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Vista Hermosa Park
    비스타 에르모사 파크 ‘Vista Hermosa Park’는 로스앤젤레스 중심가의 빽빽한 도시환경에 있는 도시공원이다. 과거 부지는 석유시추 시설이 있던 곳으로 오늘날 공원은 과밀화된 지역에 오아시스와 같은 곳이 되었다. 지역민과의 접촉 또한 성공적인 설계를 위한 중요한 열쇠가 되기도 했다. 밀집된 주거지역 외곽에 위치한 부지는 대략 3만8천㎡로 인조잔디로 된 축구장, 보행로, 친수공간, 아이들 놀이공간, 피크닉 공간을 포함하는 다양한 레크리에이션 시설들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지속성을 극대화 하도록 설계되었는데 이 공원은 유입되는 자연물들과 생태계의 확장된 네트워크와 통합하는, 그리고 학교 여가 프로그램과 커뮤니티를 수용하는 도시 유역 시범 사업이기도 하다. 이 공원은 단순히 여가를 위한 공원 그 이상으로 의도되었다. 예를 들어 아이들의 학습발달을 위한 교육의 장이기도 하며 지역민과 그 환경에 대한 자부심이 고무되는 장소이기도 하다. Landscape Architect _ Mia Lehrer+AssociatesTeam _ KPFF Consulting Engineers / ME-Engineers, Inc. / LA Engineering, Contractor / Mia Lehrer+AssociatesClient _ Santa Monica Mountains ConservancyLocation _ Los Angeles, California, USACompleted _ 2008
    • mlagreen.com / 2009년11월 / 259
  • MGM Office Tower
    MGM 오피스 타워35층 짜리 MGM 타워는 캘리포니아에 있는 Century City에 위치해 있으며 로스앤젤레스 지역 내에서 가장 부가가치가 높은 사무실 건물 중 하나이다. 미아 레어 어소시에이츠는 이러한 개성 있고 눈에 띄는 건축물을 위해 특징적이면서도 기억에 남을 만한 특성을 부여하고자 했다. 설계에 앞서 이 대상지만의 과제는 6천5백㎡가 넘는 건축면적에 비해 아주 작은 외부 공간을 가졌다는 것이었다. 또한 발주자는 이러한 공간에 역동적인 진입 플라자와 친근한 중정이 만들어지길 원했다. 이에 진입 플라자 주변에 딱딱한 격자문양의 바닥 패턴과 조화되는 식재지를 조성했다. 스틸 볼라드와 병렬로 놓인 조명 기둥은 리드미컬한 바닥패턴을 강조하는 수직적인 설계 요소로 사용되었다. 중정은 양쪽 측면으로 물결모양처럼 굴곡진 화단과 스틸 벤치가 선을 이루고 있다. 도드라진 화단 벽면은 퇴적층을 연상케하는 특별한 콘크리트로 만들어졌고 그늘을 제공하기 위해 화단에 내자작나무(river birch)가 식재되었다. Landscape Architect _ Mia Lehrer+AssociatesTeam _ PSOMAS / Horton Lees Brogden / Johnson Fain / Mia Lehrer+AssociatesClient _ JMB RealtyLocation _ Century City, California, USAArea _ 7 acresCompleted _ 2006
    • mlagreen.com / 2009년11월 / 259
  • Rand Corporation
    랜드 코퍼레이션 Landscape Architect _ Mia Lehrer+AssociatesTeam _ DMJM / KPFF Consulting EngineersHorton LEES Brogden Lighting DesignMia Lehrer+AssociatesClient _ Rand CorporationLocation _ Santa Monica, California, USAArea _ 2.47 acresCompleted _ 2006Photographer _ Mia Lehrer+Associates ‘Rand Corporation’은 캘리포니아 산타모니카에 위치한 국제적으로 잘 알려진 비영리 연구기관으로, “연구와 교육부분에서 창조성을 자극하라, 효과적인 상호작용을 도모하라, 자원의 보존을 위해 신하라, 그리고 효과적으로 변화에 적응하라” 등의 모토를 갖고 있다. 설계 개념은 이와 같은 Rand Corporation의 모토에서 출발했는데, 미아 레어 어소시에이츠는 보다 지속가능한 설계 개념 수립을 위해 다양한 식물들에 적합한 관수 전략 개발, 물의 재사용을 위한 폭넓은 연구 등을 진행했다. 이곳에 식재된 식물들은 남향에서의 햇빛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건물 외부공간의 커다란 상록수들은 강렬한 오후의 햇살을 누그러뜨리고 바다에서 부는 남풍을 차단하고 있다. 2006년 완공된 이 연구시설은 미국 Green Building Council의 Energy & Environmental Design(LEED) certification 부분 Gold Leadership에 선정되는 영예를 안기도 했다.
