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버미소일 ; 비산문제를 해결한 새로운 인공토양
    인공지반녹화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인공토양의 경우 공사비 절감과 관련하여 다른 소재에 비해 저렴한 가격으로 수급이 된다는 장점을 지닌 퍼라이트를 대부분 사용하고 있는데, 자재 단가 때문에 더 좋은 품질의 다른 소재를 사용하기란 거의 불가능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퍼라이트는 눈에 띄는 색상(흰색), 바람에 의한 비산(날림), 불투수층 형성, 식물생육을 위한 요소 부족 등의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으며, 더불어 원자재를 수입해야 한다는 단점을 지 니고 있다. 이에 퍼라이트의 비산문제와 색상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 원재의 국산화에도 성공하여 단가경쟁면에서도 우수할 뿐만 아니라 식물생육에 보다 안정적인 효과를 보여주는 신제품 버미소일(VERMISOIL)을 소개하고자 한다. ※ 키워드 _ 버미소일, 인공지반녹화, 질석 ※ 페이지 _ 114~116
  • 일본의 비오톱형 옥상녹화 사례 ; 히비야 아메니스 본사 옥상
    히비야 아메니스(日比谷アメニス) 본사 옥상녹화는 두 가지 목적 아래 추진되었다. 첫째, 당사는 조경시공을 주업무로 하는 기업으로, 오래 전부터 옥상·실내·벽면 녹화에 적극적으로 매진해 왔다. 그 결과 몇 가지의 자재·공법을 독자적으로 개발해 왔기에, 본사 옥상을 녹화하여 그 전 시·홍보공간으로서 이용하고자 하였다. 두 번째, 히비야 아메니스 본사에는 약 100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어, 직원의 휴식공간으로서 옥상공간을 이용하고자 하였다. ※ 키워드 _ 히비야 아메니스 본사 옥상녹화, 옥상녹화 사례 ※ 페이지 _ 62~65
  • 인공지반녹화용 에코가이드 녹화블럭
    에코가이드 녹화블럭(EG-B)이란 천연 코코넛 열매에서 추출되는 코코넛 화이바(fiber), 코코피트(cocopeat)와 피트모스 등의 천연재료 및 식물생육 보조제인 미량원소 첨가제를 일체화시켜 제작한 블록형태의 인공지반용 다목적 녹화자재이다. 기존의 인공 경량토양제품과는 달리 선별된 토양소재를 압축·성형한 제품으로, 시공후 녹화블럭이 수분을 흡수하게 되면 팽창하여 인공지반에서의 식물생육을 위한 토양여건을 제공한다. 최근 들어 신축아파트의 확장형 발코니화단에서 운반이 편리하고 시공시 비산먼지가 발생되지 않는 이유로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현재 특허 및 실용신안 출원을 마쳤으며 실용신안 등록이 완료된 상태이다(출원번호 : 등록 제0310491). ※ 키워드 _ 에코가이드 녹화블럭, 인공지반용 녹화자재, 실용신안 제 0310491 ※ 페이지 _ 112~113
  • 옥상녹화의 차열효과
    옥상녹화의 차열효과를 측정해 보는 것은 어떨까. 옥상녹화의 효과가 가장 단적으로 나타나는 부분은 녹화에 의한 슬라브면의 온도저감 상태이다. 아마추어도 알기 쉽고, 꽤 요란스런 결과가 나타나기 때문에, 일반인에게 옥상녹화를 판매선전 할 때에도 도움이 된다. 어렵지 않고 간단한 작업이므로 가볍게 시도해 보는 것도 좋을 듯하다. ※ 키워드 _ 옥상녹화, 옥상녹화의 효과, 옥상녹화의 차열효과, 옥상녹화의 효시 ※ 페이지 _ 60~61
  • 레인보우 바이오 보드
    최근 친환경적인 하천호안공법 관련 제품들이 많이 개발, 적용되고 있지만 이는 기존의 콘크리트 옹벽을 철거 후 적용해야 하므로 많은 시공비가 소요되며, 기존의 콘크리트 옹벽에 견줄만한 안정성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레인보우스케이프(주) 수환경사업부에서는 통상의 콘크리트 옹벽을 부수지 않고 다공질 세라믹 보드를 부착함으로써 옹벽이 가지는 위화감을 없애고 하천경관을 개선하며, 식물이 생육되어 녹화를 가능케 하고 생물의 생육공간을 창조하는 신개념의 바이오보드(Bio Board)를 개발하게 되었다. ※ 키워드 _ 바이오보드, 레인보우스케이프, 하천호안공법 관련제품 ※ 페이지 _ 108~111
