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살아있는 것은 다 아름답다
    「한겨레」 토요일 판의 작은 지면에 4주에 한 번 칼럼을 싣고 있다. 조금 더 많이 읽히기 바라는 마음에 쑥스러움을 누르고 페이스북에 공유하곤 하는데, ‘브릭웰(Brickwell)’을 다룬 6월 27일 자 칼럼 “함께 쓰는 도시의 우물”에는 평소보다 많은 ‘좋아요’가 달렸다. 글의 마지막 문장처럼, 깊은 우물 밑 잔잔한 수면에 떨어지는 빗소리를 들으며 장마철 오후를 보냈다는 문자 메시지를 여러 통 받았다. 건축가 강예린·이치훈SoA과 조경가 박승진loci이 설계한 경복궁 옆 고즈넉한 통의동 골목의 브릭웰. 편안하면서도 묵직하고 튀지 않으면서도 세련된 건물의 지상층이 뻥 뚫려 있다. 안으로 몇 걸음 들어서면 식물도감을 펼친 듯 밀도 있는 숲. 우물처럼 깊은 원통형 숲 아트리움 위로 고개를 들면 초현실적인 하늘 풍경. 이방인을 환대하는 이 ‘공공의 정원’을 통과하면 서촌의 오랜 기억을 담은 백송터로 연결된다. 브릭웰은 개인이 소유한 장소지만 누구나 들어가 산책하고 앉아 쉴 수 있다. 그러나 이런 공간사회학적 의미가 감각적 체험과 미학적 참여를 짓누르지 않는다. “살아있는 것은 다 아름답다”는 조경론을 과장과 과잉 없이 구현해온 박승진의 안목과 솜씨 덕분일 것이다. 이달에는 ‘브릭웰 정원’과 함께 박승진의 근작 ‘아모레퍼시픽 원료식물원’, ‘어퍼하우스 남산 전시관’을 묶어 특집 지면을 꾸린다. 세 작업은 여러 지면에 소개된 박승진의 전작들과 마찬가지로 자연이라는 현상 혹은 대상에 대한 그의 성찰과 실험을 선명하게 드러낸다. 그는 “시원한 그늘을 만들어주는 나무 몇 그루, 철마다 번갈아 꽃을 피우는 꽃나무와 작은 풀들이면 족하다. 여기에 더해 나비를 보고 새소리를 들을 수 있다면 고마운 일이다”(27쪽)라고 겸손하게 말하지만, 사실 브릭웰이나 어퍼하우스 남산은 모두 “공간적 한계, 여기에 자연의 일부를 이식한다는 역설”(42쪽)이며 그런 역설이 낳는 “부조화를 할 수 있는 한 가득 채우는”(47쪽) 비평적 작업이기도 하다. 프로젝트가 끝나도 장소는 늘 자란다. 그의 말처럼 “계절은 늘 흐르고 식물들도 변신을 거듭하면서 성장하고 번성한다. 그 모습을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자연은 놀랍고 늘 경이롭다”(39쪽). 자연을 묻고 답하는 박승진의 다양한 형식의 글들에는 이론과 실천이 교차한다. ‘그래서 조경은 결국 무엇인가’라는 학부생들의 도전적 질문에 횡설수설하는 날이면, 도시의 온갖 소란과 소음에 지치는 날이면, 나는 박승진의 글을 꺼낸다. 우연히 펼친 아무 쪽이나 읽더라도 마음이 차분해지고 뒤엉킨 생각이 정리된다. 활자 사이사이로 그의 작업들이 겹쳐 떠오른다. 