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Olympic Sculpture Park in Seattle
    이 지역은 Unocal(Union Oil of California)의 소유지로 원래는 원유를 이송하는 업체가 사용하던 공간이었다. 따라서 프로젝트를 실행하기 전 12만톤에 이르는 오염된 지역을 제거하고 작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하였다고 한다. 약 20만 평방야드의 제거된 오염지역에 새로운 흙이 포설되었는데 이렇게 가져온 흙의 대부분은 시애틀 예술박물관을 확장하는 과정에서 얻은 것이라고 한다. Olympic Sculpture Park 부지는 국제디자인공모전을 통해 디자인 컨셉을 잡아 변화를 꾀하였으며, 이 컨셉으로 도시에서 해안까지 전망을 볼 수 있는 구조와 Z형상의 지형 등 보행자를 위한 기초적인 시설을 갖추게 되었다. 기계적으로 안정화된 지반에 형성된 구조로 증진된 지질학적인 특성과 함께 고속도로와 철로가 도심에서 만날 수 있는 역동적인 시스템이 특징이다. 보행자 전용도로는 전시용 퍼골라에서 시작되어 주변의 다양한 볼거리를 감상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 첫 번째 경로는 고속도로를 지나 Olympic Mountain를 감상할 수 있으며, 두 번째 경로는 철로를 지나며 도시와 항만을 구경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 경로는 최근에 조성된 해변가를 느낄 수 있다. 즉 보행자도로는 도심지와 새롭게 복원된 해변가를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는 길인 셈이다. 전시용 퍼골라에서부터 해안가로 이르는 경로는 계절에 의해 특색을 보여주는 상록수림, 해안선을 따라 조성된 연어 서식지와 바닷속 생물을 위한 정원, 엘리엇만까지 지형을 활용해 구조적으로 잘 연계된 공원을 느낄 수 있어 크게 각광받고 있다. 자료제공 _ Weiss/Manfredi
    • / 2008년10월 / 246
  • Life Enrichment Center Garden
    The Life Enrichment Center는 미국에서 물리적 치료와 정신적인 핸디캡을 치료하는 기관의 하나로써, dirtworks가 맡았던 프로젝트는 시설과 가장 근접한 지역에 환자들과 노인들을 위한 정서적인 안정감을 줄 수 있도록 정원을 조성하는 것이었다. 정원의 기본 컨셉은 자연이 주는 풍요로움과 경이로움을 조화시킨 것으로 긍정적인 마음을 유지하며 보전시켜주기 위한 것이라고 한다. 따라서 환자들에게 이러한 목적을 가져다 주기 위해 전통적인 남부 스타일의 정원양식과 아름다운 수목, 토속 야생화, 그리고 전통적인 기념품 등을 설치하였다. 다양한 시설물들과 스타일을 갖춘 정원은 규모와 특색에 따라 세 가지의 다채로운 특징을 선사하고 있는데, 하늘에 장식된 장식품과 옥외 난로로 설치된 현관은 날씨와 어우러진 다양성을 지님으로 입구에서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다. 인접한 정원에는 좋은 향을 가진 나무들을 식재하여 주변에는 플랜터와 벤치를 두었으며, 양 끝에는 덩굴나무가 엉켜있는 트랠리스를 두어 방문객들에게 편안함을 주도록했다. 사진 및 자료제공 _ Dirtworks, PC
    • / 2008년10월 / 246
  • 군마 곤충의 숲
    군마 현립 '군마 곤충의 숲'은 일년 내내 곤충을 관찰할 수 있고 실제로 곤충을 만져보고 학습할 수 있는 곤충 체험공원으로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1995년 가을에 계획이 되어 1997년 4월 현장 사무실 오픈 후 준공 때까지 군마현은 10여년 동안 관련 학자뿐만 아니라 거주자의 제안과 의견을 수렴하고 아이디어 회의를 통해 공간을 조성했으며, 최종 컨셉은 “Emotion shall bring up the human”라고 정했다. 프로그램 즐기기군마 곤충의 숲에서는 다양한 곤충 체험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군마 곤충의 숲을 더 즐기기 위해 일반 관람도 즐겁지만 군마 곤충의 숲에서 준비한 체험 프로그램에 참가해 적극적으로 프로그램을 즐기라고 관계자들은 말한다. 