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행정도시 경관조성 사례
지난 2005년 5월 행정중심복합도시 국제현상공모를 거쳐 11월 기본계획 당선작이 발표되었다. 여타의 문제를 차치하고 나서라도 행정중심복합도시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 도시계획사에서도 한 획을 그을 수 있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할 것이라는 데에는 이견이 없을 것이다. 20세기 들어서도 행정을 중심으로 한 도시 조성사례는 많이 있었으나 새로운 도시문화를 이끌어 갈 수 있는 사례는 거의 없었으며, 따라서 21세기 들어 새롭게 건설되는 행정중심복합도시는 향후 세계 도시 조성 및 발전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매우 뜻 깊은 사례라 아니 할 수 없다. 또한 전세계적으로 첨단, 생태, 경관, 문화 등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으로 인해 새로 조성되는 행정중심복합도시가 이들을 어떻게 조화롭고 균형있게 담아 낼 것인가에 대한 세계의 시선은, 이를 추진해나가는 국내의 입장에서 한편으로는 부담스러운 시선으로 다가올 수밖에 없다.이러한 의미에서 유사한 해외 행정도시의 조성 사례는 도시 경관의 형성과정과 철학을 파악하고, 행정중심복합도시가 추구해야할 경관 및 이미지를 파악하는데 많은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행정도시 외에도 도시환경이나 시스템, 경관적 측면 등에서 우수한 계획 도시 사례들도 많이 있지만 여기서는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의 취지에 맞추어 이와 유사한 인구와 혹은 면적을 가지고 있는 해외 행정도시를 사례로 건설과정과 경관 조성 내용을 살펴보고자 한다.해외 행정도시 건설사례국내에서도 잘 알려진 건설되었거나 건설 중에 있는 행정도시로는 호주의 캔버라(Canberra), 브라질의 브라질리아(Brasilia), 그리고 최근 사례로 말레이시아의 푸트라자야(Putrajaya) 등이 있다. 캔버라는 20세기 이후 처음으로 시도된 행정도시 조성 사례로 볼 수 있고, 브라질리아는 20세기 중반 모더니즘적 사고에 충실한 계획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푸트라자야는 20세기 후반 현재 진행 중인 가장 최근의 사례 중 하나로 볼 수 있다.캔버라호주의 수도인 캔버라는 행정구역상 호주 수도 특별구(ACT; Australian Capital Territory)에 속하며 정치, 행정의 중심지로 총면적 약 2,400㎢인 계획도시로 인구는 약 30만이다. '캔버라'라는 말은 호주 원주민인 애버리진(Aborigine)의 언어로 '만남의 장소'라는 뜻을 지니며, 1901년에 창설된 연방정부의 수도를 놓고 시드니와 멜버른이 치열한 경쟁을 보이자 1911년에 결국 두 도시의 중간지역에 해당하는 캔버라가 수도로 지정되었다.수도 확정 후 뉴사우스웨일즈 주로부터 공식 분할된 캔버라는 '세계 최고의 수도 건설'을 목표로 국제현상공모를 추진하였으며, 총 137명의 응모자 중에서 미국 시카고 출신의 건축가 그리핀(Walter Burley Griffin) 교수의 작품이 선정되었다. 이때 그리핀은 자신을 스스로 ‘조경가(Landscape Architecture)’로 소개함으로써, 대상지의 자연경관 보전과 도시경관 조성에 남다를 의지를 보이기도 하였다.그리핀의 안은 토지축, 공공기관축, 물의 축 등 세 개의 중심축을 설정하여 넓은 녹지, 기념비적인 건축물, 수변공간 등을 가지도록 하였다. 즉 홍수가 많은 평야 주변 강을 댐으로 막아 캔버라의 심장이라 할 수 있는 인공 호수 ‘벌리 그리핀 호수’로 바꾸어 풍부한 수변경관을 형성하고, 국가행정기능, 도시관리기능, 업무상업기능 등 도시의 세 가지 기능 중심을 삼각형의 꼭지점에 두고 각 꼭지점을 방사형으로 계획하여 기하학적인 도로로 연결하였으며, 그 외 도시 외곽 지역은 주거지로 계획하였다. 그리핀의 안은 기본적으로 전원도시였으며, 기하학의 구성을 기본을 지형을 이용하였다. 세 개의 언덕, 국회의사당, 공공센터 그리고 상업 센터가 거의 정삼각형을 형성하며, 길고 곧은 가로로 연계되어 있다.캔버라는 완만한 경사지와 구릉을 이용하여 기하학적으로 배치된 현대 도시의 대표적인 사례로 손꼽히며, 캔버라를 상징하는 도시의 중심은 캐피털 힐(국회의사당)에서 에인즐리 산(전쟁기념관)을 잇는 축으로 연결하여 시각적으로도 매우 강한 상징성을 띄고 있다. 도시 내 건축은 주변 구릉지 높이 이하로 제한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구릉지에 잘 어울리는 도시경관을 형성하고 있다.캔버라는 계획초기 단계부터 주변 자연경관을 충분히 고려하여 조성되었으며, 전체적으로 전원도시와 같은 이미지를 주고 있다. 하지만 서울시와 비슷한 규모의 면적에 약 30만 정도의 인구로 인해 인구밀도가 극히 낮아 중심축을 제외하고 보행공간이 거의 없으며, 이동을 위해서는 항상 자동차를 이용해야하는 도시 규모를 가지고 있다. 또한 세 개의 중심에서 뻗어 나온 방사환상형 도로와 격자형 도로망은 도시의 전체적인 식별성을 높여 줄 수 있지만, 가로별로 구분되는 특징이 없어 길 찾기가 매우 어려운 도시로 알려져 있다.하지만 캔버라는 그리핀의 초기안에서부터 주변 구릉지를 고려한 건축물 높이를 계획하여 지형과 자연스럽게 조화되는 스카이라인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도심의 벌리그리핀호수 주변의 다양한 수변경관과 이를 따라 배치된 문화공간은 금강변에 조성될 행정중심복합도시 계획에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다.
