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흥인지문 포토아일랜드 경관조명
흥인지문 포토아일랜드는 흥인지문을 촬영하거나, 흥인지문을 배경으로 촬영하기 용이한 장소를 시민이나 관광객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조성되어졌다. 최소한의 시설이 추가되고, 주변을 정비하는 차원에서 접근이 이루어졌고, 기존 흥인지문의 경관조명을 받쳐주는 역할로서 조명설계에 포인트를 두었다.시설 디자인의 제약이 많다보니, 자연스럽게 조명으로 장소의 identity를 부각시키고자 하였으며, 특히 서측 공간에 설치한 통석과 LED조명이 결합된 벤치시설은 옹기에 담겨진 소중한 문화유산과 전통을 빛으로 시각화하고, 이 시설을 이용하는 시민들에게 그 가치가 조금이나마 전달되었으면 하는 바람에서 디자인하였다. 그리고 바닥에 매입된 광섬유 조명은 시설을 이용하는 시민들 개개인을 상징한다.통석과 LED조명이 결합된 벤치와 바닥의 광섬유 조명은 핑크(Magenta), 스카이블루(Cyan), 그린(Green), 화이트(White) 4색상으로 순차적으로 변환하며 아름다운 야경을 연출하게 된다. 각 조명은 색상변환 시간조정이 가능하고 지정 색상을 고정하여 연출도 가능하다.위치 : 서울특별시 종로구 흥인지문(동대문) 동측, 서측발주처 : 서울시 종로구청조경 및 조명 설계 : 니드랜드(대표 박재석, 담당 한경훈, 박운규)조명 기술자문 및 시공 : (주)샘라이팅(대표 이익흔)
(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
-
장안 현대 홈타운
장안 현대 홈타운은 기 준공되거나 혹은 공사중인 주변의 대규모 단지들과 더불어 지역의 주거 문화를 크게 바꾸어 놓았는데, 특히 개발된 지 오래된 지역 특유의 어수선하고 정돈되지 않은 곳에 입지한 이 아파트는 여유로운 공간분할과 충분한 녹음, 그리고 다양한 볼거리의 제공으로 새로운 문화공간의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장안 현대 홈타운은 거의 평지나 다름 없는 부지내 레벨로 인하여 수직적인 변화를 기대할 수 없는 다소 밋밋한 설계가 되기 쉬운 특성을 지니고 있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테마별로 공간을 구분하기 보다 특유의 색깔을 부여하면서 공간을 나누어 Red , Yellow, White, Blue, Purple 의 5가지 Garden 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이름과 부합하는 색의 조형물과 패턴 등으로 분위기를 연출하였다. 예를 들면 가벽과 세라믹계 포장재료를 사용하여 표현된 Yellow Garden, Blue와 White 타일로 분위기를 낸Blue pond를 중심으로 한 Blue Garden 등이 조성되었으며 각종 단위 시설물과 함께 포장패턴도 각기 공간의 주요 요소로 활용되어졌다.단지를 동서로 관통하는 주출입구를 통하여 중랑천변의 대로와 동네의 소로사이에 위치한 단지 입주민들이 중랑천변의 체육시설 및 공원으로의 접근함에 있어서의 안전 및 쾌적성을 크게 높여 줄 수 있는 설계가 도입되었다. 담장은 자연 친화적인 통석으로 투시성을 높여 시공하여 주변환경과 어우러지게 만들고 곳곳에 있는 보행자 출입구의 확보는 지역주민과 아파트 입주민 간에 개방감을 제공하였다.단지 곳곳에 다양한 조형물과 시설물이 있지만 가장 눈에 띄는 것은 단지 중앙에 위치한 세심지와 족탕이다. 세심지는 특별한 시설물이 없는, 공원에서나 볼 수 있을 법한 큼지막한 연못이다. 한가지 특이한 것은 인공 연못이 갖는 수질정화의 한계를 극복하려고 연못 하부에 순환모터를 이용하여 정화지를 통해서 물을 순환 정화시키는 방식을 채택한 것이다. 족탕은 세심지와 나란히 붙어 있는데, 온천수를 이용하여 나무데크에 빙 둘러 앉아서 발을 담글 수 있도록 시공되어 보는 것 뿐 아니라 체험도 가능한 이색적인 장소가 탄생하였다.
