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써멀 시티Thermal City: 당인리복합화력발전소 공원화 현상설계 기후변화, 조경은 무엇을 할 것인가
  • 에코스케이프 2016년 08월

8.jpg

 

“지하에서는 전기와 열이 만들어지고, 지상에서는 지형으로 미기후를 만들어 온도를 조절하여 겨울과 여름에도 쾌적하게 이용할 수 있는 공원이 생긴다. 바로 당인리 써멀 시티Thermal City이다. 강변에 위치하여 역동적인 공기의 흐름을 갖는 점을 이용, 여름에는 바람 골을 만들어 주고 겨울에는 바람을 막아 주는 지형과 식재, 시설물을 통해 여름은 점점 더 길고 더워지고 겨울은 점점 더 길고 추워지는 서울에 필요한 ‘온도조절공원’을 만드는 것이다. 특히 과거 한강변에서 볼 수 있었던 작은 모래언덕 형태를 원형으로 삼아 잃어버린 한강변의 경관 또한 동시대적으로 재현하고자 했고, 지형 사이를 흐르는 동선의 다발들은 홍대에서 이어지는 공연전시문화를 받아들여 공원의 프로그램으로 증폭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공원의 필요 에너지를 모두 공원 내에서 생산해 내도록 하여, 발전소의 탄소발자국carbon footprint을 줄이는 데도 기여한다.”


위 글은 지난 2013년 있었던 ‘당인리복합화력발전소공원화 현상설계’에 출품했던 오피스박김의 ‘써멀 시티’ 패널의 도입부다. 당인리 발전소는 우리나라 최초의 화력발전소로 1930년대에 지어졌고 다시 세계 최초로 지하화될 예정이며 본 현상설계는 그 상부를 문화시설을 포함한 공원으로 조성하기 위한 것이었다.


설계 초반부, 우리는 크게 두 가지 이슈에 집중했고 그로부터 ‘써멀 시티’의 공간 콘셉트와 설계방식이 도출됐다. 첫째는 ‘어떠한 형식의 공원이 복합화력발전소 상부의 공원으로서 아이덴티티를 가질 수 있을까’ 였고, 둘째는 ‘점점 공원을 이용할 수 있는 시기가 짧아지는 서울에서, 어떻게 하면 좀 더 쾌적한 오픈스페이스를 만들 수 있을까’였다. 설계 과정 초반에 공모 주최측으로부터 받은 자료를 정리하다가, 발전소지하화 후 기대되는 발전 용량은 약 2배로 증가하는 데 비해(387MW에서 800MW로 증가)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3배 이상 증가(664020ton /yr에서 2292210ton/yr로 증가)하게 된다는 예측치를 보고 놀랐다. 그 후 화력발전소의 원리와 지속가능한 디자인 전략 등에 대한 다양한 리서치를 수행한 끝에, 우리는 지형 설계를 통해 공원 내 미기후, 특히 온도를 조작하여 쾌적성을 높이는 것을 설계 콘셉트로 설정했다(그림1, 2, 3).


이에 덧붙여 지하발전소에서 방출되는 열을 공원의 시설물에 이용하고, 공원의 필요 에너지 또한 자체적으로 만들어 사용하는 등의 보조적 장치들을 통해명실공히 ‘열(혹은 에너지)’이 주제이자 아이덴티티인 공원으로 만들고자 한 것이다.

 

 

설계책임 박윤진, 김정윤(오피스박김)

디자인팀 최영준, 손상은, 권소형, 박정인, 김명천, 박지용, Chavapong Gem Phipatseritham, 장수연(이상 오피스박김), Iris Hwang(sustainability engineer, ArupHK)

 

박윤진은 하버드 GSD를 졸업하고 Sasaki Associates, West 8 등에서 실무를 쌓았다. 미국 보스턴 건축대학교와 네덜란드 바헤닝헨 대학교 등에 출강하였으며, 김정윤과 함께 참여한 2004년 대만 치치 지진 메모리얼 국제오픈 설계경기 당선을 계기로 오피스박김을 설립해 현재까지 활동중이다.

 

김정윤은 서울대학교와 하버드 GSD에서 조경학을 전공한 후 Child Associates, West 8 등에서 실무를 쌓고, 네덜란드 바헤닝헨 대학교와 미국오하이오 주립대학교에 출강하였다. 2007년 차세대 디자인 리더(산업자원부)로 선정된 바 있으며, 광교 공원 디자인 커미셔너(2011)로 활동했다.

월간 에코스케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