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정원도 지역과의 관계가 중요하다 ‘제2회 푸르너스 가든아카데미’ 특강
    한국정원디자인학회(회장 홍광표)가 주관하고 예건(대표 노영일)이 후원하는 ‘푸르너스 가든아카데미’가 1월 29일 부터 3월 12일까지 개최된다. ‘푸르너스 가든아카데미’는 증가하는 정원 설계와 시공 수요에 대한 전문성 확보를 위해 지난해부터 시작된 공개 강좌다. 올해 강의는 총 8강으로 구성되었다. ‘제2회 푸르너스 가든아카데미’의 일환으로 지난 1월 31일에는 서교 자이 갤러리 그랜드 홀에서 일본 조경가 특강이 열렸다. 두 개의 강연이 이어졌는데, 첫 강연자인 츠지모토 토모코(츠지모토 토모코 환경디자인연구소 소장)는 ‘가든 르네상스’를 주제로 강연했다. 츠지모토 토모코는 1995년부터 현재까지 츠지모토 토모코 환경디자인연구소를 운영하며 기적의 별 식물관 프로듀서를 맡고 있다. 토모코는 “가든 르네상스는 지역 전통으로서의 원예, 라이프 스타일이 각 지역과의 관계로부터 생겨나는 것을 인식”하는 데에서 시작한다며 “시민들이 협력하면서 친환경 문화를 계승하며 고향을 지켜나가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에 따르면 가든 르네상스는 4가지로구성된다. ‘녹지 공간 만들기’, ‘지역성·전통성을 계승하는 공간 만들기’, ‘주민 참여의 친환경 공간 만들기’, ‘순환형 사회구축을 위한 시스템 만들기와 교류 거점만들기’가 바로 그것이다. 토모코는 가든 르네상스를 일본의 섬 아와지에 적용하려는 계획을 세웠다. 아와지 섬 특히 섬의 북쪽 지역은 인구가 점차 줄어 소멸 위기에 처한 지역이었다. 주민들의 참여도가 낮았고 네트워크가 잘 구성되지 않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는 곳이었는데, 토모코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가든 르네상스가 필요했다고 주장했다. 가든 르네상스를 통해 아와지 섬의 지역성을 활성화시키고자 한 것이다. 기적의 별 식물관은 토모코의 강연에서 가장 중점적으로 소개된 사례였다. 토모코는 식물관의 식재 설계를 했다. 이후 이곳에서 아와지 섬에서 유래한 전통 인형극을 공연하고 오페라와 연극, 뮤지컬 등 다양한 문화활동이 이루어졌다. 각종 식물들로 오감을 자극하고 아와지 섬의 지역성과 전통성을 계승하며, 다양한 문화 활동을 통해 주민 참여를 유도하는 등 여러 분야의참여형·순환형 사회 구축을 위한 시스템과 교류 거점을 만들려는 토모코의 노력들이 기적의 별 식물관에서 드러나 보였다. 아와지 섬의 남쪽 지역에도 가든 르네상스를 적용하려고 노력했다. 남쪽 지역에는 신사神社가 여럿 있는데, 토모코는 신사와 신사 사이의 길을 꽃의 거점으로 만드는 계획을 세웠다. 강연에서 특히나 인상 깊었던 점은 식물원에서 무대공연과 결혼식을 할 수 있다는 점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식물원을 ‘식물을 관찰하고 학습하는 공간’으로만 생각하는데, 토모코는 ‘기적의 별 식물관’을 통해서 ‘식물원’이라는 공간을 재해석했다.두 번째 주제는 ‘지역 특성을 고려한 조경 디자인’이다. 쇼타 타카히사가 강연자로 나섰다. 쇼타 타카히사는 1992년부터 집합 주택, 상업 시설, 의료, 교육 시설, 이벤트 기획 등 다방면의 옥외 공간 토털 디자인부터 공사 감리까지 담당했다. 현재 공간창연空間創硏에서 조경디자인 및 공사 감리를 수행하고 있으며, 랜드스케이프 컨설턴트협회 칸사이지부 간사위원이자 홍보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타카히사는 지역 특성을 고려한다는 것은 “그 지역의 풍토나 문화를 디자인에 도입하는 일”이라고 설명했다. 여기서 풍토는 “그 지역의 기후, 지형, 기상, 지질이나 환경, 경관”이며, 문화는 “그 지역에서 살고 있는 사람들의 생활양식이나 전통”이라고 부연했다. 강연은 4가지 조경 디자인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프로젝트 1은 ‘제30회 전국 도시 녹화 돗토리페어’다. 전국 도시 녹화 돗토리 페어는 돗토리 지역에서 자생하는 식물을 주제로 삼아 사계절의 변화를 사람들이 즐기는 행사다. 타카히사는 어떻게 하면 사람들이 가까운 야산의 아름다움을 재발견하도록 하고, 자생식물을 생활 공간에 도입하는 방법을 알려줄 수 있을까 고민했다. 프로젝트 2는 아리마 온천거리에 건축된 호텔 ‘아리마6채’다. 아리마 온천거리는 일본에서 유명한 천연 온천 마을인데, 아리마 온천거리는 거의 평탄지다. 때문에 로코산의 경사면을 이용해서 조성되었다. 프로젝트 3은 병원의 신설 공사에 수반되는 경관 재정비 사업이다. 아직 계획 중인 곳으로, ‘오사카후립 모자보건 종합 의료센터’다. 이 의료센터의 광장을 살펴본 결과 ‘환자와 병원에서 일하는 사람들의 동선이 불명확’하고, ‘공간의 세분화와 현황 수목의 재활용이 고려되어 있지 않으며’, ‘모두가 휴식할 수 있는 공간이 정리되어있지 않다’는 문제가 도출되어, 불필요한 계단을 철거하는 등 병원 내의 동선을 재정비하였다. 또한 보존해야 하는 수림은 병원에 그대로 두며, 테라스와 같이 사람들이 휴식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드는 등의 노력을 했다. 프로젝트 4는 ‘야구장 철거지 상업 시설’이다. 일본 오사카시 남쪽의 야구장을 철거하고 상업 시설로 새로 만드는 프로젝트다. 타카히사는 이 부지에 사람들이 스포츠를 즐기는 상업 시설이라는 테마를 부여하고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스포츠 관련 시설이 주로 입주할 계획인 이곳은, 현재 공사 중으로 오는 4월에 개장 예정이다. 타카히사는 “부지 주변을 꼼꼼히 살펴보고 분석하여 그 부지의 조건에 맞도록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날 강연은 지역의 특성을 고려하고 사고하는 행동이 조경 설계에 있어서 중요하다는 걸 새삼 느끼게 했다.