위치 : 서울시 동대문구 장안동대지면적 : 81,130.46m2조경면적 : 25,662.8m2규모 : 2,182세대(약 53억원)발주처 : 장안 시영1단지 재건축조합(조합장 박승민)시공사 : 현대건설 주식회사(설계담당 : 김연수 부장, 유송영 과장 / 시공담당 : 고영창 부장, 최광 과장)조경설계 : 기술사사무소 동인조경마당(황용득 소장, 손용준 과장)식재공사 : 남도농원(김양수 사장, 박승창 이사), (주)부여조경(이수근 사장, 민태정 차장)시설물공사 : 일등산업(황오성 사장, 이병하 부장)준공일 : 2003.10
최광 Choi, Kwang · 현대건설주식회사 토목조경부
-
한국담배인삼공사 신제조창, 대전 Food Court 실내조경
위치 : 경북 영주시 적서동 휴천공단 내 한국담배인삼공사 신제조창 관리후생동발주 : 한국담배인삼공사설계· 시공 : 기린코리아면적 : 108㎡
경북 영주에 위치한 한국담배인삼공사 신제조창 관리후생동에는 직원들을 작은 공간이 생겨났다. 세로로 길게 이어지는 건물의 1층 부분에 실내조경을 도입, 실내에서 오래 근무하는 직원들이 쾌적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1층이고, 건물의 중앙 부분에 해당하는 곳이라 해가 잘 들지 않을까 생각되기도 하지만 중앙이 천장까지 뚫려 있고 천장은 창으로 처리되어 있어, 한낮의 광선이 충분해 생화로 시공하는데도 무리가 없었다.넓지 않은 면적이지만 이국적이고 풍성한 느낌을 표현하기 위해 주교목으로 워싱토니아가 식재되었고 그 하부에는 몇 가지 지피식물이 심겨졌다. 그리고 공간이 사무실의 사이에 위치한 만큼 실내조경 공간의 중앙에는 직원들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화강석 스텝이 설치되었고, 잠시 동안의 휴식을 위한 통석 의자도 간간히 배치되었다.
위치 : 대전광역시 둔산동 Food Court설계· 시공 : 기린코리아
대전 Food Court는 건물을 지을 때부터 실내조경을 고려하여 계획되었다. 때문에 작은 부위라도 식사하는 사람들을 위해 세밀한 주의를 기울였고, 모두 생화로 시공했다고 한다. 식당에 따라 입구의 분위기 연출을 달리 해야 하는데 광도가 낮고 통풍이 되지 않아 식물 선택에 어려움이 많았다. 따라서 실내의 식물들은 유지관리가 중요하며 계속 보식되어야 함을 관리자에게 주지 시켰다.일식당은 실제 일본 정원의 압축미 보다는 식물이 풍성하게 보여지기를 원하여, 교목의 효과를 낼 수 있는 높이 2.1m 정도의 종려죽을 중심 식물로 놓고 면적에 비해 많은 양의 돌박기로 일식 정원의 분위기를 연출하였다. 지피식물로는 백량금, 속새, 엽란, 노무라, 애란 등을 심어 순화시키는 역할을 하도록 했다.일식당 테이블 위의 실내조경은 단순, 통일된 계획으로, 식사하는 곳이므로 토양이 드러나지 않도록 대나무 구조물과 혜미석으로 깔끔하게 처리하였으며 개운죽, 백량금, 만년청, 노무라 등이 식재되었는데, 좁은 공간임에도 다양한 처리가 되어 있는 점이 특색이다. 일식당 안의 벽면 앞 조경은 처음보다 면적이 많이 좁아져서 토양 속에 들어가야 할 2단 물 흐름이 부자연하게 튀어나오게 되었다. 청목, 호엽란, 백량금, 안시리움, 노무라가 식재되었다.
(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