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캠프 하야리아의 새로운 이름, 부산시민공원
    2014년 5월 1일 부산시민공원이 공식 개장했다. 첫날에만 10만 명의 시민들이 다녀갔다. 바다와 산으로 둘러싸인 도시에 처음 생긴 대규모 평지 공원, 부산 시민들은 도시 공원이란 존재 자체만으로도 반기는 분위기다. 2004년 미군 기지인 캠프하야리아 부지의 용도가 ‘근린공원’으로 결정되고 2006년 기지가 폐쇄된 지 10년여 만에 탄생한 공원이다. 정치 경제적 상황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던 주한 미군 기지 이전 부지를 공원화하는 과정은 지난했지만, 또 한편으로는 성급하게 진행되면서 해외 조경가의 설계안에 대한 논란, 역사 문화 유산 보존과 공원 프로그램 문제, 거버넌스 방식 등 여러 가지 차원의 이슈를 생산해 왔다. 그 과정에서 도출된 키워드들은 도시 공원의 역할에 대한 다양한 담론을 형성했으며, 공원을 둘러싼 여러 주체들의 변화를 끌어내기도 했다. 이번 기획은 그 모습을 드러낸 부산시민공원을 소개하는 동시에 그간 제기되어온 이슈도 함께 점검해 보고자 한다. 부산의 경험을 공유하는 것은 용산공원과 같은 미군 기지의 공원화에 시사점을 구할 수 있는 의미 있는 기회가 되리라 기대한다. 더불어 부산이라는 도시에서 새로운 공원 문화를 만들어갈 시민 공원으로서의 가능성을 다각도로 검토해 보고자 한다. 부산시민공원의 탄생에 힘써온 부산의 여러 전문가들은 공원의 개장을 맞아 비판과 지지를 동시에 요청했다. 공원에는 ‘완성’이 없고, 부산시민공원은 이제 그간의 교훈을 밑거름 삼아 ‘공원 문화’를 만들어갈 출발점에 섰기 때문이다. 1. 부산시민공원의 조성 과정 _ 이유직(부산대학교 조경학과 교수) 2. 부산시민공원 _ 유신+제임스 코너 필드 오퍼레이션스 3. 부산시민공원 설계 이슈의 변천 _ 김승남(일신설계 종합건축사사무소 사장) 4. ‘공원 도시 서면’을 꿈꾸며 _ 강동진(경성대학교 도시공학과 교수) 5. 진화하는 시민운동과 도시 공원 _ 이병철(부산일보 기자) 6. 여성 친화적 공원 _ 홍미영(부산여성가족개발원 선임연구위원)
    • 김정은, 이형주 / 2014년06월 / 314
  • [공간 공감] 다섯 번째 공간 탐색, 서울시립대학교 캠퍼스
    이곳이 100년 가까이 된 캠퍼스라는 사실을 이번에 처음 알게 되었다. 1918년 경성공립농업학교로 시작하여 서울농업대학, 서울산업대학을 거쳐 약 30년 전 서울시립대학교(이하 시립대)로 개편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고 한다. 시립대 캠퍼스를 처음 와본 건 아니었지만 여유를 가지고 찬찬히 둘러본 적이 없었던지라 이번 답사는 설계적 관점으로 이 공간을 살펴볼 좋은 기회가 되었다. 캠퍼스 전반의 첫인상은 안정감이라고 요약할 수 있겠다. 오래된 캠퍼스답게 차분하게 가라앉은 건축물과 아름드리나무들이 이러한 공간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다. 건축물이 홀로 튀거나 윽박지르지 않고 대지에 안착되어 있다는 것은 구성원들이 편안한 공간감을 느끼는 데 도움을 준다. 100년 건축의 흔적을 기대할만 하지만 아쉽게도 서울학연구소나 박물관 등 몇몇 건축물에 국한되어 있고, 대부분의 건물은 보편적인 학교 건축의 모습이다. 최근 지은 것으로 보이는 건축물들에 주목할 만한데, 이들은 기존 캠퍼스와 스케일이나 재질면에서 어울리면서도 동시대적 감각을 드러내고 있다. 여러 부류의 건축이 공존하고 있지만 이질적이라고 보이지 않는 이유는 편안한 무게감이라는 공통분모가 캠퍼스 건축에 적용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건축물과 그 배치가 주는 안정감과 더불어 원 수형을 지니면서 성목으로 자라난 아름드리나무들이 쾌적함을 더해준다. 캠퍼스 내의 나무는 과거 농업 학교의 유산으로볼 수 있을 것이다. 마치 캠퍼스에 수목원을 결합해놓은 것처럼 다양한 수종이 있을 뿐만 아니라 양호한 수형을 유지하고 있다. 오랜 시간 동안 잘 관리된 녹음은 가치를 환산하기 힘든 혜택이 되어 구성원에게 되돌아가고 있다. 개별 건축이나 오래된 나무들 외에 시립대캠퍼스의 안정감에 기여하는 또 하나의 중요한 특징은 지형이다. 이 캠퍼스는 교문 부근의 지대가 높고 안쪽으로 완만하게 낮아지다가 끝부분에서 배봉산을 만나다시 오르막의 경계를 이룬다. 분지라고 볼 수는 없지만 완만한 그릇 같은 지형을 이루고 있으며, 이 오목한 그릇에 담긴 건축과 나무는 상대적으로 낮아 보여 은연중에 안정감을 느끼게 한다. 이러한 지형적 특징은 또한 캠퍼스 외부로부터의 시각적 영향을 차단하고 위요감을 증가시키는 효과도 준다. 예외적인 경우도 있지만 캠퍼스 전반을 아우르는 디자인의 원칙은 ‘언더 디자인’이다. 휴게 공간의 조성방향은 나무들이 완성한 공간을 잘 살피고 그 안에서 조심스럽게 구성원이 활용할 수 있는 최소의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었다고 한다. 상쾌한 그늘을 드리우는 큰 나무들 아래에는 데크와 벤치가 설치된 곳이 많다. 정욱주는 이 연재를 위해 작은 모임을 구성하였다. 글쓴이 외에factory L의 이홍선 소장, KnL환경디자인스튜디오의 김용택 소장, 디자인 스튜디오 loci의 박승진 소장 그리고 서울시립대학교의 김아연교수 등 다섯 명의 조경가가 의기투합하였고, 새로운 대상지 선정을 위해 무심코 지나치던 작은 공간들을 세밀한 렌즈로 다시 들여다보고 있는 중이다.
