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예산황새공원 Yesan Oriental Stork Park
    우리나라 황새 이야기 황새는 행운을 부르는 새로서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아왔다, 예부터 나라에서는 황새 둥지를 보호해왔고 황새 먹이도 풍부해 잘 자랐다. 그래서 황해도와 충청도에는 황새가 많이 살고 있었다. 그런데 한국전쟁으로 온 나라가 불바다가 되자 황새가 둥지를 틀 수 있는 큰 나무가 사라졌고, 그 이후 황새의 개체수가 급감했다. 황새 박제가 비싼 가격에 몰래 거래돼 밀렵꾼에 의해서도 황새가 많이 죽었다. 또한 1960년대 농산물의 생산량을 늘리기 위해 농약을 살포하면서 쌀 생산량은 늘었지만, 반면 황새는 알을 낳을 수 없는 환경이 됐고 알을 낳아도 새끼가 태어나지 못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이후 1971년 4월 1일 황새 한쌍이 충청북도 음성에서 발견됐으나 사흘 뒤 수컷 황새가 밀렵꾼 총에 맞아 죽었고, 1994년 10월 30일홀로 남은 암컷의 죽음으로 한국 황새는 사라졌다. 1995년에 황새복원센터(교원대학교)가 건립돼 1996년부터 한국교원대학교에서 황새를 인공 증식시켜 왔다. 그 숫자가 115마리(현재는 약 160여 마리)에 이르러 시설의 수용력이 한계에 다다르자 대체 시설이 필요하게 됐다. 이에 황새의 복원 및 서식을 위한 환경과 연구시설을 마련하고, 일반인에게 황새를 알리는 생태교육장으로 활용하기 위해 예산 황새마을 건립 사업이 추진됐다. 기본방향 기존 지형 및 자연경관을 최대한 활용하되, 과도한 절·성토로 인한 자연지형 및 경관 훼손을 최소화하는 것을 설계의 기본 방향으로 정했다. 또한 적정 규모의 시설 배치를 위해 입지 특성 및 기능 등을 고려해 시설을 배치하되, 방문자를 위한 서비스 공간(황새이해, 체험, 교육, 탐구 등)과 황새 복원을 위한 공간을 분리해 공간별 기능이 상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도 고려해야 할 사항이었다. 황새둥지마당 황새둥지마당은 황새의 새로운 보금자리 및 황새마을을 상징하는 광장으로 둥지를 형상화했다. 2단계 공사 때 황새알 조형물이 추가로 설치될 예정이다. 화장실 인근 지역은 소나무를 군식해 주차장과 중앙광장의 완충 역할을 하도록 했다. 방음, 차폐 효과를가지며, 외부에서 공원을 조망하는 시야를 가려 방문자에게 기대감을 줄 수 있게 했다. 중앙광장 경계부에는 ‘황새의비상’을 자음 모음으로 구성한 조형벤치를 설치해 공간에 흥미를 부여하고 이용객이 휴식을 취할 수 있게 했다. 황새둥지마당 주변의 배수로는 투박한 콘크리트 배수관을 지양하고 자연스러운 경관의 조화를 위해 자갈수로(백자갈, 흑자갈)를 계획했다. 황새의 둥지를 형상화하기 위해 잔디와 화강석블록포장의 경계부를 자연스럽게 연계되도록 유도했다. 조경·건축설계(주)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토목설계(주)세일종합기술공사 시공흥진건설(주) 발주예산군 위치충청남도 예산군 광시면 대리 산33번지 일원 면적136,958m2 완공2015년 6월(1단계) 김대승은 조경학과에 입학한 친구의 권유로 영남대학교 조경학과에 입학했다. 조경학에 대한 다양한 배움 속에서 조경의 스케일과 기대감으로 조경에 대한 꿈을 키웠다. 사회에 나와 문화재, 조경 생태 관련 회사들을 거치면서 조경에 대한 다양한 경험을 쌓아왔으며, 조경을 천직으로 여기며 살아가고 있다. 또한 다양한 스포츠를 즐기는 스포츠 동호인으로, 요즘은 자연과 하나 되어 운동하는 철인3종경기에 푹 빠져 있다. 스포츠를 통해 스트레스를 풀고, 자연과 더불어 모든 사람이 운동할 수 있는 조경 공간을 만드는 것이 또 다른 그의 꿈이다.
