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주선 퍼걸러
과학관이라는 장소에 최적화된 맞춤형 디자인
과학관 테라스에 불시착한 우주선
“앗! 저게 뭐지” 과학관 테라스에서 불시착한 ‘우주선’을 발견하다! 그동안 ‘우주선UFO’은 종종 영화 속에서 지구를 공격하고 자연을 파괴하는 악당들의 무기로 등장해왔다. 하지만 국립 과천과학관에서 발견한 우주선은 생각보다 아주 귀엽고 아기자기한 모습을 보여준다. 테라스 입구에 살포시 내려앉은 이 착한 시설물은 아파트나 공원에 설치되어 그늘막 기능을 제공했던 기존 ‘퍼걸러’의 모습과는 많이 달라 보인다.
공간의 특징을 적극 반영한 맞춤형 퍼걸러
공공시설물은 어느 곳에나 잘 어울리는 기본적인 주 기능을 담은 ‘심플한 디자인’과 설치되는 장소의 콘셉트를 반영하여 독특한 형태와 감성적 요소를 담아낸 ‘조형적인 디자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번에 토인디자인에서 선보인 우주선(TUP-503)은 ‘과학관’이라는 장소에 최적화된 ‘맞춤형 디자인’으로 과학관을 찾은 사람들이 관람 후 휴식을 취할 수 있는 휴게공간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전시장에서 느꼈던 즐거움과 흥미로움을 계속해서 이어나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직접 보고, 만지고, 느낄 수 있는 참여형 조형시설물로 아이들에게는 상상력을 맘껏 펼칠 수 있는 신나는 놀이공간, 어른들에게는 감성을 자극하고 소통의 장소로 활용될 수 있는 편안한 쉼터로서, 모든 세대가 함께 즐길 수 있는 유니크한 시설물이다.
우주선의 형태를 미니멀하게 표현
하얀 원반 형태의 지붕으로 우리가 쉽게 상상할 수 있는 우주선의 모습을 미니멀하게 표현하였고, 5개의 기둥은 비행선이 착륙한 듯 바닥에 가까울수록 넓어지는 형태로 제작하여 시각적으로 안정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시설물 아래 평상에 앉아 천장을 올려다보면 따뜻한 주황색의 빛이 내려와 마치 우주선으로 데려갈 것만 같은 기분이 들게 한다. 자칫 밋밋해 보일 수 있는 지붕 옆면에도 원형의 조명을 설치하여 우주로 돌아갈 준비를 하고 있는 우주선의 흥미진진한 스토리를 시각적으로 연출하였다.
제품 문의: 02-533-3720, www.toinpld.com
- 토인디자인 / 토인디자인 / 2015년06월 / 82
-
모자이크 디지털 타일
디지털 기술을 접목시킨 신개념 타일
사용 용도
INTERIOR EXTERIOR DESIGN, Outdoor & Indoor,
Office, Commercial, Home, Feature Walls, Swimming pool & spa,
Hotel, Shop, Restaurant, Lounge, Subway Station, Airport,
Apartment, Floor & Bath Room, Exhibition, Furniture.
모자이크 타일에 디지털 기술이 가미된 아트 타일
모자이크 디지털Mosaic Digital 타일은 전통적인 방식의 모자이크 타일 기법에 최신디지털 기술을 접목시킨 혁신적인 아트 타일이다. 원하는 모든 디자인과 컬러를 자유롭게 연출할 수 있으며, 어떠한 형태로도 구현해 낼 수 있다. 전통적인 타일로는 표현할 수 없는 공간 디자인을 모자이크 디지털 타일은 가능하게 한다. 새로운 소재를 활용하여 자유로운 연출 가능 모자이크 디지털 타일의 혁신성은 새로운 소재를 활용했기에 가능했다. 특수 레진resin으로 제작되어 가볍고 튼튼하며 가위로도 자를 수 있어 취급이 아주 용이하다.