    • 전예원 / 2015년03월 / 323
  • ASLA Best Books 2014 ‘2014 올해의 책’으로 선정된 10권의 조경 서적
    미국조경가협회Ame r i c a n S o c i e t y o f L a n d s c a p e Architects(ASLA)는 2010년부터 매년 12월 10권의 ‘올해의 책ASLA Best Book’을 선정하고 있다. 주요 이슈를 다룬 책이나 학술적으로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는 책, 또는 이전에는 접하지 못한 주제를 신선한 시각에서 다룬 책 등이 주로 선정되었다. 본지는 ‘2014 올해의 책’10권을 소개한다. 1. 『어반 아큐펑처』 건축가 자이메 레르네르Jaime Lerner는 『어반 아큐펑처Urban Acupunture』에서 도시를 하나의 몸으로 비유한다. 동양의 침술 요법이 신체의 특정 부위를 찔러 특정한 치료 효과를 거두고자 하는 것처럼, 도시 속의 아주 작은 지점pinprick에서의 변화가 도시 전체로 번져나갈 수 있다고 주장한다. 저자가 쿠리치바Curitiba의 시장으로 재직할 당시 새로운 도로 교통 시스템Bus Rapid Transit을 도입하여 도시 전체를 생태 도시화했던 것처럼, 바르셀로나의 라 보케리아 시장La Boqueria Market에서 서울의 청계천 복원 사업까지 세계 곳곳에서 비슷한 현상을 확인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2. 『베를린: 도시의 자화상』 베를린은 현대의 그 어떤 도시보다 파괴와 건설이 반복된 곳이다. 『베를린: 도시의 자화상Berlin: Portrait of a City Through the Centuries』은 이렇게 베를린이라는 도시만이 갖고 있는 불안정한volatile 모습을 24개의 삶을 통해 풀어내고자 한다. 중세의 창녀, 제1차 세계대전 당시 유독 가스를 발명했던 어떤 유대인 화학자, 베를린 장벽을 세우는 과정에 참여했던 한 무명의 공산주의자 등 주목받지 못했던 사람들의 삶이 5세기에 걸쳐 그려진다. 이 책은 이들의 삶의 방식, 그리고 그 속에 담겨있던 당시의 문학과 음악을 통해 도시의 본질을 드러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3. 『경관의 재구성: 포토몽타주와 조경』 『경관의 재구성: 포토몽타주와 조경C o m p o s i t e Landscapes: Photomontage and Landscape Architecture』은 조경 설계에 있어서 가장 두드러지는 표현 기법의 하나인 몽타주 뷰montage view를 다룬다. 이 책은 제임스 코너, 아드리안 구즈Adriaan Geuze, 켄 스미스Ken Smith 등을 포함한 영향력 있는 현대 조경가와 예술가들의 작업을 통해 포토몽타주 기법이 어떻게 공간의 개념을 재현하고 간접적인 경험을 제시하는지 보여준다. 뿐만 아니라 초창기의 핸드 드로잉부터 현대의 디지털 방식까지, 포토몽타주를 활용한 경관 표현 기법의 차이와 발전 과정도 담아냈다. 이 책을 통해 재구성된 경관 속에 구축된 이미지constructed image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4. 『변화하는 경관: 재생을 위한 혁신적 디자인』 기후 변화, 천연 자원 개발, 인구 이동과 같은 전 지구적인 이슈는 현대 조경 설계를 논하는 데 있어 빼놓을 수 없는 요소임에 분명하다. 『변화하는 경관:재생을 위한 혁신적 디자인Landscapes of Change: Innovative Designs for Reinvented Sites』은 이러한 사실이 디자인 프로세스에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지, 어떤 디자인 전략을 필요하게 했는지, 또 어떤 측면에서 조경의 혁신을 일으켰는지 진단한다. ‘인프라스트럭처’, ‘후기 산업시대의 경관’, ‘식재된 건축’, ‘생태주의적 어바니즘’, 그리고 ‘식용 가능한 경관’이라는 주제에 묶인 25개의 프로젝트를 통해 과거와 현대 조경의 차이점을 확인하고, 나아가 미래의 조경을 예측해볼 수 있다. 5. 『상상하는 경관』 제임스 코너James Corner는 『경관의 회복Recovering Landscape』을 포함한 여러 편의 글과 그 실천이라 할 수 있는 뉴욕의 하이라인High Line 프로젝트를 통해 도시에 직면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산업 유산을 받아들이고 이용하는 것이라고 말해 왔다. 