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좌담 ;옥상조경의 실태와 그 문제점 ; 옥상조경 어떻게 할 것인가
    옥상조경의 계획에 있어서 경제적인 문제도 따르지만 우선 국민 개개인이 원대한 생각을 갖고 한치의 땅이라도 녹화를 해보겠다는 의지가 선행되어야 한다. 법으로 규범적 강제성을 띄우기 보다는 외국의 경우처럼 아파트 빌딩. 공장, 상가 , 호텔, 학교 등에 조경시설을 의무화하도록 명시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옥상조경의 인식에 있어서 건축주 본인의 조경관 내지는 녹지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또 건축과와 조경가와의 유기적 협조와 조화도 필요하다. ※ 키워드 : 옥상조경 ※ 페이지 : 32-38
    • / 1984년10월 / 7
  • 옥상조경의 실태와 그 문제점
    1. 도시지붕의 디자인70년대에 들어서면서 서울을 비롯한 우리의 도시들도 고층화와 입체화 경향으로 급속히 변모되어 왔다. 이러한 고층건물들과 고가도로 등 도로망의 입체화는 도시의 평면적 올려다보는 풍경의 질뿐만 아니라 내려다보는 도시풍경의 질에 대해서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는 의식이 점증되고 있다.2. 공간의 연속성상정원의 의미는 그 어원에서 쉽게 찾을 수있다. 정원은 히브리어의 gan, 즉 울타리, 페쇄의 뜻을 함축한 방어 혹은 보호로서의 의미와 open 또는 edgn, 즉 즐거움, 기쁨을 의미하는 데서 그 유래를 찾을 수 있다.3. 옥상조경의 유용성이러한 발상은 실제 우리 주변의 건축물에서도 쉽게 발견된다. 물론 진부한 결과지만 대부분의 은행건물은 사무를 위한 고층부와 대민업무를 위핝 영업장인 저층부를 갖는다. 4. 휴식공간과 생활공간이러한 옥상정원의 막대한 효용성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가지는 위치적 불리함으로 인해서 현실적으로 기술적, 물리적 해결과 그에 따른 과감한 투자을 요한다. 우선 옥상조경을 위한 최소한의 토량확보를 위해서 구조적인 불이익을 감당할 수 밖에 없다. ※ 키워드: 옥상조경, 정원※ 페이지 : 24-31
    • / 1984년10월 / 7
  • 옥상조경의 실태와 그 문제점 ; 도시미관으로서의 옥상조경
    1. 생화와 조화요즈음 도심부의 다방이나 음식점 등에서 우리는 흔히 실내장식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조화를 많이본다. 이들 조화는 그 생김새나 모양이 실제와 흡사할 뿐 아니라 어떤 것들은 향기까지 내고 있어 가까이 가서 만져보지 않고는 생화인지 아닌지 분간하기가 무척 힘이 든다.2. 전체로서의 도시미그러나 도시의 미관에 대한 제도적 장치로는 지금까지 주로 건축이나 도시계획 등에서만 다루어 왔었으며, 조경이 도시의 물리적 환경에 관여한 것은 십여년 안팎의 일이며 더구나 이를 제도한 한 것은 불과 4-5년에 지나지 않는다.3. 보는 공간과 쓰는 공간도시는 어느 특정인의 소유물이나 전유물이 아닌 도시민 전체의 생활공간이며 활동장소이다. 이러한 도시를 구성하는 개개의 건물들도 그 소유가 비록 개인에 속한다 하더라도 그것들이 만들어내는 전체로서의 경관을 분명히 여러사람들에 의해 보여지고 사용되어지기 때문에 내것이며 내마음대로 해도 좋다는 사고방식은 전체로서의 사고경관을 생각할 때 매우 위험한 일이다.4. 도시미관과 옥상조경우리나라에서는 현대 대지 내의 공지에 대한 조경을 건축법에서 규정하고 있으며 일정규모 이상의 건물에 대해서는 옥상정원의 조성을 조경면적으로 산정하고 있다.5. 조경과 도시미조경이란 단순히 나무를 심고 가꾸는 일이 아니다. 우리가 살고있는 땅을 아름답게 만드는 일이다. 건축은 자연의 흙에 대한 애착보다는 그위에 지어지는 인공적인 구조물에 더 관심을 두지만 조경은 이를 포함한 땅위에 모든것들에 애착을 갖고 경관을 만들어내는데 모든 노력을 기울인다. ※ 키워드 : 옥상조경. 도시미관※ 페이지 : 18-23
    • / 1984년10월 /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