이런 재단의 용이성 때문에 원하는 다양한 형태로 공간을 연출할 수 있으며, 곡면에도 자유자재로 활용할 수 있다. 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폭넓게 활용할 수 있는 것 이다.
또한, 특수 레진은 UV에 강하고 방수도 가능하여 야외 수영장을 비롯하여 다양한 공간에 활용이 가능하다. 양면테이프로도 접착시킬 수 있어 누구나 손쉽게 설치할 수 있다는 점도 큰 장점이다. 뿐만 아니라 자석도 부착이 가능하다.
제품 사양과 주요 특징
모자이크 디지털 타일의 기본 사이즈는 25×25mm, 두께는 2mm, 무게는 1.2kg/m2이다. 줄눈폭은 1.2mm부터 원하는 다양한 모양으로 제작할 수 있다. 타일의 경도는 하드hard, 미디엄medium, 소프트soft로 구분되는데, 일반적으로 하드 제품을 사용한다. 스타일 파트의 최소 크기는 1면당 2cm 이상의 크기가 필요하다. 시공 시 타일을 부착할 때는 수성 접착제를 일반으로 사용하면 되고, 물과 접하는 공간일 경우에는 에폭시 접착제를 이용해야 한다.
가장 큰 특징은 원하는 디자인이나 패턴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다는 점이다. 실내, 실외를 가리지 않고 다양한 공간 디자인에 적용할 수 있으며, 가구에도 붙일 수 있어 활용 대상과 공간이 무궁무진하다.
제품 문의: 02-515-7375, http://artmax.kr
- 아트맥스 / 아트맥스 / 2015년06월 / 82
-
[해외정보] 페이브젠 타일, ‘바로 당신이 전력이다’
사람의 운동 에너지를 이용한 에너지 발전 시스템
에너지를 생산하는 방식을 이야기할 때 친환경이란 단어를 빼놓을 수 없는 시대가 된 지 오래다. 그동안 언급되어 온 태양열 발전, 풍력 발전, 지열 발전 등은 버려지거나 활용되지 않는 에너지를 모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에너지 발전 방식이다. 이러한 모든 기술을 ‘에너지 하비스팅harvesting’이라 통칭하는데, 최근에는 자연 속의 에너지 활용을 넘어서 ‘사람의신체 활동’에서 버려지는 에너지를 수확하려는 시도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중 영국의 에너지 기업인 ‘페이브젠Pavegen Systems’의 성과는 특히 주목할 만하다. 그 원리는 간단하다. 걷기만 하면 된다. 페이브젠이 개발한 타일은 압전 에너지 기술을 이용한다. 즉, 압력, 움직임, 진동 등에서 발생하는 운동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것이다. 페이브젠 타일은 주로 백화점, 운동 경기장, 지하철 역 등 유동 인구가 많은 지역에 설치되는 것을 목표로 개발된 소형 에너지 발전소다. 발걸음 하나하나마다 낭비되는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타일에 설치된 배터리에 저장한다. 이렇게 발전된 에너지는 가로등이나 다양한 모습의 광고판, 경고등, 신호등 등을 밝히기에 충분하다.
타일 200개로 밝히는 축구장 조명
페이브젠은 2012년부터 본격적으로 세계 곳곳에 페이브젠 타일을 설치하며 인간 동력을 이용한 에너지발전에 대한 실험과 관련 캠페인을 지속적으로 진행해 왔다. 그동안 쇼핑센터 입구, 학교 복도, 마라톤코스 일부 구간 등 소규모 공간에 대한 프로젝트를 진행해 온 페이브젠이 지난해 10월에는 축구장으로 그 실험 장소를 넓혔다. 이번 축구장 리모델링 프로젝트는 에너지 회사 쉘Shell의 후원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한 캠페인의 일환으로 진행되었다. 페이브젠의 설립자인 로렌스 캠벌-쿡Luarence Kemball-Cook이 “이렇게 큰 규모의 축구장에 설치한 것은 처음”이라고 언급한 것처럼 기존 사업에 10~20개 남짓한 타일이 설치된 데 반해, 이 축구장의 인조 잔디 밑에는 총 200개의 타일이 설치되었다.
