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계수나무
  • 에코스케이프 2009년 가을

“푸른 하늘 은하수 하얀 쪽배엔 계수나무 한 나무 토끼 한 마리 돛대도 아니 달고 삿대도 없이 가기도 잘도 간다 서쪽 나라로...”

어릴 적에 즐겨 불렀던 윤극영의 동요 ‘반달’ 중에 나오는 상상의 나무가 실제로 존재한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물론 전설속의 그 나무에 대해서는 많은 견해가 있지만, 많은 사람들은 달에 살고 있는 나무가 계수나무일 것이라고 믿고 있다. 

계수나무는 계수나무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으로 원산지는 일본이며, 우리나라에는 일제시대에 들어왔다. 냇가 등의 양지바른 곳에 분포하며, 수고는 7∼10m 정도까지 자라고, 수피는 회갈색으로 세로로 갈라져서 박편상으로 떨어진다. 원줄기는 곧추 자라지만 굵은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짧은 가지가 있다. 소지는 대생하며 동아는 자홍색이다. 잎은 대생으로 넓은 심장형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잎의 크기는 길이 4∼8cm이며, 너비는 3∼7cm 정도로 끝이 다소 둔하다. 잎의 앞면은 녹색, 뒷면은 분백색(粉白色)이고 5∼7개의 손바닥 형태의 장상맥(掌狀脈)이 있다. 엽병은 길이 2∼2.5cm로서 붉은빛이 돈다. 가을에는 황색 또는 붉은색 단풍이 아름답다. 꽃은 3∼5월경에 잎보다 먼저 엽액에서 피는데, 암수딴그루(자웅이주)로서 개화기에는 카라멜과 같은 달콤한 향기가 난다. 화피가 없고 소포가 있다. 수꽃은 많은 수술이 있으며 꽃밥은 길이 3∼4mm로서 선형이고, 암꽃은 3∼5개의 암술로 되며 암술머리는 실같이 가늘고 연한 홍색이다. 그리고 열매는 골돌과로 8월경에 3∼5개씩 달리고, 길이는 15mm 정도로서 굽은 원주형이고, 씨는 편평하며 한쪽에 날개가 있다.

계수나무의 학명은 Cercidiphyllum japonicum Siebold & Zucc.로서 속명 중 Cercis는 박태기, 잎이라는 뜻의 phyllon의 합성어로서 박태기나무의 잎과 비슷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그러나 콩과에 속하는 박태기나무(Cercis chinensis)와 다른 점은 박태기나무의 잎은 호생(互生)하고, 계수나무의 잎은 대생(對生)의 형태이어서 쉽게 구별할 수 있다. 종명인 japonicum은 원산지인 일본을 의미한다. 계수나무의 영명은 Katsura Tree이며, 중국명은 계(桂) 또는 계수(桂樹), 일본명은 カツラ이다.

계수나무의 중국명인 계(桂)가 우연하게도 일치하여 여러 다른 나무의 이름에도 사용되었는데, 세종 16년(1432)에 문무과에 급제한 사람들이 임금님께 올린 감사의 글을 보면 "외람되옵게도 저 구름 사이의 계수나무 가지를 꺾게 되어, 궁궐에서 이름이 불리게 되고..."하는 내용이 있다. 이 문장에서 나타나는 계수나무는 벼슬을 얻었을 때의 상징나무이었고 상상의 나무로만 존재한다. 그리고 수정과에 들어가는 톡 쏘는 매운 맛을 내고 한약재나 향신료로도 쓰이는 계피(桂皮)라는 나무껍질이 있다. 계피는 명칭에 계라는 한자가 있어 계수나무로 종종 오인 받는데, 중국남부에서 실제로 자라는 녹나무과의 육계나무(Cinnamomum loureirii Blume, 肉桂)의 껍질이다. 육계나무는 시나몬(cinnamon)이라는 향신료를 만드는 나무로써 인도, 스리랑카 지역이 주산지이다. 또한 계수나무와 비슷한 명칭을 가진 월계수가 있다. 녹나무과의 월계수(Laurus nobilis, 月桂樹)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하신(河神)의 딸 다프네가 아폴론에 쫓기다 다급해지자 나무로 변해버렸다는 전설이 전해 내려오는데, 중국인들이 번역할 때 월계수라 하였다. 월계수는 사철 푸른 상록수로서 잎을 향료로 사용하며, 승리의 표시로 월계관을 만드는 이 나무는 번역을 하면 달나라에서 자라는 계수나무로 알려지게 되었다.

계수나무에는 오래전부터 내려오는 전설이 있다. 우리가 흔히 동요로 알고 있는 달에 있다는 계수나무는 중국의 달토끼 전설에 의한 것이라 한다. 달토끼 전설로는 예전 중국인들은 달나라에는 토끼가 살고 있다고 믿었으며, 부처님이 전생에 매우 가난해서 주린 배를 움켜쥐어야만 하였는데, 그런 부처님의 배를 채워주기 위해서 토끼 한 마리가 스스로 불 속에 뛰어들어 부처님의 배를 배부르게 해 주었다. 부처님은 토끼의 은혜를 갚기 위해서 토끼의 영혼을 달나라로 보내주고, 이 토끼는 달나라의 계수나무 아래에서 신비한 절구에 불멸의 선약을 넣고 오늘도 약을 만들기 위해 절구질을 하고 있다는 이야기이다.