    • mlagreen.com / 2009년11월 / 259
  • MetLofts
    메트로프츠 Landscape Architect _ Mia Lehrer+AssociatesTeam _ Johnson Fain Architects / PSOMAS /Lighting Design Alliance / Mia Lehrer+AssociatesClient _ Forest City EnterprisesLocation _ Los Angeles, California, USAPhotographer _ Eric Figge Johnson Fain 건축사무소와 꾸준히 협업을 하고 있는 미아 레어 어소시에이츠는 로스앤젤레스 중심가 부근에 위치한 현대적인 5층짜리 다가구 건물을 위한 설계를 진행했는데, 소매점과 주거와 사무공간이 얽혀 있고 거리와 면해 있는 지상공간은 가로공간의 활동성을 끌어들이는데 주안점을 두고 설계했다. 반면 중정은 거주민들을 위해 독특하게 사유공간과 공용공간으로 구성된 여가 시설 및 녹지공간을 제공하고 있는데, 주민과 손님들을 위해 모임 공간, 바비큐공간, 스파, 수영장 등이 조성되어 있다. 또한 거주민과 지역 커뮤니티와 관련이 있는 건물의 정면에는 인터랙티브한 조명 예술작품을 설치했고, 각각의 세대를 위한 옥상정원 테라스들은 공동 정원 가까이에 위치해 있다.
    • mlagreen.com / 2009년11월 / 259
  • Santee Court
    산티 코트 Landscape Architect _ Mia Lehrer+AssociatesTeam _ Lehrer Architects / Don Barany Architecture / Rohco EngineeringSwinerton Builders / Pierre Landscape Builders / Mia Lehrer+AssociatesClient _ MJW InvestmentsLocation _ Los Angeles, California, USAArea _ 2.3 acresCompleted _ 2006Photographer _ Michael B. Lehrer, Lamb Studio 최근 들어 도심지에서 부지 건물들을 재활용하는 경향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산티 코트는 로스앤젤레스 중심가에서 굉장히 큰 규모로 재활용이 진행된 주거 개발이라 할 수 있다. 한때 제조시설들이 있던 이곳은 지금 578개의 주상복합 지역이며 약 9만3천㎡의 소매점들을 위한 공간이기도 하다. 주거 개발과 공공을 위한 산티 코트의 재생은 미국 도처와 로스앤젤레스의 복합적으로 이용되어지는 다운타운 개발을 위한 좋은 모델이 되고 있다. 미아 레어 어소시에이츠는 프로젝트의 옥상 어메니티에 관한 설계뿐만 아니라 정원 마당과 프로미나드를 디자인해야 했다. 부지 내에 있던 샛길들과 통합되는 외부공간은 외부에서 식사할 수 있는 공간, 두 개의 쌈지공원, 식재용기, 앉을 수 있는 시설물, 그리고 작은 콘서트와 공연들을 할 수 있는 공간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교통소음을 완화하는 친수정원도 손꼽을만한 공간이다. 공공 장소가 부족한 상황에서 건물들로 둘러 싸여 있는 공간의 “심장”과도 같은 역할을 하는 정원마당과 프롬나드의 설계는 “천과 바느질”개념에서 출발했는데, 직물패턴과 같이 색상이 가미된 비스듬한 띠와 역동성을 주는 Lithocrete 페이빙이 모자이크 원반문양들에 의해 강조되어지고 있다.
