경사진 보행로와 이를 따라 펼쳐진 계단식 주거지, 그리고 그 사이로 불뚝불뚝 솟아오른 언덕은 열대 기후 속에서 스마랑 고유의 도시 경관을 형성하고 있다. 이렇게 땅의 형상은 지역의 기후, 식생, 사람과 함께 도시 환경의 분위기를 결정하는 가장 원초적인 요소 중 하나다(그림2). 환경과 랜드스케이프 우리는 땅을 생각할 때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하게 된다. 하나는 객관적으로 측정 가능한 물리적 환경 요소로서의 땅이다. 여기에는 하나의 대지가 다른 대지보다 더 크다든가, 집을 지을 땅을 인접한 도로면보다 높여야 한다는 개념이 포함된다. 다른 하나는 객관화하기 어려운 측면, 이를테면 주관적 지각과 심미적 판단 대상으로서의 땅이다. 도심외곽으로 확장되며 농경지를 잠식하고 있는 거대한 아파트 단지를 보며 혐오감을 느낀다든가, 훼손되지 않은 자연 속 에덴동산에 앉아 있는 듯한 편안함을 느끼는 감성이 여기에 포함된다. 이런 맥락에서 프랑스의 지리학자 오귀스탱 베르크Augustin Berque는 ‘근대적 랜드스케이프를 넘어’라는 글에서 ‘환경environment’과 ‘랜드스케이프landscape’를 구분한다.1 그에 따르면 ‘환경’이란 사회·자연·공간의 관계에 대한 사실적·객관적 개념이다. 그에 반해 ‘랜드스케이프’는 이러한 관계에 대한 사회적·주관적 지각이자 다양한 해석과 가치 부여의 결과다. 특히 도시 환경 속에서 땅은 첨예한 경제적 요구와 다양한 사회적 바람을 담고 있다. 따라서 땅을 이해할 때는 그 사실적 측면과 더불어 지금의 랜드스케이프로 재구성된 과정과 원인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다. 분명한 지형과 숨은 지형 이렇게 도시 안에 자연 그대로의 땅이 좀처럼 남아 있지 않고 태초에 땅이 가진 본질적 아름다움이 사라졌다며 안타까워 할 필요는 없다. 하버드 대학교의 앙투안 피콘Antoine Picon 교수에 의하면 적어도 서구에서는 초기 산업 혁명기를 전후로 도시가 자연 속에 자리 잡는 시대가 저물고 도시 환경 자체, 이를테면 초고층 타워와 아파트 단지, 굴뚝과 가로등, 네온 사인과 간판이 다른 도시 공간을 위한 배경으로 작용하기 시작했다.2 사실적 환경으로서의 자연이 아니라 인공적으로 생성된 랜드스케이프가 점차 주요 도시 맥락을 지배하기 시작한 것이다. 나아가 렘 콜하스와 같은 건축가는 1990년대 전후로 도시 외부가 아닌 내부에 땅이 갖고 있는 여러 가지 특질, 이를테면 경사진 언덕과 숲을 연상시키는 기둥, 산책로와 같은 내부 가로를 적층시키는 일련의 계획안을 발표했다(그림3). 공항, 터미널,금융 센터, 지하 쇼핑몰, 호텔과 컨벤션 센터와 같은 초대형 시설이 과거 작은 도시에 해당하는 유동 인구와 프로그램을 수용하게 되면서 새로운 도시 공간의 모습을 형성하게 되었다. 이러한 도시 공간은 전경이자 배경, 즉 그 자체로 훌륭한 랜드스케이프일 뿐 아니라 이후 만들어질 다른 도시 형태나 새로운 사회적 활동을 위한 밑바탕이 되고 있다. 김세훈은 1978년생으로 서울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한 후 하버드GSD에서 도시계획학 석사와 박사 학위(DDes)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에서 도시설계 이론과 스튜디오 수업을 가르치고 있다. 저서로 『신흥도시 개발 모델』, 『도시형태변화분석방법론노트』, 『도시와 물길(A City and Its Stream)』 등이 있으며, 한국, 중국, 동남아시아의 도시 연구와 설계를 함께 진행하고 있다.
[그들이 설계하는 법] 입금과 이스트와 불꽃
7 입금을 대하는 디자이너의 자세 오래전 학교 수업 시간이었나, 졸업 작품 크리틱 시간이었나. 눈망울 초롱초롱한 ―아차 ‘초롱초롱하다’는 표현이 떠오르는 걸 보니, 졸업 작품 크리틱 때는 아닌 듯하다― 학생,그러니까 어린이(학부생부터 대리 미만의 직원을 이르는 매우 주관적인 용어)가 다음과 같은 질문을 했다. “교수님, 언제 설계하길 잘했다고 느끼세요” “설계에서 보람은 어디서 찾으시나요” “좋은 설계를 하기 위한 조건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아… 이런 초롱초롱한 질문에 난 몹쓸 답변을 하고 말았다. “난 입금 될 때.” 입금은 좋은 것이다. 클라이언트가 지녀야 하는 여러 덕목 중 가장 으뜸을 꼽는다면 단언컨대 ‘입금’일 것이다. 입금의 효과에 대해 순차적으로 알아보자. 입금이 되면 1. 할리우드 스타는 영화 촬영 전까지 식스팩과 S라인을 만들고, 가수는 행사장까지 가속 페달을 밟을 것이며, 주부는 투 플러스 한우를 굽겠지만, 디자이너는 플러스펜과 롤지를 안고 밤샐 준비를 할 것이다. 2. 아름다운 안(최소한 본인의 마음에 드는 계획안)을 만들기 위해 밤을 지새우고, 몸이 피곤해도 맑은 정신으로 프레젠테이션을 할 수 있으며, 클라이언트의 사소한 변경도 달갑게 수용할 것이다. 3. 거의 대부분의 프로젝트가 그러하듯이 끝을 향해 달려갈수록 처리해야 할 일과 설계 변경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간다. 그럼에도 디자이너는 마지막 입금을 생각하며 최종 마무리에 여념이 없다. 4. 완료되었다(설계안 제출, 준공, 납품, 털어냄, 던져줌, 끝, 쫑과 같은 다양한 용어가 난무함). 그리고 입금이 되면 디자이너는 뒤풀이(과도한 취미 생활, 가족 행사, 골프, 술, 여행 등)를 꿈꾸며 또 다시 밤샐 준비를 한다. 그러나 보통 이런 질문에는 ‘나의 노력으로 지구가 조금 아름다워졌고…’, ‘나의 작품에 다른 사람들의 좋은 평가가 수반되고…’, ‘나의 수많은 관찰과 애정으로 자신과 공공의 선을 위해 노력할 때…’ 등, 꿈과 희망을 줄 수 있는 답변을 해야 한다. “난 입금될 때”라는 답변에 대한 변명을 하자면, 로직을 오픈한 지 얼마 되지 않았을 당시에 나의 머릿 속의 95%는 ‘다음 달 월급’으로 가득 차 있었다. 항산항심1에 근거한 사고방식에 젖어 있던 것이다. 비슷한 속담으로 ‘쌀독에서 인심난다’, ‘사흘 굶어 도둑질 아니할 놈 없다’ 정도를 들 수 있겠다. 보다 훌륭한 안(플랜, 디자인)을 위한 열정이 폭발하기 위해서는 ‘입금’이라는 촉매가 필요하다. 칭찬은 고래를 춤추게 하고, 입금은 디자이너의 열정을 끓어오르게 한다. 그 당시 질문했던 어린이가 지금이라도 이런 속사정을 알아줬으면 좋겠다. 8 돈이 전부가 아닌 가치에 대한 탐구 언젠가 예비군 소집일에 초등학교 동창을 만났다.한 15년 만이던가 순간 반가운 마음에 호구조사로 화제가 넘어갔다. 초등학교에는 이과 문과의 구분도 없어 추측할 길이 없으니, “뭐해서 먹고 사냐”, 또 “살만하냐” 뭐 이런 식의 질문이 오고갔다. 그 동창은 구로에서 간판 회사를 한다고 했다. 하도 쓰러지고 새로 생기는 가게가 많은 와중에 자리를 잘 잡아 돈을 쓸어 담고 있다고 했다. 중학교 졸업 후 바로 간판 사업에 뛰어들었고, 잔뼈가 굵어져 지금의 위치까지 오르게 되었다고 했다.그 당시 내가 버는 것의 열 배 정도 버는 것 같았고, 이젠 좀 살만하다며 뿌듯해 했다.그는 나에게 많은 야근과 적은 봉급으로 어떻게 생활을 하냐며 측은해 했다. 이런 얘기를 들으면서 난 이렇게 생각했다.‘디자인과 조경 설계는 공공의 선을 위한 일이며, 내가 좋아하는 일을 할 수 있는 평생 직업이므로 상관없다…’라는 생각이었느냐고 아니다. 솔직히 그것보다는 ‘예비군 훈련 끝나고 납품해야 하는데…’라는 생각밖에 없었고, 그러다가 ‘야근하느라월급 쓸 시간이 없어서 다행이다’라는 생각이 순간 떠올라 피식 웃고 말았다.그 후로 많은 시간이 흘렀고 돈은 생각보다 (혹은 예상대로) 많이 벌지 못했다(그래도 생활은 했으니 벌었다고 해야 하나.그런데도 아직까지 조경 설계를 직업으로 갖고 있고 그래서 ‘그리고’ 있다. 이유가 뭘까?우리는 다시 한 번 생각해 봐야 한다.‘과연 설계가 돈을 벌기 위해서만 존재하는 걸까?’ 물론 몇몇 조경 디자이너는 많은 돈을 벌기도 하지만 대다수는 그저 중산층 정도의 수입으로 수수한 삶을 살아간다.사실 적당하고 일관된 보수의 확보는 어느 직업이든 중요한 문제이지만, 조경 설계는 오늘날 부의 기준에서 돈버는 분야라 할 수 없다. 그렇다면 많은 돈을 벌기 위해 조경 설계를 시작한 것이 아니라면 어떤 이유에서 지금까지 이 일을 하고 있는 것일까? 보통 사람들은 설계를 한다고 하면 건축 설계, 인테리어 설계를 떠올리는데, 조경 설계를 한다고 하면 이런 반응이 대부분이다. “아… 예, 좋은 일 하시는 거죠” (좋은 일이죠…) “고속도로 변에 많은 그거죠” (그러니까요…) “돈 많이 벌 수 있다던데.” (뭐 그럴 수도…) “아! 공원 설계, 그거죠” (난 여기에 해당되지 않는데…) “그거 전망이 좋다던데요” (20년 전에도 그랬지…) 오형석은 새로운 조경 문화를 고민하던 젊은 조경가 7인과 의기투합해만든 프로젝트 그룹을 기반으로, 2005년도에 디자인로직을 설립했다.만 10년 동안 디자인로직을 이끌며 새로운 외부 환경에 대한 실험을 끊임없이 시도하고 있으며, 또 다른 디자이너에게 영감을 줄 수 있는 디자인을 갈구하고 있다. 경원대학교(현 가천대학교) 조경학과를 졸업 후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환경조경학과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고, 서인조경과 가원조경기술사사무소에서 실무를 익혔다. LH 조경 부문 자문위원,인천시 도시디자인 자문위원, 코레일 조경 심의위원을 역임했고, 한국도로공사 사옥, 한남더힐 설계공모전에서 당선되었으며, 세종문화회관예술 정원, 호텔 롯데 제주, 용현 SK VIEW 등을 설계했다.