    • 김대승 / 경호엔지니어링 / 2015년09월 / 85
  • 라발더 파크 Rabalder Parken
    배경 최근 몇 년 동안 북유럽 지역에서는 갑작스러운 홍수피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로 인해 빗물관리에 대한 지속가능한 해결책을 마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인식이 자리잡게 됐다. 덴마크 정부는 일련의 배수 프로젝트를 기획한 바 있는데, 빗물을 안전하게 빼냄으로써 엄청난 양의 물로인해 발생하는 피해를 예방하고자 한 것이다. 라발더파크 역시 이러한 방안의 한 부분으로, 빗물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혁신적 접근법을 보여주고 있다. 로스킬데Roskilde 시에서는 최근까지만 하더라도 시내중심부에 위치한 넓은 지역이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산업용 공장 부지로 사용됐다. 이 공장이 다른 지역으로 이주함에 따라 해당 부지는 현재 전반적인 도심개발 프로젝트의 한 축이 되어 엄청난 변화를 겪고있는데, 그 중심에는 라발더 파크가 자리하고 있다. 프로젝트 라발더 파크는 도시 인근 지역으로부터 빗물을 수집해 처리하는 배수용 수로 및 저수지를 중심으로 조성된 대규모 공원이다. 콘크리트로 만들어진 수로는 인공적으로 조성된 일련의 언덕을 관통해 흐른 뒤 빗물을 모아 저장하는 인공 호수까지 이어진다. 공원의 중심부에는 스케이트보드를 즐기기에 적합하게 설계된 배수용 수로 및 저수지가 마련돼 있다. 이러한 이중적인 기능을 창조해 낸다는 것은 지속가능성의 확보라는 측면에서 매우 독창적인 접근 방법인데, 애초에 목표로 했던 기능이 활성화되는 동시에 창의적이고 역동적인 신체 표현에 적합한 흥미로운 공간도 마련되는 것이다. 라발더 파크의 전반적인 목표는 자유로운 움직임과 흐름을 북돋우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공원에는 야외피트니스 설비들과 파쿠르 연습에 필요한 요소들이마련됐다. 더불어 공원 설계에는 자전거 및 조깅 전용 도로, 춤을 위한 공간 등 여러 요소들이 반영됐는 데, 뭐니 뭐니 해도 라발더 파크의 핵심은 배수 시스템으로서의 기능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는 널찍한 콘크리트 스케이트장이다. 다시 말해 콘크리트 수로와 저수지는 이중의 기능을 갖고 있으며, 1년 내내 방치되거나 사용되지 않는 기간이 전혀 없다. Design TeamSNE Architects(Multi-functionalities, Recreational Facilities,Pathways and Vegetation), GHB Landskab(Overall Landscape Planning) EngineeringCOWI Construction TeamHoffmann, Grindline FundingRoskilde Municipality, Roskilde Sewage Department,LOA(Lokale og Anlægsfonden), Unicon ConcreteClient Roskilde city, Roskilde municipality LocationRoskilde, Denmark Design Years2010~2011 Construction Years2011~2012 Surface Area and Volumes Surface Area of Recreational Park: 40,000m2 Surface Area of Skate Park(Concrete canal and Basin 03): 2,300㎡ Surface Area of Asphalt Canals: 2,300m2 Volume of Water Reservoirs: 23,000m3 PhotographerSNE Architects SNE Architects는 역동적 도심 공간 설계에 매진하고 있는 디자인 스튜디오로서 어린이와 성인 모두에게 있어서 놀이와 신체 활동의 즐거움을 제공하는 것을 핵심 가치로 삼고 있다.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추구하는 이른바 ‘더블 프로그래밍’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데, 덕분에 SNE의 프로젝트들은 즉각적으로 시야에 들어오는 것 이상의 의미를 발현하곤 한다. 기후에 따른 적응 및 변용을 디자인 도구로 적극 수용하고 있으며, 사회적으로 지속가능한 공간을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 SNE Architects / SNE Architects / 2015년09월 / 85
<<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