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수리와 조경의 극적연출 ; 창경궁 정비계획 조경
    계획의 배경은 창경궁을 본래의 궁의 모습으로 복원하여 종묘 창덕궁을 연계한 역사교육의 장으로 조성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계획을 추진한다. 기본적인 목적은 역사적 보존도시로서의 전통성을 추구하기 위한 가치성을 인식하고 물리적 측면에서의 방안을 수립하는데 있는 것이다. ※ 키워드 : 창경궁 ※ 페이지 : 60-66
    • / 1984년10월 / 7
  • 벽면조경 ; 녹지공간의 시각적 확장
    정원을 공간 유행에 따라 크게 분류하면 평면정원과, 벽정원, 공중정원으로 나눌 수 있다. 평면정원이 식물위주로 꾸며진다고 한다면 벽정은 주로 물과 식물 돌 등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평면정원에서도 벽정원에서 이용되는 돌이나 물식물들이 이용되지만, 특히 벽정원에서는 더 큰 비중을 차지한다. 정적인 멋과 동적이 멋이 함께 조화를 이루는 벽정원이야말로 우리들에게 경쾌감을 더울 줄것이다. ※ 키워드: 벽면조경 ※ 페이지 : 102-103
    • / 1984년10월 / 7
  • 정원기행 ; 전라남도 완도군 정자리 김양제씨댁 정원
    보길도는 푸른 남해에 점점이 떠있는 섬들만으로도 평온하고 아름다운 인상을 주지만, 그 작은 섬안에 이토록 정성스레 꾸민 한적한 정원이 있다는 것에서 또다른 감명을 준다.이 정원은 구성상 크게 전정 중정 후정으로 나뉘어지는데, 대문 앞의 화단에도 그러하지만, 대문에서 행랑채 사이의 전정에는 아기자기한 손길이 있어 외부인일지라도 친근한 느낌을 받을 수 있다.좁아서 오히려 편안한 행랑채의 출입문을 통하면 중정이 거기 있는데, 이것이야말로 우리나라 전통적 마당의 모습을 하고 있다. 즉 시원하게 다듬어 놓은 흙바닥은 좋은 포장재료로 이용되고 있으며, 구석의 작은 화단은 시골스러움을 잃지않고 있다. ※ 키워드: 보길도, 전정, 후정, 중정, 행랑채, ※ 페이지 : 12-13
    • / 1984년10월 / 7
  • 정원기행 ; 성북동 송교수님 정원
    나지막한 남색대문을 열고 조심스레 발길을 문안에 들여 놓자 길게 뻗은 후박디딤돌이 인상적으로 눈에 띄고 양옆으로 늘어선 나무들이 넙죽 인사를 하며 반긴다.이 집의 정원은 정방형에 가까운 2개의 전정이 계단으로 연결되어 장방형의 정원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입구에서부터 주택과 제2정원이 있는 계단으로 자연스럽게 연결시켜 주고 있는 제1정원은 완만한 경사로서 걸음을 옮김에 따라 시야에 들어오며, 붉은 벽돌담에 예쁘게 올린 담쟁이덩굴과 앵도나무, 소나무, 잣나무, 회향목 철쭉 등이 크고 작은 자연석과 어우러져 깔끔한 인상을 준다 ※ 키워드: 앵도나무, 소나무, 잣나무, 회향목, 철쭉, 정방형, 장방형, 디딤돌※ 페이지 : 10-11
    • / 1984년10월 / 7
  • 세계의 정원 ; 환상적인 감각을 창출하는 정원
    여기에 소개하는 정원은 일반적인 정원과는 달리 매우 특이한 정원이다. 마치 조각작품이나 추상회화를 보는 듯한 느낌을 갖게 한다. 이정원을 설계 제작한 마사 슈발츠는 미술가는 아니다. 그러나 정원이야말로 소수의 사람들이 즐기기에는 가장 이상적인 장소이며 또 조경적측면에서의 정원디자인은 매우 중요한 것이라 주장하고 있다. 그리고 실제 그년는 이 분야의 무한한 아이디어 개발에 앞장서가고 있는 인물로 알려져 있다.※ 키워드: 정원 ※ 페이지 : 42-45
    • / 1984년10월 /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