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재생공간
    • / 2012년09월 / 293
  • Gardens by the Bay
    가든스 바이 더 베이 Landscape Architects _ Grant AssociatesArchitects _ Wilkinson Eyre ArchitectsClient _ National Parks Board of SingaporeEngineers _ Atelier One, Atelier TenQuantity Surveyors _ Davis Langdon and SeahCollaborators _ Thomas MatthewsLocation _ SingaporeSite Area _ 54 HectaresPhoto _ Courtesy of Grant AssociatesEditor _ Son, Seok BeomTraslator _ Ahn, Ho Kyoon 싱가포르가 야심차게 추진하고 있는 가든스 바이 더 베이(Gardens by the Bay) 프로젝트의 1단계 구역인 베이 사우스 가든(Bay South Garden)이 지난 6월 29일 일반에 공개되었다. 싱가포르 국립공원운영이사회(National Parks Board of Singapore)가 발주한 이 프로젝트는 지난 2006년 국제공모를 통해 영국의 그랜트 어소시에이츠가 이끄는 설계팀을 베이 사우스 가든에 대한 설계사로 선정하였다. 가든스 바이 더 베이는 비슷한 성격의 프로젝트로는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의 정원 프로젝트 중 하나이다. 공원의 전체 부지는 101헥타르에 이르며, 베이 사우스(Bay South), 베이 이스트(Bay East), 베이 센트럴(Bay Central) 등 총 세 곳의 개성 넘치는 공원들로 채워질 예정이다. 싱가포르의 새로운 도심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마리나 베이(Marina Bay)의 간척지에 위치한 가든스 바이 더 베이는 지역민과 해외관광객 모두에게 독특한 여가 체험의 기회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이 중 베이 사우스는 가든스 바이 더 베이에서 가장 큰 규모의 공원이며, 마리나 베이 샌즈(Marina Bay Sands)와 인접한 54헥타르 넓이의 부지에 자리 잡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싱가포르의 미래 비전인 “공원 속의 도시(City in a Garden)”의 핵심 사업 가운데 하나이며, 싱가포르의 국가적 위상을 제고하는 한편, 세계 최고 수준의 원예 및 정원 조성 기법을 보여주는 것을 목표로 설계되었다. The first phase of Singapore’s dramatic Gardens by the Bay project opens to the public on 29th June following completion of the 54-hectare £500m Bay South Garden by a world-class British design team led by Bath-based landscape architects, Grant Associates. Gardens by the Bay is one of the largest garden projects of its kind in the world. Ultimately, the site will total 101 hectares comprising three distinct gardens — Bay South, Bay East and Bay Central. Located on reclaimed land in Singapore’s new downtown at Marina Bay, the site will provide a unique leisure destination for local and international visitors. Bay South is the largest garden at Gardens by the Bay and it stands at 54 hectares located next to the Marina Bay Sands. The project is an integral part of Singapore’s “City in a Garden” vision, designed to raise the prole of the city globally whilst showcasing the best of horticulture and garden artistry.
    • / 2012년09월 / 293
  • Music Park in Seville
    세비야의 음악 공원 Architects _ Costa Fierros Arquitectos - Sara Tavares Costa, Pablo F. Díaz-Fierros Collaborators _ David Breva, Paula Ferreira, Pedro Rito Nobre, David Ampe, Elena González, Rosario Alcantarilla, Sergio González, Cristina Rubiño, Alejandro Rodríguez Quantity surveyor _ Antonio Carrascal Cruzado Structure _ CATSOLI S.L.Installations _ EtinsaLandscape _ Erneato Fernández Sanmartín, Sara Tavres CostaRendering _ Marcin Sapeta, Alfonso FizDeveloper _ Agencia de Obra Pública de la Junta de AndalucíaBuilding contractor _ Rafael Morales S.A., Heliopol, S.A.U. Location _ Barrio de la Música, Seville, SpainBuild surface area _ 32.487㎡ Preliminary Design _ 2007. 