『상상하는 경관The Landscape Imagination: Collected Essays of James Corner 1990~2010』은 지난 20년간 학계에 발표된 코너의 글을 모은 것으로 그동안 조경계에 대두되었던 주요 이슈를 다루고 있다. 코너는 JCFOJames Corner Field Operations의 작업을 기반으로 이러한 글 속에 담긴 생각이 어떤 과정을 거쳐 실제 경관으로 구현되어 왔는지 설명한다. 6. 『멜론 스퀘어』 『멜론 스퀘어Mellon Square: Discovering a Modern Masterpiece』는 ‘현대의 경관: 전이와 변형Modern Landscapes: Transition & Transformation’ 시리즈의 두 번째 책으로 1955년 완공된 피츠버그Pittsburgh의 첫 번째 현대 정원 플라자garden plaza인 멜론 스퀘어의 발전 과정을 담고 있다. 이 책은 광장의 최종 결과물을 보여주는 데 집중하지 않는다. 디자인 발전 단계에 쓰였던 스케치와 식재 디테일, 구현된 모습에서는 느끼기 힘든 섬세한 생각이 적힌 디자인 노트, 나아가 핵심 디자이너들의 개인사까지 담아내며 설계 과정에 있어 어떤 요소가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했는지 구체적으로 파고든다. 7. 『차세대 인프라스트럭처』 날이 갈수록 고밀화되고 복잡해지는 현대 도시를 산발적인 도시계획과 임시방편의 기반 시설 정비만으로 지탱할 수 있을까? 또는 그러한 방식으로 탄소 제약 조건과 기후 변화와 같은 전 지구적인 이슈에 대응할 수 있을까? 『차세대 인프라스트럭처Next Infrastructure: Principlesof Post-Industrial Public Works』는 이러한 질문에 답하려 한다. 캘리포니아의 마운트 포소Mount Poso 열병합 발전소에서 서울의 빗물 관리 시스템이나 싱가포르의 다목적 마리나 베리지Marina Barrage 프로젝트까지 희망적인 예를 제시한다. 나아가 이러한 개별 프로젝트가 도시스케일을 넘어 전 지구적 범위에서 얼마만큼의 경제적, 환경적, 사회적 의미를 지니는지 분석한다. 8. 『피플 해비타트: 건강한 녹색 도시를 위한 25가지생각』 미국 국민의 80퍼센트 이상이 도시와 부도심에 거주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커뮤니티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현실에 맞게 재정립하는 일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으며, 인간이 만들어내는 환경 오염 물질에 대한 대처법에도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피플 해비타트: 건강한 녹색 도시를 위한 25가지 생각People Habitat: 25 Ways to Think About Greener, Healthier Cities』은 ‘사람들이 걷지 않는 이유’와 ‘녹색’ 하우징과 관련된 가벼운 담론에서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 cation과 같은 복잡한 문제까지 아우르며, 인류와 지구 모두를 위한 거주 생태계ecology of human settlement를 구현하는 방법을 지속가능성의 관점에서 제시한다. 9. 『프로젝티브 이콜로지』 지난 20년 동안 생태는 빠지지 않고 등장한 이슈이며, 이제는 새로운 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생태주의적 설계를 염두에 두지 않을 수 없는 단계까지 이르렀다. 『프로젝티브 이콜로지Projective Ecologies』는 이러한 시점에 생태를 단순히 자연과학적 사고의 결과물로볼 수만은 없다고 주장한다. 현재 다양한 분야의 연구원, 이론가, 사회 평론가, 그리고 디자이너들이 생태를 보다 넒은 의미와 조건을 함축하는 메타포로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생태를 기존의 적용 범위를 넘어 정치와경제, 그리고 사회적 함의까지 포함하는 단계에서 다시 정의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책은 이와 관련된 연구와 이론을 제시함과 동시에, 설계적인 가능성까지 모색하고자 한다. Gross.Max, JCFO, 숀 렐리Sean Lally, OMA, Stoss, West 8 등의 세계적 조경설계사무소에서 제공받은 이미지들은 책 전반에 걸쳐 현재 생태학적 설계와 관련 이론이 어느 수준까지 도달했는지 확인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10. 『어반 바이크 웨이 디자인 가이드』 NACTONational Association of City Transportation Offi cials에서 출간한 『어반 바이크 웨이 디자인 가이드Urban Bikeway Design Guide』는 미국 내 주요 자전거 도로의 규격, 법 체계, 운영 시스템 등을 조사·연구하여 하나의 가이드라인으로 정리한 책이다. 자전거 친화 도시별 특징과 관련 가이드라인이 담겨 있어 도시계획 과정에서 새롭게 교통망을 정리하거나 추가적인 자전거도로를 조성할 때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한 해답을 찾을 수 있도록 구성했다. 다만 수록된 가이드라인이 미국 외의 국가에서 그대로 적용하기 어렵다는 점은 이 책의 한계로 지적되고 있다.
