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비탈 훼손지의 생태적 식생복원 방향 - 비탈 훼손지 식생복원기술의 과거와 현재 -
  • 에코스케이프 2009년 가을

산악지형으로 이루어진 우리나라는 국토의 대부분이 산지로 이루어져 있어서 각종 개발행위는 다양한 비탈을 양산하게 되었으며, 또한 최근 이상기후 현상에 의하여 자연재해 등의 발생빈도가 높아지면서 대규모의 훼손 비탈면이 생겨나고 있다. 이러한 도로건설, 광산개발, 주거단지의 개발 및 자연재해 등으로 인해 생성되는 각종 인공적 또는 자연적 훼손 비탈은 국토의 효율적인 이용 및 보존의 측면에서 효율적인 대책수립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들 비탈 훼손지에 대한 처리 방안으로 식물에 의한 녹화를 시도하고 있으나 아직 훼손된 비탈면의 식생복원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고, 복구 모형이나 사용 식물들에 대한 연구가 아직까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원고에서는 우리나라의 비탈 훼손지의 생태적 식생복원에 대한 역사적 맥락에서 출발하여 적용 소재 및 시공기술, 해외사례 및 앞으로의 발전 방향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훼손지의 생태적 식생복원 개요
훼손지의 생태적 식생복원이란 각종 유형의 토목공사 및 개발행위와 때로는 자연현상 등에 의하여 훼손되거나 상실된 자연(綠, vegetation)을 인간의 노력으로 재생, 복원 및 녹화하는 일을 말한다. 협의의 개념으로 볼 때 비탈 녹화는 “대상지를 식물로 피복하여 토사유출을 방지하고 경관을 회복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나, 광의의 개념으로 볼 때 “자연의 회복력으로는 식물의 재생이 곤란한 훼손 지역에 대해서 식물이 생장할 수 있는 생육환경을 정비함으로써 주변 산림에서 식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직접 식물을 도입하여 식생을 재생함으로써 자연의 회복력을 향상시키는 기술”이라고 볼 수 있다.

비탈 훼손지의 녹화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대상지의 환경은 점차로 변화되고, 식물도 이 변화에 부응하여 자연적으로 천이가 진행되어 스스로 안정화하려고 변화되는 것이다. 결국 현장에 부합되는 환경조건을 조성해주고, 여기에 식물이 정착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녹화공의 역할이라고 볼 수 있다.

최근에 비탈 훼손지의 녹화 목적은 단지 훼손지에 식물을 재생하는 것뿐만 아니라, 어떤 목적을 위해서 이에 적합한 기능을 갖는 식물군락을 조성하는 행위까지 포함하고 있으며, 식생 복원의 필요성이나 목적에 대하여 충분히 인식하고, 전 지구적 차원에서 동식물 서식지의 복원까지 도모하는 것으로 확대 해석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 비탈 훼손지 녹화의 역사를 보면 1960년대 이전의 치산사방녹화의 개념에서 최근에는 생태적 녹화의 개념으로 발전되어 왔다. 이러한 개념의 변화는 우리나라의 급속한 경제성장 과정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녹화의 방향은 시대적 성향을 반영하듯이 1970년대의 경제성장 초기에 기계화시공을 통한 대규모 공사 수행단계, 1980년대의 자연경관을 회복시키기 위한 경관녹화의 단계를 거쳐서 2000년대에는 전 지구적 차원에서의 종다양성 및 수림화 복원 등이 주된 이슈가 되고 있다.

월간 에코스케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