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신행정수도의 풍수지리적 입지여건
    e-매거진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 2003년11월 / 187
  • 이사무 노구치의 모에레누마공원
    모에레누마로 가는 길 더위가 한창이던 지난 8월, 일본 홋카이도의 삿포로에서 모에레누마(モエレ沼)를 찾아가고 있었다. 약 10년 전, 두근거리는 마음을 달래며 파리의 라빌레트공원(La Villette Park)을 찾아가던 내 모습이 떠올랐다. 빨강색 폴리와 초록색 녹음이 어우러진 감각적인 라빌레트를 보면서 “이것도 공원이구나, 공원을 이렇게도 만들 수 있구나”하며 감탄사를 연발했던 기억이 났다. 그런데 2003년 8월, 지금도 비슷한 설레임 속에서 또 다른 공원을 찾아가고 있다. 왜일까? 나는 모에레누마공원에 대해 몇 가지의 의문을 가지고 있었다. 왜 공원의 조성기간이 무려 20년이 넘었을까? 60만평(189ha)에 이르는 대규모 평지공원을 왜 시가지 외곽에 만들어야 만 했을까? 이 공원을 디자인한 이사무 노구치(イサム?ノグチ)는 분명 조각가 인데 어떻게 공원을 디자인하게 되었을까? 과연 조각가가 디자인 한 공원은 어떤 모습일까? 세 번째와 네 번째 의문은 본 글의 핵심부이니 뒤로 미루자. 원래 모에레누마는 삿포로의 북동부를 흐르는 토요히라강(豊平川) 지류의 범람원이자 늪지대였다고 한다. 요즘의 우리 상식으로는 당연히 친환경적인 보전을 하여야 할 대상인데도 삿포로시는 이 곳을 쓰레기매립장으로 사용함과 동시에 공원으로 조성하자는 엉뚱한 발상을 한다. 아마 삿포로 북동지역의 새로운 거점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었으리라 생각한다. 1979년부터 매립을 시작하여 1982년부터 공원의 기반공사를 개시하고 270만 톤의 쓰레기가 매립된 1990년부터 본격적으로 공원 조성을 시작한다. 결과적으로 이곳은 삿포로시 Leading Project의 일환으로 삿포로시 환상그린벨트 중 북동부 녹지벨트의 거점으로 계획한 것이다. 모에레누마공원과 이사무 노구치 내가 알고 있는 이사무 노구치는 세계적인 조각가이다. 일반적으로 조각은 일상생활과는 직접적인 관계를 맺지 못할 경우가 많고, 조각공원이라는 이름으로 기획적인 이벤트나 특정을 목적을 위해 녹지나 공원 속에 조각들이 놓여지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런데 왜 조각가가 공원을 설계하였을까? 그것도 60만평이라는 큰 땅을....”이라는 일련의 의문은 노구치에 대한 몇몇의 평전을 통해 해소할 수 있었다. 노구치는 1904년 미국 LA에서 미국인 아버지와 일본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나, 1924년 레오나르도 다빈치 스쿨에 입학하여 조각을 배운 후 세계적인 조각가로 활동하게 된다. 이러한 태생에 대한 배경과 어린시절에 대한 그리움을 근거로 하는 “귀속으로의 소망”은 노구치의 예술적 철학이 되었고, 이것이 모에레누마공원의 디자인 배경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노구치는 돌과 흙을 통해 여러 가지 모양을 가진 자신의 고향을 찾았던 것 같다. 이 때문에 어떤 평전에서는 노구치는 인생과 일을 떼어 놓고 보아서는 안되며, 그를 과감히 “지구인”이라 칭하고 있다. 원래 지구에는 국가, 국경, 인종의 구별이나 차별, 이데올로기 등이 없고, 인간, 동물, 물고기, 새, 벌레, 식물, 돌, 등 모두가 그것을 거처로 하는 모체이자 인간의 사회, 경제, 그리고 문화활동의 장소이듯이, 그는 평생을 자연과 인간을 하나로 묶는 일에 골몰했던 것 같다. “나의 창작에 대한 정열의 뿌리는 공간과 조각에 사람의 감성을 스며들게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는 단지 심미적인 목적만이 아니며 환상적 이미지는 더더욱 아닙니다. 그것은 우리의 현실, 즉 일상생활에 어떤 의미를 주고 역할을 제공하기 위함입니다.” 1986년 10월, 이사무 노구치 이런 예술적 철학을 가지고 있던 노구치는 1988년 봄 우연히 모에레누마를 만나게 된다. 모에레누마공원은 어떻게 보면 60여 년 동안 어린시절을 동경하며 자신이 품고 있던 자연과 조각의 만남을 통한 새로운 Playscape 창조를 위해 모든 것을 쏟은 작품이라 할 수 있다. 마치 곧 다가오는 자신의 죽음을 예견이라도 한 듯이....... 노구치는 1988년 5월부터 7여 개월 동안 작업을 마치고, 한 달 후인 12월에 뉴욕에서 생을 마감한다. 이렇게 모에레누마공원은 노구치의 유작이 되었다. 강 동 진 Kang, Dong Jin 경성대학교 도시공학과 교수
  • 연해주 삼림을 가다