[조경의 경계를 넘어, 조경 속으로] 슈벤두 샤르마
숲이 상품이 될 수 있을까? 정원이나 공원을 만드는 일이라면 자격을 갖춘 전문가가 필요할 수 있다. 하지만 숲, 그것도 자연의 모습을 꼭 빼닮은 숲 또한 기업의 이윤 추구 영역이 될 수 있을까? 좀처럼 확신이 안선다. 우리에게 숲 만들기란 그저 ‘우리 강산 푸르게 푸르게’ 식의 공익 광고 혹은 초록색 작업복으로 상징되는 새마을 운동을 연상시키거나 목재로 쓰기 위한 열대우림, 캐나다의 대규모 조림 사업 등을 떠올리게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리는 이제 건강한 숲 자체가 상품이 되는 세상으로 진입했다. 여기서 ‘건강함’이란 휴양림 광고에 쓰일 법한 비유적 표현이 아니다. 그것은 실제로 높은 종다양성과 생태계 서비스를 묘사하는정확한 표현이며 숲으로서의 엄격한 자격 기준을 통과 함을 의미한다. 인도의 무모한 청년, 슈벤두 샤르마가 설립한 숲 만들기 전문 기업 어포레스트가 해내고 있는 일이다. ‘숲, 1년에 1미터 성장 보장’, 어포레스트가 내건 마케팅 캐치프레이즈다. 상당히 인상적인 수치가 아닐 수 없다. 어떻게 이것이 가능하다는 말인가? 심지어, 샤르마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100년 걸려야 만들어지는 숲을 10년 내에 만들어 드립니다”, 혹은 “10년 걸려야만들어지는 숲을 1년 만에 만들어 드립니다”. ‘숲이 무슨 콩나물시루도 아니고 정말 가능한가’ 한편으로 궁금하기도 하고 영 미심쩍기도 하다. 비밀은 뭘까? 너무 당연하지만 우리가 종종 잊고 사는 것은 이 세상의 모든 생명이 서로에게 의존적이라는 사실이다.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 중에 독자적으로 생존할 수 있는 것은 없다. 우리는 모두 서로에게 기대어 살아간다. 어포레스트가 만들어내고 있는 숲의 핵심은 바로 그러한 상호 의존성에 대한 명확한 인식에 바탕을 두고 있다. 숲이란 그저 나무의 집합만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새, 벌레, 동물, 온갖 종류의 다양한 식물이 함께 할 때 온전히 숲이라 불릴 만한 것이 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조화, 하모니와 건전한 경쟁을 통해서 숲이 빠르게 성장할 수 있다고 얘기한다. 샤르마는 생태적으로 조화롭고 지속가능한 숲은 훌륭한 비즈니스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는 원래 토요타 공장에서 일하던 산업 엔지니어였다. 어느 날 공장 주변 숲 조성을 위해 방문한 일본의 저명한 식물학자 아키라 미야와키Akira Miyawaki 박사의 강연을 듣고 자원봉사자로 참여한 후 숲 만들기를 새로운 일생의 업으로 삼고 진로를 바꾸었다. 즉 어포레스트는 미야와키의 오랜 연구를 바탕으로 한 ‘잠재 자연 식생potential natural vegetation 이론’과 경험에서 출발했다. 이에 더하여 어포레스트는 공학적 마인드와 IT 문화, 인도라는 지역적 환경을 접목시켰다. 과학적인 프로젝트 진행 방식과 효율성 추구, 모니터링, 경이로운 퍼포먼스에 있어서는 전직 엔지니어로서의 면모를 숨길 수가 없다. 어포레스트의 방식이 처음부터 모두에게 환영 받은 것은 아니다. 환경운동가에게 접근했더니 놀랍게도 그들은 숲을 만드는 일 자체에는 큰 관심이 없었다. 조경가에게 갔더니 그들은 오히려 그 자리에 있던 것들조차 깡그리 베어버리고 다른 대륙에서 수입해 온 잔디밭을 만드는 데에만 열중했다. 샤르마는 결국 양쪽 모두에게 실망할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스스로 숲을 만드는 일을 시작해야겠다고 결심하게 되었다. 샤르마의 ‘종다양성’은 추상적인 구호이거나 우리와 상관없는 먼 열대우림에서나 거론될 만한 과학 용어가 아니다. 그는 우리 눈으로 확인할 수 있고 손으로 만질 수 있고 피부로 느낄 수 있는 생물다양성을 우리 이웃에서 지금 이 순간 만들어 내고 있다. Q. 히말라야 산맥을 바라보는 북인도 카쉬푸르Kashipur가 고향인데, 지금은 인도 IT 산업의 중심인 방갈로르Bangalore에 살고 있다. A. 산록부의 매우 작은 마을이다. 우리 집 뒷마당에서는 히말라야의 산들을 바라볼 수 있다. 이곳의 특별한 점은 인도 최대의 야생 호랑이 보호 구역인 짐 콜벳 국립공원Jim Corbett National Park과 매우 가깝다는 점이다. 실제로 호랑이 사냥이 벌어지기도 한다. 인도판 아프리카인 셈이다. 내가 뒷마당에 숲을 만들고 난 후 나무들이 자라 더 이상 산이 보이지는 않는다. Q. ‘Afforestt’에서 t가 왜 두 개인가? A. 하하. 몇 가지 이유가 있다. 회사를 차리기로 결정했을 때 ‘Afforest.com’이라는 도메인 명은 이미 태국의 어떤 사람이 사용하고 있었다. 벤처 기업으로서 도메인명을 구매하는 것은 상상하기 어려웠다. 두 번째 이유는 조금 전에 말했던 짐 콜벳을 기리기 위해서다. 그는 사냥꾼이었는데 마을을 공격하는 호랑이 수백 마리를 처치해 소중한 인명을 구했기 때문에 인도 사람들로부터 존경을 받았다. 그러나 그는 곧 갈등의 원인이 호랑이가 아니라 호랑이의 영역을 침범한 농토 개간과 숲의 소실이 문제라는 것을 깨달았다. 그 후 짐 콜벳은 인도에 처음으로 야생 동물 보호 구역과 국립공원이라는 개념을 도입했다. 당시 대부분의 영국인은 인도를 그저 제국주의의 시장으로만 생각했지만 짐 콜벳은 인도의 땅과 인도인을 살리기 위해 일했다. 두 개의 t는 그의 이름에서 따 온 것이다. 내가 처음 생각했던 회사의 이름이 ‘Corbett Forest Making Company’일 정도였다. 물론 고민 끝에 결국 Afforestt로 바꾸긴 했지만 짐 콜벳에 대한 존경의 표시다. 그런데 나의 일본인 친구가 tt를 나무 木자 두 개로 쓰면 좋겠다는 아이디어를 주었고 지금 우리 로고에 그렇게 표현되어 있다. 영어를 읽을 줄 모르는 사람이라도 한자를 안다면 수풀 ‘林’자는 읽을 수 있으니 더 좋지 않은가. Q. 웹사이트에서 밝히고 있는 사업 내용에 의하면 어포레스트는 ‘자연적이고 야생적이며 관리가 불필요하고 자생적인 숲’을 만드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런데 언뜻 들으면 어포레스트가 만들려고 하는 결과물은 노지를 그대로 방치할 경우 자연스럽게 씨앗이 날아와 생기는 숲과 별반 차이가 없는 것 같다. 고객의 입장에서 굳이 어포레스트의 서비스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A. 어포레스트 방식은 그러한 자연적인 숲의 생성과정을 몇 배로 활성화 시키는 것이다. 즉, 100년이 흘러야 생길 수 있는 숲을 우리는 10년 안에 만들 수 있다. 10년이 걸리는 숲 정도는 하루아침에(그만큼 짧은 기간에) 만들어낼 수 있다. 이 꼭지를 연재하고 있는 인터뷰어 최이규는 1976년 부산 생으로, 그룹한 어소시에이트 뉴욕 오피스를 이끌며 10여 차례의해외 공모전에서 우승했고, 주요 작업을 뉴욕시립미술관 및 소호, 센트럴파크, 두바이, 올랜도, 런던, 위니펙 등지의 갤러리에전시해 왔다. 저서로 『시티 오브 뉴욕』(공저)이 있다.
[재료와 디테일] 갈라지고 썩어야 나무
나무는 흔하다. 조금만 나서면 숲이 있고 가로수가 있다. 우리가 거주하는 집에서도 가장 쉽게 발견할 수 있는 소재가 나무다. 또한 나무는 시간을 거슬러 석기 시대 이전부터 인류에게 중요한 생활의 도구로 활용되어 왔다. 그만큼 잠재의식과 유전적 기질에서부터 친근한관계에 있는 소재다. 이러한 목재로 만든 시설물은 내가 일하는 설계사무실의 모니터 화면 속에서도 늘 빠지지 않는 단골손님이다. 아마도 우리가 친근하게 접할 수 있는 소재라는 점에 그 이유가 있는 듯하다. 물가를 따라 흐르는 수변 데크, 산길을 따라 설치되는 산책 데크와 산 정상의 전망 데크, 그리고 그 옆에 자리한 목재로 만든 방갈로 등은 한 폭의 그림 같은 풍경으로 조합된다. 결국 사람들이 가장 편하게 받아들이고 인정할 수 있어 쉽게 설득할 수 있다는 장점에 계획안 이곳저곳에 그려 넣는 것은 아닌지 조심스럽게 추측해 본다. 다분히 감성적인 면을 강조한 결과인 듯하다. 그러나 실시 설계와 시공 과정에서는 상황이 달라진다. 그렇게 열심히 예쁜 그림을 그려서 보여주고 설득한 뒤 가장 먼저 ‘검열’되는 소재가 바로 이 목재다. 절대 안 된다고 못을 박는 곳도 있고 필요한 곳에 최소한으로만 사용토록 압박하고 다른 고강도의 재료로 바꾸기 일쑤다. 고가의 재료라는 점에서 초기 투자비에 부담을 주기도 하거니와 지속적인 유지·관리가 필요한 소재라는 점이 이러한 상황을 낳는 경우를 자주 경험했다. 감성적으로 친환경 소재임을 강조하며 클라이언트를 설득하지만 결국 시공할 땐 목재보다 덜 친환경적이고 강도 높은 재료를 사용하게 되는 이유가 뭘까. 친환경에 대한 계량화된 데이터 구축, 목재의 부패를 지연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고찰, 경비 절감 방안의 정량적 설득이 필요하다. 잠시 목재가 친환경적이지 않은 소재일지도 모른다는 생각도 해본다. 친환경이라는 말을 다르게 해석하면 ‘환경에 부담을 덜 주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을 텐데, 목재는 숲의 나무를 베어야 만들 수 있는 자재이므로 결국 숲의 파괴를 가져오지 않을까하는 의문을 갖게 된 것이다. 과연 그럴까. 이대영은 여기저기 살피고 유심히 바라보기 좋아하는 사람으로 살아가려 노력하고 있다. 만드는 것에 관심이 많으며, 작고 검소하며 평범한 조경설계를 추구하고 있다. 영남대학교에서 공부했고 우대기술단과 씨토포스(CTOPOS)에서 조경의 기초를 배웠다. 조경설계사무소 스튜디오엘(STUDIO L)을 시작하고 작은 작업들을 하고 있다. www.studio89.co.kr
[공간 공감] 양재동 꽃시장
3월 말 양재동 꽃시장을 찾았다. 초본이나 원예 용품을 사러 종종 들르는 곳이니 새로울 것은 없지만, 오늘은 보고자 하는 각이 좀 틀리다. 결론부터 얘기하자면 양재동 꽃시장은 시장 본연의 기능 외에도 공공 공간으로서 매력이 넘치는 장소이니, 멀티태스킹을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이 고안되면 좋겠다는 의견이 중점적으로 제시되었다. 사실 양재동 꽃시장은 설계 스튜디오에서도 단골손님으로 다뤄질 정도로 이슈와 설계거리가 푸짐한 곳이다. 조경의 가장 중요한 재료 중 하나인 초화가 팔리는 시장이니, 전문가들의 재료 공급처이자 동시에 대중의 조경 인식이 반영되는 장소라 할 수 있다. 공간에 대한 디자인을 논하기에 최적의 소재는 아니지만 시장이라는 인프라가 어떻게 다층적으로 활용되어 장소 가치를 높일 수 있을지에 대한 논의를 하기에는 맞춤한 장소다. 시장, 공원 그리고 정원 문화란 관점에서 양재동 꽃시장을 재조명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싱거운 언급이지만 이곳에는 볼만한 초화가 가득하다. 색색의 갖가지 초화는 봄을 알리는 전령사뿐만 아니라 계절 변화의 바로미터 역할을 톡톡히 해낸다. 이 때문에 초화 구입이 아니라 견학이나 아이쇼핑을 위해서 이곳을 찾는 이들도 꽤 된다. 하지만 이들을 위한 부대시설은 찾아보기 힘들다. 대개의 도매시장이 판매 시설 이외에 다른 편의 시설을 갖추는 데 인색하듯이 양재동 꽃시장 역시 예외가 아니다. 도매 유통이 주로 이루어지고 전문가가 주 고객인 시장이니 큰 문제가 아니라고 여길 수도 있지만, 보다 대중적이고 흥미로운 시장이 되기 위해서는 판매나 편의 시설의 보완이 필요하다. 참고할 만한 사례로는 유럽에서 일반화된 가든 센터가 있다. 정욱주는 이 연재를 위해 작은 모임을 구성했다. 글쓴이 외에 factory L의 이홍선 소장, KnL 환경디자인 스튜디오의 김용택 소장, 디자인 스튜디오 loci의 박승진 소장 그리고 서울시립대학교의 김아연 교수 등 다섯 명의 조경가가 의기투합했고, 새로운 대상지 선정을 위해 무심코 지나치던 작은 공간들을 세밀한 렌즈로 다시 들여다보고 있는 중이다.
