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조경, 과연 철학이 깃들어 있는가? ; 서양철학이념이 조경에 미친 영향
서양의 조경에 미친 여러 가지 요인들에 대해서 고찰해 본 것과 같이 특정한 하나의 요인이 영향을 주었다고 말할 수는 없다. 형태란 하나의 원인에 의해서 결정되는 단순한 것이 아니라 많은 요인과 변수가 있을 수 있고, 설계자의 모방과 창의력도 게재되는 문제이다. 우리가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은 서양조경에 영향을 준 요인들이 배경의 수준인가, 영향의 수준인가, 결정의 수준인가를 구분해서 평가를 하는 일이 중요할 것이다. 또한 사상, 종교, 철학의 이념들은 시대에 따라서 배경이나 영향의 수준이 된적은 있으나 정원의 형태를 결정하는 수준은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 ※ 페이지 : 안계복, 한국조경, 철학, 서양철학, 서양조경, 형태 ※ 페이지 : 76-79
-
좌담 ; 월간 <환경과 조경>의 과거 현재 미래
일시 : 1997년 6월 2일(월) 오후 2시 장소 : 본사 회의실 좌장 : 이재근(서울신문사 이사) 참석자(가나다순) : 박정수(범우사 편집국장), 서정우(연세대 언론홍보대학원장), 안영애(현대엔지니어링(주) 도시계획실 차장), 장태현(청주대 조경학과 교수), 정찬용(중앙개발(주) 조경사업부 차장) 7월 1일, 본지가 창간 15주년을 맞았다. 이를 계기로 다시 태어나는 월간이 되고자 본지가 걸어온 길과 미래의 과제에 대해 의견을 나눠 보았다. - 편집자 주 - ※ 페이지 : 좌담, 환경과조경, 이재근, 박정수, 서정우, 안영애, 장태현, 정찬용 ※ 페이지 : 106-110
-
한국조경, 과연 철학이 깃들어 있는가? ; 미래 조경가의 자질과 사상
미래 바람직한 조경가는 인간과 자연에 대해 두루 이해하고 신의 창조섭리를 거스리지 않는 天, 地, 人이 조화된 환경을 계획, 설계, 시공, 감리할 수 있는 대가(大家)가 되어야 한다. 우주의 질서를 거스리지 않고 우주의 질서를 회복해 나갈 줄 아는 조경가야말로 21세기 시대가 요망하는 인물일 것이다. 개발철학과 정책결정 과정에서부터 계획, 설계, 시공에 이르기까지 종합적으로 처리해 나갈 수 있는 조경의 대가가 나와야 한다. 급변하는 21세기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지난 25년간 축적된 조경인들의 경험과 정보를 바탕으로 조경의 위상과 전문가적 자질을 드높이고 친환경적 계획 및 설계, 시공, 감리는 물론 그러한 개발정책수립과 올바른 개발철학의 정립에 이르기까지 조경가들의 활동범주를 넓힐 필요가 있다. ※ 페이지 : 김농오, 한국조경, 철학, 21세기, 조경가, 자질, 사상 ※ 페이지 : 97-101
-
한국조경, 과연 철학이 깃들어 있는가? ; 조경가의 직업윤리
21세기는 ‘환경의 세기’라고들 목소리를 높이고 있듯이 환경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며 이 세기의 실천으로 지구를 가꾸는 전문가는 조경가가 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막중한 임무를 실천하기 위해서는 조경가의 직업윤리가 바로 잡혀야 할 것이며 대학에서 기술연마에만 급급할 것이 아니라 올바른 직업관과 세계적인 큰 흐름을 인식시켜주는데 역점을 두는 교육을 시켜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 조경업계도 너무 연구들을 안하고 안주하는 경향이 많은데 능력없는 업자들은 당연히 도태당할 것이며 도태시켜야 할 것이다. 21세기 조경가의 역할은 동양의 자연관을 바탕으로 한 생태철학을 가지고 모든 생물이 공존하는 지구환경을 가꾸어야 할 것이며 세계적인 환경운동에 동참할 수 있는 자질을 길러 주어야 하는 것이 우리 조경계에서 해결해야 할 가장 시급한 일일 것이다. ※ 페이지 : 심우경, 한국조경, 철학, 조경가, 직업윤리 ※ 페이지 : 92-96
-
한국조경, 과연 철학이 깃들어 있는가? ; 문화인식으로 본 현대 한국조경 경향에 대한 비평