8Base Design _ 2007. 10Working Project _ 2008. 2Construction Dates _ 2008. 11 ~ 2011. 11Budget _ 4.544.894 €Photograph _ Pablo F. Díaz-Fierros Editor _ Park, Sang BaekTranslator _ Hwang, Ju Young 세비야의 음악 공원세비야의 음악 공원은 비세야의 바리오 데 네스트라 세뇨라 델 아길라(Barrio de Nuestra Señora del Águila)와 바라오 데 라 무지카(Barrio de la Música) 사이에 위치한다. 공원은 현재 시설이 부족하고, 역사적으로 주변 구역 아길라스와 로스 프루노스 주변을 분리하고 주민들을 고립시키는 땅으로 알려진 곳에 위치한다. 음악 공원은 도시 재생과 세비야의 지하 인프라스트럭처 작업과 연결된 통합의 측면에서 매우 독특한 마스터플랜을 갖는다. 공원 구역은 32,487㎡이고, 공원 중앙에 있는 코체라 역의 접근과 역 양쪽에 위치한 주택들의 연결을 보장한다. 새롭게 조성된 경관은 주변을 산책하거나 공원의 설계된 구역에서 휴식을 즐기는 것을 돕고, 다양한 도시의 여정을 지속시켜 이를 보다 편리하고 모두에게 접근을 용이하게 한다. 여기에는 다시 살아나 내부적으로 잘 연결되는 더욱 화합하는 도시, 그리고 보다 인간적이고 양질의 옥외 공간을 제공하여 주민들에게 보다 나은 삶의 질을 제공한다는 이중의 목적이 있다. Music Park in Seville Plot located between Barrio de Nuestra Señora del Águila and Barrio de la Música in Sevilla. The Park is located in an existing degraded area, lacking of facilities, and known historically as a land dividing the nearby quarters (Aguilas and Los Prunos neighbourhoods) and isolating their inhabitants. Parque de la Musica is a unique masterplan in terms of urban renovation and integration linked to Sevilla Underground infraestructure works. The Park area is 32.487㎡ and ensures accessibility to Cocheras Station, located at the centre of the Park, and the connectivity between the houses located at both sides of the station. The new landscape created helps to enjoy a walk around it or having a rest in the designated areas of the park, and the continuity of the different urban itineraries, making them more convenient and accessible for everybody. There is a dual purpose: a more cohesive city, regenerated and with better internal connections, and providing a more human and better quality outdoor space and therefore better quality of life for their inhabitants.
    • / 2012년09월 / 293
  • Del Pino Golf & Resort
    델피노 골프 앤 리조트 Landscape Architect _ Daemyung Leisure Industry Design Team _ Cho Pill Sang, Kim Jeong Hwan, Jeong Kyu Gon, Ahn Jeong Hwan, Kim Min SunClient _ Daemyung Leisure IndustryLandscape Construction _ Daemyung Construction(Kim Hak Jin, Lee Ho Sung, An Tae Ho), I-gill Landscape(Kang Myung Hoon), Younglim Industry(Jeong Ki Yang)Location _ Toseong-myeon, Goseong-gun, Gangwon-do, KoreaSite Area _854,000㎡Completion _ 2012Photograph _ Daemyung Leisure Industry, Son, Seok BeomEditor _ Son, Seok BeomTranslator _ Ahn, Ho Kyoon 대명리조트의 첫 번째 사업장인 설악리조트가 기존 시설을 업그레이드하고 신규 시설을 더하는 등 대대적인 시설 증축으로 델피노 골프 앤 리조트로 새롭게 태어났다. 설악리조트는 1990년 처음 개관한 이래 그동안 강원도 설악권을 찾는 많은 여행객들의 주요 거점이 되어왔으나, 개관한 지 20년이 지난 리조트의 초기모델로서 식재 위주의 단순한 외부환경과 부대시설의 부족 및 노후화가 진행됨에 따라 이용객들의 최근 달라진 여행 패턴 및 높아진 눈높이에 맞는 개선작업이 필요했다. 우선 기존 시설인 2개동의 콘도와 물놀이시설인 아쿠아월드, 9홀의 대중골프장을 새로 단장하였으며, 추가로 콘도와 호텔, 빌리지를 신축하고 9홀의 신규 골프코스를 증설하여 총 18홀의 골프코스를 갖춘 골프리조트로 재탄생하였다. 이로써 봄, 여름, 가을에는 골프를 즐길 수 있으며, 여름에는 아쿠아월드를, 겨울에는 온천욕과 눈과 얼음으로 이루어진 스노우파크, 아이스링크 등 다양한 체험이 가능한 4계절 복합 휴양리조트로서의 면모를 강화하게 되었다. 