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선영 ([email protected])
최근 1년 사이 한국에서 젠트리피케이션에 대한 학술적·대중적 관심은 가히 폭발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주제로 한 각종 정책적·학술적 논의(도시정책 포럼 ‘젠트리피케이션 없는 도시재생 가능한가’ 등)에서부터 소위 젠트리피케이션 현장이라 불리는 지역의 자생적 젠트리피케이션 포럼(테이크아웃드로잉 ‘한남포럼’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곳에서 다양한 사람들에 의해 젠트리피케이션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2016년 1월 한 달 사이에만 약 300여 건의 신문 보도가 이뤄질 정도로 대중 매체의 관심이 이러한 논의의 확산에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서구에서 1960년대 초 루스 글라스Ruth Glass에 의해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이란 용어가 만들어진 이후 지난 50년 동안 다양한 경험 연구와 이론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중·고등학교 교과서에서 젠트리피케이션이 다뤄질 정도로 용어에 대한 합의가 이뤄졌다.1 이와 달리 한국에서는 현재 젠트리피케이션이라 불리는 도시 상황을 충분히 설명할 수 있는 학술적 논의가 부족함에도 거의 매일 언론 보도로 일반인들에게 젠트리피케이션이 ‘소개’되고 ‘주입’되다시피 하고 있다.
글라스가 정의한 젠트리피케이션의 개념은 “중간 계급이 도심과 도심 주변 지역의 저소득층 주거지에 있는 오래된 주택을 수리하여 이주해옴으로써 기존의 저소득층을 대체하는 과정”으로, 50년간 서구에서 진행된 젠트리피케이션 논의는 주거 젠트리피케이션이 주를 이뤘다.2 그러나 현재 한국 언론에서 젠트리피케이션으로 명명되는 도시 현상은 상권이 활성화됨에 따라 상승하는 임대료로 인해 소상공인(세입자를 중심으로)이 떠나는 사회 변화를 일컫는다. 즉, 한국 미디어 속 젠트리피케이션은 주거 젠트리피케이션residential gentrification이 아니라 서구의 상업 젠트리피케이션commercial gentrification, 또는 관광 젠트리피케이션tourism genrification과 유사하다.
서구에서 오랜 기간 동안 주거 젠트리피케이션에 대해 많은 연구가 이뤄져 온 것과 비교하면 상업 젠트리피케이션에 대해 관심을 갖고 논의한 역사는 상대적으로 짧다. 그러나 주거 젠트리피케이션과 상업 젠트리피케이션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기에 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3 상업 젠트리피케이션은 상업 지역 또는 상업 건물의 젠트리피케이션을 의미하는 단어로, 부티크피케이션boutiqueification이나 소매 젠트리피케이션retail gentrification으로 불리기도 한다.4 주거 젠트리피케이션이 이뤄짐에 따라 새로 유입된 중간 계급의 기호에 맞는 새로운 상업 시설들이 생겨나면서 기존 소비공간에 큰 변화를 야기했다.
이선영은 영국 킹스 칼리지 런던 지리학과에서 ‘뉴빌드 젠트리피케이션과 젠트리피케이션 반대 운동(New-Build Gentrification and Antigentrification Movements in Seoul, South Korea)’ 이란 주제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동아시아 지역의 도시 개발과 주민 운동에 관해 싱가포르 국립대학교에서 비교 연구를 수행했다. 사람들의 사회적 관 계가 맺어지는 공간이자 사회적 관계 그 자체로서 끊임없이 변화해 가는 도시의 다양한 모습을 연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