    • 양다빈 / 2015년03월 / 323
  • 서울역 고가 설계공모 방식과 절차에 관한 논란 서울시 질의 및 김영준 전문위원 인터뷰
    지난 1월 29일 서울시는 ‘서울역 7017 프로젝트’ 기자 설명회장에서 ‘서울역 고가 기본계획 국제지명 현상설계’를 1월 29일부터 4월 24일까지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와 동시에 장영호Chang Yung Ho(Atelier FCJZ), 후안 헤레로스Juan Herreros(estudio Herreros), 마르틴 라인-카노Martin Rein-Cano(TOPOTEK 1), 조성룡(조성룡도시건축), 비니 마스Winy Maas(MVRDV), 조민석(매스스터디스), 진양교(CA조경기술사사무소) 등 7명의 지명초청자도 공개되었다. 지명자들은 작품 제출 시 건축, 조경, 교량구조세 분야 컨소시움 형태로 참가해야 하며, 당선자에게는 실시설계권(설계비 13억7천2백만 원)이 주어진다. 심사에는 승효상(서울시 총괄건축가, 이로재 대표), 도미니크 페로Dominique Perrault(Dominique Perrault Architecture), 비센테 구알라트Vicente Guallart(Chief Architect of Barcelona City Council), 조경진(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교수), 온영태(경희대학교 건축학과 교수), 송인호(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부 교수, 예비심사위원)가 참여한다. 지난 1월 12일 개최 예정이었던 ‘서울역 고가 전문가 토론회’가 지역 상인들의 반대로 무산되는 등 그간 서울역 고가의 보존과 재활용 자체에 대한 전문가 및 시민들의 논란이 컸던 만큼, 구체적 일정이 발표된 공모전에 대한 우려도 더욱 커지고 있다. 특히 지나치게 빠른 일정이 가장 큰 문제로 지적되고 있는 상황에서, 설계공모 공고와 동시에 지명초청 작가를 발표하는 등 폐쇄적인 공모 절차와 방식에 대한 논란이 증폭되고 있다. 이에 본지는 공모전을 주최한 서울시에 공모의 방식과 초청작가 지명 절차 및 기준 등에 관해 질의했다. 다음은 그에 대한 서울시(담당 도시안전본부 도로관리과)의 답변이다. 공모 방식과 절차 및 기준에 관한 서울시의 회신 “서울역 고가는 수명이 다한 구조물을 보행길로 재생(재활용)하는 사업으로 구조 안전성이 전제되어야 하는 사업입니다. 뿐만 아니라 주변의 많은 역사 문화유산과 연계하고 사람길로 전환에 따른 조경 식재 등 다양한 시설물 설치를 고려해야 하는 사업입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조경, 건축 및 구조 분야의 협업과 창의적인 아이디어 도출 및 세계 저명한 디자이너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하여 공모 방식을 지명초청 방식으로 결정하게 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 지명초청자는 MP(전문위원)가 본 사업과 유사한 프로젝트를 수행하거나 당선자로 선정된 국내·외 저명한 디자이너를 복수 후보로 추천하고 ‘설계공모 추진위원회’에서 최종 지명초청자 7명을 결정했습니다. 선정 기준은 최근 당선 및 수상 경력, 업종 배분, 국가별 배분, 컨소시엄(구조·조경·건축) 가능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였음을 알려드립니다. 공모 착수와 함께 지명초청자 전원 참가의향서를 받았습니다. 설계공모 공고는 「문화일보」와 「헤럴드경제」 신문 지면을 통해 지난 2015년 1월 29일에 공고하였음을 알려드립니다.” 본지는 이번 공모전의 전문위원(MP)인 김영준 대표(김영준도시건축)를 만나 설계공모의 형식과 절차 등에 대해 좀더 자세한 이야기를 들어 보았다. 김영준 전문위원과의 인터뷰 Q. ‘시민 소통 계획’의 일환에서 추진된 이번 공모전이 다양한 아이디어를 모을 수 있는 ‘공개공모’ 방식 대신‘지명초청’ 방식을 택한 이유와 배경은 무엇인가? A. 