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그린블록레인
    저수․식생 플레이트를 이용한 빗물저장형 옥상녹화시스템주요 특징① 모듈형 옥상녹화500×500×T100 크기의 P.E 소재 모듈형 옥상녹화 블록으로, 일반적인 옥상에 식물 식재 시공과 같은 방법이 아닌, 식물이 심겨진 블록을 옥상 위에 설치하는 것으로 옥상녹화를 마감할 수 있어, 시공이 간편하고 관리가 손쉽다. ② 빗물저장 및 활용저수 플레이트를 사용할 경우, ㎡당 최대 약 80리터 정도의 저장이 가능하여 갈수기에 장기적인 수분 공급이 가능하다. ③ 복층구조를 통한 단열효과빗물 저수 플레이트 채용시 빗물층과 공기층 구조로 옥상녹화를 통한 온도절감 효과가 탁월하다. 설치시 기대 효과① 경제적 효과빗물이용형으로 유지관리비가 적고, 온도 저감효과가 뛰어나 냉난방비 절감 및 도시 환경개선 효과가 뛰어나다. ② 간편성모듈형으로 제작되어 시공이 간편하고 건축물에 부담을 주지 않으며, 부분적인 보수 및 교체가 편리하다. ③ 저관리형 시스템저장된 빗물을 이용하여, 우수 없이 최대 2주간의 식물 생육이 가능하여, 저관리형 옥상녹화의 조성이 가능하다. ④ 빗물저장 효과그린블록레인은 ㎥당 최대 120리터의 물 저장이 가능하여, 식물에 공급하거나 온도를 낮추는데 사용할 수 있다. 자료제공_ (주)한설그린 www.hgreen.com
  • A.R.T Greening System
    저관리 경량형 옥상녹화 토탈시스템A.R.T Greening System의 특징① 어떤 형태의 인공지반(평지붕, 경사지붕, 돔형)이라도 적용이 가능하다.② 어떤 모재(콘크리트, 금속, 목재, 단열재) 위에서도 시공이 가능하다.③ 기존건물, 신축건물, 리모델링 건물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④ 옥상녹화의 모든 구성요소(단열, 방수, 급수, 배수, 토양, 식재)를 일체화하여 시공이 가능하다. A.R.T Greening System의 장점① 자연빗물을 활용하여 별도의 급수가 불필요하다. ② 저배수단열판 설치로 단열, 방수층의 보호 및 보온효과가 증대된다. ③ 최저토심(10cm)으로 식재가 가능하다. ④ 방수층 누름몰탈층 생략으로 하중부담이 적다. ⑤ 최소의 비용으로 유지관리를 할 수 있다. ⑥ 자연화산석 멀칭으로 토양의 비산, 우수방지 기능이 있다. A.R.T 저배수용 단열판A.R.T 저배수용 단열판(의장등록번호: 제222035호)은 압축성형방식으로 만들어진 고밀도 폴리스틸렌 저수·배수 단열판으로 물을 저장하고 배수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는 Panel이다. 식물들은 이 저수조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저수조에 물이 넘치게 되면 나머지 물은 Panel의 윗부분에 있는 유출 배수체계를 통해 빠져나갈 수 있게 된다. 유출배수체계를 통해 나온 물은 Panel의 하부에 설치된 주배수로를 통해 배수관으로 흘러나가게 된다. 또한 단열효과가 뛰어나며 기계적, 물리적 손상으로부터 방수층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자료제공_ 한국CCR(주) www.ccrkorea.co.kr
  • 저관리형 옥상녹화 식재장치 GRS-GCU
    관리저감형 옥상녹화 식재 유니트를 이용한 생육기반 조성기술GRS-GCU란GRS-GCU(Green Roof System-Ground Cover Unit)는 옥상 위에 부가적으로 녹화공법을 적용하는 기존의 녹화방식이 아니라, 살아 있는 식물과 토양층을 유니트로 완성시켜 현장 설치만으로 건물의 복합외피기능을 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옥상녹화시스템이다. 특히 GRS-GCU는 기존 기술의 한계점을 극복한 저관리 경량형 시스템으로, 경사지에서의 안정성과 유지관리에 따른 부담, 시공시 안정성, 풍압에 대한 견고성 등의 문제들을 종합적으로 해결하였다. GRS-GCU의 특징① 시공 기간 단축 및 비용 절감간단한 조립만으로 시공이 완료되기 때문에, 기존 포설형 옥상녹화시스템에 비해 시공인력과 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다. ② 유지관리 비용 절감옥상녹화시스템에 적용되는 얇은 인공토양은 쉽게 건조된다. 일반적으로 2주 이상 강우가 없을 경우, 식물은 관수를 필요로 한다. 유니트 박스는 관수파이프와 일체화된 구조가 가능하게 설계되어, 자동관수시스템과 결합할 경우 유지관리를 위한 인력과 시간,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③ 경사지와 풍압지에서도 시공 가능기존 공법의 취약점 중 하나는 경사지붕 녹화가 쉽지 않다는 점이었다. 그러나 GRS-GCU시스템은 콘고정 지지대와 부틸계 강력접착 테이프를 통해 강한 부착력을 확보하였다. 때문에 최대 35도의 경사에서도 안정적으로 녹화를 수행할 수 있고, 또한 풍속 50m/s 이상의 대형급 태풍에도 안정적인 부착력을 유지한다. 더불어 내부 흙막이 구조와 비산방지망을 통해서 경사지에서 토양 흘러내림과 쏠림을 방지한다. 자료제공_ (주)한국도시녹화 www.biotope.co.kr