    • 정욱주[email protected] /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교수 / 2014년06월 / 314
  • SK플래닛 브랜드 스페이스 ‘더 팜’ SK Planet Brand Space ‘the Farm’
    모바일 기술을 이용해 원격으로 식물을 키울 수 있을 까? 자신의 바로 앞 책상머리에 놓아 둔 조그만 식물도 잘 키우기가 쉽지 않은 바쁜 현대인들이 과연 관심을 가지고 식물을 키워내게 할 수 있을까? ‘더 팜the Farm’을 시작하기 위해 만난 질문이다. 사실 이런 질문은 이미 오래 전부터 기술과 예술을 결합하려고 했던 미디어 아트 작가들을 통해 제기되었다. 1995년에서 2004년까지 진행되었던 텔레가든TeleGarden 프로젝트가 그것이다. 서던 캘리포니아 대학교의 켄 골드버그Ken Goldburg와 조셉 산타로마나JosephSantarromana에 의해 진행된 이 미디어 아트 프로젝트는 얼마 안가서 식물을 다 죽이게 될 것이라는 일부의 우려를 불식시키고 큰 반향을 일으켰다. 세계 각지의 10만여 인터넷 유저들이 등록하였고, 하루 평균 15,000회 이상 텔레가든 사이트에 방문하여 식물을 심고 가꾸면서 성공적인 커뮤니티를 형성하였다. 일 년 후 세계적인 미디어 아트 공간인 아르스 일렉트로닉Ars Electronic 센터로 옮겨졌으며 더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게 되었다. 이미 1994년 같은 대학에서 텔레로보틱을 실험한 머큐리Mercury 프로젝트의 후속 프로젝트였으며, 월드와이드웹을 통해 사용자들이 원격으로 로봇을 제어하고 작동하게 하는 가장 최초의 미디어 아트작업이었다. 하지만 여전히 더 깊은 질문이 남는다. 수많은 원격 제어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주제 가운데 왜 정원이었을 까 하는 것이다. 텔레가든의 디렉터였던 켄 골드버그는 “정원이 인간적이고 가깝고 촉각적이기 때문이며, 또한 무엇보다도 정원을 통해 기술로 인해 소외된 사람들이 쉽게 소통할 수 있다”라고 말한다. 어느덧 더 빠르고 더 대용량의 정보기술 시대를 맞아 분주함에 쫓기는 사용자들의 모습에서, 삶의 속도를 느끼고 정원에 눈을 돌려 주변의 생명들을 조금씩 변화시키고 돌보는 모바일 기술의 전유가 필요해 보인다. 그런 면에서 ‘인간에 대한 깊은 이해와 통찰을 바탕으로, 모바일 중심의 창의적 생각과 기술을 접목하여 세상과 따뜻한 포옹과 소통, 그리고 변화에 대한 새로운 희망을 HUG라는 브랜드 가치로 삼는 SK플래닛이 ‘더 플래닛’ 사옥 로비 공간에 새롭고 스마트한 브랜드 스페이스 ‘더 팜the Farm’을 조성한 것은 큰 의미가 있다. 우리의 일상에서 끊임없이 발생하는 로그 정보들은 마치 씨앗이 심어지고 자라듯이 생성되어 모이고 성장한다. 이렇듯 ‘더 팜’은 로보틱 텔레가든과 소셜 미디어가 융합하여 데이터 정보가 순환되고 소비되는 과정속에서, 식물을 돌보는 사용자들의 유의미한 의미화를 통해 창발적인 생태계의 모습을 갖게 된다. ‘심고 가꾸고 거두고 나누는’ 현실 속의 자연 생태계를 만들어가려는 ‘더 팜’은 상생과 순환을 통한 IT 생태계를 상징하고 있는 것이다. ‘더 팜’은 크게 벤딩 머신Vending Machine, 로봇 가든Robot Garden, 크릭Creek과 팜 앱Farm App의 네 가지 섹션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자체로 ‘심고 가꾸고 거두고 나누는생태계의 구조를 자연스럽게 따르고 있다. 우선 사용자는 첫 단계로 벤딩 머신을 만나게 된다. 벤딩 머신은 사용자 자신이 가진 가상의 재화인 팜 포인트를 이용해 아날로그적인 감성을 토대로 씨앗을 구매할 수 있게 해주는 장치이다. 벤딩 머신에서는 씨앗과 포트를 개인 정보와 연결시켜 주는 바코드 라벨과 함께 수령하게 되는데, 이때 입력 창을 통해 팜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다. 식물을 키우는 목적을 구체화하여 재배와 돌봄의 동기를 부여하고 목적의 대상인 또 다른 누군가에게 선물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로써 가상의 정보가 물리적인 실재의 씨앗으로 변환되는 과정을 경험하게 되고 사용자는 자신의 가치를 씨앗에 심어 넣게 된다. 씨앗은 청경채, 수레국화, 적상추, 곱슬겨자의 4종류로, 재배가 쉽고 까다로운 환경에서도 잘 자랄 수 있는 종으로 우선 선택되어 구성되었다. 브랜드 스페이스 기획 SK플래닛 마케팅앤커뮤니케이션부문 공간마케팅팀 브랜드 스페이스 ‘더 팜’ 설계 및 시공 버드핸드 건축 설계 및 시공 SK건설 위치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 면적 344.72m2 완공 2014 버드핸드는 공간 미디어 디자인 전문 회사로 SK플래닛 ‘더 플래닛(the Planet)’ 사옥 미디어콘텐츠디자인, SK텔레콤홍보관 티움(T.um), SK차이나 Happiness 플랫폼, 한국고등교육재단(KFAS) 명예의 전당 등의 구축 사업을 수행했다. 공간을 바탕으로 한 미디어 콘텐츠와 하드웨어 시스템을 통합하는 디자인 기획과 설계·실행을 해오고 있으며, 디지털 아트와 키네틱 설치 등 폭넓은 분야의 다양한 미디어 작가 및 집단들과 전문화된 협업 시스템과 솔루션을 구축하고 있다.
