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내일을 위해 우리가 해야 할 일들
    한국은 세계각국과 비교해도 크게 손색이 없는 환경을 조성하였고, 이는 우리 조경계가 크게 기여한 결과라고 본다. 그러나 우리는 현 상태에 만족하지 말고 더 나은 조경분야 발전을 추구하는 내일을 위한 방향타를 잡아야 할 것이다. ※ 키워드: 이헌정 ※ 페이지 : p33
    • / 1992년03월 / 47
  • 제8회 한국 조경작품전 추천작 ; 역사와 유추-대구국립박물관 환경조성계획
    이 작품은 박물관 및 그 주변환경조성의 설계 대안으로서 그 개념을 기존의 가능적 생태적 방법과는 다른 일종의 상징적 방법으로부터 찾으려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이들은 형태추출의 벼경을 박물관의 문화적 의미와 지역의 역사적 상징들로부터 얻어내려 하였다. ※ 키워드 : 대구국립박물관 ※ 페이지 : 142-145
    • / 1992년03월 / 47
  • ‘92 IFLA 한국총회 준비현황
    올 8월 31일부터 9월 4일까지 4박5일간 열리는 서울 경주에서 열리는 제 29차 IFLA 한국총회는 비동맹국 조경인들의 참가를 통한 평화통일외교정책의 홍보 및 국내 조경계의 학문과 기술의 국제수준화 촉진 등 그 기대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 키워드: IFLA ※ 페이지 : 66-67
    • / 1992년03월 / 47
  • 민가조원 ; 경북편
    안동 고성이씨 종택, 금릉 방초정, 봉화 도암정, 청도 운강고택, 경주 종오정, 예천 초간정, 의성 소우당, 금릉 허석 정사 ※ 키워드: 조원 ※ 페이지 : p68-75
    • / 1992년03월 / 47
  • 세계의 3대 조경수와 보존수
    세계의 3대 조경수인 히말라야시다. 아라우카리아, 금송이 모두 이 침엽수에 속한다. 이들 3 수송들이 조경수로서 최상의 자리를 차지하는 이유는 늘 푸른 나무라는 것 이외에도 여러 가지가 있다. 조경수로서 가치있는 나무란 아름다운 외모를 가져 미적 가치를 지니고 있어여 하며, 동시에 방풍, 방진, 방화, 소음방지, 차폐, 녹음의 공급등 실용적인 가치를 겸비하여야 하며, 조경의 대상이 되는 지역은 기후 토양 병충해 등의 환경인자들이 다양하게 공존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의 다양한 생태환경에 우수한 적용능력을 가진 수종이어야 한다. ※ 키워드 : 히말라야시다. 아라우카리아, 금송 ※ 페이지 : 150-155
    • / 1992년03월 / 47
  • 남광 ENG 조경부를 찾아서
    남광 ENG은 1979년에 창설하여 1990년 4월에 종합건설 기술용억업체로 등록 현재 조경부를 비롯한 도시계획부, 도로부, 환경부, 국토개발부 등 총 17개 부서 200여명의 직원을 거느린 종합건축사 사무소로서 점차 단단한 자리매김을 해나가고 있다. ※ 키워드 : 남광 ENG ※ 페이지 : p116-117
    • / 1992년03월 / 47
  • 인간과 야생동물
    야생동물은 경제적 생태적 및 학술연구 목적 분 아니라 궁극적으로는 인류생존을 위한 중요한 자연자원의 하나임에 틀림없다 이렇듯 자원으로서 가치가 무한한 야생동물과 그 서식지를 보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우선 야생동물의 가치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적절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그러나 야생동물의 가치중 심미적 생태적 철학적 가치 등은 무형적인 것이어서 계량화가 불가능하고 이를 화폐단위로 환산하기가 매우 어려워서 야생동물의 진정한 가치는 모든 가치의 총합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 키워드 : 아생동물 ※ 페이지 : p122-125
    • / 1992년03월 / 47
  • 도시경관과 색채 ; 도시의 색과 환경디자인
    도시가 제대로 기능을 발휘하고 질적향상을 지향하기 위한 시각적 환경요소는 시민을 매혹할 수 있는 수단이나 장치 또는 도구를 말하게 되는데 우리의 고민은 도시의 이러한 시각 구성 요소들의 전체구성과 시간장소의 변화에 따라 적용되는 색채의 역할을 소화하지 못하는 데에 있다. 더구나 색채는 그 활용정도에 따라 매혹적인 가로의 시각대상으로서 도시 환경구성에 긍정적 효과도 기대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도시의 모든 공해요소보다 더욱 부정적인 역할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아름다운 환경디자인을 구성하는 요소로서의 색채의 구성기준은 색의 속성에 따른 색의 지각적, 감정적인 효과를 적절히 구사하는 시각적기준과 색채의 표현이 시민들에게 어떻게 판단되는가 하는 지각적 기준이라 할 수 있다. ※ 키워드 : 환경디자인 ※ 페이지 : 44-48
    • / 1992년03월 / 47
  • 하부식재용 조경식물 소재
    조경식물을 식재함에 있어서 상층목은 스카이라인을 구성하고 중층목은 공간채움의 역할을 한다고 하면, 하부식재는 지표면의 장식효과를 나타낸나고 말할 수 있다. 하부식재는 곧 지피식재를 뜻하는데 지피식재란 한마디로 각종식물을 재료를 이용하여 지표면을 덮어주는 식재 수법이다. 하부의 지피식재는 일반적인 지피식재와는 식재환경이 크게 다르다. 다시 말해서 오픈된 공간에서의 지피식재는 태양광선을 직접 받아야 하기 때문에 식물소재의 선택은 양지성인 것을 선택하는 것이 필수 요건이다. ※ 키워드: 조경식물, 하부식재 ※ 페이지 : p136-141
    • / 1992년03월 / 47
  • 도시경관과 색채 ; 도시경관 향상을 위한 수퍼그래픽
    이제 우리의 가로공간도 내적으로는 체계적이고 균형있는 발전과 함께 외적으로는 외형위주나 효과위주의 거친 공간에서 탈피하여 유기적이고 통일성 있는 문화환경 조성을 위한 새로운 방향을 모색할 때가 왔다. 그러한 시도는 현재 서울이나 부산 청주 등 대도시에서 수퍼그래픽의 활용으로 활발히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규모면이나 가치면에서 재고되어야 할 요소가 많이 있는데 특히 수퍼그래픽은 건물 외벽에 직접 노출되므로 이에 대한 철저한 연구가 병행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수퍼그래픽의 발생배경과 가로환경에서의 역할과 국내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 키워드 : 도시경관, 수퍼그래픽 ※ 페이지 : 54-59
    • / 1992년03월 / 47
<< 1 2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