또 다른 중국 전설도 있다. 옛날 중국의 오강(吳剛)이라는 사람은 신선이 되는 수련을 하고 있었다. 그는 잘못하여 월궁(月宮)의 계수나무를 자른 죄로 옥황상제로부터 벌을 받게 되었다. 결국 그는 달나라로 귀양을 가서 도끼로 계수나무를 찍어 넘기는 힘든 일을 계속해야만 했다. 그러나 애처롭게도 오강이 계수나무를 찍을 때마다 상처 난 곳에서 금세 새 살이 돋아났다. 오강의 처절한 도끼질은 지금도 계속되지만 달나라의 계수나무는 넘어지지 않고 영원히 건재하다는 얘기가 전해진다.

우리나라에서도 예로부터 달 속에 토끼가 살고 있다고 생각하였다. 이런 생각과 달을 신성하게 여기는 믿음이 어우러져 또 다른 신앙적 믿음이 만들어졌다. 어떤 의식을 갖출 때 사용하는 의장기 중 월기라는 것이 있다. 이 월기에는 둥근 달과 함께 그 속에 토끼가 그려져 있다. 우리 조상들은 휘영청 밝은 보름달을 바라보며 계수나무 아래서 떡방아를 찧고 있는 토끼의 모습을 상상하며 평화롭게 사는 이상향을 그리며 살았다.

그리고 아이누족들이 믿고 있는 계수나무 전설도 있다. 옛날에 오다스동굴이라는 영웅은 계수나무와 들메나무로 배를 만들었는데 들메나무의 배는 무거웠으므로 계수나무의 배만 애용했다고 한다. 어느 날 밤, 배를 매어둔 곳에서 싸우는 소리가 나서 가보니, 머리카락이 긴 여자와 곱슬머리의 여자가 엉켜 싸우고 있었다. 오다스동굴은 소란스럽게 싸우는 여자들에게 소리를 쳤으나 두 여자는 계속해서 싸웠다. 그러던 중 머리카락이 긴 여자가 "너는 매일 밤 고기잡이에 데리고 나가 귀여움을 받으니 만족하냐? 나는 언제나 육지에 올려져 있어 마르고 여위어 가고 있지 않느냐?" 며 소리를 쳤고, 오다스동굴은 소리를 지른 머리 긴 여자를 칼로 베었다. 그러자, 여자는 들메나무의 배가 되면서 두 동강으로 갈라졌다고 한다. 곱슬머리 여자도 상처를 입은 채 계수나무의 배로 변해 버렸다. 들메나무로 만든 배가 소란을 피웠다는 사실을 깨달은 오다스동굴은 화가 나 배를 불태워 버리고 다시는 들메나무로 배를 만들지 않게 되었다는 전설이다. 그래서 배에도 신이 있다고 믿어 정월과 시기에 맞추어 제물을 차려 제사지내고 무사를 비는 풍속이 생겼다고 한다. 아이누는 계수나무를 하나의 수호신의 나무로 받들었다고 한다.

또한 심장형의 잎 때문인지 계수나무 아래에서 사랑을 고백하면 사랑이 이뤄진다는 이야기도 있다.

계수나무는 냇가 등의 습지가 있는 양지바른 곳에서 잘 자란다. 내공해성이나 내염성이 강한 편이다. 계수나무의 잎은 윤이 나고 더러운 곳에서도 먼지가 잘 달라붙지 않아서 예부터 성품이 온화하고 고결한 사람들을 상징한다고 한다. 내공해성은 보통이며, 내한성과 내염성도 강한 편이다. 중용수이며 맹아력이 강하고, 내건성은 비교적 약하여 토양수분이 풍부한 곳에서 생육이 잘되나 건조지에서는 생육이 양호하지 못하고, 비옥한 토양을 좋아한다. 지표부근에서 여러 개의 줄기가 나오나 어릴 때 제거하여 하나의 줄기로 키우면 좋은 녹음수, 가로수 및 독립수가 될 수 있다. 

번식은 실생이나 삽목, 취목, 분주 등으로 증식시키며, 실생의 경우 발아율이 높은 편이다. 계수나무의 병해로는 탄저병, 백엽고병이 발생하는데 다이센 M-45 500배액이나 구리수화제 400배액을 살포하여 방제한다. 충해로는 제비나방, 하늘소 등의 피해가 발생하는데 디프수용제 1,000배액이나 파라티온 50배액을 피해 구멍에 주입해 구제한다. 

원추형의 수형과 심장형의 잎, 가을철 황색이나 붉은색으로 물드는 단풍, 향기로운 꽃이 아름다운 계수나무는 공원이나 정원에서 경관수나 독립수로 식재한다. 또한 가로수나 관상용, 녹음수로도 사용 가능하다.  

계수나무의 2009년 조달청 가격은 H3.0×R6 72,700원, H3.5×R8 102,000원, H4.0×R10 165,000원, H4.0×R12 240,00원, H4.5×R15 409,000원으로 거래되고 있다.

월간 에코스케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