    • 버드핸드 / 버드핸드 / 2014년06월 / 314
  • 빛과 색의 정원
    5월은 정원이 가장 풍요로운 계절이다. 새로운 잎이 돋는 신록은 그 자체만으로도 이미 충만한 정원이다. 어젯밤에 비도 오고 햇살도 밝으니 오늘 보게 되는 정원은 완벽한 차비를 갖추었을 터다. 숲 속에 위치한 주택 단지로 가는 길만으로도 마음이 정갈해진다. 도심 속에서 이런 숲길을 통해 주거지에 이르는 것도 새롭거니와 잘 정비된 도로가 흡사 어디 리조트에 가는 기분이 들게 한다. 작은 마을로 이루어진 주택 단지는 차분한 재료로 이루어진 비슷한 분위기의 저택들로 구성되어 주변 자연 및 정원과 잘 어울렸다. 맨 안쪽 산기슭에 위치한 주택은 힘 있고 정갈해 보였다. 린의 이재연 대표는 서안에서 10여 년 같이 근무했던 동료이고 설계와 현장경험을 한 이력도 비슷해서 나와는 태생적으로 비슷한 디자인 태도를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현장과 소재를 중시하고, 디자인·시공이 일체화된 작업을 위주로 하고 있는 점도 비슷하다. 아마도 디자인이 다른 부분은 나와 다른 성격적 특성 정도라고 해도 무방할 것이다. 그래서 오늘 보게 되는 정원은 내가 서안에서 독립한 후 처음 보는 서안 멤버의 정원이란 기대도 있다. 나와 어떻게 다르고 어떻게 작업하는지 궁금하기도 했다. 정원의 입구 여유 있는 주변 녹지와 도로변의 조경 공간은 안에 있는 정원에 대한 기대감을 높인다. 대문을 들어서면 단정한 계단과 그 옆 기단에서 흐르는 작은 벽천이 이국적이다. 코르텐스틸 기단은 식물 재료와 절묘하게 어울리고 베이지색 포장 재료와도 잘 어울려 명료한 입구 정원의 몫을 다하고 있다. 코르텐스틸기단 위에는 황금눈주목과 회양목, 일본조팝나무(홍조팝)를 심었는데, 금속의 재료와 잘 어울렸다. 특히 황금눈주목은 그 강렬한 색상이 더욱 이국적으로 보인다. 강렬하지만 잘 어울렸다. 나라면 어떤 선택을 했을까? 금속과 대비되는 좀 더 차분한 색상의 식물을 선택했을 것이다. 나의 경우에는 강한 이미지의재료에는 습관적으로 소프트한 재료를 놓는 버릇이 있다. 어쨌든 나와 다른 첫 번째 선택, 신선했다. 조팝나무와 황금눈주목 사이에 회양목으로 라인을 만든 것도 색다른 느낌을 주었다. 계단을 올라서면 마당을 가로질러 현관으로 이르는 디딤돌이 단정하게 놓여있다. 진입로가 마당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구조가 별로 좋아 보이지 않으나 마당의 구조상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던 것 같다. 좌우로 긴 마당의 형태가 길의 레벨에 의해 변화가 생기고 포장 좌우로 살짝 마운딩 된 잔디 마당은 가볍게 느껴지기도 한다. 작은 지형의 흐름이 생겨 공간에 더욱 긴장감이 생기게 되는 효과도 있어 보인다. 또한 특별한 경계 없이 지형에 연속되는 포장과 잔디의 단정한 면이 시원한 공간감을 주고 있다. 빛의 마당 마당의 풍경은 눈부셨다. 날씨 탓도 있겠으나 풍부한 소재와 신선한 잎들, 꽃들이 빛나는 풍광을 만들어 내고 있었다. 단정한 테라스와 한쪽의 코르텐스틸 기단, 그리고 여러 가지 변종 식물들의 풍부한 색상이 잘 어울렸고 마당에 심겨진 체리나무의 열매도 인상적이었다. 마당의 전면부에는 여러 가지 조팝나무가 심어지고 한쪽의 코르텐스틸 기단 위에는 무늬병꽃나무와 황금눈향나무가 심겨 있었다. 무늬병꽃나무의 흰색 잎과 연분홍 꽃이 황금눈향나무와 대비되어 이국적인 느낌을 주고 있었다. 그리고 넓은 테라스에는 포니테일, 팜파스그라스, 모닝라이트억새 등 이국적인 그라스가 심겨 있었다. 나의 습관적 선택이라면 마당의 전면부에 그라스 종류를 배치했을 텐데 그는 테라스에 그라스를 배치하여 특별한 공간감을 만들어 내고 있었다. 그라스는 역광에 효과적인데, 테라스에 심겨진 그라스 종류들은 특히 섬세한 디테일을 가지고 있어 빛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며 주택 안의 풍경에 신선함을 더할 것이다. 이런 그라스가 은은하고 섬세한 빛을 표현한다면 순도가 높은 색상의 변종 식물과 꽃은 화려한 색상으로 빛을 표현한다. 황금눈향나무와 노란 대사초, 붉은 체리 열매, 대왕철쭉 등이 화려한 정원의 모습에 일조한다. 앞집 경계에 심겨진 에메랄드그린은 이런 화려한 색깔의 배경이 되는 맑은 녹색으로 이루어져 있다. 몇 개의 덩어리로 이루어진 건축의 형태가 강렬하기 때문에 다소 많아 보이는 정원의 색조가 전혀 부담스럽지 않다. 넓은 테라스와 같은 레벨의 잔디가 연속되면서 전체적으로 넓고 시원한 공간을 형성한다. 김용택은 서울대학교 조경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 환경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1990년부터 조경설계 서안에서 실무 경험을 쌓았으며, 2001년부터 KnL환경디자인스튜디오를 설립해 운영하고 있다. 부암동 반계별서와 평창동 정원 등 정원 조성 작업을 주로 해 왔으며, 조경 작품이 주변 환경에 동화되도록 장소의 특성에서 얻은 모티프를 구체화하는 방식으로 설계를 하고 있다.