내가 가장 즐겨 읽는 박승진의 글은 남기준이 편집한『 텍스트로 만나는 조경』(나무도시, 2007)의 한 챕터인 “조경의 영원한 로망, 자연”인데, 그중에서도 “살아있는 것은 다 아름답다”는 제목을 단 부분은 다시 읽어도 언제나 새롭다. “생명이 있는 것은 멈추지 않으며, 자연은 그 멈추지 않는 존재들로 가득하다. 푸른 하늘을 무리지어 나는 새들이 지나간 자리에 별들의 운행이 시작된다. 해가 뜨고 달이 지는 사이 식물들은 피어나기와 움츠리기를 반복한다. 물은 높은 곳에서 바다를 향해 흐르고 그 긴 여정 동안 대지를 적시고 꽃들을 피어나게 만들며, 목마른 존재들의 갈증을 풀어준다. 땅은 모은 것을 받아들인다. 날아온 풀씨를 품어 생명으로 피어나게 하고, 나무들을 곧추세워 자라게 하며, 양분을 아낌없이 내줌으로 그것들이 단단한 결실을 맺게 해준다. 땅은 눈에 보이지 않는 온갖 미물微物들의 보금자리며, 거만한 인간들에게도 영원한 안식처가 된다. 풀과 나무들은 물과 땅과 해와 더불어 자라남으로 움직이는 모든 존재들의 양식이 되어준다. 꽃을 피워 우리들의 가슴을 매혹케도 하며, 그 충만한 몸체를 내어줌으로 생명이 쉬어갈 거처를 허락하기도 한다. 낮이 가고 밤이 오듯, 자연은 곧 움직임의 결과다. 창세 이후 단 한 번도 지구는 태양과 더불어 운행을 멈춘 적이 없다. 봄비가 내리고, 개구리가 깨어나며, 이삭이 달리고 이슬이 맺히는 절기적 자연 현상은 바로 이 우주적 관계에서 비롯된 것이니, 아무리 작은 생명체 속에서도 온 우주의 기운이 미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다음 문단에서 박승진은 조경을 이렇게 정의한다. “조경은 바로 이러한 우주적 움직임과 관계에 대해 주목하는 작업이다. … 조경은 자연과 더불어 시간을 엮어내는 일이라는 점에서 여타의 디자인과 다른 본질적인 차별성을 가질 수밖에 없다.” 그는 아름다운 글을 이렇게 맺는다. “동시대 조경이 자연에서 희망을 찾는다면, 우리는 이 소중한 일을, 경관을 조화롭게 만드는 일, 곧 조경調景이라고 불러도 좋지 않겠는가.” 이번 달 특집에서 우리는 박승진의 조경造景 아닌 조경調景을 만날 수 있다.
  • [풍경 감각] 있지도 않은 풍경은 아름답고
    “아름답다”고 말하면 친구들은 의아한 표정을 짓곤 했다. 일상에서 잘 쓰지 않는 표현이기도 하고, 어디가 어떻게 아름다운지 되묻는 말에 설득력 있는 대답을 못했기 때문일 듯하다. 그렇지만 이 글에서는 아름답다고 하고 싶다. 있지도 않은 어떤 풍경1에 대해. 조경학과에 다니는 동안 꽤 여러 번 말도 안 되는 설계를 했다. 모래 유실로 사라진 해수욕장을 대신할 인공 구조물을 바다 위에 띄우거나, 쪽방촌 주민들이 잠시 햇볕을 쬐고 구름을 구경하도록 공터에 주변 건물보다 높은 공중 데크를 디자인했다. 부루마블 게임을 한 뒤 게임판 위에 세워진 건물대로 공간을 만들겠다고도 했다. ...(중략)... *환경과조경388호(2020년8월호)수록본 일부 1. 이번 글과 그림은 이제니의 시집 『있지도 않은 문장은 아름답고』의 도움을 받았다.
