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분당1차 중앙공원 조경계획
    계획의개요-계획의 목적: 공원녹지계획을 통한 도시속의 자연 개념을 실현 -계획의 범위: 경기도 성남시 분당동,궁내동,정자동등 15개동 일원 기본계획 -공원녹지계획: 신도시의 중심시설로 중앙공원 중심상업,중심광장등 조성 -오픈스페이스체계 계획: 접근성향상, 연계성향상, 식별성재고 및 도시기본 구조축 의 연계로 도시 공간의 질서 부여 -오픈스페이스체계의 구성 방법 및 요소: 생활권을 고려한 체계적분산 배치 / 근린공원, 어린이공원, 광장, 보행자전용도로등의 요소 필요 ※ 키워드: 분당 중앙공원, 분당신도시 녹지체계 ※ 페이지: 160~165
    • / 1992년04월 / 48
  • 신진도 서해안 Coastal Community 정비계획
    신진도는 후지,하꼬네,이즈국립공원내 있고, 풍광명미한 자연으로서, 해수의 수질은 일본에서 가장 좋은 수준이고 최근에는 온천도 솟아나와 관광,레져에 적합한 제반조건을 갖추고 있는 지역이다. 그러나 태평양상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때때로 큰 파도로 인해 해수욕에 적합하도록 하기에는 당위성의 창설 확보, 기타해안 지역의 리조트로서 마린스포츠의 시설, 숙박시설 같은 지역에의 도로등 우수한 경관을 즐기기 위한 유도보의 제반시설정비가 필요하다. 당위성을 살려 국립공원으로서의 경관을 확보하고 시대에 맞는 해안지역 레져로서 이용, 동시에 국토보전을 겸해 갖추어진 시설의 정비를 목표로 지향하는 것이다. Coastal Community Zone 정비계획의 이념 : 은혜받은 자연을 최대한으로 이용한다 / 섬내 관광의 거점을 만든다 / 4계절형 관광지로의 성격을 도모한다. ※ 키워드: 신진도, 연안공동체, CCZ ※ 페이지: 166~167
    • / 1992년04월 / 48
  • 아름다운 정원 ; 정원의 작은 연못
    물은 시각적인 시원함을 제공함과 동시에 청각적인 효과도 지니고 있어 정원 특성들 중에 가장 중요한 소재가 된다. 이러한 물을 정원에 도입하여 계절감각과 미를 살려 활용한다면 사람들의 마음을 한층 더 자연에 가깝게 만들 수 있을 것이다.정원1-아현동 소재 정원의 한 모서리에 조성해 놓은 이 연못의 구획은 자연석을 확용하였고, 담쪽으로 높이 쌓아 작은 폭포를 연상시키고 있다. 아울러 연못의 앞쪽은 평평하고 아기자기한 돌을 놓아 앉아서 쉴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였다. 정원2-구의동 소재 연못의 깊이가 50cm도 안되게 얕게 설계되어 있지만 작은 폭포와 분수가 설치되어 있어 생동감을 느끼게 한다. 연못주변에는 소나무와 철쭉, 회양목을 군식하였고 붓꽃, 부들, 물옥잠 등을 식재하여 연못의 특성을 어느정동 살렸으며 연못의 위치 선정이 잘 되어 거실에서 연못으로의 조망이 좋다. 정원3-길동 소재 이 정원의 가장 중요한 주제는 연못으로 연못주변에 밋밋해지기 쉬운 분위기를 움직 임이 있는 물레방아와 함께 운치있는 정자를 설치하여 신선을 집중시켰다. 연못 끝부 분에 붙어 있는 창고벽을 자연석으로 쌓아 자연스러운 분위기를 내면서 공간성을 확 보하였는데 다만 연못주변에 수생식물을 활용하지 못한 점이 아쉽다. ※ 키워드 : 서대문구 아현동, 강동구 길동, 성동구 구의동, 연못, 서울조경 ※ 페이지 : 42~46
    • / 1992년04월 / 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