첫째, 이 프로젝트는 다양한 안이 필요한 경우가 아니다. (서울역 고가가 안전등급 D를 받은 상황이므로) 프로젝트의 일정상 시급함이 있고 구조적인 문제도 명확하게 드러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중요한 문제들에 대해 정확하고 전문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사람들을 지명하는 방식을 택한 것이다. 둘째, 이 프로젝트는 과정이 중요하므로, 진행하면서 변화하는 상황과 흐름을 정확하게 전달하며 컨트롤 할 수 있어야 한다. 만약 공개공모 방식으로 진행한다면 불특정한 사람들에게 이러한 변화내용을 전달하기 어렵다. 또한 공모에 참가한 개개인이 이 프로젝트를 얼마나 중요하게 생각하는가에 따라 작품의 질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우리는 지명자들에게 지속적으로 프로젝트의 중요성을 전달하고자 한다. 만약 공개공모라면 다수에게 이러한 강력한 동기부여를 하기 어렵지 않겠는가. 또한 공개공모의 경우, 응모작의 수는 많을 수 있으나 정작 좋은 안은 소수에 그치는 사례를 여럿 경험했다. 따라서 서울역 고가라는 프로젝트의 상황과 중요성에 적합한 공모 방식을 택한 것이다. Q. 어떠한 절차를 통해 7명의 건축가 및 조경가를 선정하였는가? 지명초청의 경우 대개 참가의향서(RFQ)나 개략 구상안(RFP)을 받는 과정을 거쳐 지명초청자를 선정한다. ‘서울역 고가 기본계획 국제지명 현상설계’의 경우, 참가의향서 공모 공고 및 적격 심사 등의 절차를 진행했는지, 만약 이러한 절차를 생략했다면 그 이유가 무엇인가? 또한 지명초청된 7명의 건축가 및 조경가는 각각 어떠한 기준과 이유로 선정된 것인가? A. 지명을 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고, 어떤 방식이 옳다고 말할 수 없다. 이번 프로젝트의 성격상 통상적 업역의 테두리 안에서 작업을 하기보다는, 건축이나 조경의 영역을 넘나들 수 있는 디자이너가 적합하다. 예를 들어, 건축가라 하더라도 조경 쪽으로 한 발 다가설 수 있는 지향점을 가진 사람이어야 한다. 이번 공모에서는 그런 작업에 경험이 있는 사람들을 초청한 것이다. Q. 건축가와 조경가의 안배가 있었나? A. 그간 이런 질문을 상당히 많이 받았다. 조경계 뿐만 아니라 도시 분야에서도 유사한 문제 제기가 있다. 그러나 이제 건축, 토목, 조경 이런 식으로 나누어 자신의 영역을 주장하기보다, 더 큰 건조 환경으로 생각했으면 한다. 일례로 최근 당인리발전소의 경우 각 영역별로 분리되어 서로 소통이 없는 것이 큰 문제다. 이번 공모전을 통해 도시와 접목된, 새로운 지향점을 가진 좋은 사례가 만들어진다면, 여러 건축가나 조경가들에게 전하는 메시지도 있지 않겠느냐. 또한 참여자들에게 건축·조경·구조의 협업을 전제로 작업의 결과를 요청했으므로 다른 분야의 참여자들이 당연히 포함될 것이다. 이제는 조경가들도 도시와의 접목을 지향하는 다양한 선례들을 만들어 보여줘야 한다. Q. 이 프로젝트를 두고 “너무 빠른 진행 과정 자체가 문제”, “과정도 작업의 일부”인데 그것이 간과된 것 같다는 지적들이 있다. 최근 해외 설계공모의 경향을 보면, 공모전 자체가 지역 주민 및 전문가들과의 적극적 소통을 통해 더 나은 해법을 찾아가는 과정으로 기획된다. 즉, 공모의 전 과정에서 이루어진 모든 논의와 경험을 공공의 지식, 공공의 성취로 확대하고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앞으로 공모를 어떻게 진행할 것인가? A. 당선안이 바로 실현되는 것이 아니라 중간에 많은 단계를 거칠 것이다. 민간에서 시작된 일과 공공이 하는 일은 좀 다르다. 민간에서 진행하는 일들은 조직을 만들고 틀을 짜는 데 거의 5~6년이 걸린다. 그러나 공공이 하는 일에는 기본적인 틀이 있고, 그 틀에 맞추어 진행된다. 공모는 공모대로 진행하고, 시민들과의 소통도 함께 진행할 것이다. 요즘도 상인회나 관련자들과 지속적으로 회의를 하고 있다. 이러한 논의 결과 중 중요한 내용을 공모에 반영하고, 당선안이 나온 후에도 논의를 반영하는 과정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번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외부 의견을 듣기위해 자문회의를 하면, 할 때마다 매번 논의가 처음부터 다시 시작된다는 점이 어려움으로 다가온다.