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춘웅 ([email protected])
나는 도시재생 일번지라고 할 수 있는 세운상가―정확히 말하면 신성·진양상가―에서 4년째 사무실을 얻어 생활하고 있다. 낮에는 열심히 일하는 수많은 사람들이 북적이며 소란을 피우고, 밤에는 거리에 앉아 먹고 마시는 사람들이 골목을 점령하는 정신없는 곳이다.
이미 정신없이 소란스러운 이곳을 활성화하려는 계획들은 실패로 돌아갔고, 최근 재개된 세운상가 도시재생사업은 철거 후 청계천과 같은 공원을 조성하려던 조경중심계획에서 공중데크를 보강하고 상업공간화 하는 상업활성화사업으로 방향을 바꿨다.
그러나 내 주변에 사는 사람들에게 데크 공간은 크게 의미가 없어 보인다. 진양꽃상가 상인들의 경우만 데크 위로 카니발 밴이 올라와야 화환을 실어 나르기 때문에 작년 데크의 구조안전을 이유로 차량을 차단하려고 할 때 가장 적극적으로 반대운동을 했었다. 주차장으로서의 의미 외에 큰 의미가 없는 공간이다. 막상 상인들과 주민들은 데크를 없앤 삼풍·풍전호텔블록을 부러워한다. 거리가 환하게 되살아났기 때문이다. 물론
어색하게 수리된 삼풍상가의 외관을 나도 좋아하지 않지만 원하는 대로 고치고 쓰는 자유로움이 좋다.
세운상가의 공중데크를 억지로 고쳐서 다시 쓰려는 이유는 옛 추억을 보전하기 위한 것이라고 한다. 주변의 도시가 변해서 더 이상 주변을 내려다 볼 수 없고, 대신 불편할 정도로 가까운 거리에서 앞 건물의 창속을 들여다보게 되는 공중데크를 보전한다는 것은 계속 변하고 있는 주변 환경과 관계없이 공중데크를 유물화하겠다는 의지 때문인 것 같다. 데크를 없애고 그 아래 거리에 좋은 보행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여러 가지 상황으로 볼 때 적합할 것 같은데, 반대로 데크의 존재감을 더 강화하고 돋보이게 하려는 생각은 실증적 구조체를 페티시로 만드는 것이다. 지나치게 데크 자체에 집착해 그 주변이 보이지 않는 것이다.
그러나 좋은 도시란 계속 변화하는 도시다. 옛 것은 유물화하고 박제화하는 대신 마음대로 고치고 바꿔서 쓰고, 매일 반짝거리게 닦는 대신 더러워져도 크게 티가 안 나는 거리를 따라 오래된 것과 새 것이 나란히 있고, 다양한 배경과 상황의 사람들이 함께 모여 하나의 공유된 이야기를 만들어 가는 곳이 좋은 도시다.
옛 건물들을 의도적으로 철거하지도, 보존하지도 않기 때문에 새 건물과 옛 건물이 자연스럽게 섞여 있고 서로 새로운 의미를 찾아 새로운 관계를 끊임없이 만들어 갈 수 있는 곳이 좋은 도시다. 좋은 도시는 억지로 재생사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자체적으로 생명력이 유지되어 끊임없이 되살아나기 때문이다.
“첫 번째 말도 마지막 말도 없다. 대화의 배경에는 경계가 없다. 가장 깊은 과거와 가장 먼 미래 속으로 연장된다. 아주 먼 과거의 대화 속에서 생성된 의미일지라도 완전하게 이해될 수 없다. 나중의 대화에서 항상 다시 재생될 것이기 때문이다. 대화의 어떤 현재 순간에서도 엄청난 양의 잊혀진 의미들이 있지만 나중에 다시 기억되어 새로운 생명을 얻을 것이다. 어느 것도 완전히 죽지 않기 때문이다.” _ 미하일 바흐찐Mikhail Bakhtin(1895~1975)
대화론적 도시Dialogic City
좋은 도시의 생명력은 다양한 주체들이 함께 모여 서로 대화하고 협력하는 다원형 그리고 대화론적dialogic 관계들 속에서 유지된다. 서로 다름을 인정하고, 나뿐만이 아닌 다른 이들도 대화의 주체인 것을 인정하고, 다양한 주체들 간의 대화를 통해서 세상을 인지할 수 있다는 사고의 틀이 대화론이다. 대화론적 도시는 통합된 미학이 없어도 아름답고, 일관적인 스토리가 없어도 흥미롭다. 대화론적 사고를 바탕으로 만든 도시는 비종결적 대화가 계속 진행되듯이 지속적인 재생의 능력을 갖고 있다. 억지로 재생사업을 할 필요가 없다. 이와 달리 변증법적 사고를 바탕으로 만든 도시는 궁극적으로 닫힌 종결을 전제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자생적이기보다 인위적이고, 나눔과 대화보다 대립과 차별을 지향한다. 서울의 많은 부분을 보면 대화적이기보다 대립구조를 갖고 있다. 아파트단지들은 주변의 도시와 구분돼 있고, 주택들도 주변과 차단된 옹벽이나 담장으로 분리돼 사적인 마당과 공적인 거리가 구분돼 있다. 옆집과 대립하고, 옆 단지와 분리하고 경쟁한다. 모든 영역과 지역에서 경계선이 가장 중요하고 나와 남의 구분이 철저하다. 남과 다를수록 존재감이 드러나고, 옛 것을 없애야만 새 것을 만들 수 있다고 생각했었기 때문이다.
개발에서 재생으로 변화의 패러다임을 바꾼 지금 변증법적 대립을 대화론적 관계성으로 바꾸는 노력이 전제되지 않는다면 진정한 생명력을 가진 도시를 만들 수 없다. 세상을 이해하는 관점이 바뀌고, 존재의 근거를 지속적인 대화 속에서 찾을 때 우리의 도시환경이 근본적으로 거듭날 것이다.
건축가 최춘웅은 최근 범분야적 활동주체로서 건축설계 이외의 영역에 개입하는 건축가들의 단체인 레어콜렉티브(RARE Collective)를 결성했다. 재생(Regeneration), 참여(Activism), 연구(Research), 교육(Education) 분야를 중심으로 서울의 다양한 도시환경적 이슈들을 다루는 레어콜렉티브는 현재 최춘웅, 최승호, 표창연, 그리고 이다미 네 명의 멤버로 구성돼 있으며 최근 동물보호 시민단체 카라와 함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