-
[특별기고] 조경공사 설계·시공기준 표준화
건설공사 통합코드(안) 마련을 위한 2차 연도 표준화 연구
추진 배경
우리나라에서 운영되고 있는 총 50종(설계기준 21종, 시공기준 29종)의 건설공사기준은 23개 학·협회에서 각각 관리하고 있어 기준 간 중복·상충이 발생해왔고, 이는 곧 사용자의 불편으로 이어졌다. 또한 기존의 국내 건설공사기준은 국제표준화기구ISO 등 글로벌스탠더드와의 연계성이 떨어지고 연계 검색이 어려운 점 등 여러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지난 2012년5월 국토교통부는 건설공사기준 선진화 로드맵을 수립했고 이후 전문가 간담회, 관계 기관의 의견 수렴을 거쳐 ‘건설기술관리법’ 시행령 제119조 제3항에 의거해 2013년 10월 31일 건설공사기준 코드체계를 고시(국토교통부 고시 제2013-640호)했다.
조경공사 설계·시공기준 표준화 연구 추진 경과 전 세계적인 친환경 패러다임 속에서 조경 분야는 국가 경쟁력을 확보하고 미래 성장 산업으로 도약하고자 글로벌스탠더드화 및 체계 선진화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이에 국토교통부는 조경 분야의 전문성·특수성·미래 확장성을 고려해 단독 중점 분야로서 KDS 34 00 00(조경설계기준), KCS 34 00 00(조경공사 표준시방서)에 해당하는 코드를 부여했다.
건설공사 통합코드집 작성 연구는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총 3개년에 걸쳐 실시되는데, 2013년 12월 26일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협약과 함께 2014년 8월 31일 1차 연도가 진행되었으며, 2014년 9월 1일부터 현재까지 2차 연도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이상석은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에서 조경학 석사 학위를,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에서 공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5년부터 현대건설, 건화엔지니어링 등에서 설계 및 시공 실무 경력을 쌓았고 기술사로 활동했다. 이후 순천대학교 조경학과 교수,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캠퍼스 교환교수를 역임했으며, 현재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로는 『조경구조학』, 『경관, 조형 & 디자인』, 『조경 디테일』, 『정원만들기』, 『아름다운 정원』, 『조경재료학』 등이 있다.
-
수프로
나무와 함께 미래를 키워가는 기업
수프로는 뿌리 깊은 나무처럼 튼튼하고 건실하게 기반을 다져 ‘조경업체 중 유일한 코넥스 상장사’로 성장하며수목 유통 비즈니스를 전문화하고 체계화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벤처 열풍’이 한국을 휩쓸었던 지난 2000년, 조경학과를 졸업하고 대기업의 재무 관련 부서에서 일하던 채일 대표는 대학 동문과 함께 ‘수프로’를 설립했다. 당시 벤처 열풍 속에서도 선풍적인 인기를 끈 사업분 야는 IT와 하이테크 쪽이었지만 채일 대표와 창업멤버가 주목한 창업 아이템은 ‘나무’였다. 우리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소재지만 ‘유통’에 있어서는 여전히 낙후된 시스템으로 수목 시장이 운영되고 있다는 것을 예리하게 포착한 그는 과감하게 수목 유통사업에 뛰어들었다. 그로부터 약 15년이 흐른 지금, 설립 당시 우후죽순처럼 생겨났던 많은 닷컴 기업들이 경제 위기의 벽을 넘지 못하고 쓰러졌다. 하지만수프로는 뿌리 깊은 나무처럼 튼튼하고 건실하게 기반을 다져 ‘조경업체 중 유일한 코넥스 상장사’로 성장하며 수목 유통 비즈니스를 전문화하고 체계화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수목 유통 비즈니스 생태계를 선도하다
수목은 원하는 규격의 수종을 필요한 수량만큼 직접구매하기 힘들뿐더러 직접 구매한다 하더라도 여러생산자를 방문해야 하므로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모된다. 또한 수목은 일반적인 공산품처럼 재고를 창고에 보관하고 수요에 따라 공급할 수 있는 자재도 아니다. 생산자에서 소비자에게 전달되기까지 굴취, 전정, 배송, 공정 관리 등 까다롭고 복잡한 여러 과정을거쳐야 한다. 따라서 수목은 전문적인 유통 비즈니스가 반드시 필요한 조경 자재다. 하지만 그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수목 시장에는 불투명한 거래 관행과 전국적인 유통망 부재, 정확한 수요와 공급량의 예측이 어렵다는 점 등으로 인해 체계적인 유통 시스템이 부재했다.