우리는 조경작품이라 할 수 있는 수많은 프로젝트에서 아마츄어리즘적 경향이나 전통요소 모방·재현주의, 국제양식 혼합(국적상실)주의, 건축의 기능에 따른 맥락주의의 경향을 보이면서 무질서한 자유를 향락하고 있다는 부정적인 비평에 상당부분 둔감성을 보여왔다. 이제 우리는 우리의 공간에 철학이 있고 세계속에 내세울 수 있는 조경공간의 창츨이라는 대 전제하에 현대의 다원적인 상황흐름에 적절히 대응하며, 사상과 작가관이 반영된 문화맥락적 접근을 소중하게 생각해야 할 것이다. 또 모더니즘 조경과 전통조경에 대한 끊임없는 의식, 그리고 건축적 맥락에서 나타나는 레이트 모던과 하이테크 건축, 해체주의 등과 같은 속성을 속도감있게 의식하면서 바람직한 조경문화가 우리환경공간에 접속되고 체감되어지는 조경의 정체성 구현에 힘을 합해야 할 것이다. ※ 페이지 : 신상섭, 특별기획, 한국조경, 현대조경, 철학, 문화, 비평 ※ 페이지 : 68-75
-
좌담 ; 강현욱 환경부 장관 ; <지방의제 21>요강 작성등 지자체 환경보전에 적극지원
1997년 6월 7일 환경부 장관실에서 오휘영 본지 발행인과 강현욱 환경부 장관은 ‘요강 작성등 지자체 환경보전에 적극지원’에 대한 주제로 특별대담의 시간을 가졌다. 정부는 다가올 21세기 국민의 향상을 위해 환경보전장기종합계획을 수립, 96년부터 10년동안 약 77조원을 투자할 계획으로 알려져있다. 생활환경의 개선, 자연환경의 복원, 지구환경 보전과 국제협력의 강화, 환경기술 진흥과 환경산업 육성, 환경관리체계강화 등의 사업으로 구성될 환경보전 장기종합계획은 21세기를 대비하여 인간과 자연이 더불어 사는 쾌적한 삶의 터를 조성하는데 그 목표를 두고 있다. ※ 페이지 : 대담, 강현욱, 오휘영, 환경부 장관, 지방의제 21 ※ 페이지 : 52-55
-
한국조경, 과연 철학이 깃들어 있는가? ; 한국 조경의 철학적 접근
이제는 국가의 구분도 서양과 동양의 구별도 없어지는 시대적 변천속에서 또 남양(南洋)(못 사는 곳)과 북양(北洋)(잘 사는 곳)의 구별을 만들지 말아야 한다. 그리고 다름 때문에 거부반응을 일으켜 충돌의 꺼리로 만들지 말고 오히려 이해하고 좋아할 수 있는 세계시민으로서 덕목이 길러지는 환경조경을 실행해야 한다. 불평등을 해소하고 인류 모두가 서로 잘 통하는 지구촌 문명을 구가하는데 환경 조경의 책임이 분명히 있다. 이제 한국의 환경 조경분야는 모든 사람이 스타로서 지구위에서 살 수 있도록 하는데 그 역할이 있고 지구 중심적인 사고를 더 넓혀 우주의 섭리를 따르는 분야로 2천년대 지성의 선두에 나서야 한다. 그리고 나 보다는 우리를 생각하는 시대, 우리위시대(宇理位時代, Uriwe Age)를 여는데 기여하려는 세계 지성의 출발을 한국조경분야에서 시작했으면 좋겠다. ※ 페이지 : 곽영훈, 한국조경, 전통조경, 철학, 환경조경, 지속가능성 ※ 페이지 : 88-91
-
‘디자인’으로 자연을 구현
이 글은 사막식물원 계획의 역사와 몇몇 주요 계획 및 디자인 중에서 하이라이트를 요약하면서 존슨 존슨과 로이, 크리스틴 텐 아이크, 존 더글라스(그는 건축가이기도 하다) 그리고 스티브 마르티노 등의 조경가들과 건축가이자 계획가인 버논 스와백의 공헌에 대해 특별히 강조하고자 한다. 사막식물원에서는 자연의 디자인이 계속 진행된다. 이 식물 보호구에서 산토끼는 우리에게 야생 자연은 자연 그대로의 조화가 일그러질 때 파괴된다는 사실을 상기시켜 준다. 이 정원은 경관 생태계의 상호 작용에 관한 복합적인 내용을 방문객들에게 교육하기 위해 애쓰고 있다. 이 정원은 또한 살아 있는 경관에서의 무한한 아름다움의 가능성을 생생히 일깨우고 있다. ※ 페이지 : 해외, Frederick Steiner, 디자인, 자연, 사막식물원, 존슨 존슨, 로이, 버논 스와백 ※ 페이지 : 186-195
-
한국조경, 과연 철학이 깃들어 있는가? ; 과연 무엇을 한국조경철학이라고 정의내릴 수 있는가?
자연과의 조화는 만약 우리조경을 동양조경, 중국이나 일본의 조경과 구분하고자 한다면 그 때도 가장 유용한 개념이 되며 우리 현대사회를 풍미하는 서양사상과 융화를 도모함에 있어서도 공통분모가 될 수 있다. 또한 미래 환경철학의 주제가 되고 있는 생태계획이나 지속성과 이념을 같이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한국조경 철학이면서 미래의 여러 문화나 지리적으로 상이한 조경철학의 모태가 될 수 있고,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 페이지 : 안동만, 특별기획, 한국조경, 철학, 자연, 조화 ※ 페이지 : 62-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