  • 모듈형 옥상녹화시스템 MRG
    저수, 배수, 여과, 방근 기능이 일체화된 모듈을 활용한 옥상녹화모듈형 옥상녹화시스템이란?모듈형 옥상녹화시스템(Modular Rooftop Greening System, 이하 MRG시스템)은 저수, 배수, 여과, 방근 등의 기능이 일체화된 모듈을 이용하여 옥상을 푸르게 가꿀 수 있는 옥상녹화시스템으로, 모듈과 모듈이 서로 맞물려 연결되기 때문에 옥상에 모듈을 펼쳐 깔아주는 방식으로 옥상공간을 녹화할 수 있다. 제품 특징 1) 옥상녹화에 필요한 기술적인 요소의 일체화① 모듈 평면적의 4% 이상이 배수구 면적으로 조성되어 여름철 집중강우시에도 원활한 배수가 가능하며, 모듈의 아랫면에 높이 3cm의 배수로가 사방으로 뻗어있어서 배수구를 통과한 물이 정체되지 않고 신속하게 흘러갈 수 있다. 한편 배수로의 존재로 식재토양을 20%가량(10T 기준) 절감하는 효과는 물론 토양 절감에 따른 하중 절감 효과도 있다.② 모듈 평면적의 36%는 깊이 3cm의 저수조가 형성되어 있어 수분 증발이 심한 옥상 기상조건과 봄철 갈수기에 식물의 수분 스트레스를 저감하는 역할을 한다.③ 배수로 위에 방근부직포가 부착되어 있어 식재된 식물의 뿌리가 모듈 밖으로 뻗어나가는 것을 막아주어 옥상 표면을 보호해 주며, 세립토양의 유실을 막아주는 기능을 동시에 한다.④ 위에서 언급한 모든 기능이 하나의 모듈에 구현되어 있어 별도의 자재가 불필요하다. 2) 모듈 간의 긴밀한 결속① 모듈은 어깨살과 끼움 장치에 의해 서로 긴밀히 결속하게 되어 있어, 시공 후 시간의 경과로 인한 모듈의 틀어짐과 모듈 간 이격을 방지하므로 반영구적인 구조물로 기능한다.② 또한 앞서 언급한 대로, 어깨살과 끼움 장치에 의해 각각의 모듈이 서로 긴밀히 결속되기 때문에, 모듈과 모듈 사이로 토양이 빠져나가는 것을 막아준다.③ 모듈의 끼움 장치는 탈착이 가능하도록 고안되어 있어, 예측하지 못한 문제 발생시 해당 모듈만을 빼내 교환할 수 있으므로 부분 보수가 용이하다. 자료제공_ 에코앤바이오(주)
  • 레인보우 옥상녹화시스템
    옥상녹화형 방근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옥상바닥 풍건식 녹화공법공법의 소개1) 개요본 공법은 도시녹화를 위한 보다 개선된 인공지반 녹화공법으로 기존 인공토양 및 옥상녹화시 문제가 되었던 점들을 최대한 보완한 특허공법이다. 우선, 방근 방수가 필요 없는 레인보우 식생블록은 식물의 뿌리가 옥상 틈새나 방수층을 파고드는 기존 옥상공법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개발한 제품으로 옥상의 누수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즉, 방근 식생블록의 물 저장소를 포함하여 배수부재에 설치된 플랜지까지 일정량의 물을 저수하여 뿌리의 생육범위를 제한함으로써 중력방향으로 성장하는 뿌리의 배수구 통과를 차단한다. 방근 식생블록을 이용한 옥상바닥 풍건식 녹화공법은 옥상의 바닥면과 식생블록이 분리되도록 하여 하부 사이에 공기분사장치와 공기흡입장치를 설치하여 공기를 순환하게 만들어 습한 공기가 머무르지 않고 새로운 공기가 투입되는 Air Ventilating System으로 항상 건조된 옥상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기존의 옥상녹화에는 방수가 필수적으로 필요했지만, 이 공법은 방수가 필요 없는 효율적인 녹화공법인 것이다. 2) 목적기존 옥상녹화 방식은 방수 및 방근을 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했다. 또한 시공비 증가와 하중의 증가로 인해 건축물의 단위 중량이 높아져 기존 건축물에는 도입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레인보우 옥상녹화시스템은 기존 옥상공간에 별다른 조치 없이 옥상녹화를 시공할 수 있도록 개발되어, 공기 및 시공원가를 절감하고자 하는데 큰 목적이 있다.자료제공_ 레인보우스케이프(주) www.rainbowscape.com
  • ZinCo 경량형 옥상녹화시스템
