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고려대학교
    대학캠퍼스의 목적은 대학생활을 위한 환경을 제공하는데 있다. 대학생활의 대부분이 실내에서 이루어지고 대학생활의 윤택함은 건물의 질에 달려 있지만, 옥외환경도 중요한 몫을 차지한다. 특히 대학의 풍습과 전통이 건물의 외관과 아울러 캠퍼스 곳곳에서 나타나게 하여 다변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서울시 성북구 안암5가 1번지에 위치한 고려대학교의 서울캠퍼스는 약 19만평이며 3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북악산 기슭 안암의 언덕에 자리잡은 안암캠퍼스와 옛 왕자의 능이라는 애기능을 배꼽으로 하고 자리잡은 자연계열의 애기능캠퍼스, 그리고 이 두 캠퍼스를 배후에서 연결하며 의대와 부속병원, 종합운동장, 노천극장으로 이루어진 녹지캠퍼스이다. ※ 키워드 : 캠퍼스, 고려대, 안암, 애기능, 녹지 ※ 페이지 : p32-37
    • / 1989년09월 / 31
  • 조경설계의 새로운 접근방법
    여기에 소개하는 작품은 재미 조경가 김도경씨 작품으로 하여 하버드대학 소재인 Cambridge市 Cambridge Arts Council에서 주최하는 “The 10th Annual Cambridge River Festival 에 환경예술품으로 출품해서 당선된 「PINK FLOAT 1986」과 작품의 성격을 함께하는 「MOVEMEDT IN THE GARDEN: Endless Compositions」을 편집해본다. -편집자주 ※ 키워드 : 설계, 김도경, PINK FLOAT 1986, MOVEMEDT IN THE GARDEN: Endless Compositions ※ 페이지 : 40-45
    • / 1989년09월 / 31
  • 임페리얼 호텔 주변 조경계획
    강원도 명주군 주문진읍에 위치한 임페리얼 호텔 주변 조경계획의 면적은 49,500㎡(15,000평)이고 설계시공은 대림조경이 시행하였다. ※ 키워드 : 프로젝트, 임페리얼 호텔, 대림조경, 계획, 설계, 강원도 ※ 페이지 : 154-159
    • / 1989년09월 / 31
  • 아름다운 정원 ; 원형플랜터를 이용한 정원
    중구 필동, 남산아래 위치한 이 주택은 전체면적 210평, 조경면적 100평이며 밀집된 주택가에 속해있어 그리 전망이 좋은 편은 아니다. 설계·시공은 효록원에서 시행하였다. 이런 불리한 지리적 여건임에도 불구하고 정원자체의 치밀성과 효율적인 공간구성으로 관망의 대상을 정원 안으로 끌어들이기에 치밀하다. 이 주택정원의 특징은 원과 사각의 조화에 있다. 원형구도인 두개의 식재박스와 한개의 거실평면이 동적 분위기를 준다면, 사각 구도인 테라스는 정적인 분위기를 자아내고 있다. 이러한 정원이 우리에게 주는 이미지는 신비성과 심연성을 부여하고 있음이다. ※ 키워드 : 효록원, 플랜터, 정원, 원, 사각, 공간 활용 ※ 페이지 : 26-31
    • / 1989년09월 /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