Finalist: Mesa Central
메사 센트럴Mesa Central은 ‘어떻게 하면 메사 시민과 메사 시티 센터를 찾는 방문객에게 웃음을 줄 수 있을까’라는 물음에 답하기 위해, ‘도시적 경험의 강화’, ‘근접 지역의 연결’, ‘도심부 보호’라는 세 가지 주제에 중점을 두고 구성되었다. 프레임워크워시The Wash는 도심부 중심을 관통하는 메인 스트리트Main Street와 같은 레벨에 조성되어, 광장에서 벌어지는 다양한 도시 활동이 유입되는 통로로 기능한다. 메사 센트럴의 워시를 구성하는 리플렉션 풀refl ection pool과 피크닉 고원, 바닥 패턴 등의 공간 구성 요소는 애리조나의 간헐천과 건조 지역의 모습을 차용한 것이다. 도심부와 경전철, 메사 아트 센터Mesa Arts Center, 그리고 추후 세워질 음악 학교와 이스트 메인 스트리트East Main Street 개발 지구를 연결하면서 도시 성장과 통합을 이루는 주요 뼈대를 만들어낸다. 애리조나 구릉 지대를 연상시키는 풋힐Foothills은 강렬한 공간 구조와 식재로 이루어진 공원 내부의 언덕이다. 풋힐의 구조와 지형은 메사 도심부에서 볼 수 없는 수직적 오픈 스페이스를 제공한다. 워시와 풋힐의 사이를 연결하는 블러프Bluffs는 점차 건조화되는 애리조나 주의 지형적 변화를 보여주며 대상지 전체를 가로지르는 좋은 전망 포인트를 제공한다. 블러프가 만들어내는 사막 경관은 방문자들이 메사 센트럴 곳곳에서 펼쳐지는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있도록 정교하게 조직되어 있으며, 주로 바위나 건조 기후대 식물 등으로 채워져 있다. 대상지 좌우측을 관통하는 중앙 구간을 통칭하는 페퍼플레이스Pepper Place는 새로운 주 보행로 기능을 수행한다. 메인 스트리트와 평행하게 나 있는 이 보행로는 도시 어메니티와 박물관, 주차장을 포함한 인접 시설들을 연결한다. 다층 구조로 식재된 나무는 공간을 구획 및 조직하며 대상지 내의 연속성을 만들어낼 뿐 아니라, 방문자가 편히 쉴 수 있는 그늘을 제공한다. 나아가 무성하게 자란 초목과 푸르게 우거진 나무는 대상지의 열섬 현상을 완화하며, 나무의 플랜터는 빗물집수와 여과 작용을 돕는다. 우드 베곳(Woods Bagot)은 140여 년의 역사를 지닌 국제적 디자인 컨설팅 기업으로 미국, 호주, 아시아, 유럽 전역에 걸쳐 약 1,000여 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다. 2014년 발표된 ‘세계 100대 건축사무소(World Architecture 100 List)’에 일곱 번째로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 건축, 컨설팅, 교통, 인테리어 디자인, 마스터플랜, 그리고 도시계획까지 광범위한 설계를 진행하고 있다. 서피스디자인(SURFACEDESIGN)은 조경, 도시 설계, 마스터플랜 등 광범위한 영역을 디자인하는 회사다. 2001년 설립되어, 대규모 도시계획, 공원 디자인, 단지 설계, 기업·캠퍼스 설계, 가로 경관 디자인 등 다양한 규모의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 사람과 자연 환경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지속가능성에 대해 열정을 갖고 있다.
Finalist: Living Room Plaza
리빙 룸 플라자Living Room Plaza에는 풍요로움이 가득한 도시를 만들기 위해 ‘복잡한 활력소messy vitality’라는 설계 개념이 담겨 있다. 이는 항상 사람들의 활동으로 가득한 공간이 되도록 유도하고, 새로운 공간 경험의 폭을 넓혀 방문객의 상상력을 자극할 수 있는 장소 제공을 목표로 한다. 리빙 룸 플라자의 프레임워크는 물리적 공간에 대한 탐색을 북돋우는 한편, 새롭게 경험하게 될 공간 속에 메사 시의 흥미진진한 삶을 담아낼 것이다. 나아가 전체적으로는 시민의 교육과 건강한 생활을 지원하고, 도시 규모의 지속가능성과 회복탄력성을 증진시키게 될 것이다. 지속가능한 전략은 블록 단위 개발을 통한 도시의 통합, 에너지 절약, 천연 자원의 보존, 수질 정화를 위한 혁신적 건축 기술 및 현장 설계 방식 등을 포함한다. 리빙 룸 플라자는 일련의 레이어를 겹쳐 유기적인 공간을 구현하는 방식을 취한다. 각각의 레이어는 성공적인 도심 공간 창출에 기여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수직적 프레임워크 기존 건물과 신규 건물은 모두 도시 맥락과 규모의 측면에서 중요한 구심점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소매상점과 카페는 건물 1층의 전략적 위치에 입점하게 된다. 독특한 패턴의 그늘 캐노피, 간판이 설치된 건물 지붕, 야외 테라스 등이 광장 주변을 가득 채우게 될 것이다. 이는 도시를 향해 있는 광장의 에지 부분이 쇼핑, 외식, 전시 관람 등의 활동과 카페와 바를 이용하는 사람들의 이야기 소리 등으로 활기를 띄게 할 것이다. 새로 들어설 어린이집과 피트니스 센터 역시 리빙 룸 플라자를 활성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신규 사업체들은 기존의 지역 상인들과 메인 스트리트에 위치한 상가들의 기능을 보완하여 상권 활성화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지역민과 방문객은 유리로 만든 독특한 투명 엘리베이터를 타고 시티 오피스 타워City Offi ce Tower 8층에 위치한 새로운 옥상 데크에 쉽게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오텍(Otak)은 1981년 설립된 종합 엔지니어링 건축사무소로 다양한 전문 분야의 엔지니어, 건축가, 도시계획가로 구성되어 있다. 보다 지속가능한 건조 환경을 만들어내기 위해 노력하는 등,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있으며 각 프로젝트가 갖는 잠재적인 경제 효과의 중요성 또한 놓치지 않으려 한다. 오텍은 창립 30주년을 계기로 한국의 한미글로벌(HanmiGlobal)과 전략적 제휴를 체결했고 이를 시작으로 보다 국제적인 기업으로 도약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메이어/리드(Mayer/Reed)는 미국 오리건(Oregon)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도시조경설계사무소다. 도시설계나 조경과 같은 공간 설계뿐만 아니라 생활환경 개선에 필요한 상품 디자인과 그래픽 디자인도 수행하고 있다. 메이어/리드는 사회·문화·생태·역사 등 환경에 영향을 주는 모든 요소를 포함하는 다학제적 접근을 통해 즐겁게 일하고, 배우고, 놀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자 노력하고 있다.