리조트의 새 이름인 ‘델피노’는 소나무를 뜻하는 스페인어 ‘pino’에서 가져왔다. 기존의 리조트가 설악산 중턱에 위치해 소나무림으로 둘러싸여 있던 자연환경을 고스란히 담아낸 것이다. 때문에 단지 곳곳을 소나무를 주요수종으로 식재하였으며, 실제로 초점식재용을 제외하고는 골프장 증설부지에서 자생하던 것들을 가식장에 이식해두었다가 사용하기도 하였다. Recently Daemyung Resort celebrated grand opening of Del Pino Golf and Resort after renovating Seorak Resort, the enterprise’s rst leisure facility, through expansion of guestroom buildings and additional construction of golf courses. Since its opening in 1990, Seorak Resort had been quite successful in serving as one of the top tourist destinations in Seorak region in Gangwon-do, but the monotonous landscape of trees and plants and the deterioration of subsidiary facilities led to a large-scale renovation project. The first phase of the project includes renovating two buildings of condominiums, Aqua World, and public 9-hole golf course. The construction of a new guestroom building, a hotel, and an additional 9-hole golf course has turned the old resort into a brand-new leisure and vacation facility. Del Pino, the new name of the resort, comes from a Spanish word for a pine tree. As the resort is located halfway up Mt. Seorak, surrounded by a dense forest of pine trees, the name seems appropriate. Pine trees have been planted throughout the resort complex.
  • Seoul Memorial Park
    서울추모공원 ‘하늘오름’ Landscape Architect _ HAEAHN ARCHITECTURE(Landscape Architecture Team) + Balmori Associate Construction _ Hanwha Engineering & ConstructionClient _ Seoul Metropolitan, Seoul Metropolitan Facilities Management CorporationLocation _ 68, Wonji-dong, Seocho-gu, Seoul, KoreaSite Area _ 36,453㎡Landscape Area _ 20,675㎡Completion _ 2011.12Photograph _ Park, Sang BeakEditor _ Lee, Hyeong JooTranslator _ Ahn, Ho Kyoon 서울 시내 최초의 화장시설서울은 전국에서 가장 많은 인구를 보유한 도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화장시설이 없어 타 시도 화장장을 이용하거나 4~5일장을 치르는 등의 불편을 감수해왔었다. 이에 서울시에서는 서초구에 화장시설을 마련하여 시민들의 불편을 해소하고자 하였으나, 혐오시설로서 인식되는 화장시설이 도시 내에 자리하는 것을 꺼리는 사회적인 분위기로 인하여 10여 년간 시설 마련이 미루어져 왔다. 그러던 차에 지난 2008년 두 가지의 조건을 충족시킨다는 전제하에 서울추모공원 건립공사 사업이 시행되었다. 그 첫 번째 조건은 주변 환경과 일체화하여 외부의 어느 곳에서도 화장시설로 인식되지 않도록 하는 것, 둘째는 무공해화장시설로 유해가스와 백연설비를 완벽히 해결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이러한 배경으로 건립이 진행된 서울시내 최초의 화장시설이 ‘서울추모공원’이라는 이름으로 문을 열었다. The First Crematorium in Seoul Even though Seoul has the largest population in the country, it does not have any crematorium; as a result, the residents should use the facilities in neighboring citie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tried to establish the city’s rst crematorium. However, the plan has continues to be postponed for over a decade. In 2008, the construction of a memorial park got started on two conditions. One is that the building is not to be recognized as a crematorium being integrated into surrounding landscape. The other is that it should be constructed as a clean crematorium free from any kind of noxious gases or polluting chemicals.
