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조경을 말하다(4)
    온고이지신(溫故而知新)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어떤 일을 결정할 때 7대 후손까지 고려하여 결정했다서울은 이제 생긴지 60년이 지난 낡은 도시다. 1960, 70년대에 지어진 콘크리트 건물들이 이전 및 수요의 급감으로 인해 그 용도를 잃었고 이는 도시의 골칫거리가 되고 있다. 비단 서울뿐만 아니라 각 지방에서도 마찬가지의 문제들이 해결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따라서 앞으로의 도시계획은 무조건적인 신도시 건설이 아니라 어떻게 도시를 재생시킬 수 있을지가 관건이 될 것이다. 용도가 사라진 건축물과 기반시설들을 안고 있는 구도시와 새로운 욕구를 가진 신 수요계층이 어떻게 하면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지가 문제해결의 핵심이다. 우리는 여기서 “어떤 일을 결정할 때는 7대 후손까지 고려해야 한다”고 하는 아메리카 원주민들의 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그동안 대한민국의 재개발 방식은 이렇다. 지방자치단체에서 재개발 기본 계획을 세우고 구역을 정한 뒤, 구역 내 부동산 소유자들이 조합을 만들어 시공사를 선정(대개 대형 건설사가 선정되기 마련이다)하고 선정된 시공사가 기존의 모든 건물을 철거한 뒤 주거단지를 조성한다. 이 과정에서 집값이 치솟게 되고 따라서 이 집값을 감당할 수 있는 이들이 주택과 상가를 분양 받게 된다.위와 같은 상업적 이해를 앞세우는 대형 건설사 주도의 한국형 재개발 관행은 세입자 보상 갈등, 용적률을 높이는데 치중한 고층 아파트 일색의 획일적 주거 형태 양산, 과도한 집값 상승에 따른 서민들의 박탈감, 개발 이익이 건설사와 투기꾼 등 소수에게 집중되는 현상 등 많은 문제를 드러냈다. 위에 열거한 문제들의 비극을 극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예가 바로 지난 2009년 1월에 발생한 용산참사이다.이제 우리나라도 이러한 무차별적인 개발 풍토에서 벗어나 더불어 사는 도시를 만들려는 노력과 함께 재생을 근간으로 도시 재개발에 임해야 할 때가 아닌가한다. 우리나라가 안고 있는 문제점들을 이미 경험하고 이에 대한 해결점을 모색한 세계의 몇몇 도시를 살펴봄으로써 우리가 나아갈 방향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하자.
  • 고정희의 식물이야기(8): 사람과 같이한 식물의 긴 역사 1
    자원에서 녹색의 구원자로갑자기 너도나도 녹색시대를 말한다. 마치 주문이라도 외는 성싶다. 녹색이 아니면 이제 말이 아니다. 녹색의 말이 너무 많아서 말이 녹즙이 되어 흐를 것만 같다.녹색시대라면 식물의 시대라는 뜻일 것이다. 사람도 녹색이 아니요, 동물도 녹색이 아니고, 돈도 만 원짜리 지폐 빼고는 녹색이 아니니, 녹색시대는 식물의 시대라야 마땅하다. 이제 인류는 녹색에 다시 희망을 걸고 있다. 자원식물로 실컷 쓰고 당연시 여기고 무관심했던 식물들에게 이제 지구의 건강을 책임지우려 한다. 하긴 식물이 아니면 지구와 사람의 건강을 누가 챙기겠는가. 식물의 끝없는 가치가 새삼스럽게 다가온다. 식물이 세상의 주인 자리를 되찾으려나보다. 그런 의미에서도 식물의 자원가치에 대한 이야기를 마무리하고 식물과 사람과의 긴 역사를 한 번 되돌아 볼 때가 되지 않았나 싶다. 지난 회에 말한 식물의 족보를 찾겠다는 것은 바로 이 뜻이다.사람과 식물은 참으로 긴 세월을 함께 했다. 그 긴 세월 속에 식물이 사람에게 단순히 쓰임새 있는 존재이기만 했던 것은 아니다. 정원은 어떠한가. 정원 속의 식물은 쓸모 있는 식물이 아니다. 아니면 가장 쓸모 있는 식물인가? 정원의 역사가 오래되고 보니 정원 속에서도 식물의 의미가 많이 퇴색해 버렸다. 이제 정원에서도 녹색 주문을 외야 할 것인지.정원을 만드는 사람들은 정원에 심을 식물들을 선발함에 나름대로 기준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 기준을 두고 식물을 선발하는 편이 전혀 무방비 상태에서 출발하는 것보다 유리하다. 물론 그 기준은 다양할 수 있다. 소위 말하는 ‘정원의 장소성’이라는 것을 식물에게 한 번 맡겨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이다. 식물을 통해 정원에 이야기를 담아 낼 수도 있다. 그러려면 우리가 먼저 식물이 들려주는 이야기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식물도감에 나오는 식물학적 지식이나 생태적 특성만 가지고는 부족하다.식물들은 자신들의 이야기를 아주 오래된 과거 속에 묻어두고 왔다. 그 이야기를 들으려면 우선 식물이 걸어온 길을 되짚어 가야 한다. 그 끝은 아마도 신화의 시대일 것이다. 신화의 시대에 사람들은 식물이 들려주는 이야기에 귀를 기울였었다.
  • 이야기 따라 밟아본 삼국지 유적과 경관(9)
    전설의 신의 화타의 고향 박주 화타(華陀)의 고향 패국 초군은 현재 안휘성 박주로서 조조도 동향사람이다. 박주 시내에 들어서니 두 사람과 관련된 유적들이 여기저기 있었다. 시내 가로 한복판에 거대한 조조석상이 서 있고, 가족묘를 중심으로 조씨공원, 군사훈련 시설이었던 조조운병도 등이 있었고, 화타의 출생지에 화조암, 대규모 약재시장이 시내 중심지에 있었다. 시내에 위치한 화조암 입구에 들어서면 화타상과 화타에 관련된 자료가 전시된 화타기념관이 보인다. 이어서 화타가 태어난 바로 그 장소에 화타의 호를 따서 원화초당을 세우고 화타상을 모셔놓았다. 그 일대에는 아름다운 정원과 연못이 있고 오금희를 시연하는 오금희단이 있다. 후원으로 들어서면 각종 약초를 재배하던 약초원으로 이어진다. 화타는 오금희(五禽戱)라는 양생법에 능통했는데, 오금희라는 것은 호랑이, 사슴, 곰, 원숭이, 새의 동작을 모방한 운동으로 수련하면 병이 없어지고 수족을 자유롭게 하여 기맥을 통하게 한다는 것이다. 제자 오보(吳普)가 이 도인술을 시행하여 90세까지 젊은이같이 살았다고 한다. 기념관에는 이 동작을 보여주는 벽화가 전시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