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STOSS] 도시 숲과 장소 만들기 Urban Forestry and Placemaking
    도시 지역의 나무 캐노피를 늘리는 것은 기후 변화에 적응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나무는 도시의 기온을 낮추고, 그늘을 제공하고, 건물의 에너지 사용량을 줄이는 등 지역 사회에 중요한 인프라로 역할 한다. 정신적·신체적 건강에 좋을 뿐 아니라 살고 싶은 지역 사회를 만들고 이웃과 교류할 수 있는 공간이 되어 준다. 오염된 각종 쓰레기, 건물과 도로로 덮인 토양 표면, 과도한 차량 통행량은 도시에서 나무가 자라는 데 좋지 않은 조건이다. 이런 도시 환경을 수목, 관목, 지피식물이 성장할 수 있는 건강한 생태계로 바꾸어 지역 사회의 새로운 중심부를 만들어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도시 숲 조성 프로젝트 트라이앵글 공원(Triangle Park)은 케임브리지(Cambridge) 시의 새로운 도시 숲 조성 프로젝트 일환으로 설계된 세 개의 작은 도시공원 중 하나이자 첫 번째 실험작이다. 케임브리지에서 빠르게 발전 중인 지역의 남겨진 공간에 조성됐으며, 정적이면서 활동적인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공원은 번화한 거리에 완충 지대를 만들고 도시 열섬 현상을 완화시키고 생태 다양성을 증진시킨다. 도심 한복판에 위치한 공원에 약 400그루의 나무와 15종의 새로운 수종을 식재해 누구나 올 수 있는 도시 숲으로 기능하도록 했다. 나무와 사람 모두를 위한 공간을 만들고자 했다. 공 원 동쪽 가장자리에 있는 에드윈 랜드 대로(Edwin land boulevard)의 차량 소음과 오염 물질을 차단하고 대상지 의 사회·환경적 잠재력을 활용하기 위해 단차를 뒀다. 공원 뒤쪽과 위쪽에는 다양한 자생 수목과 식물이 울 창한 숲을 이루고 있어 지속적인 유지·관리가 필요하다. 언덕에는 계단식 잔디와 선형 벤치를 배치해 커뮤니티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도록 했다. 북쪽에는 잔디 언덕과 무대가 있는데, 산림 지대의 수 종으로 조성된 숲 덕분에 도로와 거리를 두게 돼 좀 더 편안하게 휴식을 즐기고 놀이와 공연에 집중할 수 있다. 삼각형의 대상지 남쪽에 토양을 파 빗물을 집수할 수 있는 저지대 숲을 조성했다. 중앙 광장에는 가지가 넓게 뻗은 수형의 수목을 심어 테이블과 의자에 앉은 사람에게 풍부한 그늘을 제공한다. 트리 사이클 2023 시카고 건축 비엔날레 설치 작품인 트리 사이클(Tree Cycles)은 시카고에서 나고 자란 통나무로 만들어졌다. 침입종인 녹색 딱정벌레(Emerald Ash Borerfh)로 인해 위험에 처한 느릅나무와 물푸레나무의 미래 모습을 상상한 작품이다. 생장, 벌목, 변화, 쇠퇴, 분해 등 도시에 서 일어날 수 있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수목의 역할을 탐구하고자 했다. 여러 개의 통나무를 묶어 표면을 가공해 앉을 수 있는 공간을 만들었다. 가공된 표면은 인간을 위한 공간으로, 쓰러지면서 만들어진 나무의 구멍은 굴속에 사는 동물의 서식처이자 겨울철 수분 매개체가 되어 동식물을 위한 공간으로 활용된다. 벤치 중간에 식물을 심어 통나무의 재생 원리를 관찰할 수 있게 했다. 도시 숲 형성에 필수적인 중간 단계에 나타나는 시카고 수목을 재료로 사용해 활용도가 낮은 공공 공간에 활기를 불어넣고자 한다. 수목의 부패와 분해의 사회 생물학적 효과를 다시 활성화하는 시범 공간으로 운영한다. 이는 도시 전역의 공터와 활용도가 낮은 공간을 생태적으로 변화시키는 일련의 생태 퍼포먼스가 될 것이다. 도시 숲의 영향 빠르게 진행되는 기후 변화와 생물 다양성 상실을 해 결할 수 있는 방안 중 나무 심기는 가장 실질적인 해결책이다. 오픈스페이스와 나무 캐노피가 매우 부족한 지역에 트라이앵글 공원의 작은 도시 숲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나무들이 성장하면서 자신만의 수형과 개성을 가지듯 이, 나무로 인한 사회·환경적 이점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계속해서 커지고 강화될 것이다. 