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영ㆍ녕릉
    여주 영ㆍ녕릉(驪州 英ㆍ寧陵)은 경기도 여주군 능서면 왕대리 산 83-1번지 일원에 위치하고 있으며, 면적은 2,008,536㎡(약 602,560평)으로, 영릉(英陵)은 제4대 세종대왕(1397~1450)과 소헌왕후 심씨(1395~1446)의 능이고, 녕릉(寧陵)은 제17대 효종대왕(1619~1659)과 인선왕후 장씨(1618~1674)의 능으로 조성된 이후, 조선 전ㆍ후기 왕릉 조영의 전형으로서의 가치 및 봉분형식, 석물 등의 능의 상설 및 정자각, 비각, 수복방, 수라간, 지당 등이 자연과 인공이 화합하는 순응의 미학을 지형적, 공간적으로 연계시키고 있다. 1970년 5월 26일 사적 195호로 지정되었다. 造營 _ 세종이 1450년 영응대군(永膺大君)의 사제 동별궁에서 승하한 후, 문종 즉위년(1450) 5월 21일 묘호(廟號)를 세종으로 능호(陵號)를 영릉이라 하였으며, 이해 6월 12일 경기도 광주 대모산 아래 헌릉 서쪽 산줄기 소헌왕후 심씨의 영릉 서실에 합장하였다.1 녕릉의 경우 1659년 5월 효종이 창덕궁 대조전에서 승하한 후 현종 즉위년(1659) 5월 11일 묘호를 효종이라 하고 능호를 녕릉이라 하였으며, 이해 10월 29일 양주 건원릉(楊州 健元陵) 서측 산줄기에 예장하였다. 녕릉 석물에 틈이 생겨 능침의 누수우려로 인한 천릉론에 따라 현종 14년(1673) 10월 7일 여주 영릉 동측 언덕 자좌오향(子坐午向)에 천릉하였으며 이에 앞서 능역내의 민가와 총묘를 옮기게 하였다. 이후 현종 15년(1674) 2월 24일 경희궁 회상전에서 효종대왕의 비 인선왕후 장씨가 승하한 후, 이해 3월 2일 시호를 인선(仁宣)이라 하였으며 6월 4일 효종 능 아래 자좌오향에 예장하였다. 立地 _ 영릉은 주산인 칭성산을 배경으로 중허리 부분에 봉분을 이루고 있으며, 그 좌우측에는 청룡과 백호가 겹겹이 봉분을 감싸주는 형세를 취하고 멀리 남쪽으로는 조산인 북성산에서 떨어져나온 작은 산맥인 안산을 바라보게 조성되어 있다. 이러한 형세를 회룡고조형이라고 하고, 또한 모란반개형인 형국을 지닌 명당지라고 한다. 한편 녕릉은 영릉의 내청룡에 해당하는 구릉과 외청룡에 해당하는 구릉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데, 이 구릉들이 자연스레 좌청룡과 우백호가 되어 봉분을 감싸고 있으며, 영릉과는 달리 지세의 중허리 부분에 해당하는 곳에 상, 하 각각 두개의 봉분으로 조성되어 있다. 주변 환경으로는 북쪽으로는 구양리와 한강, 남쪽으로는 월송리, 동쪽으로는 하리, 서쪽으로는 번도리가 인접하고 있다. 空間構成 _ 1)配置形式 영릉은 조선 최초의 합장릉으로서 능상구역을 살펴보면 능침에 병석을 세우지 아니하였으며, 현궁의 석실은 회격(灰隔)인데, 이는 개천 영릉(改遷英陵)의 조영연대가 예종 원년(睿宗元年)으로서 예종의 부왕인 세조의 광릉 조영시(1468) 세조의 유명(遺命)으로 병풍석을 세우지 아니하고 석실을 회격으로 바꾼 뒤여서 이를 따랐다. 또한 능침 주위로 12간의 난간석을 둘렀으며 양석(羊石)과 호석(虎石)각 2쌍이 교호배치되고 능전에는 혼유석 2좌를 설치하였다. 혼유석 양측으로 망주석 1쌍이 위치하며 3면의 곡장이 있다. 한 단 아래에 문석인, 마석 각 1쌍이 마주보고 있으며, 그 중앙에 명등석(明燈石) 1좌로 중계(中階)가 이루어졌고 그 아래에 무석인, 마석 각 1쌍이 문석의 예와 같이 배열되어 하계를 이루었으며 능상 및 상설은 단릉의 형식이다. 능 언덕 아래에 능하구역은 정자각이, 동측엔 비각이 있으며, 비각 남측 아래로 수복방, 정자각 서측에는 수라간이 있다. 