Winning Proposal: Mesa City Center
콜웰 셀러Colwell Shelor, 웨스트 8West 8, 그리고 웨들길모어Weddle Gilmore가 팀을 이뤄 제출한 메사 시티센터Mesa City Center는 양립하기 어려운 두 가지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공간에 대한 시정부 및 지역 사회의 바람을 반영하고 있다. 즉, 대규모 축제를 개최할 수 있는 오픈스페이스, 그리고 산책이나 휴식 같은 일상적 활동이 가능한 지역 공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반전을 품은 도시 광장town square with a twist’을 목표로 한다. 나아가 그늘이 드리워지고 녹음이 우거진 매력적인 환경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메사 시가 혁신·예술·비즈니스·커뮤니티 등의 관점에서 선도적 도시임을 부각시킬 수 있는 독창적이고 상징적인 공간을 제안한다. 디자인의 특징을 꼽자면, 융통성 있는 활용이 가능한 일련의 넓은 공간, 보행자 연결로, 소노라 사막Sonoran Desert을 떠올리게 하는 친근한 경관, 그리고 많은 사람들을 끌어들이게 될 대중 친화적 프로그램을 갖춘지상 공간 활용 등이 있다. 보행로 및 다양한 외부 공간으로 구성된 녹색 네트워크를 통해 메사 시티 센터로부터 메인 스트리트Main Street, 메사 아트 센터Mesa Arts Center, 컨벤션 센터Convention Center, 그리고 인근주거 지역까지 자연스러운 보행자 흐름이 형성된다. 기존 건물들의 용도를 재설정함으로써 다양한 식음료 판매소가 1층에 들어설 수 있게 했고 건물 주변으로 테라스를 설치해 공공 영역과 자연스럽게 연결될 수 있도록 유도했다. 이렇게 새롭게 들어선 상점과 외부공간은 다수의 사용자를 수용하는 동시에 대상지 바깥으로까지 메사 시티 센터의 영향력이 뻗어나가는 거점이 된다. 시청사 건물 옥상에 마련된 스카이 테라스Sky Terrace는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꾸며져 행사 및 일몰 감상에 적합한 공간으로 기능한다. 콜웰 쉘러(Colwell Shelor)는 미국 애리조나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조경설계사무소로 엘리슨 콜웰(Allison Colwell)과 미셸 쉘러(Michele Shelor)가공동 설립했다. 대규모 단지 개발에서 도심 내 야생동물보호구역 정비 사업까지 다양한 규모와 성격의 프로젝트를 다루고 있다. 독특하고 생동감 넘치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 토착종의 발굴 및 활용과 도시 기반 시설에 대한 전문적 이해를 바탕으로 한 접근법을 추구하고 있다. West 8은 네덜란드 로테르담을 기반으로 뉴욕과 벨기에에 지사를 둔 도시·조경설계사무소로서 조경가, 건축가, 도시설계가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70여 명이 함께 일하고 있다. 1987년 설립된 이래로 대규모 도시 및 환경 설계 프로젝트에서부터 워터프런트, 공원, 광장, 정원, 시설물에 이르기까지모든 프로젝트에서 종합적이고 다학제적인 접근을 통한 디자인을 수행하려 노력한다. 웨들 길모어(Weddle Gilmore)는 필립 웨들(Phillip Weddle)과 마이클 길모어(Michael Gilmore)가 공동 설립한 건축·도시설계사무소로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다. 모든 프로젝트마다 다양한 문화적·경제적·환경적 이슈에 대응할 수 있는 디자인을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개인주택 및 오피스 건축과 같은 사적 프로젝트부터 캠퍼스 계획, 메모리얼, 동물원 등의 공공 프로젝트까지 점점 그 활동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Mesa City Center Design Competition
15%의 가능성,메사에 불어올구릿빛 바람 메사The City of Mesa는 애리조나 주의 최대 도시인 피닉스Phoenix에서 약 32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인구 45만 규모의 위성 도시다. 소노라 사막Sonoran Desert의 영향권에 위치한 메사는 ‘평평하고 건조한 대지’라는 도시의 이름처럼 7월에는 평균 41°C(최고 기록 48°C)까지온도가 상승하는 무더위를 자랑하며, 연중 강수량이 250mm가 채 되지 않는(235.6mm, 2012년 기준) 매우 건조한 기후를 보인다. 메사는 1883년에서야 인구 300명에 도달한 작은 농업도시였다. 이후 1940년대 제2차 세계대전 발발을 계기로 팔콘 공군 기지Falcon Field와 윌리엄스 공군 기지Williams Field가 들어서면서 도시 발전의 전환기를 겪게 되었고, 이 과정에서 인구 증가, 도시 기반 시설 확장등 급격한 도시 개발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주정부는 전쟁이 끝난 후 군사적 활용도가 낮아진 팔콘 공군 기지에 민간 공항의 기능을 추가하게 되었고, 이후 메사는 애리조나 항공 교통의 중심지로 발달하게 된다. 한편, 같은 시기 공군 기지 주변으로 우주항공산업 관련 사업체가 유치되고, 애리조나 주립대학교에서관련 학과에 많은 지원을 하면서 항공 산업 중심지로서의 성격이 더욱 강화된다.이러한 흐름은 1990년대까지 이어졌고, 증가하는 인구에 대한 보건 관련 시설과 사업체가 들어서기 시작한다. 꾸준히 증가하는 인구와 인구 구성의 다변화와 더불어 메사의 도시 기반 산업이 다변화하기 시작했고 애리조나에서 세 번째로 큰 도시로 성장하게 된다. 그러나 2000년대 후반 진행된 도시쇠퇴 현황조사에 따르면 인구성장률이 34%(1990)에서 10%(2010)까지 줄어들었으며, 주택 및 상가 공실률이 늘어나고 경제 관련 지수가 모두 하락하는 등, 메사는 도시쇠퇴기에 접어든 도시에 속하게 된다. 이에 2010년 말, 시정부에서는 상권 활성화와 외부 자본의 투자를 유치하기 위한 ‘메사 종합 발전 계획Mesa Central Main Plan(2010)’을 발표했고, 2012년 11월에 이르러 이러한 도시 발전 계획의 중심이 될 ‘메사 시티 센터 디자인 컴피티션Mesa City Center Design Competition’을 개최하게 된다. 발전위원회는 “뉴욕의 하이라인, 휴스턴의 디스커버리 그린Discovery Green이 10억 달러 이상의 수익 효과를 냈던 것처럼, 좋은 공공 공간이 메사의 도시 활성화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며 공모 배경을 설명했다. 설계지침과 설계공모 진행 과정 이번 설계공모의 당선 팀에는 10만 달러의 상금과 5천만 달러 규모의 실시설계권이 주어진다. 시정부는 이번 공모를 메사 시티 센터의 정체성을 부여하는 ‘콘셉트 디자인’ 성격이라고 설명하며, 각 설계팀이 제시하는 설계안은 전체 개발 과정의 15%에 해당한다고 강조했다. 즉, 당선될 설계안의 디자인 발전, 펀딩funding, 실시 설계 및 시공 등을 포함하는 나머지 85%의 과정에 시정부와 시민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겠다는 것이다. 이듬해 10월, 최종 결선에 진출할 팀을 선정하기 위한 사업수행능력평가서Statements of Qualifications(SOQ) 평가를 진행했는데, 총 18개 컨소시엄이 이 과정에 참여했다. 시에서 요구한 것은 컨소시엄 별 포트폴리오와 더불어 대상지 조사·분석 리포트와 간략한 프로젝트개요였지만 각 팀은 총 9개로 구성된 설계 원칙―‘상징적인 공원(signature park)의 제시’, ‘도시 맥락과의 연계’, ‘사막 기후에 대한 대응’, 그리고 ‘메사 종합 발전 계획과의 연계’ 등―을 준수해야 했다. 2013년 11월에 이르러, ‘코웰 쉘러 + West 8 + 웨들 길모어’ 팀, ‘오텍 + 메이어/리드’ 팀, 그리고 ‘우드 베곳 + 서피스디자인’ 팀이 최종 결선에 참여할 권한을 얻게 되었다. 