    • mlagreen.com / 2009년11월 / 259
  • Hollywood Roosevelt Hotel
    헐리우드 루즈벨트 호텔 Landscape Architect _ Mia Lehrer+AssociatesTeam _ Dodd Mitchell Design / Vortex Lighting / Mia Lehrer+AssociatesClient _ CCL Holdings Inc.Location _ Hollywood, California, USAArea _ 5 acresCompleted _ 2006Photographer _ Hollywood Roosevelt Hotel, Tim Street Porter 헐리우드 루즈벨트 호텔은 한때 로스앤젤레스에서 눈에 띄는 장소였고, 다시금 그런 명성을 되찾길 원하고 있다. 이 역사적인 호텔의 사교 중심지는 커다란 풀장으로, 미아 레어 어소시에이츠(이하 미아 레어)는 이곳을 다시 설계하고 리노베이션했다. 이 호텔의 특성과 풍부한 역사를 강조할 수 있는 현대적인 디자인으로 풀장을 리노베이션 하기 위해, 미아 레어는 City of Los Angeles Redevelopment Agency와 긴밀하게 교류하며 작업을 진행했다. 미아 레어는 이곳의 안뜰과 정원을 현대적으로 리노베이션했고, David Hockney에 의해 그려진 풀장을 돋보이게 했다. 자연석 포장, 열대식물, 화로, 편안한 긴의자들이 헐리우드 “hot spot”으로 알려진 풀장지역과 조화로운 경관을 연출하고 있고, 풀장 정원은 누구나 자신도 헐리우드의 전성기 때에 놓여있는 듯한 특별한 장소성을 줄 수 있을만큼 만들어졌다.
    • mlagreen.com / 2009년11월 / 259
  • 로스앤젤레스의 정원들(Gardens Los Angeles)
    Greenberg, Rittenour, Carmelina는 실내외 공간에 관한 캘리포니아 라이프스타일의 전형적인 사례를 보여준다. 이는 거대한 로스앤젤레스의 도시 생활조건 중 분명한 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개인정원 천국이라는 특성을 만들고 있다. 여기에 수영장과 분수, 테니스 코트와 테라스 그리고 식물 수집종들이 정원을 더욱 아름답고 풍부하게 하고 있다. 온난한 기후대에 포함되어 있다는 사실은 정원을 사계절 이용할 수 있는 이유가 되고 있다.
    • mlagreen.com / 2009년11월 / 259
  • 인터뷰: 미아 레어(Mia Lehrer)
    미아 레어 어소시에이츠는 오랜 기간 LA를 중심으로 미국 서부지역에서 개인정원은 물론 공공공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행해 온 것으로 알고 있는데, 아직까지 한국 조경인들에게는 다소 생소한 감이 없지 않다. 간략한 회사소개 및 추구하고 있는 철학에 대해 소개해 달라. 나는 미국조경가협회(ASLA)에 등록된 조경가로서 미아 레어 어소시에이츠의 대표를 맡고 있다. 지난 1997년부터는 파트너인 Esther Margulies와 함께 사무실을 운영하고 있는데, 오늘날 미아 레어 어소시에이츠는 진보적인 조경설계분야에 있어 국제적으로 그 명성이 알려졌다. 특별히 그래픽 구성에 있어 독특한 조화, 목표 설정, 풍부한 질감표현, 친환경적인 추구 그리고 사람들을 위한 공공공간 추구와 같은 우리 회사만의 특성이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이유인듯하다. 우리 회사만의 설계철학은 크게 3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영감 있는 조경디자인”, “문제들에 반응하는 공간창조” 그리고 “지속성을 위한 기술들의 사용”이라 할 수 있다. 우리 회사는 몇몇 다른 분야의 팀들과의 다양한 협력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의 모든 프로젝트들은 유능하고 감각 있는 팀원들간의 왕성한 협력과 그들의 노력의 결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크고 작은 스케일의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으며, 이러한 작업 환경은 젊은 팀원들이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행함으로써 많은 것들을 얻을 수 있다고 믿고 있다. 실제로 우리는 젊은 팀원들이 작은 규모의 프로젝트를 설계에서부터 시공까지 경험하게 하고 있고 그들의 이러한 경험은 대형 프로젝트를 수행하는데 있어 커다란 경험이 될 것이라 믿고 있다. 최근 진행된 Orange County Great Park, LA River Revitalization 프로젝트나 2006년에 참여했던 Los Angeles State Historic Park(Confield)를 보면 주민참여 방식으로 이루어진 점이 눈에 띈다. 이러한 주민참여과정이 프로젝트에 어떤 영향을 미치며, 주민참여를 위해 준비하는 시간과 노력은 어느 정도인지 알고 싶다. 