    • 김용택[email protected] / KnL환경디자인스튜디오 대표 / 2014년06월 / 314
  • 분당 주택 정원 Bundang Garden
    산그늘, 구름 아래 뜰 이 정원을 만들면서 내가 중요하게 생각한 것은 무엇일까? 잎의 질감과 색감, 지나치게 원색적인 색을 지닌 식물과 흔히 쓰이는 수종을 최대한 배제하고 주요수종을 선택해나갔다. 그리고 시간時間과 시간示間의 조율에 나섰다. 식물들의 미묘한 변화는 늘 감동을 준다. 이른 봄, 새싹이 돌기처럼 돌돌 돋아 연초록으로 빛나는 조팝나무의 잎눈이며, 조롱조롱 열리는 히어리의 꽃이 본격적인 시작을 알린다. 그 다음으로 줄줄이 이 나무 저 풀이 너도나도 흐드러지게 꽃을 피운다. 주체할 수 없는 계절의 힘은 온 정원 그득 이들의 기지개로 시끌벅적하다. 식물들의 소담스런 잡담이 늦가을까지 반복되도록 식물을 구성한다. 이렇게 식물을 키우는 시간時間이 주는 미묘한 변화와 이 친구들이 피고 지는 사이示間의 조율만 잘 한다면 하루가 다르고, 한 주가 다르게 계절마다 다른 표정을 짓는 이 친구들의 정겨운 잡담이 늘 풍성한 정원이 되어줄 것이다. 이 주택은 주변의 자연 경관이 매우 우수한 남서울 골프장 후면 산자락에 위치하고 있는데, 대지 면적이 약 800여 평에 이르는 저택이다. 골프장 서측에 전원주택 단지로 조성되어 있는 이 마을은 흡사 강원도의 풍경을 닮았을 뿐 아니라, 겨울의 기온이 아랫동네 판교와 약 5도 이상 차이 나는 것 또한 강원도 산간 마을과 닮아있다. 짧은 기간에 많은 종의 봄꽃이 피고, 여름엔 녹음이 짙고, 가을엔 단풍이 맑다. 물론 겨울의 온도가 많이 낮아 시내의 정원보다 더욱 꼼꼼한 식물의 월동준비가 필요하다. 입구 정원 담장 밖은 겹벚꽃나무와 계수나무를 대표 수목으로 심어 봄과 가을의 정취를 살리도록 했다. 대문을 열고 집안으로 들어서면 오래뜰(대문이나 중문 안에 있는 뜰)이 손님을 반긴다. 작은 물소리가 들리고, 오죽이 심겨있어 좁은 공간이 풍성하게 느껴지는 입구 정원이다. 옆집의 정원이 그대로 노출이 되어 에메랄드그린으로 차폐 식재를 하여 보더 가든border garden으로 마감했다. 앞마당 건축주는 주변 자연이 좋고 넓은 이 땅을 마지막까지 살 곳으로 정했다. 최대한 넓은 잔디 마당을 원했다. 이에 주변의 시선을 가리면서 자연 경관을 조망할 수 있도록 계획했다. 주변의 집 중 이 집만 정남향으로 앉아 있어 옆집 2층에서 이 집의 마스터 룸이 그대로 노출되고 있었는데, 시선을 막기 위해 수목을 구입하기 전 실제 크기의 작대기를 세워보고 나무 크기를 정했다. 입구 정원에 심긴 에메랄드그린을 앞마당의 낮은 부분까지 확장하는 형식으로 식재했고, 높은 곳은 초대형 백송과 소나무를 배식했다. 앞마루 식당과 바로 연결된 앞마루는 차를 마시거나 저녁 식사를 할 수 있는 분위기 좋은 곳이다. 깔끔하면서도 자연미를 느낄 수 있는 분위기 연출이 관건이었다. 자줏빛 코르텐스틸 화단 위로 빈카마이너를 늘어뜨리고, 황금눈주목과 무늬병꽃나무를 열식해 공간의 질서를찾으면서 자연스러움을 주었다. 물이 흐르는 작은 수로와 단조로운 화단의 직선을 자연석으로 살짝 비틀었더니 만족스러운 느낌이다. 조경 설계 조경디자인 린, 라이브스케이프 조경 시공 조경디자인 린 건축 설계 상지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 시공 위드건설 면적 2,644m2 완공 2013 조경디자인 린은 땅의 가치를 소중하게 여긴다. 땅의 의미와 그 이면에 숨겨진 가치를 찾고자 부단히 노력하고 그 땅에서의 행복한 쉼을 고민하며, 새로운 가치를 지닌 땅을 만들어내는 창조적인 디자인 그룹이다. 이재연 소장은 성균관대학교를 졸업하고 조경설계 서안을 거쳐 조경디자인 린을 설립했다. 윤영조 소장은 강원대학교를 졸업하고 홍익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강원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조경설계 서안과 삼성에버랜드를 거쳐 이재연 소장과 함께 2006년 조경디자인 린을 설립했다.
    • 이재연 / 조경디자인 린 / 2014년06월 / 314
  • 암스테르담 대학교 루테르세일란드 캠퍼스 Roeterseiland Campus, University of Amsterdam
    새로운 캠퍼스 암스테르담 대학교의 새로운 루테르세일란드 캠퍼스Roeterseiland Campus 조경 설계의 목표는 도시와 경관을 서로 연결시키면서 동시에 지형의 고유한 정체성을 새겨 넣는 것이다. 암스테르담 운하의 고전적인 윤곽선이 주는 단순하면서도 절제된 멋이 특색 있는 루테르세일란드 시그너처와 결합된다. 이에 덧붙여진 그래픽의 켜는 캠퍼스의 영역을 한정해 줄 뿐만 아니라 서로 연결하고 길을 안내해주고 시선을 끌며 발길을 유도해낸다. 가장 기본적인 켜는 암스테르담 운하의 공공 공간이 띠는 선명한 윤곽과 전형적인 재료들로 구성된다. 그것은 바로 곳곳에 산재해 있는 느릅나무와 벽돌 및 푸른색 석회석이다. 연속적인 패턴으로 깔린 돋보이는 벽돌들이 길을 이루고 있다. 일종의 시그니처인 백색벽돌로 된 리본 모양 길은 특색 있는 나무 주위를 휘감아 돌기도 하고, 식재된 섬들의 윤곽을 이루는 루프모양을 띠기도 한다. 또한 이 길은 학생들이 앉아서 쉬거나 서로 만나고 외부에서 조용히 작업을 할 수 있는 의자나 테이블을 형성해내며 솟아오르기도 한다. 이 리본 모양 길을 따라 수변 위의 독특한 장소들과 감추어진 중정들이 이어진다. 서로 다른 영역 캠퍼스 내에 서로 다른 특징과 용도를 갖는 영역들을 설정했다. ‘그린 노즈Green Nose’는 아름다운 운하 두 곳이 내려다보이는 경치 좋은 곳이다. 여기서 학생들은 언덕 위의 풀밭에 앉아 햇살을 받고, 친구들과 소풍을 즐길 수 있다. ‘어메이징 코트야드Amazing Courtyard’는 바삐 돌아가는 캠퍼스 내의 조용하고 멋진 공간이다. 기존의 뒤뜰은 ‘아름다운 뒷마당Beautiful Backyard’으로 탈바꿈했으며, 학생들은 밖에서 공부를 하고 토론을 할 수있는 은신처 같은 장소를 이곳에서 만날 수 있다. 두 곳의 대규모 건물군으로 향한 주출입구인 ‘중앙 다리Central Bridge’는 캠퍼스의 새로운 중심 공간이다. 다리 위의 기다란 벤치에 앉아 학생들은 주변을 바라다보거나 역으로 ‘응시의 대상’이 될 수도 있다. ‘크레아-센터 CREA-centre’는 이 대학교의 문화적 허브이다. 특히 저녁에 그룹 단위로 옥외에 모여 행사나 강좌를 준비하거나 평가할 수 있는 곳이며, 테라스에 앉아 한 잔즐길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발코니Balcony’는 첫 번째 지점의 정 반대편에 있으며, 그 지점과 유사하지만 바닥 포장이 되어 있다. 이곳에서는 사람들이 난간 위에 함께 올라앉아 눈앞에 펼쳐진 멋진 경치를 만끽할 수 있다. 도시형 캠퍼스 루테르세일란드 캠퍼스는 암스테르담의 중심을 이루는 실질적인 장소가 될 것이다. 학생들은 도시 맥락과 독립되어 있는 익명의 캠퍼스보다는 도시의 한 가운데에서 공부하기를 더 선호한다. 암스테르담 운하의 멋진 풍광은 뫼더흐라흐트Muidergracht를 따라 더 멀리 이어질 것이다. 공공 공간은 유연하면서도 정연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재료는 고전적이며 내구성 높은 것들이다. 중심 가로는 자동차 대신 자전거 이용자들(그리고 빠르게 걷는 사람들)을 위한 곳이다. 적벽돌과 푸른 석회석 디테일로 마감된 새로운 보도는 고전적인 암스테르담 운하의 분위기를 그대로 살리고 있다. Landscape Architect INSIDE OUTSIDE Location Amsterdam, NL Scope Public Space and Courtyard landscaping Client University of Amsterdam Date 2010~ (Ongoing) Photographs INSIDE OUTSIDE 1991년에 페트라 블라이세(Petra Blaisse)가 설립한INSIDE OUTSIDE는 예술가, 건축가, 조경가, 디자이너로이루어진 종합 디자인 회사다. 조경 설계, 전시, 커튼, 표지판, 내부 가설물을 전문적으로 다루고 있으며, 다양한규모의 프로젝트를 진행해 왔다. 천연 자재, 색감, 빛, 소리, 시간을 소재로 역동적인 환경을 창조해 내는 작업에몰두하고 있으며, 긴밀한 협력 체계를 구축해 콘셉트 디자인에서부터 최종 디자인에 이르는 모든 작업에 건축주와건축가의 의도를 녹여내고 있다.