채일 대표는 이렇게 낙후된 시장일수록 참신한 아이디어와 윤리적인 경영 마인드만 있다면 성장할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했다. 그는 우선 주먹구구식으로 운영되던 유통 방식에서 탈피하고 체계적인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가장 큰 목표로 삼았다. 지난 15년간 수목 전문 유통 기업으로 자리매김한 수프로의 가장 큰 자산은 수프로만의 유통 관리 시스템, 수프로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다. 수프로는 전국 농장의 생산 수종, 생산 수량, 가격, 수요처의 위치, 수요수량, 공사 금액 등에 관한 모든 정보를 체계화하고 데이터베이스로 만들어 관리하고 있다. 이를 통해 수목의 수요와 공급 현황을 파악하고 가격 변동을예측하기 위해서다. 수프로의 유통사업부 직원들이 오랜 기간 전국 방방곡곡을 발로 뛰며 차곡차곡 데이터베이스를 쌓아온 덕에 수프로 ERP는 후발 신생업체들이 쉽게 따라잡을 수 없는 수프로만의 강점이 되었다.
수목 생산에서 시공까지, 유기적인 계열화
수프로의 주요 사업 분야는 수목 유통이지만, 연구와 생산, 시공에 이르기까지 분야를 확장하여 효과적이 고 유기적인 계열화를 추구하고 있다. 현재 수프로는 유통사업부, 도시녹화생산사업부, 자연환경복원사업부, 기획관리부, 식물환경연구소 등 5개 부서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식물환경연구소에서 조경수 생산 기술, 기자재, 신품종 등을 개발하고 연구해 도시녹화생산사업부에 기술을 이전하면 도시녹화생산사업부는 이를 토대로 전국의 농장에서 고품질의 수목을 상품화해 출고한다. 유통사업부는 도시녹화생산사업부에서 생산된 수목과 다른 생산자들로부터 매입한 수목을 매출처에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수프로 유통 시스템의 심장이다. 또한 이 과정에서 수목 시장의 수요와 공급에 관한 현황을 파악해 그 정보를 도시녹화생산사업부와 식물환경연구소에 넘겨 연구와 생산에 도움을 준다. 자연환경복원사업부는 유통사업부를 통해 필요한 수목을 안정적으로 공급받아 직접 국내와 국외에서 환경 복원 사업을 진행함으로써 수익을 낸다.
이렇게 수프로의 전 부서가 수목 사업의 다양한 분야에 걸쳐 넓게 포진함으로써 각 부서의 사업이 안정적으로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식물환경연구소에서 보유한 컨테이너 재배 기술은 해외 환경 복원 사업에, 도시녹화생산사업부에서 관리하는강진 애그로파크는 수프로의 미래를 위한 새로운 사업의 토대가 되고 있다.
-
[전통정원] 일본의 명원14
에도 시대 초기의 정원(4)
겐큐엔
겐큐엔玄宮園은 히코네彦根번의 4대 번주인 이이 나오오키井伊直興(1656~1717)가 엔포延. 5년(1677)에 공사를 시작해서 3년 만에 완성한 히코네번의 하옥부下屋敷(시모야시키) 규어전槻御殿(쓰기고덴)의 정원이다. 규어전에 속한 정원은 겐큐엔과 라쿠라쿠엔樂樂園으로 이분되어 있는데, 이 정원들은 규어전의 조성과 동시에 만들어졌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당시에도 지금과 같은 정원의 형식을 갖추었는지는 확인할 수 없다.겐큐엔이라는 명칭은 11대 번주인 나오나카直中가 이곳에 은거하면서 규어전을 개수한 분카文化 10년(1813)경부터 사용되었는데, 그때의 모습을 그린 ‘현궁원도玄宮園圖’가 전해지고 있어 당시의 모습을 살필 수 있다.