  • [비트로 상상하기, 픽셀로 그리기] 그래스호퍼 연대기 Ⅱ
    변신 Ⅱ 카프카의 ‘변신’은 다양한 의미로 해석된다. 실제로 변한 것이 아니라 주인공 스스로가 변했다고 믿는 정신 착란 상태였다고 얘기하는 사람도 있고,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던 그레고르가 경제력을 잃자 나태해져 있던 가족들이 지금까지의 고마움은 잊고 갑자기 벌레 보듯 그를 바라보게 된 거라는 해석도 있다. 변신은 물론이거니와 ‘학술원에의 보고’와 ‘시골의사’ 등 그의 다른 단편들에서도 카프카는 아무것도 명확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물론 살면서 마주하는 모든 것들을 우리는 언제나 꽤 아는 것처럼 생각하지만 결국에는 아무것도 알 수 없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되는 것처럼, 그런 방식이 그가 유일하게 할 수 있는 위대한 표현 방법이었는지도 모르겠다. 그래스호퍼 연대기를 시작하고 나서 나 또한 실존적 모순에 빠지고 말았다. 내가 그래스호퍼를 알기 때문에 연재를 하는 것인지, 그래스호퍼에 대해 말해야 하기 때문에 안다고 생각하는 것인지, 그래스호퍼를 잘 안다고 추켜세워 주는 것을 사람들은 현대적인 유머처럼 즐기고 있는 것인지. 20대 이후에는 늘 결국 아무것도 의미 없을 거라는 근본적 허무를 가슴에 품고 살았다. 그러면서도 이 연재를 시작한 뒤 온갖 그래스호퍼 영상을 밤마다 보고 있는 나 자신이 이해가 안 간다. 이건 내가 아니다. 자각하지 못하고 있을 뿐 어느 시점에선가 정말 벌레로 변해버린 걸지도 모른다. 아니면 이해할 수 없는 사람들의 그 시선들이 사실은 진짜 나를 바라보고 있던 건지 도 모른다. 목록 Ⅱ 그래스호퍼로 할 수 있는 것들의 목록을 계속 나열해보겠다. 하지만 한 달쯤 지나 생각해보니 사실 그게 맞는 목록이었는지 잘 모르겠다. 그래스호퍼에 그래놀라와 요거트를 타서 단백질이 풍부한 저칼로리 디저트를 만든다고 한들 누가 뭐라고 할까. 그런 고민을 결국 떨쳐내지 못했다. 그래서 내가 그래스호퍼를 잘 알기 때문에 연재를 하는 사람인지, 잘 아는 사람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잘 알아야 하는 건지를 확인하기 위해 다시 술을 마시기 시작했다. 취하지 않고는 참을 수 없는 것들이 언제나 인생을 망치지만. 지난 연대기에서는 그래프 매퍼로 로프트를 하는 예시를 들어 파라메트릭 모델링을 진행하는 기초 구조를 설명했다. 이번에는 그 스크립트를 몇 단계 발전시켜 하나의 프로젝트 모델을 완성해보겠다. 그림 1은 스크립트의 전체 구조다. 00_Loft Base가 모델링의 기본 서피스를 구축하는 섹션이고, 여기에 논리 구조별로 01_Tween Surface, 02_Wood Generator, 03_Fish-Wave Maker 섹션을 단계적으로 구축해 모델을 발전시켰다. 1번부터 설명해보겠다. 트윈 서피스 트윈 서피스(Tween Surface)(그림 2)는 트윈 커브(Tween Curves)라는 명령을 사용해 두 개의 입력 커브 사이에 연속성을 갖는 새로운 면을 만드는 것이다. 여기서 제일 중요한 것은 선을 내가 그리는 것이 아니라 알고리즘을 통해 생성한다는 거고, 다음으로 중요한 것은 곡면의 연속성을 유지한다는 것이다. 라이노의 모든 커브 관련 명령어는 커브를 구성하는 정보들을 재구성해 새로운 결과 커브를 구축한다. 트윈 커브는 2개의 입력 커브 사이에 몇 개의 중간 커브를 만들지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면 A에서 B로 향하여 형태와 곡률의 연속성을 유지하며 점진적으로 변하는 커브들을 만든다. 나는 우선 A와 B 사이의 가상의 면을 7개로 나누는 참조 값을 대입해(레인지, Range 사용) 6개의 중간 커브를 만들었다. 그리고 입력 커브들을 포함 0에서 7번까지 총 8개의 커브를 0에서 6번, 1에서 7번의 두 그룹으로 나누고(시프트, Shift 사용) 그래프트Graft를 사용해 데이터 구조를 맞춘 뒤 로프트로 7개의 기본 서피스를 만들었다. ...(중략)... *환경과조경388호(2020년 8월호)수록본 일부 나성진은 서울대학교와 하버드GSD에서 조경을 전공했다.한국의 디자인 엘,뉴욕의 발모리 어소시에이츠(Balmori Associates)와 제임스 코너 필드 오퍼레이션스(JCFO)에서 실무 경험을 쌓았고, West 8의 로테르담과 서울 지사를 오가며 용산공원 기본설계를 수행했다.한국,미국,유럽에서의 다양한 경험을 바탕으로 귀국 후 파트너들과 함께 얼라이브어스(ALIVEUS)라는 대안적 그룹을 열었다.