    • INSIDE OUTSIDE / INSIDE OUTSIDE / 2014년06월 / 314
  • IBM 호놀룰루 IBM Honolulu
    중정이 건축과 조화되는 새로운 방식을 제시하기 위해 우리는 지면의 포장과 수경 디자인에서 블라디미르 오시포프Vladimir Ossipoff의 건축 파사드 패턴을 오마주로 빌려왔다. 이번 재설계가 있기 전까지는 오시포프가 설계한 이 멋진 건물은 그저 아스팔트 주차장 안에 덩그러니 서 있을 뿐이어서 원래 설계된 경관을 감상하기란 거의 불가능했다. 하와이 고유의 경관 유형에서 유래한 독특한 베란다·파티오 형태인 라나이Lanai에서 바라보면, 세밀하게 표현된 중정이 다양한 행사와 일상적 용도에 두루 활용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유연성을 갖고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도심에서 살짝 벗어나 한숨 돌릴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을 알 수 있다. 전경을 가로지르는 직선형의 인공 수로는 바다에 펼쳐진 수평선과 연결되는 한편, 하루 동안 끊임없이 변화하는 햇빛의 발랄함과 덧없음을 반사되는 빛을 통해 표현하고 있다. 포장 패턴은 동일한 화산석이 지닌 세 가지 역동적 특성을 고스란히 드러내는데, 대상지가 하와이의 지질학적 특질과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임을 다시금 상기시켜준다. 돌 표면 처리 중 연마는 포장면이 하늘에서 내려오는 빛을 제대로 붙잡아둘 수 있도록 해주고, 열처리는 광택을 띠지 않지만 높은 곳에서 내려다보면 반짝이는 특성을 지니게 한다. 또 돌을 쪼개 표면이 꺼칠꺼칠하도록 가공한 경우에는 다부진 깊이감이 나타난다. 이러한 세 가지 특성 모두가 패턴화된 마당 전역에서 표출되는데, 덕분에 밤낮으로 변모하는 빛의 모습이 여실히 드러나게 된다. 대상지 전역의 패턴에서 나타나는 스칼라적 변화 덕분에 이용자들은 건축은 물론 외부 공간에 참여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을 발견할 수 있게 된다. 인공적 조경요소들은 투수성이 있는 토종 ‘잔디판’ 식재와 절묘한 조화를 이룬다. 해안가에 나란히 늘어선 서프보드들의 모습을 연상시키는 한편, 대상지의 생태적 역사를 웅변하듯 보여주고 있다. 기존 건물이 지니고 있는 역사적·시각적 배경에 설계방향을 일치시키는 것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경관을 통해 하와이의 창조 설화를 보여줌으로써 문화적 역사 또한 함께 드러낼 수 있는 공간을 만들려 했다. 조경가들은 하와이 원주민의 후손들을 만나 구전으로 내려오는 성스러운 이야기를 어떤 방법을 통해 물리적으로 표현할 수 있을지 고민했다. 하와이 전통 설화에 따르면, 인간은 ‘어머니 대지Earth Mother’와 ‘아버지 하늘Sky Father’ 사이에서 태어났는데, 그 첫 번째 자식이 타로Taro였으며 타로를 돌보기 위해 인간이 창조되었다고한다. 이러한 창조 설화가 물과 빛의 패턴을 통해 역동적으로 표현되고 있는데, 아버지 하늘은 인공 수로의 유리 바닥을 통해 그 아래쪽에 위치한 타로 식물과 (어머니) 대지 위로 투사된다. Landscape Architect Surfacedesign Lead Designer James A. Lord Landscape Architect of Record Helber Hastert& Fee Client Victoria Ward, Limited, Subsidiary ofHoward Hughes Corporation Location Honolulu, Hawaii, USA Completion 2013 Photographer Marion Brenner Surfacedesign은 조경, 도시설계, 마스터플랜 등 광범위한 영역을 디자인하는 회사다. 2001년 설립되어, 대규모 도시계획, 공원 설계, 단지 설계, 기업·캠퍼스 설계, 가로경관 디자인 등 다양한 규모의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 사람과 자연 환경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지속가능성에 대해 열정을 갖고 있다.