  • D-cube city
    디큐브시티Landscape Architect _ Oikosdesign landscape + architectureConstruction _ DAESUNG Engineering & ConstructionLandscape Construction _ CORYO Landscape Architecture Co., Ltd, DAESAN L&C, HANSEL GREEN Co., Ltd, JSBinc, DONG SEO CORPORATIONLocation _ Sindorim-dong, Guro-gu, Seoul, KoreaSite Area _ 25,756㎡ Landscape Area _ 9,260㎡Completion _ 2011Photograph _ Oikos design, DAESUNG E&C, Park, Sang BaekEditor _ Park, Sang Baek새로운 Life Style의 생활화와 지속적인 도시의 변화를 이루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서울시 구로구 신도림동 일대에 조성된 복합문화시설인 디큐브시티는 “자연과 문화의 연계”를 컨셉으로 조경을 포함한 조형적인 조화와 표현으로 창의적인 환경디자인을 완성하였다. 이번호에서는 지난 8월호에 이어 디큐브시티의 소개와 함께 설계자인Oikosdesign의 아네모네 대표로부터 설계 의도 및 디자인 전개 과정을 비롯한 소재 및 식재, 준공 후 중점 점검 사항, 디자이너의 생각과 디자인 철학 등을 들어보았다. D-Cube City sets to lead new life style and sustainable urban changes in Sindorimdong, Guro-gu, Seoul as mixed-use cultural complex. This place formulates a co-existence of nature and culture through an e-pression of harmony and creative environment design. Following the last issue, the D-Cube City and its planning concepts, design concepts, materials and plantation, major supervision points after completion, design idea as well as design philosophy of Anemone Beck Koh, the principle of design studio Oikosdesign.
    • / 2012년09월 / 293
  • 소통을 통해 미래를 준비하는 한국조경이 될 수 있기를
    연일 계속되는 폭염과 열대야로 세상이 펄펄 끓고 있다. 고온다습한 북태평양 고기압의 영향으로 남부지방의 8월 초순 낮 최고기온은 체온보다 높은 38도에서 40도를 넘어섰다. 서울 지역의 하루 중 최고기온이 평균 35도 안팎을 기록해 전국 대부분 지방에 폭염특보가 발령되었다. 1908년 기상 관측이 시작된 이래 기상 전문가들 사이에서 1994년이 더위가 가장 극심했던 해로 악명이 높다. 그해 7~8월 동안 서울 최고기온이 35도를 넘은 날이 15일 이었고, 7월 24일 서울기온이 38.4도로 치솟아 90일 동안 1,083명이 더위 탓에 숨졌다는 기록이 있다.올해 6~7월에는 기상관측 이래 104년 만의 최악의 가뭄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였는데, 타들어가는 조경수목을 살리기 위한 조경인들의 가슴도 바싹 타들어갔다. 식물은 생장이 가능한 임계온도臨界溫度를 초과하면 회복하지 못할 만큼의 피해를 입게 된다. 수종에 따라 다르지만 기온이 35도를 초과하면 온대지방 식물은 고온 피해를 입기 시작한다.올해는 짧은 장마를 예보해서 홍수피해는 없으리라는 전망이지만, 작년 여름은 집중호우로 많은 인명과 재산피해가 있었던 한 해였다. 100년 만의 폭우로 기록된 수도권 집중호우는 연 강수량의 40%인 587㎜를 사흘 만에 쏟아 부으면서 우면산을 중심으로 산사태, 한강의 수위상승으로 인한 침수 등으로 조경현장에도 막대한 피해를 가져왔다.우리가 겪고 있는 기상현상을 살펴봤을 때 조경분야는 가뭄 피해, 이상고온에 의한 피해, 장마철 홍수 피해 그리고 태풍에 의해 나무뿌리가 뽑히거나 넘어지는 피해, 겨울철 동해 등 1년 중 한시도 마음 편하게 보낼 수 없는 상황에서 기후급변으로 인한 직접적 피해에 노출되어 있다. 조경공사의 완료는 수목의 활착과 함께 이루어지지만 준공 이후에도 유지관리 부실이라든지 천재지변에 의한 피해 등으로 수목 등이 훼손되는 경우가 있다. 이런 이유 때문에 조경공사는 준공 이후의 유지관리에 따라 완성도가 높아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천재지변에 의한 피해로 수목 등이 고사한 경우에 그 책임을 하자라고 하여 시공자에게 전가 할 수는 없을 것이다.조경공사 하자와 관련된 법 규정에는 건설산업기본법, 국가를 상대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그리고 조경공사 표준시방서 등이 있다. 이상의 관련법 규정을 기초로 작성된 조경공사 표준시방서에는 구체적인 하자 보수의 대상과 면제사유를 명시하고 있다. 하자보수의 면제사유는 천재지변폭풍, 홍수, 지진 등과 이의 여파에 의한 경우와 준공 후 유지관리 비용을 지급하지 않은 상태에서 혹한, 혹서, 가뭄 염해 등에 의한 고사 발생 시라고 명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표준시방서에 면제 규정이 있음에도 분쟁이 발생되었을 경우 천재지변의 구체적인 세부기준을 적용하지 못해 실질적으로 시공자의 책임으로 귀속되는 부당한 일이 반복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수목 고사의 원인이 유지관리 부실에 기인하는 것인지 아닌지의 판단에 분쟁의 여지가 있으므로 하자기간 중 유지관리 비용을 발주단계에서 예산에 편성하여 반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울시 등의 지방자치 단체와 민간 발주처에서는 시공자에게 유지관리비를 따로 지급하지 않는 현실 속에서, 준공 후 유지관리비를 지급하고 시공자로 하여금 하자기간 동안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 하자책임에 관한 분쟁도 피하고 공원녹지의 질적 향상도 올리기 위한 조치가 절실히 요구된다.또한 기후변화 관련재해가 빈번할 것으로 예측되는 시점에서 천재지변의 범위 및 세부적 기준이 2012년 개정되는 조경공사 표준시방서에 반영되기를 기대한다. 