비슷한 원리로 트리 사이클도 도시에 나무와 사람이 교류할 수 있는 새로운 공간을 제공해줄 수 있다. 죽은 나무에서 얻은 목재를 다시 도시에서 활용하는 것은 수목이 지닌 생태적 장점을 제고할 뿐 아니라 모임, 사교, 휴식을 위한 장소를 제공해 도시 공공 공간을 개선한다. 글 Stoss Triangle Park Team: Stoss, Nitsch Engineering Client: City of Cambridge Location: Cambridge, MA, USA Area: 0.75ac Timeline: 2016~2023 Tree Cycles Team: Stoss, John Bannon, Kara James, Illinois Institute of Technology M.L.A.+U, Jorge Mayorga, Erik Norwood Client: Chicago Architecture Biennial Location: Chicago, IL, USA Area: 1,400ft2 Timeline: 2023
    • Stoss / 2024년03월 / 431
  • [STOSS] 장소를 만드는 기능적 요소 Utilitarian Components Creating Sense of Place
    미국 도시 어디에서든 사람들이 찾지 않는 워터프런트, 버려진 시설, 황량한 공터를 쉽게 볼 수 있다. 이런 곳은 사회적 교류가 적고, 전망과 접근성이 좋지 않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도시에서 배제된 장소가 된다. 이곳을 창조적이고 실용적인 장소로 바꿀 수 있는 설계가 필요하다. 시티 데크(City Deck)와 서퍽 다운스 야외 원형 극장(Suffolk Downs Outdoor Amphitheater)은 전략적 홍수 방지책과 우수 시설 등의 기능적 요소를 갖추고 있다. 재해방지와 수공간의 접근성 강화라는 이중적 목적을 동시에 달성하면서 사람들의 발길이 닿지 않는 장소를 커뮤니티 중심지로 변화시키고자 한다. 시티 데크, 리버프런트를 도시의 앞마당으로 변모시키다 시티 데크는 그린 베이(Green Bay) 시가 추진한 폭스 리버프런트(Fox Riverfront) 재개발 사업의 초석으로, 구시가지의 시민을 위한 커뮤니티 공간이다. 대상지와 인접한 시내는 공터가 많았고 이용률이 저조했으며 강으로 인해 접근성이 낮아 활용이 어려운 상황이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자 강을 따라 새로운 오픈스페이스를 조성하는 도시설계 전략을 강구해야 했다. 데크를 도시의 연장선상에 뻗어 나와 도시 구조와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는 다층적 모임 공간으로 계획했다. 이 데크는 홍수를 방지하는 요소이자 눈에 띄지 않는 우수 관리 시설로 역할 하는 맞춤형 벤치로서 향후 100년 간 홍수에 끄떡없도록 설계됐다. 그린 베이 도심과 연결되는 자전거 도로와 보행로는 1년 내내 이용할 수 있다. 활기를 되찾은 이 강변은 가족, 직장인, 지역 주민 등 다양한 사람이 어울릴 수 있는 공간으로, 휴식을 취하고 공연을 관람하며 일몰을 감상할 수 있는 도시의 앞마당이 되었다. *환경과조경431호(2024년 3월호)수록본 일부 글 Stoss City Deck Team: Stoss, Vetter Denk Architects, Graef Anhalt and Schloemer and Associates, STS Consultants, WF Baird Associates, Clark Dietz, Light THIS!, Pine + Swallow Client: City of Green Bay Location: Green Bay, WI, USA Area: 2.5ac Timeline: 2005~2013 Suffolk Downs Outdoor Amphitheater Team: Beals and Thomas, Sanborn Head & Associate, AKF Group, LLC, JMA, Silman, LAM, P&S, IC, KMA Client: HYM Location: East Boston and Revere, MA, USA Area: 1.7ac Timeline: 2021~onging
    • Stoss / 2024년03월 / 431
  • [STOSS] 디자인 상세의 중요성 The Art of Placemaking Is in the Detail