겐큐엔玄宮園의 ‘현玄’ 자는 북쪽을 의미하며, 신이로운 동물인 거북이龜를 상징한다. 따라서 겐큐엔이라는 명칭에는 성의 북쪽에 있는 북원北園이라는 의미와 거북이와 연관된 봉래원蓬萊園이라는 두 가지 의미를 내포한다(大橋治三·齊藤忠一, 1998). 한편, 중국의 궁정에 부속된 정원을 ‘현궁玄宮’이라고 하는 것을 볼 때 겐큐엔玄宮園이라는 이름에는 지배자의 정원이라는 개념도 내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전하는 말에 따르면 겐큐엔은 중국 후난성湖南省 둥팅호洞庭湖에 있는 당나라 현종의 이궁을 본떠서 만들었다고 한다. 그렇기 때문에 겐큐엔은 중국 산수화의 화제畵題로 등장하는 둥팅호의 소상팔경瀟湘八景1을 모티브로 해서 경관 요소를 도입하였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가진다. 혹자는 겐큐엔이 비와코琵琶湖의 경승지인 오미팔경近江八景을 본떠서 경관을 연출하였다고 하는데, 이것 역시 틀린 말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겐큐엔에서 팔경이 의미 있는 개념으로 도입되었음은 정원이 잘 보이는 곳에 경관을 완상하고, 차를 마시기 위해 지은 복합건물군에 ‘팔경정八景亭’이라는 이름을 붙인 것을 봐도 알 수가 있다.
‘현궁원도’에는 ‘팔경정’ 가운데에서 임지각臨池閣(린치가쿠), ‘봉상대鳳翔台(호쇼타이)’라는 명칭이 보이며, 이들 건물과 더불어 ‘어약소漁躍沼(교야쿠쇼)’, ‘용와교龍臥橋(류가바시)’, ‘학명저鶴渚鳴(가쿠메이나기사)’, ‘춘풍부春風埒(슌부레쓰)’, ‘감월봉鑑月峰(간게쓰호)’, ‘살타림薩埵林(사쓰타린)2’, ‘비량계飛梁溪(히료케이)’, ‘함허정涵虛亭(간교테이)’과 같은 십경十景을 부전附箋으로 적어놓고 있다. 이것을 보면, 당시 겐큐엔에는 팔경이 아니라 십경 혹은 십승十勝을 원내에 조성하고 즐겼던 것을 알 수 있다(谷口徹, 2013).
번주 오오키 때 조성한 겐큐엔은 가신이었던 하우위문何右衛門 마쓰모토松本 또는 하우위문 고시이시越石의 작품이다. 그는 전국 방방곡곡에서 명석名石과 진귀한 나무들을 구해 와서 그것을 사용해서 자신의 집에 임시 정원을 여러 개 만들었다. 그다음, 그 임시 정원을 오오키에게 보여주면, 오오키가 이것저것 수정하고, 수정이 완료된 후에 비로소 그것을 겐큐엔으로 옮겨서 조합하는 방식으로 작정을 하였다고 한다. 작정 당시에 하우위문은 노령老齡으로 보행이 곤란하여 야마가고山駕籠3를 타고 공사를 지휘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홍광표는 동국대학교 조경학과,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를 거쳐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문화재청 문화재전문위원,경기도 문화재위원,경상북도 문화재위원을 지냈으며,사찰 조경에 심취하여 다양한 연구와 설계를 진행해 왔다.현재는 한국전통 정원의 해외 조성에 뜻을 두고 연구하고 있다.저서로『한국의 전통조경』,『한국의 전통수경관』,『정원답사수첩』등을 펴냈고, “한국 사찰에 현현된 극락정토”등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다.또 한국조경학회 부회장 및 편집위원장,한국전통조경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
[식재기법] 수생식물원 조성 기법(3)
해외 수생식물원 조성 사례
지난 호에 소개한 평강식물원 습지원을 조성하기 직전 나는 다시 한 번 일본에 있는 하코네습생화원箱根濕生花園을 방문했다. 하코네습생화원은 폐 논을 활용해 다양한 자연습지를 재현한 곳으로 평강식물원 습지원의 모델로 삼기에 매우 적합한 곳이었다. 하코네습생화원장과 만난 자리에서 나는 내가 구상하고 있던 습지원에 대해 설명했고 원장은 습생화원 조성 당시부터의 이야기를 들려주며 관련된 자료들과 귀한 조언을 아낌없이 내어주었다.
