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학술분야 안계복 제18회 올해의 조경인
  • 조한결
  • 환경과조경 2015년 12월

AHNG01.jpg

ⓒ유청오

 

“현재 전통 조경을 공부하는 사람들은

겉으로 보이는 경관 연구에만 몰두하고 있는데

목재 분석이나 화분 분석과 같은

연구 방법을 도입해

연구 영역을 넓힐 필요가 있다.

 

총 101편의 연구 결과를 발표하기까지

대구가톨릭대학교 원예조경학부 교수로 재직 중인 안 교수는 박사 과정 중 본격적으로 전통 조경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당시 그의 지도교수는 ‘전통 조경에 대한 연구가 아직 미미하니 다른 쪽의 연구를 해보는 게 어떻겠느냐’고 권했지만, 안 교수는 전통 조경에 대한 고집을 꺾지 않았다. “박사 과정을 밟을 때 학술논문발표대회에서 우리나라의 옥외 공간 양식의 발달에 대한 체계도를 그려 발표한 적이 있다. 그런데 당시 그 발표에 대한 토론이 진행되지 않았다. 전통 조경에 대해 토론할 밑바탕이 없었기 때문이다.”

안 교수가 처음 전통 조경을 연구할 당시만 해도 관련 연구가 불모지 수준이었지만 지금은 한국전통조경학회지에 실리는 논문의 수가 한국조경학회지에 실리는 논문의 수에 뒤지지 않을 정도로 성장했다. 그 이면에는 안 교수와 같이 하나의 주제나 문제에 오랫동안 천착했던 전통 조경학자들의 노력이 있었다. “전통 조경을 공부해야겠다고 마음먹었을 때 가장 연구하고 싶었던 대상이 안압지(월지)였다. 1984년 즈음 안압지 발굴조사보고서의 도면을 들고 안압지를 조사하러 갔는데 안압지에서 발굴된 경석이 제대로 복원된 것이 하나도 없었다. 우리나라 전통 조경에서 경석을 놓는 기법을 밝히는 것이 굉장히 중요한데, 전혀 엉뚱하게 복원되어 십수 년간 논문을 쓰지 못하다가 다른 방면으로 뚫고 들어가서 논문을 쓰기 시작했다. 그 이후로 지금까지 안압지에 대한 논문을 약 10편 발표했다. 이런 식으로 어떤 논문은 문제의식을 가졌던 당시에는 해법을 찾지 못해 보류해두었다가 10여년 뒤에라도 해결해서 발표하기도 한다.”

 

 

안계복 교수는 전통 조경에 대한 연구가 태동하던 시기부터 전통 조경 연구에 뛰어들어 근 40년간 한 길을 걸어왔다. 그동안 그는 학술 논문과 저서(보고서)를 합해 총 101편에 달하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여 전통 조경의 기본 토양을 다지고 조경의 학문적 발전에 기여했다. 특히 경상북도의 역사와 문화, 농촌에 대한 연구에 진력하면서 문화재청 문화재위원(전문위원)과 설계 심사위원, 경상북도와 대구시 문화재위원회위원(전문위원)으로 활동하며 문화재 보존을 위해 힘썼다. 또한 현재 한국전통조경학회장으로서 조경의 업역과 전문성을 보호하기 위해 국토부의 ‘건설기술자 등급 인정 및 교육·훈련 등에 관한 기준’과 문화재청의 ‘문화재수리 등에 관한 법률’ 개정 서명 운동을 추진하고 관련 개선안을 작성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추진하고 있다.

월간 에코스케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