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고분의 원림3
    경기도 구리시 동구동에 있다. 동구릉은 59만여 평의 광대한 자연수림속의 길지에, 조선왕조를 건국한 태조 이성계의 건원릉을 비롯한 9릉 17위의 왕과 왕비릉이 자리잡고 있다. 이 자리를 잡은 사람은 이름난 풍수승 무학대사였다. ※ 키워드 : 전통조경, 고분 ※ 페이지 : 142 - 149
    • / 1995년04월 / 84
  • 방부처리 목재를 사용하여 지구온난화를 방지하자(5)
    야외사용 목재시설은 주택 빌딩 등의 부지주위 및 공원 도로 하천주위에 설치되어 비나 눈을 맞는 상태로 사용되고 있는 목재이다. 최근 근린공원과 살기좋은 도시개발의 일환으로 목재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최근 목재시설물은 주택내의 데크 펜스 등의 주택외장재 상품으로 다양화되고 있으며 광원시설에서는 어린이 놀이기구인 유구의 고급화와 복합화를 들 수 있고 도시개발 관계에서는 street funiture의 사용 등 을 들 수 있다. ※ 키워드 : 환경, 목재, 시설물, 방부 ※ 페이지 : 92 - 97
    • / 1995년04월 / 84
  • 친환경적 공간재생 : 공간개발의 생태적 접근
    생태적으로 지속가능한 도시환경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재개발대상이 되는 지역을 생태계 개념으로 파악하고, 생태계의 특성을 나타내는 구성인자와 인자들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생태계의 물질 에너지 정보의 흐름을 규명해야 한다. 이런 노력은 민간이 생태계와 더불어 살아가는데 중요한 열쇠를 제공한다. 재개발 지역의 규모와 그 지역이 갖는 독특한 특성에 따라 생태적 관심은 달라질 수 있다. 자연환경적 요소가 적은 중심상업지구, 도시하천변에 위치한 지역 자연녹지가 많은 도시변두리 지역, 하구에 발달한 도시지역 등 지역적 공간적 특성이 다르면 생태적 접근도 달라질 수밖에 없다. ※ 키워드 : 친환경적 공간재생 ※ 페이지 : 63 - 68
    • / 1995년04월 / 84
  • 친환경적 공간재생 : 친환경적 공간재생으로의 전환
    친환경적 공간재생이라는 것은 지금까지 환경적인 배려없이 만들어짐으로서 환경훼손을 유발하였던 공간을 환경우호적으로 다시 개조하고 재생함으로서 환경오염의 발생을 근원적으로 예방하려는 것을 말한다. 이와같은 친환경적 공간재생은 유럽이나 미국 일본등의 선진국에서는 이미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그 결과가 실용화되어 구체적 사례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친환경적 공간재생방법은 친환경적 국토개발 친환경적 도시개발 태관광 지속가능한 설계 생태건축 다섯가지 분야에서 나타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 키워드 : 친환경적 공간재생 ※ 페이지 : 54 - 57
    • / 1995년04월 / 84
  • 도시생태학
    Urban Ecology의 주요목적은 혁신적인 대안을 개발하여 상호전달하고 이러한 대안이 모든 사람 그리고 모든 종류의 생물들에게 적용되어 생태학적인 지속성을 유지하게 하는 것이다. ※ 키워드 : 친환경적 공간재생 ※ 페이지 : 90 - 91
    • / 1995년04월 / 84
  • 신도시 사인시스템 및 가로시설물 계획
    도시환경에 있어 흔히 사인시스템(Sign System)으로 불리우는 보행자용 안내시설과 다양한 종류의 가로장치물(Street Furniture)은 가로경관의 중요한 시각환경인 동시에 정보제공과 휴게 편익활동의 지원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중요한 요소로 언급되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는 이를 통합하여 일관된 디자인 어휘(Design Vocabulary)로 설계 시행하기 위한 노력이 극히 미미했을 뿐만 아니라 심지어는 보행활동을 저해하고 나아가 이용자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는 시설도 흔히 눈에 띄고 있는 실정이다. 물론 이러한 제요인은 디자인의 결여와 제작기술의 낙후 등 기술적인 측면과 함께 시설별로 소관부처가 서로 다른 행정 및 제도적인 측면에 직접적으로 기인한 것이나 우리 스스로가 도시문화 에 대한 여유와 안목 그리고 배려가 미흡한 사회환경속에 안주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보다 근원적인 문제를 찾아야 할 것이다. ※ 키워드 : 친환경적 공간재생 ※ 페이지 : 86 - 89
    • / 1995년04월 / 84
  • 친환경적 공간재생 : 경관적 측면에서의 공간복구
    경관적 측면에 있어서의 환경재개발은 특히 각각의 지역이라든가 개개 도시의 입지에 따른 자연환경적 풍토적 인자들과 잠재력들을 보다 충분히 인식하고, 반영하여 이들과 조화를 이루어 나기는 방향에서 이루어져야 하고, 또한 동시에 그곳에서 살아가는 시민들의 정신적 문화적 상징성의 체계까지를 구현함으로써 소위 문화경관으로(Cultural Landscape) 승화시켜 나갈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그 지역이라든가 그 도시의 역사성과 문화적 배경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와 고유한 자연적 풍토적 환경인자들 및 잠재자원들에 대한 충분한 조사와 파악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 키워드 : 친환경적 공간재생 ※ 페이지 : 69 - 73
    • / 1995년04월 / 84
<<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