정자각 남측 참도가 시작되는 곳에 홍살문이 있으며 홍살문 서남쪽에 방형의 연지가 있는데 용두로 축조된 입수구로 맑은 물이 흘러 들어오게 하고 있다. 또한 남측으로 내려와 홍살문 밖의 진입공간에는 영릉 참배로 동쪽에 재실이 위치하는데, 이는 1972년에 복원된 것이다. 1977년도 대통령의 지시로 영릉 정화사업이 있었으며 훈민문, 세종대왕 동상, 세종전 등은 이때에 조영된 것이다. 한편 녕릉은 동원상하이봉릉(同原上下異封陵)으로서 왕과 비의 릉이 상하로 쌍릉 형식을 이룬 조선왕릉 중 최초의 형태이다. 능상구역을 살펴보면 왕릉엔 3면의 곡장을 설치하고 능침엔 병석을 세우지 아니하였으며 12간의 난간석을 설치하였고 난간석 밖으로 양석, 호석 각 2쌍이 외향 배치되었다. 능전에 혼유석이 1좌, 그 양측으로 망주석 1쌍이 설치되어 상계(上階)를 이루고, 한 단 아래 중계(中階)에는 문석인과 마석 각 1쌍과 중앙에 명등석 1좌가 있으며, 하계(下階)에는 무석인과 마석 각 1쌍이 위치하고 있다. 왕릉 아래의 비릉(妃陵)에는 곡장만 설치되어 있지 아니할 뿐, 능상 의물(陵上儀物)은 왕릉과 같이 되어 있으며, 단릉의 형태를 갖추고 있다. 정자각은 비릉 언덕 아래에 있고 비각은 정자각 동측에 있으며, 비각 아래에는 수복방이 배치되고 건너편에는 수라간이 배치되어 있다. 정자각 남측 참도 시작 부분에 홍살문이 있는데 홍살문과 정자각 사이에 삼도(三道)를 가로질러 금천(禁川)이 흐르고 있는 바, 금천은 홍살문 밖으로 흐름이 상례임인 것에 비하여 특이하다. 홍살문 밖의 진입공간에는 소로 동쪽에 재실이 위치하고 있다.
  • 통일신라 삼층석탑 비롯, 다양한 석물의 매력
    30여년 동안 석물 수집한 개인 소장가의 콜렉션 들여다보기 돌은 그 형상이 쉽게 변하지 않는다. 기원전 1500〜400년대에 건립되었다고 알려져 있는 영국 스톤헨지나 신라 혜공왕 10년(774년)에 완공된 석굴암은 여전히 우리들에게 그 신비스러운 자태를 드러내고 있다. 하지만, 시간이 흐름에 따라 조금씩 풍화되어 변화하기 때문에, 영원불멸한 것도 아니다. 어쩌면 영원하지 않으나, 영겁의 세월을 느낄 수 있는 데에 돌의 매력이 있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이번에 소개하는 통일신라 삼층석탑, 고려 삼층석탑과 부도를 비롯한 20여점의 석물들은, 지난 30여년 동안 돌의 매력에 푹 빠져 전국을 돌아다니며 석물을 수집한 한 개인 소장가의 콜렉션이다. 석물은 전통적인 조경공간은 물론 미술관이나 박물관의 정원, 개인 정원 등에 첨경물로 많이 활용되고 있기에, 소장자에게 협조를 구해 대표적인 석물 20여점을 간략한 설명과 함께 지면으로 소개한다. 시대별 석물의 특징을 조금이나마 엿볼 수 있고, 쉽게 지나치기 쉬운 석물의 매력을 새롭게 엿볼 수 있는 기회가 되지 않을까 싶다. 천년이 넘도록 조형미를 간직하고 있는 석물에서, 그 형태를 만들어내기 위해 고심했을 석공의 숨결을 느낀다는 소장자는, 보관 장소 등의 문제로 일부 석물은 자신보다 더 아껴줄 새로운 주인을 기다리고 있다는 뜻을 내비치기도 했다. 참고로, 석물에 대한 간략한 소개글은 석물 전문가인 소장자로부터 제공 받았음을 밝혀둔다. 통일신라 삼층석탑 상륜부를 제외한 높이가 약 2m 60cm에서 2m 80cm 정도의 소탑인데, 오래된 탑에 상륜부가 없는 것은 대부분 당연시된다. 이 탑의 하대석은 1m 13cm의 방형으로 정사각형이다. 1석으로 곱게 이루어져 있으며, 받침 부분은 역원호(逆圓弧)로 다듬어져 있다. 갑석(기단부 덮개돌)은 1m 16cm의 정사각형으로 1석으로 되어 있는데, 하대석보다 약간 크고 엷어서 시각적으로 안정감을 준다. 갑석은 제1탑신을 올리기 위한 받침대를 조성하고 있는데, 받침은 2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단은 원호형(圓弧形)이고 제2단은 방형이다. 