하코네습생화원, 자연습지 같은 인공습지
하코네습생화원은 습지를 주제로 한 식물원이다. 아직 우리나라에는 습지를 주제로 한 전문 식물원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더욱이 좋은 사례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하코네습생화원은 지금부터 약 40여 년 전인 1976년 개원했으며 일본 가나가와현 하코네마치에 위치하고 있다.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센코쿠하라 습원을 보전하고, 습지 및 자연의 중요성을 널리 알리기 위한 목적으로 조성되었다. 하코네습생화원의 내부 전경은 빼어난 주변 경관과 어우러져 마치 자연을 그대로 옮겨놓은 것 같은 모습이다. 원 내의 모든 것이 사람에 의해 만들어진 인공습지라는 점은 매우 놀라운 일이었다.
하코네습생화원은 철저한 계획 아래 생태적인 기반을 구축해 자연의 습지 생태를 재현해 냈다. 그러나 그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아름다운 습지를 만드는 일이었다. 일반인에게 습지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해서는 아름다운 경관이 필요함을 인지하여, 가급적 다양한 습지식물을 식재하고 사계절 볼거리를 만들기 위해 애썼다. 센코쿠하라습원을 복원하고 동일한 식생 유형을 재현하는 데 그치지 않고, 저지대부터 고층습원까지 다양한 습지식생을 연출했다. 이는 전반적인 습지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고층습원의 아름다운 습지식물을 도입하기 위함이었다. 이렇게 해서 습생화원은 1년 내내 귀한 꽃과 열매가 피고 지며 절경을 이루는 아름다운 식물원으로 많은 사람들이 찾는 명소가 되었다.
특히 축축한 땅에 대한 배려와 크고 인상적인 고층습원의 호습식물들은 대단히 매력적이다. 우리에게는 다소 생소할 수 있으나 대표적인 호습식물인 물파초Lysichiton camtschatcense 는 이른 봄 대군락으로 꽃을 피워 장관을 이룬다. 이외에도 고산앵초류, 고산붓꽃류, 수련과 개연꽃군락 등이 시기별로 연이어 꽃을 피우며 습지원을 장식한다.