이를 위해 범 조경단체 및 기상기후 전문가, 국가 기관 및 시민단체 등 관련분야가 세미나 등의 자리를 함께 하여 현안 및 문제점들을 도출하고 해외사례 등을 분석하여 천재지변으로 인한 하자처리 기준안에 대한 조경계의 입장을 확고히 해야 할 것이다. Koreans have been suffering from a series of tropical nights and scorching heat these days. As of mid-afternoon, the country’s southern provinces have experienced the temperatures from 38 to 40 degrees, which are well above the body temperature. In Seoul, the mercury has usually surged to 35 degrees, with severe heat warnings being issued across the nation. Experts agree that 1994 could be the most notorious year for its record-breaking temperatures. According to the record, during the months of July and August, Seoul had a total of 15 days with the temperatures over 35 degrees, with the highest temperature recorded at 38.4 degrees on July 24. Unfortunately, the summer heat caused 1083 deaths for 90 days. In June and July this year, the country was in, arguably, the severest drought in 104 years, and there were many landscape architects out there making efforts to help trees and plants survive the harsh weather conditions. When exposed to critical temperatur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t is often impossible for plants to recover from the damage done to them. Although the degree of harm varies depending on the kind of trees and plants, temperate plants become vulnerable when the mercury hits 35 degrees or higher. While the forecast of a relatively short rainy season makes us expect little ood damage this summer, we still remember suffering from countless casualties and widespread property damage caused by heavy rain the previous year. The torrential rains that ooded the metropolitan area of Seoul poured 587 mm, 40% of the region’s annual precipitation, leading to landslides and overows and, consequently, doing a good deal of damage to many landscape architecture projects. Considering the weather conditions we have experienced so far, we can conclude that the industry is exposed to direct damages from drought, abnormally high temperature, ooding, typhoons, and cold weather. Landscaping projects are completed by the time trees begin taking root, but there are numerous cases where trees are severely damaged due to poor management and natural disasters afterward. As a result, the quality of a landscape architectural project is likely to be enhanced depending on management and maintenance procedure after completion, and it might be totally unreasonable to blame the operator after trees and plants wither away because of particular natural calamities. There are several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the possible defects of landscaping projects. Based on them, landscaping project standard specications are composed, which dene a range of defect repair and list causes for exemption. The reasons for exemption include natural disasters such as storm, ood, and earthquake, and withering of trees caused by mismanagement with maintenance cost not fully paid to an operator. However, in spite of these standard specications, landscape architecture operators are constantly blamed for the damages caused by natural disasters because of the lack of more detailed denitions and criteria to clarify where the responsibility lies. It might be desirable for an operator to include expenses for maintenance in total budget of a project as there is often a disagreement when assessing who is more responsible for trees and plants dying of drought or ood. Since local governments including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ordering organization of a private sector are reluctant to provide operators with maintenance and administration fee, steps should be taken to force ordering entities to be responsible for the management expenses and let operators fully take care of the landscaping project after completion. It will contribute a great deal to reducing unnecessary conicts and enhancing green spaces around. As more natural disasters are expected to break out due to global climate change, more specic range and detailed denitions of the natural calamities should be reected on the standard specications that are supposed to be revised this year. Landscape architecture organizations, meteorologists, government agencies, and civic groups can discuss urgent issues and related problems, by holding seminars and studying foreign practices. The landscape architecture industry should make clear where it is standing and what it is aiming at.
<<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