    조경설계는 단순히 계획만 세우는 것이 아니라 개념을 수립하고 프로젝트로 구현하는 것이다. 활용, 점유, 변형이 가능하며, 작동하는 공공 공간과 지나치는 공간이 아니라 머무는 공간을 만들고자 한다. 좋은 공간을 만들기 위해 벤치, 조명, 포장 등 세부적인 부분에 대한 디자인을 연구한다. 연결성과 커뮤니티를 강화하는 사회적 공간 오랜 역사를 지닌 하버드대학교 광장(이하 하버드 광장)은 캠브리지 스트리트 지하도 위에 위치하며 과학 센터, 북부 캠퍼스와 이어져있다. 이용률이 저조하고 황폐한 들판이었던 이 공간을 캠퍼스의 주요 만남의 장소로 변화시켜 학생과 교직원, 방문객, 지역 사회를 연결했다.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될 수 있게 유연한 설계를 적용했다. 빗물을 배수할 수 있도록 굴절시킨 지표면은 시설 장비, 물·온도 관리 시스템을 내장하고 있다. 옻나무와 은행나무 군락은 조용한 휴식 공간을 제공할뿐 아니라 레인 가든으로 활용된다. 정밀하게 설계한 7개 벤치와 독특한 모양의 17개 벤치는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사람은 정해진 규칙에 따라 움직이지 않는다는 원칙을 가지고 공간을 만들기 때문에 하나의 방식으로 모든 공간을 설계할 수 없다. 최근까지 벤치는 효율적이지만일률적인 부품과 조립을 통해 생산됐다. 이로 인해 평균적인 인체에 맞춰진 전형적인 벤치가 대량 생산되어 왔다. 이를 탈피하고자 생산 및 연관 모델링 소프트웨어를 활용해 다양한 신체 크기와 유형에 적합한 의자를 제작하고자 한다. *환경과조경431호(2024년 3월호)수록본 일부 글 Stoss Harvard Plaza Team: Stoss, Vanasse Hangen Brustlin, Simpson Gumpertz & Heger, Project Projects, Light THIS!, Thompson Engineering, Pine & Swallow, Vav International, Parallel Development, Building Conservation Associates, Haley & Aldrich, Howeler +Yoon, Irrigation Consultants Client: Harvard University Location: Cambridge, MA, USA Area: 2ac Timeline: 2011~2013 Gerstacker Grove Team: Stoss, Mannik Smith Group, Illuminart Client: University of Michigan Location: Ann Arbor, MI, USA Area: 4ac Timeline: 2013~2015
    • Stoss / 2024년03월 / 431
  • [STOSS] 에세이: 일상을 바꾸는 긍정적 변화
    설계는 협동에서 시작된다 스토스의 작업은 대상지와 지역 사회에 기반을 둔다. 프로젝트를 통해 역사, 생태, 용도, 문제점까지 대상지가 가진 특징을 배우고자 한다. 대상지와 그 주변에 살고, 대상지를 지나가며 이용하고, 대상지에 관심을 가진 다양한 사람 및 이해관계자와 좋은 관계를 맺고 그 관계를 오랫동안 유지하는 것이 성공적인 오픈스페이스를 만드는 핵심 전략이라 생각한다. 해수면과 온도 상승, 심각해지는 악천후, 빈번해지는 홍수 등 점차 예측하기 어렵게 바뀌는 기후에 대응할 수 있는 설계와 정책을 실현할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지자체, 비영리 기관, 시민 모두가 협동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린 인프라와 자연에 기반을 둔 해결책을 확장하는 것도 중요하다. 거리, 오픈스페이스, 건물, 인프라를 사회·경제적으로 공평하게 제공할 뿐 아니라 우수를 집수하고 흡수할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한다. 자연과 함께하는 도시계획 도시는 토지 소유권, 상업, 산업, 인프라,네트워크 등 도시 내부 원리에 의해 조성됐다. 그 과정에서 자연은 훼손되고 방치되고 흔적조차 없이 사라졌다. 이로 인해 필수적인 환경 기능이 사라지고 기후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동식물의 서식처가 파괴되고 인간의 건강과 복지에도 해로운 상황이 됐다. 도시와 도시 권역이 환경 시스템과 맺고 있는 역학 관계를 활용하면 더 나은 기능을 발휘하는 건강한 장소를 만들 수 있다. 