심사위원은 ‘상징성’과 ‘기후에 대한 대응’이 3개 팀을 선정하는 데 가장 중요한 평가 기준이었다고 밝혔다. 각 팀은 이후 1차 설계안을 제출하고 5월 21일과 6월 12일 양일에 걸쳐 워크숍을 진행했다. 이 과정에서 각 컨소시엄은 1차 설계안에 대한 시민들의 피드백을 받을 수 있었다. 2014년 8월 28일 메사 아트 센터에서 최종 설계안 발표가 진행되었고, 공모 기간 전체에 걸쳐 온오프라인으로 수렴된 의견과 시민·전문가 심사단의 평가를 종합하여 코웰 쉘러 팀의 설계안 ‘메사 시티 센터’가 최종 당선작으로 선정되었다. 메사 시티 센터에 대한 세 가지 계획안 최종 결선에 진출한 오텍 팀은 18에이커에 달하는 대상지 전체를 활성화(개발)하기에 앞서, 이 중 4에이커에 주요 공간 프로그램을 집중시키겠다는 전략을 제시했다. ‘리빙 룸 플라자Living Room Plaza’는 마치 주택에서 거실living room이 가족 구성원 모두가 모여 소통하는 공간으로 기능하는 것처럼 메사 시티 센터 개발 대상지 안에서도 활동의 중심이 되는 공간에 집중적인 투자가 우선되어야 한다는 논리를 바탕으로 한다. 그러나 이는 대상지에 접한 외부 블록들과의 연계가 미진한 것이 아닌가하는 우려를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메사 센트럴Mesa Central’은 세 팀 중 가장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시한 설계안으로 각 공간별 성격이 뚜렷하게 드러난다. 우드 베곳 팀은 메사의 지형에서 모티브를 얻어 ‘행어Hanger’, ‘광장Square’, ‘계곡Valley’을 테마로 각기 다른 세 가지 설계안을 제시했는데, 최종 설계안에는 ‘하이드로 룸’, ‘클라우드’, 그리고 ‘워시’ 등, 워크숍 과정에서 주민들에게 좋은 평가를 받은 세 안의 요소들이 모두 혼합되어 있다. 시민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한 것은 긍정적이나, 완성된 설계안은 좀 더 선택과 집중이 이루어졌다면 하는 아쉬움이 들기도 한다. 당선작인 코웰 쉘러 팀의 ‘메사 시티 센터’의 구성은 매우 단순하다. 이 설계안에는 애리조나 토착종을 도입한 다양한 성격의 ‘정원’과 겨울에는 아이스 링크로 사용될 수 있는 얕은 웅덩이인 ‘반사 연못’, 그리고 구릿빛의 거대한 패시브 냉각 증발탑passive coolingevaporation tower인 ‘윈드 댄서’가 포함되어 있다. 강렬한 조형성을 가진 ‘윈드 댄서’는 폴크로리코folklórico라는 스페인 민속춤에서 영감을 얻었는데, 춤의 형상뿐만 아니라, 패시브 냉각 증발 기술을 도입하여 펄럭이는 치맛자락에서 불어오는 바람의 효과까지 살려내고자 했다. ‘윈드 댄서’는 공모 과정과 최종 평가에서 지속적으로 언급되어 온 ‘상징성’과 ‘사막 기후에 대한 대응’을 하나의 강력한 디자인 요소를 통해 해결하려는 시도로 볼 수 있다. 지난 3월 20일에는 메사 시티 센터 디자인의 경제적 측면에 대한 전문가 공청회가 열렸다. 경제 효과 분석에 대한 발표를 진행한 HR&A 어드바이저스HR&A Advisors의 캔디스 데이먼Candace Damon은 “메사 시티 센터가 하이라인이나 디스커버리 그린처럼 완성도있게 마무리 된다면, 향후 지역 경제 부흥에 좋은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긍정적인 전망을 제시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를 지켜본 몇몇 시민들은 여전히 물음표를 던지고 있다. “향후 사업비 5천만 달러(한화 542억원)를 ‘어떻게’ 마련할 것인가”하는 재정적 우려도 있었으며, 디자인을 두고 “멋지지만, 아무도 찾지 않는 기괴한 UFO가 될 수도 있다”며 윈드 댄서의 과도한(?) 형태와 기능에 대한 의문도 줄을 이었다. 물론 앞으로 주민과의 적극적 소통을 통해 디자인을 개선하고 발전시켜 나가는 과정을 거치겠지만, 한 메사 시민의 말처럼 “예쁜 그림 이상을 볼 수 있을지”에 대한 의구심을 배제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앞으로 메사의 중심에서 이 구릿빛 무용수가 일으킬 바람이 어디까지 퍼져나갈지는 조금 더 지켜봐야 하지 않을까. Winnig ProposalMesa City Center Colwell Shelor + West 8 + Weddle Gilmore FinalistLiving Room Plaza Otak + Mayer/Reed FinalistMesa Central Woods Bagot + SURFACEDESIGN
테스코 홈플러스 아카데미
무의도는 영종도가 손에 잡힐 듯 서해의 너른 바다를 사이에 두고 섬의 모양이 장수가 관복을 입고 춤추는 모습을 닮았다 하여 이름 붙여진 곳이다. 이러한 무의도의 동쪽 언덕에 자리 잡은 ‘테스코 홈플러스 아카데미(이하 테스코 아카데미)’는 홈플러스 그룹이 글로벌 기업인 영국 테스코와 함께 영국이 아닌 다른 나라에 세운 첫 아카데미다. 테스코는 직원들의 자아 개발과 리더십 교육을 제공하고 인적 교류와 구성원 모두를 위한 재충전의 기회를 부여하고자 친환경적인 연수원을 이곳에 조성했다. 아카데미는 대지 면적 59,303m2(약 17,900평), 연면적 16,020m2(약 4,800평) 규모에 총 22개의 강의장과 87개의 숙소, 도서관과 비즈니스센터, 실내외 복합공연장, 피트니스 센터 등 생활 레저 시설을 두루 갖추고 있다. 공간의 얼개 아카데미의 건축적 개념을 수용하여 크게 세 개의 얼개로 외부 공간의 설계 콘셉트를 정리했다. 첫째는 교육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해 야외 공간과 교육 공간이 어우러지는 외부 공간 계획Build a winning team이고, 둘째는 교류와 활동을 통해 협동심과 단결력을 고취하기 위한 다양한 야외 활동 공간의 창출Build a relationship, 세 번째는 아름다운 경관을 활용하여 정신적·물리적 재충전을 돕는 편안하고 즐거운 휴식 공간을 마련Build a good health하는 것이다. 바다의 품으로 맞이하다Welcome Plaza 대양을 항해하는 듯 파도치는 바다를 향해 웅장한 자태를 뽐내고 있는 크루즈 모양의 아카데미 건물이 웅변해주는 것처럼, 대상지가 가진 가장 큰 매력은 손만 뻗으면 닿을 듯이 가까운 바다와 갯벌이다. 진입 광장에 들어서면 오대양 육대주를 상징하는 석재 조형물을 지나 타원형의 캐노피가 나타난다. 처음 이곳을 찾는 방문객은 자연스레 이 캐노피에 이끌리게 되고 하늘로 뚫린 둥근 창 아래서 시원한 수평선을 바라보며 비로소 일상에서 벗어난 ‘자연 속의 나’를 발견하게 된다.물 흐르듯 디자인된 캐노피 하부의 데크 라인은 마치겹겹이 밀려오는 파도의 결과 같다. 샘솟는 물에 마음을 정화하다Spring Garden 테스코 아카데미는 국내뿐 아니라 아시아를 비롯한 전세계의 테스코 직원들을 위한 연수원이다. 해외에서 이곳까지 오는 긴 여정에서 방문객들은 설렘과 기대를 안고 일상의 탈출을 꿈꾸며 이곳에 도착하게 될 것이다. 그들이 연수 프로그램을 시작하기 전에 잠깐 동안끊임없이 솟아오르는 샘물을 보며 정화의 시간을 가지도록 했다. 발원지의 원시성을 상징하듯 짙은 흑색의 반석에서 샘물이 솟고 작은 시내가 되어 대지를 적시고 폭포가 되어 거칠게 심호흡을 하고 바다로 흘러간다. 물의 여정을 함축적으로 묘사하여 자연 속에서 마음을 정화할 수 있는 작고 상징적인 공간을 연출했다. 조경설계 그룹한 어소시에이트 조경시공 장원조경 건축설계 시아플랜 건축시공 삼성물산 발주 테스코 홈플러스 그룹 위치 인천광역시 중구 무의동 대지면적 59,303m2 완공 2011. 7. 그룹한(대표 박명권)은 1994년 창립 이래, 경제 발전의 피로에 찌든 도시인에게 자연과 호흡하는 아름다운 삶의 방식을 제시해 왔다. 그룹한의디자인은 삭막한 주거 환경의 한복판에 고향에 대한 향수와 어린 시절의추억, 그리고 자연에 대한 그리움이라는 가치를 구현해 왔으며, 여유와즐거움이 넘치는 문화 환경을 헌정해 왔다.
