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3등작: 그녀의 뜰 인도 허왕후 기념공원 설계공모전
    허왕후는 고향의 자연을 그리워했고, 가야의 자연과 더불어 살았다. 사라유Sarayu 강변의 공원에 가야와 인도의 자연을 담은 ‘그녀의 뜰’을 만든다. 뜰에서 일어나는 모든 활동은 허왕후를 기억하게 한다. 이로써 뜰은 허왕후를 기억하고 두 시대의 자연을 체험하며 더불어 살아가는 공간이 된다. 대상지는 아요디야Ayodhya의 사라유 강변 퇴적토가 쌓여 만들어진 삼각형의 부지다. 사람들은 이곳에서 종교 의식, 농업, 어업 등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우리는 모든 활동이 강의 경계와 가트ghat에서 이루어지는 점에 주목했다. 사람들이 땅을 좀 더 편리하고 적극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강변에 시민을 위한 수변 공원의 축을 형성한다. 높은 담장으로 둘러싸인 기존의 허왕후 기념 공간에서는 누구도 그녀를 기억하지 않았다. 허왕후를 기억하게 하기 위해서는 연속된 시퀀스가 필요하다. 강으로 다가가게 만드는 것, 가야의 자연을 즐기게 하는 것이 그녀를 기억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 생각했다. ...(중략)... *환경과조경344호(2016년12월호)수록본 일부
    • 풍경이엔지, MW’D.lab, 서인룡 / 2016년12월 / 344
  • 2등작: 2,000년의 여행, 4,500킬로미터의 만남 인도 허왕후 기념공원 설계공모전
    2,000년 전 인도 아유타국의 허왕후가 4,500km의 바닷길을 건너 성사시킨 가야와의 교류는 오랫동안 이어진 한국-인도 교류의 시원으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이를 기억하기 위해 아요디아Ayodhya 북쪽의 사라유Sarayu 강변에 자리한 대상지에서 아요디아의 역사 경관을 돌아보며 김해로 향하는 길을 만든다. 아요디아는 고대 코살라 왕국의 수도이자 힌두교의 라마 왕이 탄생한 곳이다. 종교·문화적으로 상징적인 지역일 뿐만 아니라 빼어난 역사 경관을 지니고 있어 매년 많은 순례자가 방문하고 있다. 단순한 교역이 아니라 문화를 주고받았던 역사를 담을 수 있도록 기념비적 건축물 대신 현지인의 삶 속에 녹아들어 역사와 현재를 연결하고 안식처가 되는 공원을 조성한다. ...(중략)... *환경과조경344호(2016년12월호)수록본 일부
    • 빌딩워크샵건축사사무소, 우물우물, 엑토종합건축사사무소, factory L / 2016년12월 / 344
  • 1등작: 시간과 공간을 잇는 풍경 인도 허왕후 기념공원 설계공모전
    허왕후 기념공원은 상징 또는 재현을 통해 기념성을 구현할 뿐만 아니라, 현대 도시에 필요한 공원의 순기능을 발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대상지는 아요디아Ayodhya 시의 중심가에서 조금은 벗어난 곳에 있지만 사라유Sarayu 강에 인접하여 많은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2015년 한-인도 정상회담 결과, 양국의 문화·인적 교류를 강화하기 위해 공동으로 추진한 본 프로젝트는 대상지가 가진 가능성을 활용해 허왕후를 기리고 도시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 공원을 통해 한국과 인도 양국의 외교 관계가 더욱 긴밀하게 발전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설계 과정에서 다음의 세 가지 개념에 주안점을 두었다. ...(중략)... *환경과조경344호(2016년12월호)수록본 일부
    • 동심원조경 기술사사무소, 건축사사무소 모나드 / 2016년12월 / 344
  • 인도 허왕후 기념공원 설계공모전 Queen Hur Memorial Park Design Competition, India