이 탑신 받침은 당연히 갑석과 1석으로 이루어져 있다. 옥개석(屋蓋石)은 1, 2, 3층 모두 평박(平薄)하여 경쾌한 감을 준다. 낙수면(落水面)의 곡률(曲率)이 아름답고 전각(轉角)의 반전(反轉)이 역시 산뜻한 느낌을 더해준다. 추녀는 모든 신라탑이 그러하듯이 일직선으로 뻗어 의연함을 느끼게 한다. 추녀 밑에는 눈에 잘 뜨이지 않으나, 낙수홈이 마련되어 있다. 옥개 받침은 제1, 제2옥개는 4단으로 이루어져 있고, 제3옥개는 3단으로 되어있다. 통일신라 말기에 접어들면서 옥개 받침은 5단에서 4단으로, 그리고 3단으로 축소되는 경향이었고, 소탑인 경우에 제일 작은 제3옥개는 받침을 줄이는 수도 있었다. 그러나 이 탑의 제3옥개에는 상륜부를 지탱했던 철간(鐵竿)이 박혀있던 구멍이 뚜렷하게 남아있다. 이 탑은 안타깝게도 기단부의 면석(面石), 속칭 병풍석 부분이 없어졌다. 이 부분은 후대에 만들어져 보완되었다. 그러나 이 탑의 조형양식이나 규모로 볼 때, 통일신라 말기의 탑이 분명하고 탑 전체의 조형감각이 황금율을 이루고 있어서 참하고 아름다운 탑이다.
    • / 2009년11월 / 259
  • 조경의 정의 및 (사)한국조경학회지 제호 개정 토론회
    ‘조경’과 ‘Landscape’의 경계에서 조경 정체성 찾기 1973년에 국가정책적으로 조경 전문분야가 도입된 이래 조경의 함의는 지속적으로 변해왔다. 그리고 지식정보화, 세계화, 그리고 혼성과 융합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떠오르는 현시대 조경은 다양한 도전과 변화의 선택지 위에 서있다. 지난 10월 9일 (사)한국조경학회(회장 조세환)는 “조경의 정의 및 한국조경학회지 ‘제호 개정’에 관한 토론회”를 개최하였다. 37년의 한국조경 역사에서, 조경의 정체성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해보는 시간을 갖기 위해서이다. 조세환 회장은 인사말에서 “조경이 단순히 나무 심는 분야로 축소ㆍ왜곡되어 인식되고 있다. 더불어 조경이 경관이라는 다른 이름으로 시행되고(경관법) 있으며, 공원이 법적으로 건축분야의 일이 되어버리고 있다(건축기본법). 동시에 도시공원이 숲으로 변형되어(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조경의 본질을 차지하는 환경(생태)디자인이 조경과는 또 다른 분야로 인식되어지고 있다. 심지어 일부 학회에서는 조경분야에서 경관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말아달라는 이야기까지 하고 있다. 조경의 정체성에 대해 매우 혼란스럽다”고 하였다. 따라서 “오늘 토론회는 단순한 제호 변경을 넘어 조경기본법 제정을 비롯한 조경의 패러다임과 정체성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자는 취지에서 출발하고 있는 것이다”라고 토론회 개최의 배경과 당위성을 역설하였다. 특히 조경기본법 제정과 관련하여 “조경의 정의에 대한 심도 깊은 토론을 통해 후학들이 정체성의 혼란을 느끼지 않는 길을 만들어 주길 바란다”고 덧붙여 강조했다. 주제발표 이용훈 위원장(환경조경발전재단 조경기본법 추진소위원회, ((주)그룹21 대표)은 조경의 어원과 사전적 정의에 대해 설명하면서 주제발표를 시작하였다. 이후 ‘조경의 용어 탄생’에 대해 설명하며 “국내에서 ‘조경(造景)’이란 용어는 오휘영 명예교수(한양대, 환경과조경> 발행인)가 박정희 대통령에게 ‘Landscape Architecture’를 ‘조경’으로 번역하여 브리핑한 것이 계기가 되어 도입되었다”고 전했다. 