[비평] 9회 말 구원 투수의 딜레마
여느 수도권의 교외와 마찬가지였다. 길 양옆으로 즐비한 짝퉁 르네상스 양식의 모텔, 빅토리아풍의 펜션, 촌스러운 대형 폰트로 붕어찜과 매운탕을 광고하는 원색의 요란한 간판들…. 그 어지러운 풍경에 눈이 쉬이 피로해지지만 그럼에도 양평으로 가는 길은 여전히 푸르렀다. 차창 밖으로는 굽이굽이 산과 강이 근경, 중경, 원경으로 계속 펼쳐졌다. 양평은 분명히 녹시율이 높다. 국내 최초의 ‘치유의 숲’이 들어설 만큼 산림 자원이 풍부하다. 한마디로 양평은 일상 탈출을 꿈꾸는 자의 안식처다. 서울 시민에게는 한 시간 안팎을 투자하면 고밀도 회색 도시에서 벗어나 풀과 흙 내음이 가득한 전원의 여유를 느낄 수 있는, 경제학적으로 말하자면 시간과 비용의 투자에 비해 꽤 큰 만족감을 얻을 수 있는 최적의 입지인 셈이다. 그래서인지 양평에는 전원주택, 레저 시설뿐만 아니라 기업의 연수원도 많이 자리 잡고 있다. 산 좋고 물 맑은 서울 교외에서 업무에 지친 직장인들에게 리프레시와 함께 각종 세미나와 워크숍을 진행하는 데는 안성맞춤이다. ‘Healing in Nature’라는 슬로건을 내세우고 있는 현대 블룸비스타 또한 그런 목적으로 계획된 기업 연수 전문 리조트(시공 중에 호텔로 변경)다. 마무리 투수와 조경가의 상관관계 흥미롭게도 블룸비스타의 건물은 여타의 리조트 같이 생기지 않았다. 오히려 남영동 대공분실의 외관을 설계 모티브로 삼은 듯한 무채색의 차갑고 각진 도심 속 오피스 건물의 모습을 하고 있다. 십 몇 층의 날카로운 매스가 남한강을 향해 쌍둥이처럼 서 있는 모습은 전원 풍경을 기대하며 도시를 떠났던 사람들에게는 뜻밖의 정경일 것이다. 게다가 가파른 기울기의 경사로 이루어진 땅에 지하 주차장을 끼워 넣고 그 자락에 건물과 시설을 앉히다 보니 수직의 높은 콘크리트 벽과 지하 주차장의 입구가 무엇보다 도드라지는데, 이 또한 사람들이 양평에서 기대하는 ‘양평’의 모습은 아님이 틀림없다. 왠지 첨단화된 신도시에서 볼 수 있는 오피스 건물 같기도 하고 최신식 아파트 단지의 입구 같기도 하다. 어쨌든 여기까지 와서 반가울 만한 얼굴은 아니다. 탈도시 아니 탈서울의 관점에서 보자면, 그다지 성공적이라고 보기 어려울 만큼 세련된 도회지풍의 분위기를 내뿜기 때문이다. 즉, 건축적 측면에서 블룸비스타는 ‘양평’하면 으레 연상되는 탈서울적 체험을 충분히 만족시키지도 못하고, 또 강렬하게 전달하지도 않는다. 외부 환경과 건축물의 조화를 통해 전체 경관의 완성도를 높여야만 하는 조경가의 입장에서 보자면 이것만큼 어려운 과제도 없을 게다. 건축가로부터 구체적인 작업을 위해 캔버스를 넘겨받을 때 왠지 억울한 심정까지 생기는 것은 당연한 이치다. 젠장, 또 9회 말 구원 투수구나… 어떤 구속과 구질로 극적인 역전승을 이끌어내야 하나 고민스러울 만한 상황이다. 고심 끝에 찾은 해법이 바로 외부 공간의 ‘대비’와 ‘중재’다. 양평의 자연성을 극대화시켜 경험하게 하는 것과 동시에 건물의 인공미를 순화시키는 전략이었다. 전략과 전술에 관하여 먼저 대비를 위해서 크게 두 가지 다른 이미지의 공간을 엮었다. 이 두 가지는 다름 아닌 건물과 직접 맞닿아 있는 모던한 공간과 산과 이어진 자연적인 공간이다. 특별한 전이의 장치 없이 병치되어 연결된 이들 공간은 각 개별 공간의 체험을 더욱 강렬하게 만드는 힘이 있다. 예를 들어, 원래는 수영장으로 조성될 예정이 었던 건물에 접한 남서측 인공 지반의 공간은 도시적인 형태와 소재의 데크와 수경 시설로 이루어진 다목적 이벤트 공간이다. 반듯하게 잘 짜인 건축적인 벽으로 구획된 중정의 모습을 지닌 이 공간은 사실 서울 시내 고급 레스토랑의 앞마당과 같은 느낌이다. 특히, 야외 강연 등의 행사를 수용하기 위해 조성된 계단식 스탠드에서 느껴지는 세련된 조형미와 깔끔하게 다듬어진 재료의 물성은 - 비록 시점의 끝에는 자연스러운 배경으로 연출된 소나무 군식이 있을지라도 - 이곳이 산과 강으로 둘러싸인 ‘양평’이라는 생각이 전혀 들지 않게끔 한다. 그런데 그 현대적인 스타일의 벽과 계단을 넘어가면 바로 산자락의 지형이 그대로 남아있는 소담한 수목원 형태의 후원을 만나게 되는데, 이러한 대비가 전해주는 느낌은 사뭇 강렬하다. 특히 그 ‘낭만의 공간’과도 같은 산책로를 걷다 보면, 사시사철 변하는 숲의 자연성이 이전의 정형성과 대비가 되어 더욱 인상적으로 다가온다. 뭐니 뭐니 해도 이런 이분법적인 이미지를 중재하는 가장 지배적인 조경 요소는 물이다. 조경 소재로서 물은 특별한 힘을 지녔다. 정靜과 동動, 규칙과 불규칙, 빛과 그림자 등 상반되는 특성이 함께 내재되어 있는 물은 아무리 정형적인 형태의 수반에 갇혀 있어도 잔잔한 움직임과 소리를 만들어내며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우리 마음을 편안하게 만드는 자연을 만나게 한다. 민병욱은 1975년생으로, 경희대학교 조경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환경대학원과 네덜란드 바허닝헨 대학교(Wageningen University)에서 조경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미국 애리조나 주립대학(ArizonaState University)에서 환경설계 및 계획에 관련된 이론으로 박사 학위를받으면서 학제간 교육과 연구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동심원과 오이코스등에서 다양한 조경 및 도시 관련 실무 프로젝트를 수행한 바 있다. 얼마전까지 계명대학교 생태조경학과에서 교수로 지냈고, 현재는 경희대학교환경조경디자인학과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블룸비스타
콘도에서 연수원으로 기본설계와 설계변경 처음 이곳은 콘도 시설로 계획되어 건물과 외부 공간공사가 진행되고 있었다. 이후 이런 저런 사정으로 발주처의 직원들을 위한 연수 시설의 성격이 가미되었다. 이 시점에 우리는 조경 계획을 맡게 되었다. 시설의 목적이 변경되면서, 야외수영장으로 단일하게 계획되어 있던 기존 외부 공간의 변경이 필요했다. 이미 건물과 외부 구조물은 어느 정도 공사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어서 설계안의 결정이 시급한 상황이었다. 설계 시 주로 고민했던 부분은 콘도와 연수원, 서로 상충될 수도 있는 이 두 가지 기능을 외부 공간에서 어떻게 수용할 것인가였다. 고급스러움과 다소 사적인 공간이 보장되어야 하는 콘도와 다수를 위한 연수원의 성격을동시에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공간의 기능과 커뮤니티의 성격ㆍ규모, 그리고 그에 따른 경관이 상황에 맞게 탄력적이어야 했다. 다양한 목적과 규모의 활동을 위한 계획 건물의 성격이 변하기 전 외부의 주 공간은 야외수영장이었다. 유아와 성인을 위해 사각형과 원형의 야외수영장이 인접해 있었고 그 주위로 경사 지형을 활용한 계단식 테라스에 선베드와 자쿠지 등 수영장의 부대 공간이 배치되어 있었다.반면 연수원은 큰 규모의 인원을 수용하고 조직의 단합을 비롯한 다양한 목적의 활동을 소화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므로 중심에 위치한 원형 수영장은 비워두기로 했다. 사람들이 모일 수 있도록 원형 스탠드를 두르고 가운데는 한여름 밤 소규모 공연도 가능한 콘서트 무대로 계획했다. 주변으로 물을 둘러 마치 물위에 떠있는 광장을 연출하고 싶었으나 실제로는 경계부의 수로 폭이 너무 좁게 시공되어 그러한 분위기는 다소 부족해 보인다. 계획의 의도를 실시설계 시 좀 더 정확하게 전달했다면 잘 구현될 수 있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드는데, 커뮤니케이션이 부족했다고 느껴지는 순간이다. 일반 이용객을 위해서 시선을 끌 수 있고 아이들이 좋아할 만한 바닥 분수를 계획했는데 관리상의 이유로 없어진 것은 아쉽게 느껴진다. 선베드 테라스는 중앙 공연장의 추가적인 객석이 되거나 직원 연수 시 많은 사람들을 수용할 수 있는 스탠드가 된다. 비정형적으로 계획된 패턴은 개인부터 단체까지 커뮤니티에 따라 다양한 규모의 공간 활용이 가능하다. 많은 인원이 줄지어 앉게 되는 답답함을 피하고 ‘야외’가 제공할 수 있는 여유와 빈틈을 주기 위함이며 소규모 그룹 단위의 이용도 고려했다. 큰 경관, 작은 경관 대상지에는 크게 두 개의 경관축이 있다. 하나는 대상지 내부에서 남한강을 바라보는 축이고, 다른 하나는 건물 내 카페테리아에서 수영장을 조망하는 축이다. 이 두 경관축은 원형 광장에서 교차한다. 대상지 앞을 흐르는 남한강을 조망할 수 있다는 점은 이곳의 가장 큰 매력이다. 주변은 산으로 둘러싸여 별다른 시설이 눈에 띄지 않는다. 외부의 계단형 테라스는 남한강변의 멋진 경관을 조망할 수 있는 훌륭한 장소이지만 야외수영장이라는 장소적 특수성으로 내외부의 공간이 분리되어 있었다. 우선 남한강으로의 조망을 가로막는 폐쇄적인 수영장의 벽들을 어떻게든 열어야 했다. 시선을 방해하는 반원형의 벽체를 절개하여 열었으며 주변 구조물들의 높이도 전반적으로 낮췄다. 계단식 테라스에서는 소나무숲 사이로 남한강을조망할 수 있으며 내부에서 외부의 자연 경관까지 이어지는 시원한 개방감을 확보했다. 평지가 아닌 탓에 계속 시야에 들어오는 회색 구조물의 입면은 경관적으로 부담이다. 대상지를 방문했을 때 눈길을 끄는 것은 육중한 건물의 매스와 인근에 가식해놓은 흰색 자작나무 줄기의 강한 대비였으며 설계 시 이 점을 활용하고자 했다. 하지만 일부만 반영되었고, 이와 별도로 시공 과정에서 선택된 개비온의 입면은 무채색의 무거운 건축입면을 잘 받아내고 대상지 전체에 통일감을 주고 있다. 아니 오히려 자작나무보다는 좋은 선택이었던 듯하다. 건축의 매스가 너무 육중하여 얇고 가벼운 자작나무와 대비시키기 무리였을 듯하다. 건물에서 외부를 바라보면 주차장에서 올라오는 경사로를 따라 조성된 옹벽과 터널의 거대한 벽면과 마주하게 된다. 옹벽은 건물 1층 마감에 사용된 개비온을활용하여 통일감을 주었고 터널의 벽면은 장소를 상징할 수 있는 벽천으로 계획하여 시선을 집중시켰다. 벽천은 규모가 크고 수직의 입면임에도 디테일이 잘 풀려 물이 흩날리지 않고 물의 양에 따라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다. 마약 같은 설계 처음 사진으로 받아본 완성된 모습은 꽤나 만족스러웠다. 설계의 디테일을 풀어내기 위해 실시설계와 시공코디네이터를 맡았던 노동균 과장이 고생을 했을 것이라 여겨진다. 생각했던 공간의 이미지와 실제 시공된 현장의 괴리가 크지 않아 더욱 그렇게 느껴졌다. 그동안 계획 중심의 페이퍼 디자인을 주로 진행했던 탓에 현장을 완성하고 확인할 수 있는 기쁨을 누릴 기회가 별로 없었다. 작은 공간감과 디테일을 고민해 볼 수 있는 즐거운 시간이었다. 조경설계 그룹한 어소시에이트 조경시공 환경그룹 자연누리 건축설계 H.A.M 건축사사무소 건축 리노베이션 최작 시공 파라다이스 글로벌 시행 현대종합연수원 위치 경기도 양평군 강하면 전수리 1235 대지면적 31,585.00m2 조경면적 10,482.41m2 준공 2013. 10. 24. 그룹한(대표 박명권)은 1994년 창립 이래, 경제 발전의 피로에 찌든 도시인에게 자연과 호흡하는 아름다운 삶의 방식을 제시해 왔다. 그룹한의 디자인은 삭막한 주거 환경의 한복판에 고향에 대한 향수와 어린 시절의 추억, 그리고 자연에 대한 그리움이라는 가치를 구현해 왔으며, 여유와 즐거움이 넘치는 문화 환경을 헌정해 왔다. 김기천은 1977년생으로 2002년 그룹한에 입사하여 현재까지 재직 중이다. 2007년 행정중심복합도시 국제 공모전 이후 현재까지 국내외 주요 설계공모를 진행하고 있다. 주요 작업으로는 서울대공원 재조성 국제 공모, 시흥 군자 배곧신도시 수변공원 공모, Brunei Sungai Kedayan Eco-CorridorArtist Impression 국제 공모 등이 있다. 노동균은 1980년생으로 경원대학교(현 가천대학교)에서 조경을 전공했고 씨토포스를 거쳐 그룹한에입사하여 9년째 근무하고 있으며, 현재는 계획본부에서 책임디자이너로일하고 있다.
홍티문화공원