    • Surfacedesign / Surfacedesign / 2014년06월 / 314
  • 캘리포니아 디지털 풍경화
    남부 캘리포니아에서 5년째 살고 있다. 생활인으로 지내다보니, 이곳 사람들의 공원에 대한 인식이 여타 미주 대도시권과 차이가 있음을 느낀다. 가까운 거리에 근린공원이 없어도, 누구나 가고 싶어 하는 해변이나 구릉이 대부분의 주거지에서 불과 한 시간 내의 거리에 있다. 자동차 중심의 거리 환경은 이러한 여가 활동을 더욱 뒷받침하며 휴일에 자동차 핸들을 공원이 아닌 바다나 산으로 돌리게 한다. 교외화로 일반화된 주거 양식은 뒷마당을 포함하는 유형이 보편적이기에 공공 공원의 수요나 사용 밀도가 상대적으로 낮다. 그리고 수평적 확산을 거듭해온 도시 위계는 맨해튼의 센트럴 파크처럼 심장부 역할을 하는 중앙 집중형의 오픈스페이스와 거리가 멀다. 그런데 근래에는 가장 급속도로 교외화가 진행되었던 남부 캘리포니아마저도 산업 구조의 중심이 도시 집중을 본질적으로 요구하는 금융-서비스-IT 등 지식 기반 산업으로 이행되면서 다시금 도심지로 인구가 유입되는 국면을 맞고 있다. 그에 따라 남가주의 주요 도시들은 기존 도심지의 활성화 계획을 구상하였고, 각 도시의 시청사 전면에 중앙 공원을 조성함으로써 도시 문화 재생의 중심지로 삼으려 하고 있다. 공교롭게도 세 도시가 비슷한 시기에 시청사 앞에 공원을 마련했다. 로스앤젤레스의 그랜드 파크Grand Park를 시작으로 뉴포트비치의 시민공원Newport Beach Civic Park, 가장 최근인 지난해 가을 문을 연 산타모니카의 통바 파크Tongva Park가 그 마지막 순서였다.1 작년 송구영신 전야에 그랜드 파크로 예상보다 3배가 많은 인파가 몰렸던 사건2을 기점으로 남가주 대도시 지역에서 공원의 위상 변화가 점쳐지고 있다. 이 지역 사람들이 주택의 안뜰이 아닌 도심의 공원으로 초대되기 시작한 것이다. 산타모니카 해변으로 가다 로스앤젤레스를 출발하여 산타모니카 프리웨이인 10번 도로를 타고 태평양을 향해 서쪽으로 이동하면 바다를 향해 카운트다운이라도 하듯 거리명의 숫자가 26에서부터 1로 줄어든다. 대상지의 서쪽 경계이기도 한 오션 애비뉴Ocean Avenue가 해안에 가장 가까운 1가에 해당하는데, 거리명의 숫자가 점점 줄어들 수록 하늘의 끝이 태평양의 수평선과 만나길 기대하게 되지만, 마지막 길인 오션 애비뉴에 가까워져도 백사장은커녕 하늘의 끝도 보이지 않는다. 산타모니카 해변이 블러프bluff라 불리는 절벽 형태의 해안 지형이기 때문이다. 일반 절벽보다 넓고 길게 해안이나 호안을 따라 형성된 절벽을 뜻하는 블러프는 정서향의 산타모니카 해안선과 평행하게 백사장의 뒤편으로 절벽의 병풍을 드리운다. 절벽의 상부는 바다 쪽으로 완전히 열린 수 킬로미터의 전망대를 마련해주어 해질녘의 산타모니카는 낭만적이고 환상적인 분위기를 자랑한다. 대상지의 위치는 절벽의 끝에서 불과 한 블록 떨어져 있어 건물 2~3층 높이만 확보되면 산타모니카 부두와 해변을 모두 내려다 볼 수 있는 강력한 조망의 가능성을 가진다. 대상지는 지형적 조건뿐만 아니라 잠재적인 방문객을 기대할 수 있는 명소들에 둘러싸여 있어 도시 문화적 조건 또한 탁월하다.3 오션 애비뉴 건너 바다 쪽으로는 관광객이라면 반드시 찾는 제1의 아이콘인 산타모니카 부두가, 한 블록 북쪽으로는 연간 천만 명이 방문하는 쇼핑의 1번지인 3가 보행자거리3rd street promenade가 시작된다. 그러나 대상지는 가능성만 큰 곳은 아니다. 우선 산타모니카 하이웨이가 공원의 북쪽 경계를 감싸며 현 도심지와 대상지를 갈라놓는다. 동쪽으로는 근대 건축 유산으로 지정되어 보존해야 할 시청사 건물이 공원의 경계를 규정한다. 남쪽으로는 새로운 주거단지의 개발이 예정되어 있어 공공의 영역 밖이다. 서쪽으로도 시야는 바다를 향해 열리지만 6차선의 오션 애비뉴가 블러프 하부의 1번 도로와 연결되는 진입 경사로가 위치하기에 늘 차량의 통행이 붐빈다. 보행가로와 자전거 도로 체계가 발달된 산타모니카이지만 대상지의 실제 연결성은 사방으로 열린 도심 공원의 전형이라 하기엔 폐쇄적이다. 설계자 선정 과정을 살펴보다 캘리포니아의 아이콘인 산타모니카의 시민 공원 설계자로 예상과 달리 서부에 둥지를 틀고 있는 팀4이 아닌, 영국 태생의 제임스 코너James Corner가 이끄는 대륙의 반대편에서 온 뉴욕 기반의 JCFO가 선정되었다. 의아한 점은 지정학적 거리만이 아니었다. 프레시 킬스로 대표되는 JCFO의 여러 대형 공원 작업은 논리적 사고로 도출되는 대상지의 조직site organization을 통한 경관적 기반landscape as infrastructure의 형성과 도시적 전략urban strategy의 제시로 대표되는 작업이었기에 통바 파크처럼 빈 주차장이었던 부지에 새로운 맥락을 만들어 내는 작업과는 거리가 느껴졌다. 다만, JCFO의 근작인 하이라인 파크HighlinePark의 성공을 계기로 상대적으로 작은 스케일의 프로젝트를 실현해 가는 새로운 이정표를 제시하던5 2010년, 하이라인 파크는 이곳의 설계자 선정 과정에 강력한 카드로 통했고,6 통바 파크는 JCFO에게 또 하나의 전환점이 될 수 있는 프로젝트라는 점에서 설계의 결과물에 더욱 귀추가 주목되었다. 최영준은 서울대학교 조경학과를 졸업하고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디자인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마쳤다. 미국의 SWA Group과 한국의 오피스박김에서 다양한 성격의 프로젝트를 수행했고, ArchiprixInternational 본상, 뉴욕 신진건축가 공모 대상 등을 수상했다. 현재는 로스앤젤레스를 기반으로 하는 설계사무소 Laboratory D+H를 설립하여 활동 중이다.