신 지 훈 Shin, Ji Hoon 경주대학교 관광조경학과 교수(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
대덕 테크노밸리 대우 푸르지오
· 위치 : 대전광역시 유성구 관평동 대덕 테크노밸리 2블럭· 대지면적 : 39,122.24㎡· 조경면적 : 14,102.19㎡(36.04%)· 건설사 : (주)대우건설· 조경설계 : (주)우리엔디자인펌· 조경식재 : (주)정한조경· 조경시설물 : 승암개발(주)· 세대수 : 684세대· 사진 : 김태우 실장
단지 전체의 특징을 살펴보면, 남에서 북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단차에 의해 발생되는 옹벽과 경사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자칫 불리해질 수 있는 단지여건을 특색 있는 공간과 경관요소로 살려낸 점이 눈에 띈다. 보행자들에게 위압감을 줄 수 있는 옹벽을 문양거푸집, 목재장식 등으로 처리하고 덩굴식물, 대나무식재 등을 통해 Green wall을 형성하여 장식미를 높인 것이다. 또한 단지 중심을 관통하는 축을 가운데 두고 좌우대칭형의 공간으로 계획하였는데, 보행동선과 차량동선을 분리시켰고, 보행자들이 안전하고 편안하게 야외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계단, 오버브릿지 등을 설치, 입주자들이 색다른 보행환경을 경험할 수 있도록 했다. 주출입구, 야외공연장, 어린이놀이터, 퍼골라길, 중앙광장, 오버브릿지, 산책로, 보행자출입구로 연결되는 축선과 진행할수록 한단 한단 높아지는 공간의 전이효과는 조망감 및 극적인 공간감을 줄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각 공간마다 예술적 아이템을 도입하여 단지 전체의 분위기를 통일시키되, 각 공간이 색다른 느낌을 자아낼 수 있도록 했다.중앙광장은 단지 내의 중심공간이자 동 측벽으로 이루어지는 비스타(Vista)의 초점이 되는 곳인데, 배경역할을 하는 가벽과 마천석 벤치가 색채대비 효과를 느끼게 하며, 중앙에 조성된 바닥분수는 광장과 수경공간의 기능을 동시에 제공해준다. 중앙광장에 이르게 되는 204동과 210동의 사잇길에는 퍼골라를 설치하여 위요된 분위기를 조성하고, 그 길을 지난 후에 열린 중앙광장에 진입토록 해, 개방된 공간감을 극대화시켰다.대칭적인 형태의 파도형 가벽 사이로 화강석 좌대를 설치하고 브론즈 작품을 두어 예술적인 공간으로 조성한 야외공연장은 스탠드 뒤쪽으로 푸른 색채의 가벽을 두고 자작나무를 배경 식재하여 색채의 대비효과를 통한 공간의 푸르름을 강조하였다. 더불어 중앙의 정자목이 식재된 원형무대는 소품조형물로 미적인 기능을 더했다.어린이놀이터 1에는 아이들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기하학적인 형태의 놀이가벽을 설치하고 복합적 기능을 갖춘 조합놀이대를 꾸며놓았다. 또한 놀이터를 관망할 수 있는 위치에 퍼골라를 두어 보호자들이 편하게 아이들을 살펴볼 수 있도록 하였다. 야외공연장과 대칭이 되는 위치에 있는 어린이놀이터 2는 야외공연장의 미적 요소를 공유토록 하였으며, 녹지와 백자갈의 엇갈린 배치로 잔잔한 푸르름이 느껴지도록 했다.이외에 휴게시설과 운동 및 놀이시설이 설치된 흥미로운 휴게공간과 운동공간과 연계된 은행나무 산책로 등이 조성되었다.
(자료제공 : 우리엔디자인 펌)(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