홍티둔벙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며 ‘도시공원 예술로 부산 홍티둔벙 프로젝트’라는 다소긴 이름을 가지고 있는 이 공공예술 프로젝트는 공원이라는 장소를 통해 보다 많은 사람들이 예술가들의 작품을 체험하게 하는 것이 목적이다. 대지는 부산광역시 사하구의 장림공단 내에 있다. 장림공단은 서부산 지역의 최대 공단인 사상공단과 사하공단에 걸쳐 있는 한 부분이다. 이 공단 내에 공원 부지가 공터로 남겨져 있었다. 앞으로는 낙동강 하구의 홍티포구와 인접해 있고, 뒤쪽으로는 아미산이 배경으로 펼쳐져 있다. 아미산에 올라가면 강과 바다가 만나는 낙동강 하구의 퇴적된 모래톱과 철새, 낙조가 어우러진 아름다운 풍경을 한 눈에 볼 수 있다.공주, 함양, 계룡에서 진행되었던 ‘도시공원 예술로’ 프로젝트가 기존의 공원에서 예술 행위를 기획하고 작품들을 전시했다면, 부산의 경우는 달랐다. 공원 부지는 체육공원으로 인가만 나 있었을 뿐, 실상 인근 공장들의 화물 적치장으로 방치되어 있었다. 그래서 그 이전에는 부재했던 장소의 정체성을 만드는 것이 프로젝트의 주요 목표가 되었다. 공단 근로자들이 쉬고 체육 활동을 할 수 있는 일반적인 공원이라기보다는, 당시 공사 중이던 홍티아트센터를 중심으로 다양한 문화 예술활동을 펼칠 수 있는 예술 플랫폼을 제안했다. 프로젝트의 제목은 ‘사구둔벙’이라는 간단한 이름이었는데, 낙동강 하구의 아름다운 모래톱의 이미지를 어떻게 사람들이 땅의 예술을 통해 경험하게 할 수 있을 까 하는 상상에서 출발한 것이다. ‘사구’란 모래언덕을 뜻하고, 둔벙은 예전에 농사를 짓기 위해 물을 가두어두었던 물웅덩이를 지칭한다. 여기서는 모래언덕을 가두고 있는 사각형의 공간이 된다. 그리고 그 사각형의 공간들 사이에 ‘두렁길’을 두어 사람들이 모래 공간을 여기저기 누빌 수 있기를 바랐다. 그러나 공원을 조성하는 것이 본래 의도였던 부산시 및 사하구와 몇 번에 걸친 협의 끝에 사구둔벙의 개념은 잔디와 나무에 둘러싸인 공원의 모습으로 점차 변화되었다. 기획자와 부산시가 프로젝트의 본래 취지나 행정 사항, 실행 방법을 두고 사사건건 대립하다 보니, 실행과정에서 정작 현재 주민의 삶을 찬찬히 관찰하고 그것들을 공공예술의 영역으로 흡수하려는 노력이 많이 미흡했다. 올 봄에 프로젝트를 보러 부산에 내려간 평론가들의 일침도 기껏 예쁘게 만든 장소에 ‘사람’이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계절이 바뀌면서 다행히 공원 곳곳에 녹음이 우거지고, 근처의 노동자들이 일과 중 휴식을 취하기 위해 두렁길을 어슬렁거리기도 한다. 손몽주 작가의 ‘바람의 드로잉’에는 공단 근로자들과 워크숍을 한 결과물들이 주렁주렁 매달려 있다. 지난 늦가을에는 인근 다대포에 거주하는 작가들이 부산문화재단과 함께 ‘SAHA 沙下’전을 시작했다. 크지는 않지만 작은 움직임들이 좀 더 활발하게 홍티둔벙을 채우고 있다. 고립된 입지이기에 가시적인 성과가 나타나기까지는 시간이 좀 더 걸리겠지만, 홍티아트센터가 홍티둔벙을 앞마당처럼 잘 사용하여, 이 프로젝트의 결과는 성공적일 것이라는 기대가 생겼다. 건축가의 시각을 가진 기획자의 장점은 땅의 가능성을 잘 살리는 것이 아닐까 싶다. 기획자로서 이리저리 이끌려 다니며 부대끼면서 초기의 의도가 변경된다 하더라도, 건축가라는 ‘종’은 일말의 가능성을 포기하지 않는다(건축가가 뛰어난 ‘종’이라서가 아니라, 건축 프로젝트가 건축가를 단련시킨다). 여기서의 가능성은 낙동강 하구의 자연생태계, 아미산 전망대와 이어지는 산책로, 이전에 이 일대를 중심으로 활동했던 아트팩토리인 다대포의 작가들 그리고 홍티아트센터다. 이 프로젝트는 부산 ‘홍티문화공원’의 공사가 끝나서 완성된 것이 아니라 이제부터가 시작이다. 기획 장영철·전숙희(와이즈 건축) 조경설계 윤성융(서호엔지니어링) 자문 강영조(동아대학교 조경학과) 시공 대덕조경 예산지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부산광역시 위치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 1608번지 대지면적 6,787.1m2 건축면적 754.84m2 작품설치면적 5,700m2 완공 2014 장영철은 홍익대학교를 졸업하고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캠퍼스에서 수학했다. 이로재, 스티븐 홀 아키텍츠(Steven Holl Architects), 라파엘 비뇰리 아키텍츠(Rafael Vinoly Architects)에서 실무를 하고, 현재는 전숙희와 함께 와이즈 건축을 운영하고 있다. 파주 출판단지 마스터플랜 디자인 가이드라인 매뉴얼 작성, 링크드 하이브리드(LinkedHybrid in Beijing), 브루클린 어린이 박물관(Brooklyn Chidren’sMuseum in New York) 등의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전숙희는 이화여자대학교를 졸업하고 프린스턴 대학교(Princeton University)에서 수학했다. 이로재, 과스메이 시겔 앤 어소시에이츠 아키텍츠(GwathmeySiegel & Associates Architects)에서 실무를 하고, 현재는 장영철과 함께 와이즈 건축을 운영하고 있다. 웰콤사옥, 3 Trees House, 에반스 레지던스(Evans Residence), 마이애미 현대미술관(Museum ofContemporary Art in Miami) 등에 참여했다. 윤성융은 1975년생으로, 동아대학교에서 조경을 공부하고 우대기술단조경사업부에서 실무를 시작했다. 중국 베이징 공업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에서 건축학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디알에이디자인그룹 베이징사무소를 시작으로 설계사무소를 설립해 현재는 서호엔지니어링의 대표로 베이징, 서울, 부산에 사무실을 열고 활동하고 있다. 이후 동아대학교에서조경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동 대학 겸임교수로 재직 중이다. 중국 탕산테마파크, 충칭 선녀산 테마파크, 베이징 삼성타워 등의 프로젝트를 수행했고, 한국을 비롯한 해외 각지의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조경을 통한 도시재생 프로젝트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포 하버 루프 파크
포 하버 루프 파크는 로테르담 시내 중심에서 그리 멀지 않은 곳에 있는 ‘포 하버Four Harbours’라 불리는 길쭉한 띠 형태의 완충 지대를 개발한 공원이다. 이 프로젝트에서 주어진 임무는 85,000m2의 면적 내에서 오피스, 상업, 교육 시설을 시민 공원 및 제방과 통합하여 개발하는 것이었다. 이 개발은 로테르담의 가장 중요한 도로 중 하나인 ‘파크 레인Park Lane’을 따라 새로운 랜드마크를 만들고 항구가 도시로 변화하는 데 촉매제와 같은 역할을 할 것이다. 게다가 주변에 위치한 보스폴더Bospolder 근린주구는 녹지가 부족했던 터라 공원이 조성되어 환경의 질이 향상되었다. 옥상 공원은 복합적인 지형을 이용해 다양한 용도의 공간을 집중적으로 형성한 사례다. 고도 제한, 안전 문제, 좁은 형태의 지형, 기후 조건, 공사 관련 요구 사항 등 많은 제약 조건을 극복하면서도 접근이 자유로운 녹색 공원을 만드는 것이 이 프로젝트의 최종 목표였다. 포 하버 루프 파크는 주변 환경과 밀접하게 연결된다. 옥상 공원은 아래쪽에 자리한 제방과 상업 시설로 인해 완만한 계단식의 흥미로운 지형을 가지고 있다. 공원의 동쪽과 서쪽 부근은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다. 공원의 동쪽 면은 지상 8m 높이로 상업 시설 위에 위치하며, 반대쪽은 두 단으로 나뉘어 인근 주거 지역과 연결된다. 상업 시설의 위에 위치한 동쪽 구역은 도시의 성격을 가지고 있는 반면, 반대쪽은 키가 큰 나무를 식재해 자연적인 분위기를 형성했다. 공원의 정문은 보스폴더 주거 지역의 가로 체계와 연계되며 지상 레벨의 가로에서부터 높이 올라간 공원의 가장자리 부근까지 연결하는 길을 형성한다. 공원의 머리와 꼬리 부분에 형성된 계단은 파크 레인과 연결되어 항구 지역을 새롭게 바꾸고 있다. 선형의 길과경사지는 주변 지역에서 옥상 공원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며, 공원의 높은 곳에서부터 낮은 곳까지 계속 이어지는 중심축은 다양한 공원 요소를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Landscape Architect Buro Sant en Co Architect Butzelaar CS Client Municipality of Rotterdam Location Rotterdam, Netherlands Area 85,000m2 Completion 2014 Photographs Buro Sant en Co, Stijn Brakkee 뷰로 상트 앤 코(Buro Sant en Co)는 1990년 모니크 데 베테(Moniquede Vette)와 에드윈 산타젠스(Edwin Santhagens)가 설립한 조경설계사무소다. 도시 경관 프로젝트를 전문 영역으로 삼고 다양한 유형의프로젝트를 수행해왔다. 뷰로 상트 앤 코는 프로젝트가 갖고 있는 각각의 문제에 대해 물리적·사회적 맥락과 클라이언트의 요구를 고려해 고유의 설계 해법을 제공한다.
하르디네스 델 로스피탈 엔 발렌시아
한때는 병원 단지였지만 현재 발렌시아의 주요 도서관으로 이용되고 있는 ‘발렌시아 공공 도서관Public Library of Valencia’의 기존 정원을 재정비하는 이 프로젝트의 가장 큰 목표는 정원 전체 구역을 통합적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이 정원은 무려 15세기 초에 세워진스페인의 주요 종합 병원 단지 중 한 곳이었던 오스피탈 데 로스 포브레스 이노센테스Hospital de los Pobres Inocentes가 1974년 철거된 자리에 조성되었다. 병원단지가 철거된 자리에는 병원 건물의 익랑transept(현재는 공공 도서관으로 이용), 병원 경내 예배당Capitulet, 15세기 초 병원에 연결되어 있던 16~18세기의 작은 산타루치아 성당Chapel of Santa Lucia만이 남아 있었다. 기존 정원은 보행로보다 약간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철거되지 않은 병원 건물의 판석과 맞닿아있었다. 정원에 식재된 서로 다른 종의 나무와 곳곳에 산재한 고고학적 유산이 장소의 개성을 보여주고 기하학적 형태의 흙길이 외부와 정원의 경계를 표시하고 있었다. 그러나 최근 정원의 보존 상태가 악화되고 정원 주변에 일러스트 박물관Museum of Illustration이 세워짐에 따라 정원에 전반적인 개선 작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정원의 개선 작업 과정에서는 크게 두 가지 사항이 강조되었는데, 먼저 정원을 포함한이 오픈스페이스가 오래된 병원 건물이 철거된 장소라는 점과 현재 남아있는 건물들도 철거된 병원 건물의 일부분이라는 점이다. 먼저 한 가지 재료를 사용하여 바닥을 그리드 형태로 조직하면서 정원 개선 작업을 시작했다. 작은 현무암 조각으로 만든 바닥 포장재가 일종의 태피스트리tapestry처럼 기하학 형태로 배치되었으며 정원의 중심축을 구성한다. 정원의 선큰 구역 역시 바닥을 잔디 등으로 덮지 않고 태피스트리 카펫으로 포장했다. 이곳은 오렌지나무 광장으로 꾸며지며 정원 전체에 산재해있던 고고학적 유산을 모두 수용할 수 있는 안전한 구역으로 이용된다. Architect Guillermo Vázquez Consuegra(documentation &direction of works) Technical Architect Marcos Vázquez Consuegra, Javier Estelles Collaborator Romeck Kruszewski, Gabriel Verd, Pedro Lara yAlberto Altini, Kristian Solaun y Elena Vilches(documentation)Juan José Baena, Teresa Galí(direction of works) Structure Eduardo Martínez Moya(Edartec Consultores) Service Insur-JG, S.L. Contractor Midascon(1st phase), Comsa-Elecnor(2nd phase) Client Diputación de Valencia(1st phase), Conselleria d’obresPubliques, Urbanisme i Transports -Generalitat Valenciana(2ndphase) Location Valencia, Spain Area 26,320 m2(1st phase: 8,720m2, 2nd phase: 17,600m2) Total Cost 4,857,131€ Documentation 1999(1st Phase), 2006(2nd Phase) Construction 2001(1st Phase), 2009~2013(2nd Phase) Photographs Alfonso Legaz, David Frutos, David Zarzoso, Guillermo Vázquez Consuegra arquitecto 길레르모 바스케스 콘수에그라(Guillermo Vázquez Consuegra)는1972년 세비아 대학교 건축대학(School of Architecture of Seville)을졸업하고 길레르모 바스케스 콘수에그라 아키텍토를 운영하면서 동 대학교에서 1987년까지 교수로 재직했다. 2005년에는 세비아 대학교의명예교수로 추대되었다. 베니스 비엔날레(1980, 2004), 밀라노 트리엔날레(1988) 등의 국제 행사에 참가했으며 퐁피두 센터(1990), 시카고 미술관(1992), MoMA(2006) 등에서 작품을 전시했다. 2014년 미국건축가협회(The American Institute of Architects, AIA) 명예펠로(honoraryfellow)로 추대되었다.