    설계공모 경과와 심사평 인도 아요디아 시에 조성된 허왕후 기념공원이 새롭게 단장한다. 현재 아요디아 시에 있는 허왕후 기념공원은 가락중앙종친회가 약 2,000년 전 김수로왕과 혼인하며 가락국의 왕비가 된 허왕후를 기리기 위해 1억 원을 들여 조성한 것이다. 매년 가락중앙종친회와 한국의 전통 예술 문화를 알리는 공연 예술단이 참여해 한국 전통 제례 형식의 추모제를 기념공원에서 열고 있다. 하지만 행사가 없는 대부분의 기간에는 공원이 폐쇄되어 주민들의 이용이 제한되고 담으로 둘러싸여 주변 지역과 소통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또한 공원 인근에는 버스 터미널, 문화·상업 시설, 소규모 신전들이 있어 주민, 순례자, 관광객들이 유동하는 중심지로 거듭날 잠재력을 지니고 있지만 1990년대 이후 힌두교도와 이슬람교도 사이에 유혈 분쟁이 끊이지 않아 종교 분쟁지로 인식되고 있다. 지난 2015년 박근혜 대통령의 초청으로 나렌드라 모디Narendra Modi 총리가 방한하면서 성사된 한-인 정상회담 이후, 문화·인적 교류를 강화하기 위해 허왕후 기념공원을 새롭게 조성하는 사업이 한국과 인도 공동으로 추진되었다. 한국과 인도의 역사적 교류를 재조명할 수 있도록 기존의 허왕후 기념공원을 재정비하고 인근의 도시 조직, 상업·문화 시설과 연계해 지역 사회에 활력을 불어넣는 것이 이번 공모전의 목표다. 9월 26일부터 28일까지 3일간 진행된 심사를 통해 당선작 1점, 2등작 1점, 3등작 1점, 가작 2점이 선정되었다. 당선작 ‘시간과 공간을 잇는 풍경’을 설계한 동심원 조경기술사사무소와 건축사사무소 모나드는 10월부터 기본·실시설계를 시행해 내년 6월 인도 현지에서 착공할 예정이다. 다음은 심사위원장 배병길의 심사평 전문이다. 인도 허왕후 기념공원 조성사업은 2015년 한-인 정상회담 결과 양국이 공동으로 추진하는 프로젝트로 허왕후를 기념함과 동시에 양국의 문화·인적 교류를 활성화하고 대상지가 위치한 인도의 아요디아 지역 발전의 마중물이 될 수 있는 한국과 인도 양국에 의미 있는 사업이다. 심사위원은 공모전의 설계 지침을 기본으로 기존 도시 구조와의 맥락적 관계, 땅의 장소적 의미, 형상과 공간성, 기념 공원으로서의 상징성, 인도 문화와 장소에 관련된 특성, 문화의 전이와 한국사적 의의, 새로운 가능성을 담은 디자인, 그리고 인간(이용자, 방문자)의 행위와 동선의 흐름 등을 전반적으로 검토·분석하여 심사를 진행했다. 토론과 투표로 구성된 3단계의 심사를 거친 후 1등작과 2, 3등작을 우선 확정했으며, 투표 결과를 바탕으로 토론을 통해 가작을 선정했다. 본 공모전 심사에는 인도 우타르 프라데시 주 정부의 차관인 나브넷 세갈Navneet Sehgal이 참관인으로 참석했으며, 당선작을 선정한 후 심사위원들과 함께 본 사업을 차질 없이 진행하기 위해 당선작에서 보완되어야 할 사항을 당선안의 설계 의도와 인도 현지의 여러 가지 여건을고려하여 토론했다. 당선작은 한국과 인도 문화의 조화를 위한 노력이 돋보이는 안이었다. 기존 가트ghat를 강변 방향으로 이동하여 기존 기념 공간과 연계된 새로운 공공 공간을 확보했으며, 인도의 전통적인 공간 요소를 도입하여 기존 허왕후 기념비와 공존하면서도 대비되는 넓은 기념 광장을 형성한 점을 높이 평가했다. 또한 시설 계획을 절제하여 최소한의 개입으로 허왕후 기념공원 대상지인 사라유 강변의 자연 경관을 유지했다는 점이 특징이었다. 그리고 대상지 내의 토속적인 기존 건물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새로운 시설 계획은 지역성을 고려하면서도 새로운 디자인으로 대비를 꾀하여 한국인도 문화의 병존을 미래지향적으로 고려한 적절한 해법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새로운 물길은 공원 조성 효과에 비해 토목 비용이 과도하게 발생할 수 있으므로 면밀한 예산 검토가 선행되어야 하며, 김수로왕과 허황옥 공주가 도착했던 망산도를 정자와 돌담으로 이미지화 한 것 역시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평가했다. 허왕후 기념공원을 위한 다양한 접근 방법과 전략을 보여준 모든 참가자의 노력과 수고에 감사하며, 한국과 인도의 모든 관계자가 힘을 합쳐 프로젝트를 잘 진행하여 좋은 선례를 남겨줄 것을 당부한다. 1등작 시간과 공간을 잇는 풍경 Timeless Story, Borderless Scenery, Priceless Memory 동심원조경기술사사무소, 건축사사무소 모나드 2등작 2,000년의 여행, 4,500킬로미터의 만남 Journey of 2,000 Years, Reunion of 4,500 Kilometers 빌딩워크샵건축사사무소, 우물우물, 엑토종합건축사사무소, factory L 3등작 그녀의 뜰 Her(Hur) Yard 풍경이엔지, MW'D.lab, 서인룡 가작 하늘이 맺어준 인연 Made in Heaven 공간종합건축사사무소, 도시재생연구소_더 플레이스 가작 오작교 Ojakgyo-Eternal Friendship Bridge 예쓸디자인건축사사무소, 하명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