하코네습생화원 개요
▶위치
• 일본 가나가와현 하코네마치 센코쿠하라 817
▶설립 취지
• 천연기념물인 센코쿠하라습원의 보호
• 일본 자연습원의 모델 설정 및 습원의 보존과 그 중요성을 알리기 위함
▶설립 과정
• 1934년, 센코쿠하라습원 일부가 국가 천연기념물로 지정
• 1975년, 센코쿠하라습원 전체 면적과 습원의 물을 공급하는 지하수원 일대가 국가 특별보호지구로 지정
• 1972년, 선석원습원의 보호와 홍보, 관광객 유치 도모 등을 목적으로 센코쿠하라습원 견본원(하코네습생화원) 설립 계획
• 1972년, 계획 예정지의 식생 조사를 위해 ‘하코네자연학술조사단’에 조사 위탁
• 1973년~1975년, 조경 공사, 식재 공사, 묘포 정비, 자료관 건설 공사 등 추진
• 1976년 5월 21일, 개원
▶식물 구성
• 센코쿠하라습원 자생종 및 일본 내 자생하는 다양한 습지식물 전시
• 관람객 유치를 위해 다양한 꽃의 개화 기간 고려
▶식물원 구성
• 주변 환경과 어울리는 생태적 조성 기법 도입
• 습지와 습지 주변 환경을 대표하는 식생 유형을 선발해 총 8개 구역으로 구성
• 습지구역: 저층습원구-진퍼리새초원구-고층습원구-센코쿠하라습원구
• 습지주변구역: 습생림구-낙엽활엽수림구-억새초원구-고산정원구
김봉찬은 1965년 태어나, 제주대학교에서 식물생태학을 전공하였다. 제주여미지식물원 식물 과장을 거쳐 평강식물원 연구소장으로 일하면서 식물원 기획, 설계, 시공 및 유지관리와 관련된 다양한 경력을 쌓았다. 그리고 2007년 조경 업체인 주식회사 더가든을 설립하였다. 생태학을 바탕으로 한 암석원과 고층습원 조성 분야에서 국내 최고의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현재 한국식물원수목원협회 이사, 제주도 문화재 전문위원, 제주여미지식물원 자문위원 등을 맡고 있다. 주요 조성 사례는 평강식물원 암석원 및 습지원(2003), 제주도 비오토피아 생태공원(2006), 상남수목원 암석원(2009), 국립수목원 희귀·특산식물원(2010),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암석원(2012) 및 고층습원(2014) 등이 있다.
-
[그린인프라·저영향개발] 물순환 도시를 위한 서울시의 과제
2015 학술심포지엄 ‘물순환 도시, 서울의 미래’
지난 5월 6일 서울시청 본관 8층 다목적홀에서 ‘물순환 도시, 서울의 미래’를 주제로 한 학술 심포지엄이 열렸다. 서울특별시와 한국물환경학회가 주최하고,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이 후원한 이 심포지엄은 물 문제 해결을 위해 서울시가 기울여 온 노력을 재조명하고, 앞으로 나가야 할 물순환 정책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였다. 시청 앞 서울광장에서는 보도블록 엑스포와 물순환 엑스포가 개최되었으며 투수성 포장, 빗물침투블록 등 관련 기업들의 제품 전시도 함께 이루어졌다.
심포지엄에서는 총 6명의 전문가가 주제발표를 했고, 4명의 지정 토론자가 물순환 정책의 추진 방향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 ‘서울시 물순환 정책 추진 현황’을 주제로 발표한 배광환 과장(서울시 물관리정책과)은 “도시화로 인한 불투수면 증가로 물순환 왜곡이 발생하고 증발, 침투는 줄어들었다. 반면 표면유출량은 1962년 10.6%에서 2010년 51.9%로 증가했다”고 밝혔다. 배 과장에 따르면 훼손된 물순환과 도시 생태의 회복, 도시홍수 위협 완화, 비점오염 저감 등의 건강한 물순환 도시를 위해 서울시가 추진하고 있는 다섯 가지 대책은 다음과 같다.
① 공공에서 선도하는 물순환 회복: 기반시설을 그린인프라로 대체하기 위해 공공건물에서 물순환 시설을 적극도입하기로 했다.
② 재개발, 재건축 등 개발 사업 적용 유도: 지난 2014년부터 1년 동안 진행된 저영향개발 사전협의 수는 총 577건이었으며, 이 협의를 통해 투수블록, 트렌치, 침투통, 빗물이용시설, 옥상녹화 등의 물순환 시설 설치 면적은 2.75km2에 이르렀다. 서울시는 이러한 물순환 시설을 설치하는 공동주택에 대한 용적률 인센티브를 3~4%로 확대하기로 했다.