미리 예약을 할 수도 있고, 그 날 참가할 수 있는 여러 프로그램이 마련돼 있으며, 시간별, 계절별로 즐길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준비되어 있다. 필자가 방문했던 4월에는 한참 봄을 위한 나비의 생태에 대한 체험과 이미지가 전체 컨셉이었는데, 지금은 “가을야산(野山)곤충전”이 한창이라고 한다. SATOYAMA군마 곤충의 숲에는 ‘SATOYAMA(里山)’를 복원한 45ha에 이르는 필드가 있다. 'SATOYAMA'란, 말 그대로 야산이란 뜻으로 SATOYAMA는 곤충을 시작으로 한 어떤 생물들에게 있어서도 살기 쉬운 장소로 계획되었다. SATOYAMA는 숯이나 낙엽 퇴비를 모으기 위해 정기적으로 벌채를 하는 등 인간의 손에 의해 관리되는 졸참나무나 상수리나무를 시작으로 여러 가지 종류의 수목이 있는 잡목림존, 말 등의 사료 채집으로 정기적으로 베어지고 있는 넓은 초지와 시냇물로부터 수로를 연결해 논에 물을 끌어들이거나 관개용으로 사용되는 연못 있는 뽕밭존과 후지산 소(沼)존이 있다. 그리고 출입금지 지역인 수전(水田)존으로 구성되어 있다. 뽕밭존은 생활이 가능한 야산을 재현한 곳으로 생활에 꼭 필요한 모옥(茅屋), 즉 초가집을 재현하고 이를 군마현의 문화재로 지정하였다. 전형적인 민가(농가)의 모습을 위해 정원석, 정원수, 울타리까지 연출하였으며, 체험뿐만 아니라 주위에는 직접 농사 체험을 할 수 있도록 조성되어 컴포스트나 연못이 이를 뒷받침해주고 있다. 곤충 관찰관자연을 연출한 이곳에는 대형의 현대 건물이 눈에 띄는데 이는 ‘군마 곤충의 숲’의 유명한 상징인 돔형의 건축물, '곤충 관찰관'이다. 일본의 유명 건축가 ‘안도 다다오’가 설계한 이 건축물은 그의 특징답게 표면이 매끄럽고 윤이 나는 노출콘크리트 기법을 사용하였으며, 유리돔의 반은 온실을 덮고 있고 반은 지붕으로만 활용되어 야외 계단을 덮고 있는 형태이다. 각 건물의 이름 표현도 노출콘크리트의 구성을 살려 스틸로 깔끔하게 처리하였다.
    • / 2008년10월 / 246
  • 한평공원(一坪空園) 찾기 시작, 술래잡기 시작
    도시의 전유와 일곱가지 놀이터 도시의 한 볼라드에 앉아 세상 구경을 하는 할아버지를 보면서, 길가에 앉아 수다를 떠는 할머니들을 보면서, 시장 한편에서 바둑을 두고 계시는 아저씨들을 보면서 “아! 할아버지와 할머니에게도, 아저씨에게도 놀이터가 있어야 한다니까” 연재를 시작하게 된 동기다. 물론 그들은 나름대로 도시의 자투리 공간을 잘 찾아서 놀고 있었다. ‘세르토(de, Certeau)’의 표현을 빌리자면 기획된 ‘개념도시’에서 우리의 이웃들은 자신들만의 놀이를 풀어내고 있었다. 세르토는 마음대로 걷기를 통한 도시의 전유를 개념도시에 저항하는 것으로 보았다면, 우리의 이웃들은 보다 적극적으로 주어진 규칙과 법칙에서 벗어나 자신의 방식대로 도시를 다시 쓰고 있었다. 연재를 진행하면서 놀이란 그들만의 자생적이고 자율적인 문화라는 것을, 놀이터란 자신들만의 문화를 펼칠 수 있는 문화의 장이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그러니 우리는 문화를 이야기하고 있었던 것이고, 그들의 놀이터를 제안하기 위해서는 그들과 그들의 문화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했다. 이를 위해 그들에게 말을 걸기도 했고, 관련 문헌을 뒤적이기도 했고, 해당 전문가를 찾기도 했다. 그러나 이는 쉽지 않았다. 많은 생각의 운명이 그러하듯이, 우리의 생각을 이루는 것 또한 생각만큼 쉽지는 않았다. 그럼에도 일곱 달 동안 일곱 가지의 놀이터를 제안했다. 함께 놀이터 만들기 ‘한평공원(一坪 空園)찾기 시작, 술래잡기 시작’ 그런데 우리의 의도가 가장 크게 어긋난 것은 우리의 그들에 대한 이해와 문화 읽기가 날카롭지 못하다거나 우리의 상상력이 그리 뛰어나지 못했다는 데 있기 보다는, 우리 또한 다른 방식으로 개념도시를 이야기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아이러니하게도 말이다. 마지막회는 이 아이러니에서 벗어나고자 한다. 그래서 우리의 이웃 모두가 함께 할 수 있는 놀이터는, 우리가 상상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상상하도록, 그들 자신의 공간 전유 방식을 보다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그래서 이제까지 빈 공간에 무언가를 채우는 놀이터를 제안했다면 이번에는 비울 것을 제안한다. 