    e-매거진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 2003년11월 / 187
  • 조경 ; 사람과 땅이 어울린 이야기 (18) - 11월 법규(法規)와 전통(傳統)
    법규와 공간 - 모든 땅엔 임자가 있다 세상의 모든 땅에는 주인이 있다. 땅 주인은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개인(민간이라고 표현하는 것이 좋겠다)이 아니면 공공(公共)이다. 여기서 민간이라 함은 개인일 수도 있고 개인들이 같은 이익을 위해 모인 집단일 수도 있다. 민간의 땅은 개인에게 속해있고 공공의 땅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에 속해있다.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에 속해있다는 말은 결국 그 땅이 특정 개인의 소유가 아니라 우리 모두의 소유라는 얘기다. 주택과 주택에 속해있는 정원은 민간의 땅이다. 몇 천 세대가 몰려 살건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도 민간의 땅이다. 집 대문을 벗어나자마자 만나는 도로와 공원 등은 모두 공공의 땅이다. 하천이나 강 그리고 바다도 공공의 땅이다. 잘 아시겠지만 땅의 소유문제는 사회주의 또는 공산주의 국가와 일반 민주주의 국가를 구분하는 단초가 된다. 물론 영국처럼 민주주의 국가의 경우에도 사회주의 국가와 마찬가지로 땅의 공개념을 강조하며 땅에 관한한 민간의 소유보다는 공공의 소유에 가치를 더 부여하는 국가도 없진 않다. 법규는 민간의 땅이라 할지라도 개인이나 집단이 마음껏 재산권 행사를 하도록 놔두지 않는다. … 중략 … 전통의 계승 - 모든 것엔 뿌리가 있다 설계란 전문분야에서 전통적인 양식을 적용하는 일은 그리 쉽지 않다. 전통적인 양식이란 말 자체에 이미 현 시대에서는 아웃데이트(outdate)되어있는 낡은 문화라는 의미가 내재해 있기 때문에 전통적인 양식과 우리가 현재 몸을 담고 있는 현(現) 문화와의 상충은 언제나 예정되어 있다. 일본의 민속주거가 그랬듯이 우리의 전통주거들도 그 명맥을 유지하기 어려웠던 이유가 그 때문이다. 역설적으로 현 문화와의 타협을 통해 살아남은 것들은, 그러니까 현 시대의 요구에 따라 모습을 조금씩 바꾼 경우겠는데, 이럴 경우 현 시대 문화의 강력한 색깔에 가려져 전통이란 이름으로 불리지 않는 경우가 십상이다. 전통의 순수한 성격이 강하면 강할수록 우리 시대에 그것이 적응할 가능성이 오히려 적어진다. 이러니 전통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쉬울 수가 없는 것이다. 그동안 설계분야에서 전통이란 문제를 해결하는 데 두 가지의 방법이 적용되어왔다. 하나는 전통의 문화에서 전해지는 옛 공간언어들을 변경 없이 적용하는, 즉 다시 말하면 옛 형태나 무늬, 패턴 또는 재료를 그대로 다시 모방해 쓰는 방법이고, 또 하나는 옛 전통의 공간언어들을 현대의 시각으로 다시 변형해 쓰는 방법이다. 두 번째의 방법은 옛 공간의 형태를 그대로 가져오는 것이 아니고 옛 공간의 개념은 빌려오되 그 형태와 재료는 현대적인 것들을 사용한다는 얘기다. 첫 번째의 방법인 복사(複寫)가 두 번째의 방법인 원용(援用)에 비해 훨씬 쉽다. 그래서 적지 않은 설계가들이 복사 쪽을 택한다. 그리고는 많은 비판을 받는다. 쉽긴 하지만 첫 번째의 방법은 나쁘게 말해 시간을 속이는 것이 된다. 옛것은 옛 시간대에 속해 있어야하고 새것은 새 시간대에 속해있어야 한다. 뿌리는 이어져야 하되 다른 시간대의 언어로 다시 읽혀져야 한다. 그래야 전통의 올바른 계승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복사에 가까운 전주시청사의 건물은 전주 성문(城門)에서 온 것이긴 하지만 전통을 좋아하는 사람들조차 ?저건 아니다?라는 생각을 보는 사람들에게 전해준다. 청계천의 자문관계로 한국을 들렀던 로마건축가협회의 회장인 스키야타렐라 (Schiattrallea)교수도 청계천의 설계내용 중 일부구간에 적용된 전통양식을 보고는 "그대로 베끼지는 않았으면 좋겠다"라는 얘기를 조심스럽게 던져 놓고 갔다. 사실 우리보다 훨씬 긴 역사를 지닌 로마는 더 오랜 시간을 전통의 문제와 싸워왔을 것이다. 로마에서 역사적 시간이 얽히지 않은 장소가 어디 있었겠는가. 곳곳의 모든 장소에서 전통의 문제와 싸워왔을 것이다. 그런 그들한테도 복사는 답이 아니었던 게다. 진 양 교 Chin, Yang Kyo?(주) 토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무소 부소장
  • 대구광역시
    e-매거진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 2003년11월 / 1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