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연재, 끝나지 않은 이야기] 포스트 팬데믹 시대, 문화예술의 변화와 회복
  • 환경과조경 2021년 7월

lak399_feature-10-심소미-1.jpg
ⓒ심소미

 

떠도는 시선들, 큐레이터 뷰환경과조경에 일 년간 글을 기고한 때가 2016년이다. 당시 글은 건축 및 미술 전시에서 사회적 이슈, 수행적 신체, 문화 액티비즘, 도시재생, 큐레토리얼 실천 등 동시대적 화두를 도시 공간과의 관계 속에서 읽어낸 것이다. 일 년간 전시와 리서치 프로젝트로 아시아와 유럽의 여러 도시를 오가며 예술이 도시 공간과 맺는 관계망과 변화의 움직임을 추적한 시간이었다. 무엇보다 이 연재는 동시대인에게 주어진 이동의 자유가 있기에 가능했다. 그로부터 5년이 지난 지금, 예술이 세계와 관계하는 방식에는 큰 변화가 생겼다. 이러한 상황의 중심에는 2020년 초부터 전 지구를 마비시킨 팬데믹이 있다. 감염의 공포로부터 각 도시 및 국가가 제일 먼저 내세운 것은 사회적 거리두기이동의 통제. 국경이 닫히고 도시가 봉쇄되고, 각종 문화 시설이 폐쇄된 시간이었다. 일 년 반 동안 지구 곳곳에서 열린 무수한 전시들은 무관객 상태로 폐쇄된 미술관에 남겨졌으며, 일부 문화 공간의 경우에는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비대면으로 관객을 맞이했다.


프랑스에 있는 지금, 이곳에서 봉쇄령이 해제되기 전 마지막으로 본 전시는 작년 10월로 거슬러 올라간다. 지난 일 년 간 우리는 세계 곳곳에서 수없이 많은 문화 활동이 중단되고, 취소되고, 연기되고, 지연되는 시간을 겪었다. 5년 전의 연재 원고를 돌아보며 쓰는 이 글에서, 나는 최근 예술의 지형도를 크게 변화시킨 팬데믹 이후의 도시 공간과 문화예술을 다루고자 한다. 더불어 도시 공간의 위기에 맞서는 문화적 대응 방식과 실천에 대해서도 접근해보고자 한다.

 

문화 경험의 불가능성과 온라인으로의 전회

파리를 여기저기 돌아다니는 일은 아페리티프와 함께 시작한다. , 5-6시경부터.”(발터 벤야민, 아케이드 프로젝트)


벤야민이 도시를 표류하며 구상한 산책자(flaneur)” 개념은 20세기 파리에서 시작되었다. 프랑스국립도서관에서 나와 저녁 식사 전까지 그는 매일같이 도시를 정처 없이 걸으며, 토지 대장으로 구축할 수 없는 도시의 심리 지리학적 지형도를 그려내고자 했다. 근대 도시의 산책자가 탄생한 자유로운 도시 파리에서 이동의 통제를 떠올리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이러한 방랑의 여정이 금지되는 일이 얼마 전 인류에게 일어났다. 바로 2020년 초부터 전 세계적으로 확산하기 시작한 코로나19 바이러스 때문이다. 팬데믹으로 인한 사회적 혼란은 도시 공간을 방역 규범하에 엄격한 통제의 장소로 변모시켰다. 생활에 필수적인 활동만을 허용했기에 전시, 공연, 영화 등 여러 문화 공간은 필수적이지 않은 활동으로 세계 곳곳에서 규제되었다. 이 글을 쓰고 있는 20216월 초 한국과 프랑스의 문화 공간은 열려 있으나, 불과 몇 달 전처럼 사회적 위기로부터 문화 공간이 언제 또 폐쇄될지 모르는 불안을 안고 있다. (후략)

 

환경과조경 399(2021년 7월호수록본 일부 

 

심소미는 독립 큐레이터로, 서울과 파리를 기반으로 활동해 오고 있다. 도시 문화에 대한 비판적 개입으로서 전시, 공공 프로젝트 및 리서치를 해왔다. 11회 이동석 전시기획상(2018)을 받았으며, 디자인 큐레이터 어워드인 현대블루 프라이즈 디자인 2021을 수상했다. 올해 12월 초 현대 모터스튜디오 부산에서 기획전을 선보일 예정이다. 더불어 문화연구지 계간 문화/과학의 편집위원으로도 활동 중이다.

월간 에코스케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