설계가에게 있어 주민활동이나 이해관계자의 참여는 당면한 문제들, 즉 어떤 공원에 있어 결여되는 점이나 안전문제 혹은 주민들의 열망이나 바람 등을 이해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이는 특별히 많은 공공 요인들을 가지고 있는 대규모 프로젝트인 경우 확연하다. LA의 경우 21세기 도시로의 탈바꿈을 위해 인프라시설을 다시 재건하고 있고 이 과정에서 주민교육과 주민 설문조사를 통해 사람들의 요구와 희망사항을 명확히 확인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이러한 과정은 선택의 여지가 없는 가장 기본적인 필수사항이며 우리가 즐기는 부분이기도 하다. 이러한 과정은 매우 만족스러운 부분인데 그 이유는 주민들과 만남이 이루어진 순간 그들은 설계과정의 일부이자 결정과정이 되며 이로 인해 설계와 프로젝트 자체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새로운 커뮤니티를 계획하는 것은 무수히 많은 다른 관점으로부터의 다양한 아이디어들이 강한 비전을 향해 녹아들어가는 과정의 연속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통합되는 다양하고 창의적인 생각들과 에너지 넘치는 일련의 수행과정들은 보다 풍부하고 좋은 계획안을 도출시킨다. 우리는 가능한 한 사람들의 다양한 생활방식을 이해하기 위해 지역민들과 이해 관계자들과 만나기 위해 노력할 뿐 아니라 공무원들이나 여러 관련자들을 계획·설계과정 가운데 포함시키고 있다. 다시 말해 각 지역이 갖고 있는 역사나 유산 같은 지역특성은 그 지역민들과 공무원들에게는 중요한 요인이고 또한 이러한 요인은 모든 계획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우리가 반드시 이해해야 하는 가장 흥미로운 사항이다. 이러한 주민참여는 지역민들과 지역공무원 그리고 그밖에 이해 관계자들과 설계팀간의 생각의 차이를 줄임으로써 보다 나은 계획안을 이끌 것이다.
  • 제6회 대한민국 환경조경대전
    The 6th National Exhibition of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사)한국조경학회(회장 조세환)와 (재)늘푸른(이사장 손연호)이 공동주최하고 대한민국 환경조경대전 운영위원회가 주관하는 제6회 대한민국 환경조경대전이 지난 9월 18일 수상자를 발표하였다. 대상 1점에 상장 및 IFLA(세계조경가협회)회장 메달과 상금 500만원, 우수상 2점은 상장 및 IFLA-APR(세계조경가협회 아시아태평양지역)회장 메달과 상금 300만원, 특선 4점은 상장과 상금 200만원, 가작 8점은 상장과 상금 50만원, 입선 25점에는 상장이 수여되었다. 본지에서는 전체 수상작 중 대상 1점, 우수상 2점을 소개한다. _ 편집자주 주제 _ 길 concept design & landscape experience의미의 다의적 해석과, 디자이너로서 환경에 대한 인식과 문제제기가 필요하다.그리고 그에 따른 해결안의 제시와 체험의 감성이 요구되는 주제이다. 대상 임정진, 김의겸, 서기영|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Potential spectrums 새롭게 흐르는 3.5km의 세 가지 길 우수상 김경희, 한소영, 박만식|서울대학교 대학원 생태조경학전공 Linear, The 1st Element for “Urban Legibility” 우수상 최리나, 이현식, 전현상|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The 5th Season ※각 수상작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환경과조경 11월호 158~173페이지를 참조 바랍니다.
    • / 2009년11월 / 259
  • 송도글로벌대학캠퍼스 1단계 1공구 조성공사
    해외 유수 대학의 교육·연구 허브가 될 ‘송도글로벌대학캠퍼스’는 인천도시개발공사와 부국증권이 공동 출자해 송도글로벌대학캠퍼스(주)에서 시행하는 사업으로, 1단계 1공구 조성공사는 인천경제자유구역 송도지구 첨단 산업클러스트 내 Er-1블록에 강의연구동, 대학도서관, 학생기숙사, 교수아파트, 설비시설과 주차장을 건설하는 공사이다. 설계·시공일괄입찰결과 삼성물산(주)컨소시엄이 시공사로 선정되었다. 당선작 _ EDUCORE 삼성물산(주)+(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지오조경기술사사무소 조경설계참여자 _ 지오조경기술사사무소(이상진, 조윤승, 이홍길 대표, 최현수, 김재홍, 이창연, 최소영, 김승범, 조미진, 표기만, 엄윤아) 위치 _ 인천광역시 인천경제자유구역 송도국제도시 첨단산업클러스터(5·7공구) 내 교육연구시설용지(Er-1)|대지면적 _ 총 295,000㎡ 중 34,700㎡(1단계 1공구) | 조경면적 _ 13,930.03㎡(40.14%)|생태면적율 _ 30.22%|주요시설 _ 강의연구동, 대학도서관, 학생기숙사(2천명 수용), 교수아파트, 설비시설, 주차장
    • / 2009년11월 / 259
<< 1 2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