  • 통바 파크 Tongva Park
    통바 파크 + 켄 겐서 광장Ken Genser Square은 새로운 유형의 도시 경관을 구현하고 있다. 이는 자원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 한편, 자연 친화적 성격을 띠고 있다. 광범위한 대중의 참여를 바탕으로 한 디자인은 현대적이고 변화무쌍한 일련의 정원 및 활동 공간을 창조하였다. 이 공간들은 산타모니카Santa Monica 중심부를 상징적으로 새롭게 정의하는 한편 도시와 상호 연결된 공원을 만들어준다. 개요 통바 파크 + 켄 겐서 광장은 약 7.4에이커(약 30,000m2)부지에 자리 잡고 있으며, 시청사, I-10 고속도로, 그리고 산타모니카의 상징이라 할 수 있는 야자수가 늘어선 오션 애비뉴Ocean Avenue 사이에 위치한다. 이 공원은 버려진 채 무미건조한 모습만을 드러내던 주차장을 구불구불한 언덕, 풀이 무성한 습지, 지중해풍의 초지공원, 그리고 활발한 도심 속 활동 공간 등으로 이루어진 울창한 경관으로 변모시켰다. 한때 이 지역을 특징짓던 남부 캘리포니아 지방 특유의 구불구불한 소협곡 경관arroyo에서 영감을 받아 여러 갈래로 뻗어나가는 일련의 오솔길을 디자인했다. 이 오솔길은 시청사 정문으로부터 유기적인 모습으로 등장해 서쪽으로 이어지고, 나아가 공원이 자연스럽게 도시 전체 망에 엮여 들어가도록 한다. 극적인 변화가 있는 지형 덕분에 부드러운 오솔길 구조가 한층 강화될 뿐만 아니라 각기 다른 테마를 바탕으로 한 네 곳의 언덕 지역이 유기적으로 연계될 수 있다. 이들 지역은 서로 다른 용도 및 사용자 경험을 바탕으로 설계되었다. 정원의 언덕Garden Hill은 일련의 좌석을 배치한 알코브alcove와 친근한 성격의 감상 정원으로 구성되어 있는 데, 계절에 따라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자생종 또는 토착화된 남부 캘리포니아의 식물들을 식재했다. 발견의 언덕Discovery Hill은 어린이를 위한 놀이 공간으로, 언덕 미끄럼틀, 음악의 벽, 물놀이 시설, 그리고 놀이 요새 등 울창하고 그늘진 경관 속에 배치된 다채로운 모험 시설물들을 제공한다. 관찰의 언덕Observation Hill은 높이가 18피트에 이르며, 바닷가 및 인근 지역을 최상의 조건에서 조망할 수 있다. 전망대, 다리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밝고 경쾌한 공중 화장실이 언덕 아래에 숨겨져 있다. 만남의 언덕Gathering Hill은 모임과 휴식을 위한 공공 공간을 제공하며, 대규모 다목적 잔디밭, 그늘진 좌석 테라스, 그리고 편안한 소풍 공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켄 겐서 광장Ken Genser Square은 시민들이 자유롭게 모일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한편, 대칭적인 모습과 구불구불한 잔디 언덕 등을 통해 랜드마크인 시청사 건물을 보완해주는 역할을 한다. 식재 대상지의 변화로 나타나는 가장 도드라진 특징은 생태적 복원이라 할 수 있다. 정성들여 선택한 300그루 이상의 나무와 수천 종의 식물, 그리고 수백 종의 각기다른 캘리포니아 토착종이 이 프로젝트가 지향하는 풍요롭고 야심찬 식재 전략을 뒷받침하고 있다. 통바 파크와 켄 겐서 광장은 캘리포니아의 토착 식물들을 주요한 원예적 요소로 부각시키고, 최대 규모의 지중해식 초지 공원을 공공 공간에 제공한 최초의 대규모 프로젝트다. Landscape Architect James Corner FieldOperations(James Corner, Lisa TzionaSwitkin, Sarah Weidner Astheimer, Matt Grunbaum,David Christensen, Tsutomu Bessho, Yitian Wang) Contractor W. E. O’Neil Architecture for Restroom Frederick Fisher &Partners Structural & MEP Engineering Buro Happold Civil Engineering Fuscoe Engineering Lighting Design HLB Water Feature Design Fluidity Design Consultants Horticulture Perry & Associates, Greenlee &Associates Irrigation d.d. Pagano, Inc. Urban Soils Wallace Labs Geotechnical Engineer Converse Consultants Artist Iñigo Manglano-Ovalle Client·Owner The City of Santa Monica Location Santa Monica, California, USA Area 7.2ac Completion 2013 Photographs James Corner Field Operations,Jonathan Alcorn, Tim Street-Porter, Joakim LloydRaboff, Angie Smith James Corner Field Operations는 뉴욕에 기반을 둔 도시설계와 조경 설계를 전문으로 하는 디자인 오피스다. 대규모 도시설계 프로젝트나 포스트 인더스트리얼 사이트부터 작지만 섬세한 디테일을 요구하는 디자인까지 다양한 규모의 작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주요 작품으로 뉴욕시의 하이라인과 프레시 킬스, 라스베이거스의 시티 센터, 중국 칭하이 지역의 도시설계 마스터플랜, 시애틀 워터프런트의 마스터플랜, 필라델피아의 레이스 스트리트 피어, 산타모니카의 통바 파크, 런던의 퀸 엘리자베스 올림픽 파크, 홍콩의 침사추이 워터프런트 등이 있다. 모든 설계 실천에 있어서 사람과 자연의 생태를 연구하고, 생기 넘치고 역동적인 공공 영역 디자인을 구현하는 데 최선을 다하고 있다.