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회의 때마다 절차의 문제를 지적한다면 자문회의는 계속 겉돌게 된다. 이미 어느 정도 틀이 잡혔다면 그 상황에 걸맞는 논의가 이루어져야 하지 않겠나. 물론 극단적인 상황을 가정한다면, 설계공모의 당선안을 뽑아 놓고 실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렇지만 지금은 그러한 이야기를 할 단계가 아니라고 생각한다. 서울역 고가 프로젝트는 단독 프로젝트가 아니라 네트워크 프로젝트라고 생각한다. 지난 기자 설명회에서 17개의 길이 부각되면서 다소 과장된 부분도 있지만, 이 프로젝트는 하나의 긴 프로젝트가 아니라 부분(퇴계로 주변, 한강대로 주변, 서울역 광장, 북부역세권, 만리동, 청파동 램프 등)으로 이루어진 집합체라고 생각한다. 예컨대 이번 설계공모는 ‘서울역 7017 프로젝트’라는 광범위한 재생 프로젝트에서 하나의 수단이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공공 프로젝트는 어떻게 진행해야 하는지 틀을 만들어야 할 것이다. 일례로 디자이너들이 설계공모 당선 이후 설계안이 변경될 수 있다는 두려움을 안고 있는 경우도 있다. 단순히 당선안을 결정하고 계약을 하는 것이 공모의 역할이라기보다 그 사이에서 조율을 잘 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회적 합의의 부재 서울역 고가 프로젝트를 둘러싼 논란은 대략 세 가지 방향으로 압축된다. 첫째, 교통 문제나 상권, 노숙자 문제의 대안에 대한 우려. 둘째, ‘서울역 고가가 과연 원형 그대로 보존해야 하는 근대 산업 유산인가’ 혹은 ‘그 유산을 기억하는 방식이 꼭 고가 보존이어야 하냐’는 문제. 마지막으로 빠른 추진 속도와 절차에 관한 문제다. 이 모든 논란에서 가장 선행되는 것이 바로 속도와 과정에 대한 우려다. 주최 측이 강조하고 있는 서울역 고가의 안전 문제가 사회적 합의나 공론화의 부재에 당위성을 부여할 수 있는지, 다른 임시 조치로 소통의 시간을 확보할 수는 없는지 의구심이 들지만, 이제 서울역 고가의 재활용 혹은 공원화는 이번 설계공모공고를 통해 기정사실화된 것처럼 보인다. 주최 측이 밝히고 있듯 ‘과정’이 중요한 프로젝트라면, 공모의 과정 역시 투명하고 좀더 소통적인 공모의 방식을 모색해야 하지 않을까. 최근 해외 여러 설계공모는 그것이 지명초청의 형식이든 공개경쟁의 방식을 취하든 설계지침서 작성 단계부터 지역 주민 혹은 전문가들과 소통하고 협업하며 지역의 문제를 이해하고 대안을 찾아가는 일련의 과정을 공모의 중요한 일부로 삼고 있다. 그러나 2014년 9월 박원순 서울시장의 서울역 고가 공원화 발언 이후, 10월 고가 개방 행사, 11월 서울역 고가 활용 방안 아이디어 공모, 2015년 1월 국제 설계공모 공고 그리고 5월초 당선작 발표까지 그 빠른 속도는 물론, 단계별로 베일을 벗듯이 진행되는 공모 진행은 기존의 공공 프로젝트 추진 방식의 틀에서 벗어나지 못한 것처럼 여겨진다. 추진 상황에 걸맞는 좀더 성숙한 사회적 논의가 이루어지기 어려운 점은 첫 단추가 서둘러 끼워지면서 이미 예견되었던 일이다. 지명초청자들이 적절한가, 혹여라도 주최 측의 의도대로 움직여줄 사람을 찾은 것이 아니냐는 의혹의 목소리는, 사회적 합의 없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불거진 불신일 것이다. ‘보행 중심의 도시’와 ‘재생’의 가치만으로 여러 결정과 절차의 당위성을 확보하려는 태도는 서울역 고가 프로젝트에 우려의 시선을 보내는 시민과 전문가들이 소통의 당사자가 아니라 설득과 계몽의 대상에 불과한 것이 아닐까 하는 두려움을 불러일으킨다. 수많은 이해당사자와 관련 전문가들과 사회적 합의를 끌어내며 공공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일은 행정의 틀 안에서 일을 추진하는 입장에서는 상당히 지난하고 비효율적으로 여겨질 수 있겠지만, 그러한 과정이 지금 이 시대의 공공 프로젝트에 필요한 도전이 아닐까.