  • [공간잇기] 흐릿한 고향 땅, 이야기 지층을 찾아서
    내 고향이니까 다시 돌아왔죠 멀리 북한 땅까지 한눈에 보이는 소이산 전망대에서 내려다본 철원평야는 과거 철원 시가지가 있던 곳이자 사방이 탁 트인 넓은 평원이다. 한국전쟁 때 피난 갔다 고향 땅이 그리워 다시 돌아왔다는 1928년생 임희순 할아버지는 더 이상 번성했던 구철원의 모습을 눈에 담을 수 없다. 한국전쟁을 겪으며 송두리째 사라진 고향은 이제 기억에만 존재해 이따금 꺼내 볼 뿐이다. 철원에서만 15대를 이어온 임 씨 집성촌에서 태어난 임 할아버지는 “철원은 대대로 땅이 비옥하고 좋아 쌀농사가 잘되서 어릴 적 가난하고 없이 살아도 흰 쌀밥만큼은 배부르게 먹었다”고 회상한다. 피난 가서 처음 보리밥을 접해 기름진 고향 땅이 더욱 그리웠다는 그는 친척이자 이웃이던 동네 사람들과 마당에 모여 쌀로 온갖 음식을 만들어 먹던 기억을 풀어놓는다. 마당의 모습, 가족 구성원, 멀리 보이던 석양과 초가집에 대해 구체적이고 생생하게 이야기하며 마치 그날 그때로 되돌아간 듯 얼굴에 미소가 가득하다. 철원역에 있는 쌀 저장 창고에 쌀 포대를 실어 나르던 일본군 트럭을 뒤따라 쫓던 기억부터, 학창 시절 철원역에서 금강산전기철도 타고 금강산으로 소풍을 갔던 추억, 해질녘 한달음에 뛰어올라 바라보던 숨 막히게 아름다운 철원평야와 시가지 풍경이 아직도 영화의 한 장면처럼 눈에 선하다. 모두 사라진 지 오래지만 할아버지에게는 절대로 잊히지 않는 애틋하고 번성했던 고향의 일상 풍경이다. 잘 알려지지 않은 일상의 장소, 철원평야 일상이란 매일 반복되는 생활을 의미한다. 개인과 역사, 사회뿐만 아니라 주변 환경과의 상호 관계성을 탐구하는 일상사 연구의 거장 알프 뤼트케는 역사 속 이름 없는 대다수 사람의 삶은 고난 속에서 일궈낸 생존의 역사이며 ‘역사 속의 일상들(historische altage)’이라 했다. 또한 역사학자 세르토(M. de Certeau)는 역사가들은 평범한 사람들의 흔적을 마을과 같은 일상의 장소에서 찾는다고 했다. 일상에 대한 탐구는 단순하거나 단편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고, 개인이 영향 받고 관계 맺는 생활 속 모든 대상과의 유기적 상호 관계를 세밀히 관찰해야 한다. 임 할아버지의 경험과 기억 속에 존재하는 고향의 마당, 골목, 평야, 석양의 모습은 유년 시절 일상의 장소에 관한 기억이다. 지극히 개인적인 소회가 담긴 이야기 속 철원역, 일본군, 쌀 저장 창고와 철원평야는 묵직한 역사의 흔적이기도 하다. 거시적인 역사의 흐름에 영향을 받은 개인의 소소한 이야기가 하나둘 모여 고향 땅의 흔적을 찾아주고 잘 알려지지 않은 이야기의 지층을 드러내는 중요 단서가 된다. 일상의 장소란 우리 주변의 평범한 환경이자, 자연적이고 문화적인 대물림 속에서 사람들과 관계 맺고 교류하며 지속적으로 발전하는 환경을 말한다. 개인이 애착을 갖는 일상의 장소에 대한 경험과 기억을 수집하고 이를 역사·문화적 맥락에 놓는 일은 평범한 일상에 의미를 부여하는 일이다. 비무장지대DMZ 접경 지역인 철원은 정치적, 지리적 특성이 마을 주민의 삶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 대표적 장소다. 남북이 번갈아 통치했던 수복 지구라는 특성과 1953년 정전협정 같은 사건은 철원의 역사·문화적 환경 조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굴곡진 역사의 철원평야를 터전으로 삼은 주민들의 일상이 녹아든 사라진 장소, 그곳에 얽힌 평범한 이웃의 이야기가 궁금했다. 피할 수 없는 역사의 소용돌이 속 처절한 일상은 자유와 목숨을 담보로 한 것이었다. ...(중략)... *환경과조경388호(2020년 8월호)수록본 일부 서준원은 열다섯 살부터 대학 졸업 후까지 뉴욕에서 약10년간 생활했다.파슨스 디자인 스쿨(Parsons School of Design)인테리어디자인학과에서 다양한 주거 공간에 대해 공부했고,한국인의 생활 환경에 대한 관심으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에서 석사를 마치고 박사를 수료했다. SOM뉴욕 지사, HLW한국 지사, GS건설,한옥문화원,서울대학교 환경계획연구소 등에서 약16년간 실내외 공간을 아우르는 디자이너이자 공간 연구자로 활동했다.한국인의 참다운 생활 환경을 위한 디자인의 본질에 대한 질문을 품고 다양성이 공존하는 도시 공간 연구를 위해 곳곳을 누비며‘공간 속 시간의 켜’를 발굴하는 작업을 긴 호흡으로 해오고 있다.