누구와 함께, 누구를 위해, 무엇을 디자인할 것인지 끊임없이 고민해 자연과의 친밀감을 높이고 문화적 활력을 불어넣는 도시계획과 설계 체계를 마련하고자 한다. 기후 변화에 대응하는 설계 강, 바다, 폭풍으로 인한 홍수, 폭염, 산불, 대기 오염, 공중 보건 악화, 생물 다양성 상실 등은 사회적으로 취약한 지역 사회에 불균형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우리는 변화를 포용하고 새로운 기술을 연구하고 모델링하고 시험하고 친환경적인 기후 해결책을 제시하며 지역에 적합한 설계를 통해 문 제들을 해결해 나가고자 한다. 다양한 문제에 노출되어 있는 대도시뿐 아니라 환경 변화에 예민하게 반응하는 작은 공간 에도 적용할 수 있는 설계를 하고 인간, 야생 동물, 식물 모 두 살아갈 수 있는 공간을 조성하고자 한다. 공원의 역할 공원은 오랫동안 놀이터, 도심 속 휴식처, 레크리에이션과 운동을 위한 공간으로 존재해 왔다. 사회적 인프라로 중요하게 작동하는 공원의 역할과 힘, 규모를 활용해 기후 변화, 사회 및 인종 형평성, 공중 보건, 생물 다양성, 서식처 훼손, 자연에 대한 접근성 등의 문제를 해결하고 시민들의 삶을 좀 더 풍요롭게 할 수 있다. 철저한 분석과 적극적 참여, 대상지 의 전통 문화와 상징 학습, 창의적이고 광범위한 프로그램 마련, 복잡하게 얽힌 문제 해결, 새로운 디자인 언어 도입을 통해 공원과 오픈스페이스에 새로운 역할을 부여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지역 사회에 다양한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직면한 수많은 과제에 대한 유의미한 해결책을 찾고자 한다. 새로운 아이디어를 위한 실험의 장 아직 해결책이 없는 문제를 마주하기도 하고, 어떤 아이디어 나 재료로 단순하게 문제에 접근하고 싶기도 하다. 하지만 우리의 연구가 계속해서 전진하며 다음 단계로 나아가고 오늘날 아직 존재하지 않는 해결책을 (때로는 예상하지 못한 파트너와 함께) 개발하기 위한 수단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독특하고 실험적인 설치물과 전시를 통해 선보이고 있다. 비판적 시각과 사고를 유지하면서 새로운 아이디어와 기술을 클라이언트에게 제안하고 프로젝트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지속가능성과 회복탄력성에 초점을 둔 설계 크고 작은 프로젝트를 하면서 경관, 공공 공간이 지역 주민, 노동자, 방문객을 불러들이기 위해서 단순히 아름답기만 해선 안 된다는 것을 깨달았다. 정해진 예산 범위 내에서 지속 가능성과 회복탄력성에 초점을 둔 설계가 필요하다. 독특하고 매력적이면서 눈길을 사로잡는 설계에 기능적이고 친환 경적인 요소를 녹여냄으로써 일상과 여가를 위한 환경을 조성하고 이전에는 잘 몰랐던 가치와 매력을 발견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야 한다. 활기찬 공공 공간을 위한 노력 도시의 공공 공간은 점점 더 새로워지고 있다. 다양한 사람 을 끌어들이고, 변화하는 라이프스타일과 업무 환경에 대응 하며, 상상할 수 없었던 새로운 용도로 쓰이는 공간으로 재창조되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예측할 수 있는 행동뿐 아니라 예상하지 못한 활동까지 고려한 역동적이고 유연하며 대처 가능한 프로그램을 만들고 설계해야 한다. 끊임없는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변화하는 이용자를 위한 여러 방안과 한 공간에서 여러 활동을 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해야 한다. 방치되어 사용되지 못하는 공간이 많은 사람이 모이고 활기 넘치는 커뮤니티 공간으로 변모될 수 있도록 많은 노력을 해야 한다. 미래를 대비한 설계 미래 기후에 대비한 설계는 시간의 흐름에 적응하고 변화할 수 있는 탄력적 조경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의미한다. 우 리는 끊임없는 학습과 연구를 통해 기후에 대한 적응력과 회복력을 갖춘 설계를 하고, 예상할 수 없는 환경과 미래에 적응할 수 있는 디자인을 만들고자 한다.
    • Stoss / 2024년03월 / 431
<<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