    • 김정은 / 2015년03월 / 323
  • 서울역 고가 공원화로 도보관광 네트워크 구축 추진 ‘서울역 7017 프로젝트’ 기자 설명회
    서울시는 지난 1월 29일 서울시청에서 ‘서울역7017 프로젝트’ 기자 설명회를 열고 서울역 고가 공원화 사업을 공식적으로 발표했다. 시가 발표한 서울역 고가 공원화 사업의 큰 방향은 “17개의 보행로를 신설해 서울역 주변을 역사·문화·쇼핑으로 연결되는 도보관광 명소로 탈바꿈”하는 것이다. ‘서울역 7017 프로젝트’는 두 가지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17개의 보행로를 신설해 서울역 주변을 연결하는 도보관광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과 이를 통해주변 개발 계획과 연계해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는 것이다. 부차적으로 서울역 주변의 녹지축을 연결하는 거점으로서 역할도 기대하고 있다. 서울역은 서소문공원, 숭례문, 서울성곽길 등으로 이어지는 요충지에 자리하고 있으나, 차량 중심 구조로 인해 주변과 연계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지적되어왔다. 이에 고가를 활용해 서울역 주변을 ‘차량 중심’에서 ‘보행 중심’으로 바꾸어 네트워크를 구축하겠다는 것이 시의 입장이다. 구체적인 계획으로는 먼저, 서울역 광장에서 고가로 연결되는 상하부를 수직으로 연결하기 위해 에스컬레이터 등을 설치하고, 인근 빌딩 3~4층에서 고가로 바로 진입할 수 있는 접근로를 연결한다. 또한 퇴계로 접속 부분 고가는 직선거리에 있는 남대문시장, 남산공원으로 향하는 한양도성이 있는 곳까지 길이를 200~300m 연장하며, 중림동 램프는 북부역세권 개발을 위해 철거될 예정이다. 이는 현재 진행 중인 서소문역사공원 조성 사업과의 연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다. 서울역 고가 주변의 아파트 주민과 생업을 잇는 상인들 사이에는 서울역 고가 공원화 사업에 대한 입장에 온도 차가 있다. 거주민들은 주거 환경 개선 및 집값 상승 등에 대한 기대감을 비치는 반면, 봉제 업체와 남대문시장 상인들은 고가를 공원으로 만들 경우 인구 유입이 줄어들고 배달이나 물품을 들여오는 데 시간이 더 들어 생업에 영향을 미친다는 이유로 반대 입장을 표명해왔다. 이러한 이유로 남대문시장 상인들은 대체 교량 신설과 교통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있다.시는 이날 발표에서 남대문상인회가 제기해온 상권침체와 교통 체증에 대한 방안을 제시했다. 교통과 관련해서는 남대문시장을 경유하는 버스 노선을 놓고 광역버스와 공항버스 노선을 퇴계로로 분산시켜 대중교통 접근성을 강화하며, 퇴계로를 서울시티투어버스와 남산순환버스의 코스에 추가할 계획이다. 남대문 인근 도로는 왕복 6차로에서 4차로로 변경해관광버스, 조업차량, 오토바이 주차장 등을 신설하고 보도도 확장한다. 상권 침체에 대한 대책으로는 중림동 봉제 등 토착산업 활성화를 지원하고, 서계동 지구단위 계획구역 보완, 중림동 청소차고지 이전 등의 지원을 강화한다. 또한 서울시와 코레일, 민간 사업자 간 협력 체계를 구축해 서울역북부역세권 개발 사업과 ‘서울역7017 프로젝트’를 연동하며, 오는 12월까지 서울역 일대 종합발전계획을 수립해 도시 계획적 차원에서 지원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사업 절차에 대한 논란과 반대 여론이 이는 것을 소통 체계가 미흡했던 것으로 판단, ‘시민위원회’와 ‘고가산책단’ 운영을 통해 시민참여형 의사결정 체계를 구축하고, 이해당사자 그룹(남대문상인회, 주변 건물주)과 전문가, 행정이 함께 고민하며 주기적으로 여론을 수렴해 나갈 예정이라고 전했다. 한편, 서울시는 오는 4월 24일까지 ‘서울역 고가 기본계획 국제지명 현상설계’를 추진하고, 당선작을 바탕으로 하여 2017년 준공을 목표로 사업을 시행할 계획이다.
  • Shared Cities ‘2014 유럽 도시 공공 공간 대상’ 수상작 전시
    바르셀로나 현대문화센터Centre de Cultura Contemporàia de Barcelona(CCCB)는 2000년부터 2년마다 ‘유럽 도시 공공 공간 대상European Prize for Urban Public Space’을 개최해 왔다. 유럽 전역에서 재생되었거나 새로 조성된 공공 공간 중에서 잘된 곳을 선별하고, 그 결과를 유럽 곳곳의 주요 미술관 및 박물관에서 공개한다. 건축가와 도시설계가 등의 전문가와 시민이 같은 주제에 대한 생각을 공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더 나은 도시 경관을 만들어가려는 취지로 기획된 전시다. 여덟 번째로 열린 ‘2014 유럽 도시 공공 공간 대상’에는 194개 도시에서 총 274개 작품이 제출되었고, 그 중 두 개의 공동 당선작과 6개의 특별상, 그리고 19개의 최종 결선 진출작이 선정되었다. 핀란드건축박물관Museum of Finnish Architecture(MFA)에서는 3월 15일까지 ‘공유 도시Shared Cities’라는 제목으로 수상작들의 완공된 모습은 물론, 이러한 공간들이 어떤 과정을 거쳐 새롭게 재구성될 수 있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본지에서는 공동 당선작 두 작품과 더불어 특별상 일부를 소개한다. 마르세유 ‘뷰포트’ 재생 사업, 공동 당선작 뷰포트Vieux-Port는 유럽에서 가장 큰 항구로서 과거 프로방스Provence 지역의 경제적 기반이었다. 