  • [북 스케이프] 정원, 제3의 자연
    존 딕슨 헌트(John Dixon Hun)t가 『그레이터 퍼펙션즈(Greater Perfections)』의 앞부분에서 가장 심도 있게 다루는 내용은 ‘정원이란 무엇인가’다. 모두가 아는 단어라도 일상과 학문에서의 쓰임이 다르니 그럴 때일수록 정의를 내리는 일이 중요하다. 정원에 대한 수많은 정의가 있으나 형태(둘러싸임)와 성격(즐거움 혹은 생산), 자연적 요소와 문화적 요소의 결합 등이 공통된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어원으로 보면 정원은 항상 위요되어 있거나 어떻게든 주변과 달라 보인다. 그렇다면 정원과 달리 보이는 주변은 어떤 곳이며, 어떤 이유로 정원은 다르게 보이는가? 르네상스 시대의 정원 연구에서 그 실마리를 찾아보자. 예술로서의 정원에 관한 논의는 르네상스 인문학자들에 의해 정교해졌다. 이들은 정원을 ‘제3의 자연(terza natura)’이라 칭했다. 헌트 등의 연구자들이 정원 이론 연구에 도입한 이 개념은 16세기 중엽의 르네상스 인문학자인 야코포 본파디오(Jacopo Bonfadio)와 바르톨로메오 타에조(Bartolomeo Taegio)등이 사용한 신조어다. 『그레이터 퍼펙션즈』에서 헌트는 본파디오의 서간문을 주로 인용한다. 동료 인문학자 플리니오 토마첼로(Plinio Tomacello)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본파디오는 고향 가르다 호숫가에 있는 자신의 시골집을 설명한다. 고대 로마의 소 플리니우스(Pliny the Younger)의 레토릭을 모방한 이 서간에서 그는 우선 주변 경관을 보고, 호숫가와 비탈로 시선을 돌리고, 이어 정원을 묘사한다. 그의 정원은 신화 속 헤스페리데스의 정원이나 알키노오스 왕의 정원처럼 과일이 풍성하며 행복하고 축복받은 곳이다. 이는 마을 사람들이 노력해 이룬 것으로, 자연이 예술과 결합되고 나아가 예술과 같은 성질을 띠게 됐다. 본파디오는 그 결과 ‘제3의 자연’이 생겨났다고 하는데, 용어를 따로 설명하진 않는다.1 타에조 또한 예술과 자연이 결합해 그 사이에 서 제3의 자연이 만들어질 수 있음을 알게 됐다고만 한다. ...(중략)... 각주 1. Jacopo Bonfadio, Lettere famigliari di Jacopo Bonfadio, Brescia: Presso JacopoTurlini, 1746, pp.12~20. *환경과조경388호(2020년 8월호)수록본 일부 황주영은 이화여자대학교에서 불문학과 영문학을 공부하고,미술사학과에서 풍경화와 정원에 대한 연구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서울대학교 협동과정 조경학전공에서 19세기 후반 도시 공원의모더니티에 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은 후 파리 라빌레트 국립건축학교에서박사후 연수를 마쳤다. 미술과 조경의 경계를 넘나들며문화사적 관점에서 정원과 공원, 도시를 보는 일에 관심이 많으며,이와 관련된 강의와 집필, 번역을 한다.그러는 동안 수많은 책을 사거나 빌렸고, 그중 아주 일부를 읽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