이후 청와대 조경담당 비서관 직제 신설을 비롯하여 한국조경학회의 설립, 서울대 환경대학원 조경학과 신설 등의 역사적 사실에 근거하여 조경의 정착과 확립에 대해 서술하였다. 이어서 이위원장은 1950년 미국대학사전, 2006년 임승빈 교수(서울대)의 정의, 2006년 ASLA의 정의를 짚어보며 조경의 학술적 정의 변천에 대해 발표했다. “현행법상 건축법에서만이 조경에 대한 정의를 내리고 있으며, 건설산업기본법상 조경공사는 시대와 환경, 그리고 필요성에 따라 그 내용이 바뀌었다”고 말하며, 법령상 조경의 정의와 범위를 명확히 밝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조경의 정체성에 대해 조경사회 회보 제59호에 실린 오휘영 명예교수의 인사말, “우리 이름은 조경”의 내용 중 “우리의 명칭인 ‘조경’의 유지는 장기적으로 분야의 고유영역과 권익을 보존해가는 우리 모두의 의무요 책무임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라는 말을 인용을 통해 밝힘으로써 ‘조경’의 용어적 가치와 의미에 대해 역설하였다. 한국조경학회지의 제호에 대해서는 한자를 반드시 첨가하여 국어, 영어, 한자 모두를 병기하는 것을 제안했다. 이유직 교수(부산대)는 학회 회장단 및 집행부 자체 의견수렴 결과 도출된 두 개의 대안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조경 or 한국조경학회지 랜드스케이프 연구”라는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발표에 앞서 “건축분야 일각에서 사용하고 있는 ‘랜드스케이프 건축(Landscape Architecture)’을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가?”라는 질문을 던졌다. 이교수는 “건축분야에서 건축물 외부환경에 대해 성찰하게 되었고, 건축의 공공성에 관심을 가지게 됨으로써 본 용어가 등장하였다”고 말하며 ‘랜드스케이프 건축’이 대두된 배경을 설명하였다. 건축분야에서‘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담론 속에서 이루어진 조경적 성과에 대해 호도를 하며‘랜드스케이프 건축’을 부각시켰다고 전하고, 이는 조경의 무지, 또는 무시에서 이루어진 행위라 강조하며 외부로 향해 조경이 목소리를 내야 한다고 했다. ‘Landscape planning’을 ‘조경계획’이라고 해석했던 그동안의 번역에 대해 “부분영역의 독립화로 조경학 본연의 내용적 층위가 옅어지는 결과를 가져왔다”고 말하였다. 더불어 “통합적 시각(경관ㆍ과학ㆍ예술을 아우르는)에 대한 순발력을 길러야 한다”며 복합적 함의를 가지고 랜드스케이프(Landscape)를 바라보아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국조경학회지: 조경> _ 이미 학문적 용어로 정착되었으며, 일반인에게도 친숙한 용어로서 조경을 제호로 사용하여 용어 정착의 사회적 환경을 조성해야 할 것이라고 밝히며 1안으로서 <한국조경학회지: 조경>을 제안했다. <한국조경학회지: 랜드스케이프 연구> _ Landscape는 어원상 표피, 외관을 의미하는 Landskip과 기반, 생태, 환경 등을 의미하는 Landshaft 모두를 의미하고 있다. 현재 조경이 다루는 경관계획 및 환경생태계획 등을 폭넓게 아우를 수 있는 용어로서 Landscape를 사용할 수 있다고 전하며 <랜드스케이프 연구>를 2안으로 제시했다.
    • / 2009년11월 / 2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