    • James Corner Field Operations / James Corner Field Operations / 2014년06월 / 314
  • [칼럼] 생태경관건축의 새로운 도약을 위해
    Landscape architecture가 1970년대 한국에 소개되면서 환경, 생태, 경관, 조경 등의 다양한 의미로 이해되었고 아직도 일반인들에게는 국토나 도시 환경보다는 정원이나 토목과 건축의 미화 작업으로 여겨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서양에서도 소위 조경은 사유지의 설계와 조성으로부터 시작되었고, 산업화와 도시화에 따라 20세기 초에는 랜드스케이프 아키텍처landscape architecture로 이해되고, 1960년대에는 생태 경관 계획ecologicallandscape planning으로, 1980년대 이후에는 도시와 산업지의 재생과 관련된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landscape urbanism과 인프라스트럭처 중심으로 변신해 왔다. 건강, 환경 개선 및 재생, 지속성에 선도적 역할을 하고, 건설 사업의 보조를 넘어 환경 보존과 재생의 선두 역할을 함으로써 조경은 건축보다 더 사회적 연관성을 가지게 되었다. 또 조경은 개발뿐 아니라 보존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시장 경제의 변화에 덜 민감한 점이 있다. 조경 및건설 경기가 침체 상황인 이즈음, 조경 또는 경관계획의 원래 이름 landscape architecture를 다시 돌아보고, 그것을 학문 영역보다는 환경 개발과 보존의 한 방법론으로 생각하면서 조경 분야의 장래를 모색해 볼 필요가 있다. 조경계는 건축계의 동질성과는 달리 이질성으로 특징지어지고 있다. 이것은 조경이 농과·환경대학에 속하기도 하지만 건축·디자인대학에 속한 경우도 많다는 점, 그리고 그 자체가 문화를 바탕으로 한 실행이라는 점을 반영한다. 또 조경에는 건축과 다른 세 가지 특성이 있다. 첫째, 경관은 건물에 비해 다양한 스케일―정원, 도시, 지역―을 포괄하고 경계 없는 개방형 시스템이며 역동적이다. 둘째, 조경은 설계, 계획, 시공 그리고 관리라는 네 영역이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셋째, 경관은, 네덜란드의 어원에 따르면, 형성과 보존의 개념 또는 그림의 개념일 뿐 아니라 공동체 및 관리의 개념이다. 따라서 큰 규모의 조경인 경우, 지역 사회를 강조하고 특출한 예술가적 개성이나 개인주의적 사고를 덜 중요하게 생각해야 하는 필요성과 전통을 갖고 있다. 이러한 근본적 차이는 조경에 건축적 방법을 직설적으로 도입하는 것이 큰 문제임을 말해 준다. 즉, 조경 고유의 계획과 설계 방법을 개발하고 구현해야 함을 뜻한다. 더욱이 오늘날 지속성의 문제―기후 변화, 자원과 에너지 안보, 문화 정체성과 실체성, 계층 간의 갈등―는 생태경관적 접근 방식이 건축적, 도시적, 산업적 접근 방식보다 더 중요함을 의미한다. 현재 한국의 조경계는 건축, 도시·지역계획, 토목, 임업 분야로부터 영역 침투의 위협을 느끼고 있다. 그러나 사실 한국의 조경은 원래 문화적·역사적 뿌리가 약하며 중국이나 일본과 같은 정원예술의 전통이 적다고 나는 보고 있다. 한국의 유수한 산수·자연 환경, 20세기 중반까지 지연된 도시화, 잔손이 많이 가는 것을 싫어하는 심성, 도시 중산층의 부재 등에 그 이유가 있을 것이다. 한국의 풍류는 있는 그대로의 자연의 흐름을 즐기는 멋이고 맛이었다. 지난 40년간 한국 조경은 괄목할만한 발전을 했다. 조경계가 잘해서 발전한 면도 있겠지만 외재적 원인도 컸다. 박정희 정부의 정책적 지원, 건설투기 붐, 급속한 산업화·도시화를 통한 환경 파괴에 힘입은 바가 컸다. 이 과정에서 한국의 조경은 정원에나 적합한 방법을 도시 경관에 적용하기도 했다. 도시계획이나 사회 기반시설 또는 국토관리에는 적극적이고 지도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 했다. 건설이 남긴 폐해를 감추거나 미화하는 작업을 하면서 양적으로 성장해 왔다. 파괴가 많을 수록 조경 일이 많았다. 이제는 한국이 선진화되며 복지·행복 국가를 향해 질적 성숙을 하고 있다. 동아시아적 정체성을 회복하면서, 또 역동적 참여 민주화를 실현하면서 지속가능한 문화에 기여하는 국가가 되기 위해 조경이 해야 할, 그리고 할 수 있는 일은 수없이 많다. 기후 변화에 대응한 도시 및 지역 구조의 조정, 핵 에너지 위험을 감소하기 위한 지속가능한 에너지 경관 전략, 건설이 아닌 파괴로 치닫는 공공 기반시설(새만금 간척 사업 등)의 생태적 인프라로의 전환, 다기능적 생산 녹지 및 습지의 복원확장, 닫힌 전시 광경보다 일상적 생활환경의 개선에 주목하는 실용적 조경, 낭비의 측면이 큰 단일 용도의 공공 공간(학교, 정부 시설) 개조를 통한 녹지 증대와 환경 개조, 세천의 복원, 고가도로의 제거, 비투수층 도로와 주차장 및 산업 구조물의 제거, 대규모 녹화(지붕, 벽, 거리) 등이 그것이다. 공원이 따로 필요 없는 ‘숨쉬는’ 도시 및 국토의 재편성이 조경가와 경관계획가가 참여해야 할 일들이다. 설계와 계획 능력이 있고 과학적 지식에 기반을 둔 조경가일수록 할 일은 더 많다. 건설 사업의 ‘환경미화원’으로서의 조경보다 국민의 행복, 복지, 건강을 위해 공공 환경을 작동시키는‘전동차’로서의 조경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적응과 변모의 계기를 찾아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조경학과 실무 조경계는 다음과 같은 변신의 자세를 구축해야 한다. 첫째, 도시와 지역 규모의 경관·생태 및 공공 기반시설을 설계, 계획, 관리할 수 있는 관심과 능력을 확장해야 한다. 둘째, 열악한 도시 내부에 게릴라처럼 침투하여 아스팔트 도시를 건강한 유기체로 전환시키는 전문성을 길러야 한다. 셋째, 계획 및 관리 분야는 물론 기술·과학자와 협업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고, 도시·국토계획의 전반적인 관리에서 ‘생태경관적 접근 방식’의 중요성을 부각시키는 능력을 배양해야 한다. 넷째, 설계를 미관이나 형태보다는 삶의 질, 체험의 질, 건강·복지에 연계시키는 접근, 즉 국토를 몸으로, 조경을 의학으로 생각할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물론 쉬운 일은 아니다. 그러나 의미 있는 일을 하려면, 또 위기에 대응하려면, 쉬운 일만 찾아서는 안 된다. 건설과 보존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을 위한 보존, 보존을 위한 개발을 실행해야 한다. 경관이 본질적으로 스케일이 다양하고 경계가 없듯이, 조경 분야도 관심과 능력의 스케일을 다양하게, 경계 없이 하여 지속가능성 확보의 선도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재도약의 기회를 찾아야 할 것이다. 고주석은 건축가이자 조경가로 활동하고 있으며, 생태경관적 접근 방식에 기반을 둔 디자인을 추구한다. 1989년 설립한 오이코스 디자인(Oikosdesign)을 이끌며 독일, 미국, 네덜란드, 한국을무대로 작품 활동을 펼치고 있고, 세계 여러 나라의 디자인 어워드와 설계 공모전에서 수상한 바 있다. 2003년부터 2013년까지네덜란드 바허닝엔(Wageningen) 대학교 조경학과 학과장을지냈다.
    • 고주석[email protected] / 오이코스 디자인 대표, 네덜란드 바허닝엔 대학교 명예교수 / 2014년06월 / 314
<< 1 2 3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