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아름다운 정원 ; 숲 속의 정원
    위치 : 경기도 광산군 소재 조경면적 : 3,000평 사진 : 김형길 출입구를 중심으로 좌편에는 넓은 잔디밭이, 우편에는 소정원 형식의 연못이 조성되어 있는 이 정원은 원래 S회사의 연수원으로 활용될 목적으로 지어졌기에 사원들의 심신수련의 장으로서 개방적인 공간위주로 계획되었다. 특히 옥외생활의 주요공간인 잔디밭은 넓은 면적을 할애하여 조성, 오락·운동·휴양·사교가 원활히 이뤄질 수 있도록 배려하였다. 전체적으로 이 정원은 단조로운 듯 하면서도 다이나믹한 휴식공간을 제공해주고 있으며, 넓은 면적의 잔디밭은 지역사회의 환경조성에도 일익을 담당하고 있음을 알게 해 준다. ※ 키워드 : 아름다운 정원, 정원, 연수원, 수경시설, 배식, 경기도 ※ 페이지 : 52-55
    • / 1992년07월 / 51
  • 시애틀의 개스웤스 파크 ; 창조적이며 적응적 재활용을 위한 도시공원
    개스웤스 파크는 미국에서 최초로 비전통적 소재나 재료를 사용하여 파격적인 공간 형태를 창조하려는 소위 펑크-아트(funk-art)식 공원으로 보인다. 이미 쓸모없이 버려진 개스생산공장의 시설을 이용하여 이미지가 강한 시각대상물로 활용했고 역사적 산업시설을 보존하여 공간의 역사성과 장소성을 강조하고 있다. 또 도시공간 내의 폐허지를 즐거움과 쓸모있는 공간창출로서 이른바 문제해결 중심적 설계방법을 통한 적응적 재활용에 성공한 작품이다. 부지내 기존의 타워와 굴뚝, 일부시설을 이용한 시각대상물은 이 공원의 개성과 독특성을 강조했으며 착상이 대담하고 일대전환을 이루는 계획으로서 매우 중요한 선례를 남긴 작품이다. 동시에 변화하고 있는 새로운 형태의 도시생활과 레크레이션 및 놀이경향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켜 준 공원설계로서도 의미가 깊다. 공간구성적 측면에서도 주변의 경관을 적절히 차경하고 공원자체가 외부에서부터 강한 시각적 대상물과 거대한 조각물로서 부각시킴은 높이 평가할 만하다. 공원조성의 과정에서도 설계자 한 사람의 창조적 발상이 계기가 되었지만 이를 위해 오랜기간 동안 여론의 형성과 시민의 참여를 통한 점진적인 개발이었다는 점에서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 키워드 : 박찬용, 해외, 시애틀, 개스웤스파크, 창조, 재활용, 펑트아트, 역사성, 장소성※ 페이지 : 56-61
    • / 1992년07월 / 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