권경호는 서울대학교에서 조경학을 배우고, 독일 베를린 공과대학교에서 응용수문학·도시물관리 분야 공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주요관심 분야는 저영향개발(LID)과 그린인프라(GI), 저개발국 기초식수공급, 독일 통일 전·후의 도시 인프라 계획 등이다. (재)한국먹는물안전연구원 내의 도시물순환연구센터에서 분산형 빗물관리의 도시홍수 방재,물순환,비점오염 저감 효과 측정 및 수문모델링 등의 업무를 하고 있다.
-
[생태문화·생태복원] 사람이 만든 청계천, 자연이 만든 청계천(2)
청계천에 서식하는 보호종·교란종과 하천 문화를 중심으로
-
[도시생태복원] 도시 생태숲 복원과 창출(3)
도시숲 복원·창출의 과제와 발전 방안
도시 지역에서의 생태숲 복원과 창출을 주제로 한 마지막 원고다. 지금까지 도시 생태숲의 주요 개념과 기능, 도시숲 복원 및 창출의 필요성을 첫 번째 원고에서 살펴보았다. 도시숲의 주요 복원 및 조성 기법과 사례는 지난 원고에서 제시했다. 이번 원고에서는 도시 생태숲의 복원 및 창출과 관련하여 남겨진 과제와 발전 방안에 대해서 제시하고자 한다.
우리는 지금 도시 지역에서 숲을 어떻게 만들고 있는가에 대해서 먼저 살펴보아야 한다. 지난 원고에서는 바람직한 도시 생태숲 조성 방법 중 하나로 자연 지역에서 나타나는 숲의 모습을 모델화하여 조성하는 방법을 중심으로 기술했다. 실제로 현장에서 그렇게 조성되고 있는 것인지는 의문점이 많다. 일부 생태복원 사업에서만 그렇게 되기 때문이다. 지금까지는 경관적인 측면을 부각시켜서 수종을 선정하고, 그 수종들이 성장할 경우까지 고려해서 적정 거리를 이격시켜 식재했다. 수종을 선정하는 과정에서 생태적인 측면은 제2의 고려사항인 셈이다. 선정된 수종을 어떻게 배치할 것인가와 관련해서도 마찬가지다. 자연숲에서 나타나는 패턴보다는 설계자가 임의로 배치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결과적으로 만들어지는 생태숲은 일반 공원이나 녹지에 식재하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은 모습으로 나타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당연히 자연숲의 모습을 충실하게 복원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 자연을 더 많이 관찰하고 배워서 이를 조성 혹은 복원할 지역에 적용시켜 나가야 한다.적어도 생태적인 숲을 만든다고 한다면 말이다.
생태적인 숲을 만드는 데 있어서 가장 기초적이면서도 생태적 효과가 탁월한 것은 다층식재다. 한 공간에 4개 이상의 수관 층위를 갖게 되면 그만큼 다양한 생물종이 서식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실제 현장에선 다층식재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다층식재의 중요성은 대부분 알고 있는 핵심 사항이다. 이 다층식재가 잘 되지 않는 것은 인식의 문제나 기술 문제를 떠나서 예산 문제와도 관련된다. 하나의 공간에 많은 층위를 만들려면 그만큼더 많은 수목을 식재해야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예산은 한정되어 있어서 지금까지 해오던 방식에서 평균 이상의 수량을 들여오기가 쉽지 않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예산을 늘리거나 상대적으로 더 작은 나무를 식재하여 많은 수종을 확보하는 방법이 있다.
조동길은 1974년생으로, 순천대학교에서 조경을 공부했고 이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생태복원 및 환경계획을 주제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넥서스환경디자인연구원의 대표이사로서 생태복원, 조경, 환경디자인, 경관 등 다분야를 통합시키는 데 관심이 있다. 생태계보전협력금 반환사업, 자연마당 조성 등 생태복원 사업과 남생이, 맹꽁이 등의 멸종위기종 복원 관련 R&D 사업을 이끌고 있다. 고려대학교에서 겸임교수로서 생태복원 분야에 대해 강의하고 있으며, 저서로는 『생태복원 계획 설계론』(2011), 『자연환경 생태복원학 원론』(2004) 등이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