누구나 마음대로, 상상대로 즐길 수 있는 공간, 우리 이웃들의 자유로운 이용이 누적되어 그들만의 놀이터가 되는 빈틈이 우리 도시에 많았으면 좋겠다. 그런 곳에 가장 가까운 곳이 공원일텐데, ‘공원(公園)’이라는 타이틀조차도 없는 그런 공원(空園)이 더 좋을 듯 싶다. 이를 위해 전문가들은 다양한 이름으로 도시를 개념화하고 치장하는 것에서 한발 물러나 한 평이라도 비워둘 것인지를 고민해보는 것은 어떨까? 그리고 우리는 이 도시에서 술래잡기를 시작하면 된다. 왜 술래잡기냐고? 술래잡기를 시작하는 순간, 우리가 현재 있는 이 방은, 사무실은, 강의실은 전혀 다른 공간이 되기 때문이다. 온통 ‘숨을 수 있는 공간’과 ‘들키는 공간’으로만 보인다. 즉 ‘숨기’라는 규칙 속에서 이 공간은 재구성되는 것이다. 그래서 마치 숨을 곳을 찾는 것처럼, 각자 자신에게 적당한 ‘놀 곳’을 찾자. ‘놀이’라는 안경으로 이 도시의 숨겨진 한 평을 찾아서 놀자. 할아버지는 세상과 교감할 수 있는 곳을, 청소년들은 자신의 잠재력을 펼칠 수 있는 곳을, 이주민들은 두고 온 고향에 대한 향수를 해소할 수 있는 곳을, 놀면서 자신도 알지 못했던 그러나 자신의 어느 곳에 잠재되어 있는 어떤 에너지를 발산해보자. (마지막회)
  • 중국 정원 기행
    (사)한국전통조경학회(회장 신상섭)는 2008년 8월 5일부터 9일까지 중국 서남부지방의 정원을 학술 답사하였다. 이번 답사의 참가인원은 64명으로 올해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된 중국 복건성의 집합주택인 토루(土樓)와 천혜의 자연경관으로 1999년에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된 무이산(武夷山)이 이번 답사의 포인트이다. 이전에도 몇 번 중국을 여행한 적이 있었으나 그때는 주로 중국의 정원유적을 찾아다녔는데 이번 여행은 세계문화유산이 두 곳이 포함되어 있어 좋은 기회가 되었다. 첫째 날(8월 5일) 인천 국제공항에서 9시 30분 비행기에 몸을 싣고 2시간을 이동하여 도착한 우리의 첫 번째 목적지는 중국의 상해(上海)이다. 상해 공항에 도착해 만난 가이드는 키는 작지만 당차보이는 여자분이었다. 간단히 인사를 하고 인원이 많은 관계로 두 대의 버스로 움직였으며 가이드도 2명이 함께 하였다. 상해에서 간단히 한식 점심식사를 한 후에 버스를 타고 3시간동안 이동하였다. 중국이 워낙 땅이 넓어 계속 상해인 줄 알았으나, 차는 이미 태호석의 고향인 무석(無錫)으로 들어와 있었다. 억누름과 펼침의 공간 첫 번째 답사지는 무석시의 서쪽에 있으며, 강남의 유명한 정원의 하나인 여원이었다. 여원은 정원의 면적이 약 2/5가 물로 이루어져 수경(水景)이 유명하며, 무석에서 태호석이 생산되어서 그런지 태호석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공간구성을 연출하고 있었다. 여원을 통해서 처음으로 중국의 강남정원을 접할 수 있었다. 태호석으로 이루어진 하얀 공간, 곳곳에 비밀통로와 수경관이 북방의 거대한 정원과는 달리 풍부한 볼거리로 가득찬 것이 강남정원의 특색인 것 같았다. 특히 태호석으로 만들어진 비밀통로가 시야를 누르고 펼쳐지는 중국전통기법으로 만들어져 재미와 신기함이 더해지는 곳이었고 여원 안을 돌아다니며 보물찾기를 하는 기분이었다. 중국 정원이 너무 넓고 시간이 많지 않아 깊은 감상은 어려웠으나 말로만 듣던 강남정원을 보는 시간이 즐거웠으며, 무더위에 타는 피부와 흐르는 땀이 의미 있게 느껴지는 시간이었다. 겨울같은 봄의 정원 여원을 감상하고 다시 버스에 올라 30분을 이동하여 매원에 도착하였다. 시간이 많지 않아 일부만 돌아봤는데 전통정원과 현대정원이 공존해 있는 곳이었으며, 우리가 갔을 때는 8월이라 매화꽃을 감상하기는 어려웠지만, 기회가 되어 매화꽃이 피는 봄에 온다면 넓게 펼져진 정원에 심겨진 매화나무 4천여주와 화분에 심겨진 2천여주의 매화나무가 장관일 것으로 생각되었다. 매원 안에 있는 전망대에 오르니 멀리 여원과 태호도 보이고 저녁때라 석양을 감상할 수 있었다.
  • 섬네일 이미지 테스트
    ㄴ어ㅏ링널ㅇ러ㅏ'ㄴ일ㅇㄹㅇㄴㄹㄴㅇㄹㄴㅇㄹ
    • / 2008년10월 / 2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