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많은 도시재생 프로젝트에 기억의 보존, 역사성 회복, 역사 복원 등의 문구가 흔히 등장한다. 이러한 회복과 재생의 대상 중 개항기부터 일제 식민지기 사이의 근대기에 만들어진 도시 건축과 공간이 적지 않다. 그런데 우리는 이 근대기의 도시 공간과 문화에 대해 얼마나 잘 알고 있을까. 낭만적 환상과 민족주의적 감정이라는 양극단을 막연하게 오가고 있는 것은 아닐까.
우리나라의 근대가 구체적으로 어떤 시기에 해당하는지는 학자에 따라 의견이 갈린다. 그러나 개항기부터 일제 식민지기 사이에 우리 사회와 도시 공간이 급격한 변화를 겪었다는 점만은 분명하다. 기차, 증기선, 전기, 사진 등 개항 이후 도입된 문물은 조선 시대와는 전혀 다른 새로운 유형의 공간을 만들어냈다. 여가 생활 혹은 오픈스페이스와 관련해서는 공원이나 유원지, 정원, 박물관과 동‧식물원, 백화점, 극장, 카페, 목욕탕 등이 등장했다. 이 시기에 탄생한 다양한 공간은 기존의 관념과 충돌하기도 했지만, 또 수용되고 새로운 유행을 만들며 우리 사회의 생활 양식을 변화시켰다.
이 시기에 대한 탐사 없이 현재의 도시 공간과 문화를 이해하기란 쉽지 않다. 예를 들어 우리 사회에서 공원이 탄생했던 시기를 외면하고 공원법이 만들어지던 1960년대 공원에 대해 이해할 수 있을까? 근대기의 공원에 대한 인식을 살피지 않은 채 그 이후 도시 공원과 공원 문화의 변화를 이야기하는 것은 사상누각이다. 그 사이에는 어떤 사회적 변화, 문화적 변동이 있었을까?
최근 국사학이나 건축학 등 몇몇 분야를 중심으로 근대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여전히 식민지기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는 이 시기의 평가를 놓고 ‘근대화’와 ‘수탈’ 사이를 갈팡질팡하고 있지만, 최근의 적지 않은 연구는 이 시기 변화를 이끌었던 주체(와 그 의도)가 단일하지 않으며 조선인에게도 민족으로 환원되지 않는 다양한 개인의 삶이 실존했다는 데 주목한다. 고대로부터 문화란 언제나 수입되고 전파되는 것이었다. 이런 시각에서 보면 이 시기에 등장한 여러 유형의 공간이나 문화 현상을 자생적인지 아니면 이식된 것인지에 따라 옳고 그름의 잣대로 판단하기 어렵다.
이번 기획에서는 소위 근대라 부르는 시기에 도시 공간에 어떤 변화가 있었고 도시민들은 어떤 일을 겪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어쩌면 그 과정에서 100여 년 전의 삶과 지금 우리의 삶이 그리 다르지 않다는 것을 발견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시민의 입장에서 본다면 우리는 여전히 모던 타임즈를 호흡하고 있지 않을까? 기원을 더듬는 일이 바로 오늘을 이해하는 길일 것이다.
진행 김정은, 김모아 디자인 팽선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