[칼럼] 잡지를 만드는 어떤 방식
아는 사람은 아는, 『연필 깎기의 정석』이라는 책이있다. 뉴욕에서 활동하는 만화가이면서 연필 깎기의 장인을 자처하는 데이비드 리스가 쓴 책이다. 내용은 제목 그대로다. 어떻게 연필을 ‘날카롭게’잘 깎을 것인가! 주머니 칼, 외날 휴대용 연필깎이, 다구형 휴대용 연필깎이, 이중날 회전식 연필깎이 등 다양한 도구를 이용해 연필 깎는 방법을 소개하는데, 완독은 달랑 2시간이면 충분하다. 작가는 “닳아서 뭉툭해진 연필 촉을 깎는 것은 그만의 독특한 즐거움을 선사한다. 쉽게 비유하자면 보석을 닦아서 더 반질반질 윤이 나고 원래의 완벽한 형태가더 잘 드러나도록 하는 일과 비슷하다”며 연필 깎는 행위에 콧기름을 바른다. “인간이 만든 이 단순한 물건(연필)은 개인의 권능을 배가시킨다”고 어느 공학 칼럼니스트가 말했다지만, 그래봤자 하찮은 연필 깎기 따위가 뭐라고. 하지만 천성이 ‘호갱’과라 책을 읽은 뒤 한동안 연필 깎는 재미에 빠졌다. 솔직히 말하면 다양한 형태의 연필깎이 모으는 재미를 누린 거지만. 얼마 전 우연히 인사를 나눈 한 건축가가 이런 질문을 던졌다. “어떤 잡지를 만들고 싶으세요” 우물쭈물하다 던진 엉성하고 짧은 답이 이랬다. “혹시 『연필 깎기의 정석』이란 책 보셨나요? 어떤 잡지를 만들고 싶다기보다, 그런 방법으로 잡지를 만들고 싶습니다.” 이 덜 떨어진 이상주의. 절지류 더듬이만큼 감각을 가동해도 생존할까 말까인 게 흔히 말하는 상업 잡지의 숙명인데, 한가롭게 연필심이나 다듬는 스탠스를 입에 올리다니. 맞다. 한 달단위의 상업 매거진을 경쟁력 있는 상품으로 꾸미는 건 쉬운 일이 아니다. 실시간으로 전개되는 엔터테인먼트 소식을 부모님 안부 묻듯 챙겨야 하고, 유명 해외 도시 통신원을 써서라도 인구 서베이하듯 글로벌 라이프스타일 트렌드를 확인해야 하고, 브랜드들의 제품 프레젠테이션 행사에 쉼 없이 출석 도장을 찍어야 하고, 시즌마다 열리는 패션 컬렉션에 기자를 보내 두 계절 앞선 스타일 동향을 곳간에 쌓아둬야 안심이 될까 말까다. 노출 빈도가 빈번해진 배우 차승원과 최지우가 같은 소속사에 몸담고 있다는 디테일은 기본, 요즘 트렌드의 최고봉인 ‘먹방’ 프로그램에 등장한 셰프 몇몇과 안면 정도는 트고 있어야 기자들과의 기획회의에서 말발이 선다. 직접 라임을 타진 못해도, ‘언프리티 랩스타’ 파이널 라운드에 치타와 제시와 육지담이 올랐고 최종 우승은 치타의 차지였다는 걸 줄줄 꿰고 있으면 반 발자국 앞선 안도를 누릴 수 있다. 정리하면, 상업 잡지의 최전선에서 승리하려면 링 위에 오른 복서처럼 전신의 감각이 팽팽하게 살아있어야 한다는 얘기다. 그것도 당대의 복서 매니 파퀴아오처럼. 흥미로운 건 이 ‘어마무시’한 각축장에도 역설이 존재한다는 사실이다. 전문지가 아닌 종합지의 독자는 말 그대로 이동 타깃이다. 연령대와 성별 정도만 거칠게 가를 뿐 나머진 복불복이다. 전문지가 해당 분야의 선도적 담론 앵글에 전력 투구를 한다면, 종합지는 다양한 길 앞에서 서성거리는 운명을 타고 난 셈이다. 매 호마다 빠지지 않는 고명 같은 기사 소스가 연예인인 건 그 때문이다. 아무리 둘러봐도 이만한 만인의 관심사는 없으니까. 상업지의 꽃이라 불리는 여성 패션지 발행일 직전의 포털사이트에는 각각의 매체가 진행한 연예인 화보가 경쟁하든 디지털 가판에 늘어선다. 아쉬운 건, 한때 ‘기사의 꽃’이라 불렸던 스타 화보의 감도를 좀체 찾을 길 없다는 점이다. 사진에 찍힌 워터 마크를 지우면 이게 어느 매체의 결과물인지 알 방법도 없다. 상업적 경쟁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최전방 공격수로 연예인을 내세웠지만, 골 결정력은 계량되지 않는다. 다른 어느 장르보다 트렌드에 민감해야하는 상업지의 요즘은, (주관을 잔뜩 묻혀 전하면) 그래서 더 재미없다. 회고조로 읊자면, 그래도 얼마 전까지는 매체 각각의 개성이 묻어나던 시절이었다. 필드 위에서 기사 소스를 묻고 찾던 시절이었다. 물론 모두 그런 건 아니지만, 요즘 기사 소스의 베이스 캠프는 포털과 케이블 TV와 SNS인 게 현실이다. 트렌드를 좇는다고 천지 사방을 누볐지만 그게 사실은 모니터 속 포털 화면이거나 리모컨으로 핸들링한 케이블 TV이거나 엄지로 재단한 SNS 세계인것. 역설은 여기서 생겨난다. 누굴 찍어도 흔하고 뻔한 화보로 귀결되듯, 차별적 경쟁을 위해 진행한 기사의 결과 역시 도긴개긴인 것. 그 와중에 세 개의 베이스 캠프에서 조성된 트렌드에선 인공 감미료 맛이 풍긴다. 복기하면 그 획일적 맛을 매체가 각자 취향을 앞세워 따로 느낀다고 생각할 뿐, 아예 트렌드는 존재하지 않았던 게 아닐까. 물론 시장에서의 생존을 위해 연예인과 트렌드라는 두 축을 다루지 않을 도리는 없다. 월간 『인터스텔라』가 아닌 다음에야, 우리 모두는 지구라는 행성에 발붙이고 종이 잡지와 운명을 같이 하는 중이니까. 단지 바람이 있다면 잡지 볼륨의 한 귀퉁이에라도, 연필을 어떻게 깎아야 잘 깎는 것인지 말할 수 있으면 하는 것이다. 두툼한 트렌드 기사와 셀레브리티 화보를 앞세워 많이 팔리는 잡지도 필요하지만, 어디에도 없는 생각을 전하는 한 페이지짜리 기사가 ‘앙꼬’처럼 곳곳에 숨어있는 잡지도 필요한 거 아닐까. 오로지 흥미본위뿐인, 팔리기 위해서라면 도핑도 불사할 것 같은 요즘 상업지 시장에서 딱 낙오될 소리라는 걸 모르는 게 아니다. 잽을 잘 치는 복서가 훅 한 방에 승부를 거는 복서보다 유능하고 매력적이지 않으리란 보장은 없지 않은가. 문일완은 남성지로 입문해 여성 패션지, 종합지, 현재의 라이프스타일 매거진에 이르기까지 20년 넘게 잡지를 만들고 있다. 경력의 대부분을 남성 라이프스타일을 다루는 일로 채웠지만, 정작 남자들의 본능적 로망으로 불리는 시계, 자동차, 패션 등엔 별 관심이 없다. 김성근 야구와 혼자 영화보기, 그래픽 노블과 르포물을 사들이는 게 최근의 낙이다.
[에디토리얼] 조경비평 봄
‘조경비평 봄’이 열 번째 봄을 맞았다. 유난히도 추웠던 2005년 이른 봄에 첫 모임을 가졌고, “아, 어서 봄이 왔으면!”이라는 누군가의 탄성에서 모임이름을 땄다. 초창기 문서에 활자로 남아 있는 ‘조경비평 봄’의 지향점은 “조경 비평의 실천 환경 구축, 조경 담론의 생산 기지 조성, 조경 이론과 실천의 연결, 조경과 사회의 상호 개입을 위한 네트워크 조직, 조경 비평의 유통과 저장을 위한 매체 실험”이다. 네 명으로 단출하게 출발했지만, 열 번의 봄을 거치며 이십대 후반부터 오십대 중반에 이르는 여러 세대 스물두 명의 모임으로 성장했다. 고민과 토론의 성과를 모아 『봄, 조경 사회 디자인』(도서출판 조경, 2006), 『봄, 디자인 경쟁시대의 조경』(도서출판 조경, 2008), 『공원을 읽다: 도시 공원을 바라보는 열두 가지 시선들』(나무도시, 2010), 『용산공원: 용산공원 설계 국제공모 출품작 비평』(나무도시, 2013), 네 권의 책을 펴냈다. 우리 조경계에서 비평을 수면 위로 끌어올리기 위한 노력은 비평의 역할을 다룬 몇 편의 글과 논문이 발표된 1990년대 초반에 시작됐다. 그러나 공론장을 통해 초보적이나마 비평이 실험된 것은 1998년의 『Locus』 창간호가 처음이다. “작품의 빈곤, 이론과 비평의 부재 속에서 허덕여 온 한국 조경의 문제를 비평의 장을 통해 해소하며, 현실과 대화하는 조경 비평의 실천 환경을 구축한다”는 선언과 함께 “조경의 대안적 담론 공간”을 자임하며 출간된 『Locus』는 “조경과 비평”이라는 부제를 단 2호(2000년) 이후 아쉽게도 명맥을 이어가지 못했다. 『Locus』가 마주했던 가장 큰 난관은 비평 전문 독립 저널로 자립하기 힘든 여건과 구조였다.『Locus』의 실패를 반면교사 삼아 ‘조경비평 봄’은 지속가능한 비평 환경을 마련하는 데 힘을 쏟았다. 첫 번째 전략은 저널이 아닌 단행본 출판이었다. 비평의 생산을 위한 독립 지면을 확보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독자와 소통할 수 있는 방향으로 눈을 돌린 것이다. 그 결과 ‘조경비평 봄’의 이름을 단 네 권의 단행본을 대략 2년 간격으로 선보일 수 있었다. 두 번째 전략은 잠재 인력의 발굴과 신진 인재의 양성을 통해 비평가 풀을 넓히는 것이었다. 초창기 구성원의 추천으로 몇몇 조경 이론·역사학자, 조경가, 언론인이 모임에 동참했고, (때로는 『환경과조경』의 주최와 후원으로, 몇 차례는 자체적으로) 매년 ‘조경비평상’을 열어 젊은 필진을 키우고자 했다. 이 상을 통해 ‘조경비평 봄’에 동승한 신진 비평가가 아홉 명에 이른다. 얼어붙은 출판 시장에 도전하며 네 권의 책을 내는 가시적 성과를 거두긴 했지만 2015년 봄의 ‘조경비평 봄’은 소강 상태를 겪고 있다. 지속가능한 비평활동의 가장 큰 동력이라 할 수 있는 피드백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대상 작가와 독자의 반응은 비평을 성립하게 하는 토대다. 원론적인 이야기이지만, 비평은 ‘창작→작업·작품→경험·감상→비평→창작’이 순환되는 소통의 구조 안에서 작동할 때 의미를 보장받는다. 이 순환 고리의 각 부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비평은 외마디 외침처럼 공허할 뿐이다. 한국 조경의 현실이 아직 비평을 요청하지 않는 수준에 머물고 있거나 비평을 잉여의 사치 정도로 받아들이기 때문일까. “작가도 없고 작품도 없고 사회적 인정도 없는데 도대체 비평이 어떻게 성립할 수 있고, 그것이 무슨 의미를 지니는가” 비평에 대한 이러한 인식은한국 조경 비평의 역사가 20년을 훌쩍 넘어선 지금도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그러나 무반응의 원인을 조경계와 독자의 무관심에서만 찾는 것은 적절하지 않을 것 같다. 지난 10년간 ‘조경비평 봄’이 주력했던 단행본 중심의 활동이 도리어 비평가와 작가, 비평가와 독자, 비평가와 대중 사이의 활발한 쌍방향 소통을 어렵게 했을 가능성이 크다. 홍수처럼 쏟아지는 공모전과 프로젝트를 해내기에 급급하던 물량주의 조경에 반성을 촉구하고자 했던 『봄, 디자인 경쟁시대의 조경』, 보다 대중적인 시선으로 조경과 사회적 가치의 접촉면을 넓히고자 했던 『공원을 읽다』, 다층적 역사와 의미가 복잡하게 뒤엉킨 한 프로젝트를 심층 조명함으로써 조경의 사회적·정치적 개입을 꾀했던 『용산공원』은 완전히 다른 의도로 기획된 책이었다. 그러나 피드백의 공백, 반응의 진공 상태는 마찬가지였다. ‘조경비평 봄’의 매체 전략에 교정이 필요함을 반증한다. 지난 4월 초에 열린 본지 편집위원 회의에서는 저널리즘과 비평을 주제로 다양한 의견이 오고갔다(이번 호 뒷부분에 짧게 줄여 싣는다). 편집위원들은 비평 대상의 다층화와 비평 형식의 다각화라는 이슈를 놓고 차수를 바꿔가며 새벽까지 논의를 이어갔다. 한 달 내내 『환경과조경』과 ‘비평(가)의 자리’라는 숙제가 머릿속을 떠다닌다. 2014년의 리뉴얼 이후 『환경과조경』은 게재 작품이나 공모전에 대해 적어도 한 달에 한 편 이상의 비평을 싣는 편집 원칙을 지키고 있다. 되도록 외부(의 신진) 필자에게 비평을 청탁하고 있지만 본지 기자가 작품을 읽거나 인터뷰를 진행하는 경우도 있고 동료 조경가가 평문을 쓰거나 대담을 진행하기도 하는 등 다양한 형식을 실험하고 있다. 그러나 ‘조경비평 봄’의 경우와 크게 다를 바 없이 『환경과조경』의 비평에도 작가나 독자의 후속 반응이나 토론이 이어지는 경우는 매우드물다. 비평의 생산뿐만 아니라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플랫폼이 필요함을 절감한다. 이 쉽지 않은 숙제를 함께 풀어갈 신인을 초대한다. 이번 봄에도 『환경과조경』은 ‘조경비평상’을 연다. ‘조경’을 주어로 고민 중인 예비 비평가들에게 조경을 묻고자 한다. 새로운 플랫폼을 만들어갈 ‘조경비평 여름’을 기다리며 ‘조경비평 봄’이 심사를 맡는다. 마감은 7월 1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