20세기에 접어들면서, 뷰포트는 그 입지적 중요성과 아름다운 항구의 모습에도 불구하고 점차 사람들의 발길이 줄어들었고, 보행자의 안전도 보장할 수 없는 공간이 되어 버렸다. 2009년부터 진행된 뷰포트 재생 사업을 통해 차량의 접근이 제한되고, 보행자의 편의를 위한 여러 가지 시설이 도입되었다. 새로 건설된 부양식 부두floating dock는 다양한 수상 활동의 기반이 되고, ‘그랑드 옴브리에레Grande Ombrièe’라 불리는 1,000m2 면적의 직사각형 캐노피는 뷰포트를 찾는 사람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한다. 유럽의 많은 항구 도시가 경제적 불황 속에 공공 공간으로서 제 역할을 못하는 가운데, 이 ‘오래된 항구’는 새로운 모습으로 더 많은 사람들을 끌어모으고 있다. 엘체 ‘브레이디드 벨리’, 공동 당선작 비날로포 강Vinalopo River은 스페인의 엘체Elche 지역을 지나면서 그 폭이 매우 좁아진다. 상류로부터 물이 과도하게 유입되거나 폭우가 쏟아지는 날이면 홍수 피해가 발생할 수밖에 없는 구조다. 1970년대 축조된 제방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성공했지만, 동시에 도시를단절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2009년에 이르러, 시는 둑을 허물지 않으면서도 단절된 공간을 연결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찾고자 공모전을 개최했다. 당선작 ‘브레이디드 벨리Braided Valley’는 문자 그대로 벌어진 계곡을 다시 (교각으로) ‘땋아보겠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작품이다. 3km의 선형 공원에 건설된 Y자 형태의 다리는 단절되었던 엘체 지역을 단순히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것뿐만 아니라,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알타흐 ‘이슬람 장례식장’, 특별상 알타흐Altach는 오스트리아에서 가장 많은 이슬람교도가 살고 있는 지역이다. 커뮤니티가 확장됨에 따라 종교 행사는 물론 장례식을 치를 공간마저 부족하게 되었고, 알타흐 시는 새로운 이슬람교식 장례 공간을 조성하게 되었다. 무살라Musallah(이슬람교 예배당)를 비롯한 모든 장례 공간은 메카Mecca를 향하고 있으며, 5개의 묘지와 죽은 자의 몸을 씻기는 세정소도 마련되어 있다. 9년에 걸친 충분한 자료 조사와 의견 수렴을 통해 완성된 이 새로운 종교 시설은 이민자와 같은 소수 집단의 필요를 충족하는 현대적 공공 공간으로 평가받고 있다. 리폴 ‘라 리라’ 극장 재생 사업, 특별상 스페인 리폴Ripoll 지역 의회는 수년간 버려져 있던 ‘라리라La Lira’ 극장의 새로운 이용 방법을 찾기 위해 지난 2003년 설계공모를 개최했다. 당선된 아란다 피젬 비랄타 아키텍츠RCR Aranda Pigem Vilalta Arquitectes SLP는 ‘라 리라’ 극장의 부식된 벽면을 헐어버리지 않고, 구조체 내부를 보강하는 보존 중심의 설계안을 제시했다. 이 설계안에는 특별한 장식이나 추가되는 공간도 없지만, 오히려 극장이 기존 경관과 쉽게 어우러지도록 계획되었다. 현재 새로운 옷을 입은 극장은 마을의 입구 광장으로 활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19세기에 조성된 마을 시장과 기차역 주변 상권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런던 ‘라인햄 습지’, 특별상 라인햄 습지Rainham Marshes는 런던의 동쪽 경계를 이루고 있는 범람원으로서 북쪽의 템스 강Thames River까지 이어진다. 이 지역은 런던이라는 대도시에 인접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중세 시대의 경관적 특징을 유지하고 있으며, 철새 도래지와 희귀 식물의 서식지라는 점에서 국가 차원의 보호가 이루어지는 곳이기도 하다. 시당국은 시민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자연스러운 환경 보호 교육이 이루어질 것이라 기대했고, 지난 2006년부터 왕립조류보호협회Royal Society for the Protection of Birds의 협조 하에 벤치와 같은 간단한 시설물부터 조류 관찰대와 같이 적극적인 체험을 유도하는 시설물까지 단계적으로 도입하게 되었다. 런던 시민들은 런던 내에서 이와 같은 특별한 자연 환경을 만나볼 수 있다는 것이 라인햄 습지의 가장 큰 장점이라 말하고 있다. 헬싱키 ‘바아나’ 차 없는 거리, 특별상 핀란드어로 철로를 뜻하는 바아나Baana는 도심 한 가운데를 관통하는 길이 1.5km, 깊이 7m의 철로였다. 2008년에 이 철로의 종착점인 랜시사타마Läsisatama항구가 폐쇄되었고, 바아나에도 더 이상 기차가 오가지 않게 되었다. 시당국은 버려진 철로가 도시 경관을 저해한다고 판단하여 이 곳을 덮어버릴 계획을 진행하지만, 그 비용과 공사 완료까지의 시간을 감당하기 어려웠다. 시민 공청회에서는 보행자와 자전거를 타는 사람들을 위한 공간으로 만들자는 의견이 제시되었고, 자전거 전용 도로와 도심에서 연결되는 보행 슬로프가조성되었다. 일시적인 방책으로 진행되었던 이 계획은 특한 경관의 ‘차 없는 거리’로 전했고,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공공 공간으로 기능하고 있다.
    • 양다빈 / 2015년03월 / 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