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조경학과 교과과정 ; 독일 하노버 대학교
    독일 하노버 대학교 교과과정 독일의 조경학과 커리큘럼은 우선 다른 점이 각 전공마다 세분화가 되어있다는 점이다. 하노버 조경학과의 경우, 6개 서로 다른 학과 그룹에서 14개의 연구소로 분류가 되어 있다. 각각의 연구소들은 저마다 다양한 수업들을 진행하고 있는데 앞서 이야기한 약 30가지의 과목들 중에서도 세부적으로 또 나뉘게 된다. 예를 들어 환경계획연구소의 경우, 지역계획학, 환경경제학, GIS, 경관계획과 자연보호학, 경관생태학, 생태복원학, 식물생태학, 동물생태학, 경관미학, 조림학, 경관 및 계획법, 관광계획학, 농촌계획학 등등이 있다. 이렇게 나열된 수업들을 조합하면 수십가지의 강의가 개설되며, 사실 관심있는 분야만 골라서 듣기에도 벅찰 정도이다. 이런 이유로 한국에서는 생각치 못했던 세부전공들에 대한 학문을 하나의 교과목으로 참여할 수 있어서 좋았었다. 특히 인상적이었던 수업은 Ingenieurbiologie였는데, 하천이나 강가, 혹은 경사면 등과 관련된 식물복원 기술과 이론에 대한 내용을 다루는 수업으로, 전반적인 생태복원 방법과 하천복원방법만을 배웠었던 필자는 이 수업 하나에 굉장히 구체적이고 다양한 시공방법들이 소개되고 있어 적잖이 놀랐던 기억이 있다. 한가지 특이한 점은, 이러한 수업들이 한국과는 다르게 출석의 개념이 없다는 점이다. 사실 처음에 이 부분이 적응이 안됐었었는데, 수업의 참여여부와 관계없이 시험만 통과하면 되니까 교수들이 학생들의 출석에 그다지 신경을 쓰지 않는다. 자신의 일은 스스로 책임지고 행동하라고 하는 독일인 특유의 책임적 자유로움이 교육에서 가장 눈에 띄게 보여지는 것 같다.하지만 안타깝게도 독일 역시 시대의 흐름을 이기지 못하고 내년 겨울학기부터는 여타 다른 나라들과 같이 학점제 위주로 수업이 진행된다. 또한 Diploma이란 학위가 없어지고, EU연합국가들의 학제에 발맞추기 위해 Bachelor(학부과정)와 Master(석사과정)과정으로 바뀌게 된다. 게다가 학비가 없는 세계에서 몇 안되는 국가로서 돈 없는 유학생들의 천국과 같았던 이곳이 2006년 10월 신학기부터는 학비를 받게 된다. 다양성과 자유로움으로 학문의 즐거움을 추구하던 독일은 이제 그 빛을 잃어가는 것 같아 안타까운 마음이다. 김 원 현 Kim, Won Hyun 하노버대학교 석사과정, 본지 독일리포터(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
  • 북시티 디자이너의 드로잉, 그 사유의 흔적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 2006년02월 / 214
  • 방콕 베네치아 '쌍 마르코 광장'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 2006년02월 / 214
  • 조경비평, 비판적 대화의 가능성을 찾아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 2006년02월 / 214
  • 신자유주의 시대의 조경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 2006년02월 / 214
  • 조경학과 교과과정 ; 베를린 공대 조경학과
    베를린 공대 조경학과 교과과정 베를린 공대 조경학과는 크게 세 방향으로 깊이 전문화된다.(1) 조경건축 관련 : 설계이론, 시공이론, 조경설계, 문화재관리(2) 환경계획 관련 : 환경계획, 관련 법(3) 생태학 관련 : 동식물생태학, 토양학, 기후학, 수질관리 수업내용에 대해 좀더 깊이 들어가기 전에 한국과 크게 차이를 보이는 독일 대학 학제에 대해 잠깐 언급하고자 한다. 이곳은 미,영국식 학제에서 통하는 학석사 2단계가 아닌 두 단계가 통합된 디플롬(Diplom)으로 학업을 마치게 되어있다. 디플롬은 학석사 비슷하게 포어(Vor:앞), 하웁트(Haupt:本)디플롬으로 구분이 되지만 포어디플롬 자체로 졸업을 인정받지 못한다는 점에서 큰 차이가 있다. 현재는 독일도 세계화 추세에 따라 학석사 학제를 도입하는 과도기에 있다. 2년 과정인 앞디플롬에선 필수교양과목은 없으며 필수로는 전공수업만을 듣는다. 각 수업은 2학점이며 총 88학점을 얻어야 한다. 프로젝트란 것이 있는데, 보통 각 연구소 주제를 제안하여 1년 단위로 진행되는데, 학기마다 8학점으로 계산된다.80학점을 모두 이수한 후에, 논문(Diplomarbeit)을 쓰게 되는데, 논문을 쓰기 전에 학교에 논문작업을 신고하며, 신고 후 보통 4개월 기간 내에 논문을 마무리 지어야 한다. 논문이 마무리되어 제출 후엔 담당 교수와 보통 2명의 타 교수로부터 논문내용에 대해서 구두시험을 치른다. 드디어 논문시험으로 일단 학업은 마무리되고, 자신의 의지에 따라 박사과정을 이어서 이수할 수 있다.베를린시가 재정적으로 힘든 상태임에도 다른 과에 비해 베를린 공대 조경과는 구조조정의 영향을 그리 크게 받지 않았다. 조경과의 수업내용 호응도를 개인으로 가늠해 본다면 현재 원거리측정, GIS와 관련된 수업은 새롭게 큰 호응을 얻고 있으며, 계획, 건축, 생태방향은 큰 변화없이 꾸준한 학생수를 보인다. 특히 생태분야는 구조조정에도 재정적으로 안정한 상태이며, 계획분야는 새롭게 변화하는 베를린 도시환경정책에 따라 새롭게 많은 과제를 연구하게 될 듯 하다. 이와 반대로 개인적으로 크게 관심을 가지고 있고, 또 이전까지 큰 호응을 보였던 문화재관리 부분은 담당 교수의 후계자가 구조조정의 영향으로 예정되지 않은 관계로 관심 있는 학생수가 줄어들 듯 하다. 권 용 석 kwon, Yong Seok 베를린공대 조경학과 석사과정, 본지 독일리포터(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
  • 조경학과 교과과정 ; 미국조경연수 현장르포(1)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 2006년02월 / 214
  • 솔토조경㈜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 2006년02월 / 214
  • 소쇄원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 2006년02월 / 214
  • 부산신항 북컨테이너 터미널 조성공사 턴키프로젝트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 2006년02월 / 214
1 2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