  • 방수 : 방수재료와 공법
    이제 방수공사는 단순노무가 아닌 전문직종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방수업체 또한 자체적으로 고학력의 전문인력과 연구소를 보유할 정도로 상당한 기술력을 보유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보다 성능이 향상된 다양한 자재 및 공법이 개발되고 있으며, 시공 또한 품질관리를 병행하여 하자방지를 추구하고 있다. 방수 대상체의 특성 및 외부환경의 철저한 분석을 통한 적정 방수재의 도출이라는 순차적 계획이 이루어져야 하며, 각 방수공법의 특성을 감안한 세부 시공계획이 준비되어야 한다. ※ 키워드 _ 방수재료, 방수공법, 방수공사, 방수공법의 특성 ※ 페이지 _ 40~45
  • 유행성 출혈열
    예전에는 이 병이 쉽사리 피를 흘리는 것과 심한 열이 특징적인 증상이라는 뜻에서, 그리고 한국에서 병이 발견되었다는 뜻에서 유행성 출혈열 또는 한국형 출혈열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그런데 요즈음에는 신장 기능의 저하, 출혈성 경향, 열이 동반된다는 점을 고려하여 신증후성 출혈열이라고 부른다. 우리나라의 유행성 출혈열은 한탄바이러스와 서울바이러스(이 이름은 이 바이러스를 처음 찾아낸 쥐를 채집한 지역인 한탄강과 서울의 이름을 딴 것이다)가 일으키지만 다른 나라에서는 이와 비슷한 바이러스가 같은 병을 일으킨다. ※ 키워드 _ 유행성 출혈열, 한국형 출혈열, 신증후성 출혈열 ※ 페이지 _ 118~119
  • 댕강나무 ; 나무를 분지르면??댕강??하고 소리가 난다나?
    우리나라 특산수종으로 보호수종인 댕강나무 속명(屬名)의 Abelia는 영국의 의사로 중국에 있던 Clark Abel박사의 이름에서 비롯되었다. 원산지는 북반구에 약 30종이 나며, 한국에도 7종이 자생하는데 댕강나무(Abelia mosanensis), 꽃댕강나무(Ableia X grandiflora.), 털댕강나무 (Abelia coreana), 섬댕강나무(Abelia insularis), 줄댕강나무(Abelia taihyoni Nak.) 등이 분포하고 있다. ※ 키워드 _ 댕강나무, 조경수, 우리나라 특산수종, 보호수종 ※ 페이지 _ 84~87
  • 공장조경 ; 부평구, 군포시에 있는 공장을 사례로
    생산을 목적으로하는 공장 조경은 크게 공장 주변의 조경과 생산근로자를 위한 기숙사 주변 조경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공장별로 차이는 있지만 생산근무시간이 24시간으로 주야간 3교대 근무를 하고 있는 곳이 많기때문에, 근무자를 위하여 주·야간 휴식공간을 제공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 키워드 _ 공장조경, 공장의 휴식공간, 기숙가 조경 ※ 페이지 _ 98~101
  • 석재 ; 석재의 오염과 백화현상
    급속한 산업화와 경제 발전은 단기간에 많은 건축물의 필요성을 요구하게 되었고, 새로운 도시가 형성되면서 고급스러운 분위기 연출을 위해 많은 석재가 건축물의 내외장재로 사용되었다. 석재를 많이 사용하는 건축이 대중화되면서 건축자재로서의 석재는 각 현장에 반드시 필요한 자재가 되었으나, 석재 자체의 특성을 제대로 알지 못한 채 잘못 시공하여 하자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이번호에는 석재의 오염과 오염의 발생원이 되는 실링제와 몰탈, 백화현상 등에 대해 정리한다. ※ 키워드 _ 조경재료, 석재, 석재의 오염, 석재의 백화현상, 석재의 시공 ※ 페이지 _ 46~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