    무인형 자연조방 옥상녹화의 실현ZinCo FD25 시스템여기서 소개하는 노유 빗물처리정수장 옥상녹화에 도입된 ZinCo FD25는 스위스 및 북유럽의 산악지대, 싱가폴의 열대지역 등 다양한 기후를 망라한 세계 전 지역에 걸쳐 백만번 이상의 실험을 통하여 입증된 옥상녹화시스템의 전형이다. 토심 7cm 이하, 하중 60kg/m2 구조에서도 시공이 가능함으로써 대부분의 옥상에 적합하며, 인공토에 유입된 우수를 포함하여 약 23리터의 물을 저장하여 갈수기에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최소의 비용으로 유지관리를 할 수 있다. 또한, 토양 아래의 빗물저장층에 공기층이 형성됨으로써 최적의 식물 생장환경을 제공하며, 식물뿌리의 옥상방수층 침투를 방지하는 방근 기능이 탁월하다.ZinCo 시스템의 핵심요소는 플로라드레인(Floradrain)이라는 상표 아래 시장에 나온 빗물 저장층인 FD25이다. 이 시스템은 재활용된 폴리에틸렌으로부터 만들어진 고단면 패널이다. 수분 보유 홈통과 패널 위의 공기구멍 일체는 장기간의 물 보유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토양층의 필요한 통기를 확보해 준다. 패널 밑의 다방향 관은 이 방식으로부터 과다한 물을 제거해 준다. 폴리프로필렌 섬유로 만든 썩지 않는 여과천인 SF Filter는 이 설비로부터 씻겨진 토양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플로라드레인 기구 위에 부착된다. 자료제공_ 랜드아키생태조경 www.greenroof.kr
  • 옥상공원 연간 유지관리
    헌법재판소 백송하늘공원 사례를 중심으로옥상녹화시스템 유지관리1) 녹화시설관리① 배수설비관리배수구, 드레인을 철저히 점검하여 방수층 누수를 예방해야 한다. 낙엽이나 쓰레기가 배수구를 막지 않도록 정기적인 점검이 필요하다. 월 1회 정기 점검이 필요하며, 호우가 예상되는 시기는 오후를 전후로 반드시 점검을 실시해야 한다. ② 방수층관리누수의 우려가 있는지 정기적으로 점검해야 한다. 배수 드레인과의 접합부를 비롯한 방수재 접합부의 점검이 중요하다. 노출방수의 경우에는 다른 시설관리에도 충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연 1회 점검).③ 관수시설관리정기적인 장치의 점검이 필요하다. 전지식의 경우 전지의 교환을 정기적으로 해야한다. 중수, 우수를 이용할 경우에 단말장치 등의 눈막힘에 주의하여 말단의 막 청소를 해주어야 한다. 급수시설은 펌프를 연 1회 분해하여 월 1회 이상 작업현황을 점검하도록 한다. ④ 토양관리전체적으로 고른 토심을 이루고 있는지 확인한다. 봄철에는 기온이 올라가면서 토양이 들뜨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는 겨울철 토양동결이 반복되어 생기는 것으로 식물생육에 지장을 줄 수 있으므로 가볍게 눌러 주는 등의 점검을 실시해야 한다. 보수성이 지나치게 높으면 생육에 지장을 초래하므로 항상 토양의 습기상태 등을 체크해야 한다. 토양층 표면이 비산에 의해 날릴 경우 이에 대한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 인공토양의 노출 여부를 정기적으로 살펴서, 멀칭 등의 대책을 세우도록 한다. ⑤ 구조안전관리옥상녹화의 유형이 어떤 종류인지를 먼저 파악하여 거기에 맞는 적절한 관리를 해주어야 한다(녹화유형 및 특성에 대한 기본사항 숙지). 중량형 녹화시스템일 경우 식물이 지나치게 성장하여 하중이 증가하는 현상은 구조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하므로 전지 및 전정관리를 하여야 한다. 식물이 고사하여 보식을 하고자 할 경우 옥상녹화지역에 적합한 수종을 선정하여야 하며, 전문가의 자문을 받는 것이 필요하다. 사람에 의한 이동 하중도 지나치게 높을 경우 구조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하므로 적절하게 조절해 주어야 한다. 기타 구조안전과 관련된 관리사항은 무엇보다도 중요하므로 필요할 시 관계 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옥상녹화용 식재기반층과 토양
    회색콘크리트 옥상 위에 푸르름을 입혀보자옥상녹화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일까. 식물이 뿌리 내리고 살 수 있는 토양이다. 자연지반, 즉 일반적인 토양에 식물을 심는 것은 토양에 씨를 뿌리거나 구덩이를 파고 포트식물을 옮겨 심는 것으로 족하다. 하지만 옥상에는 식재에서 가장 중요한 토양이 없다. 토양만 있으면 옥상녹화를 누구나 할 수 있을까. 자연지반에서는 고려하지 않았던 여러 가지 식재기반 시스템이 필요하다. 자연지반에서는 강우에 의하여 식물에게 필요한 수분이 공급되고 과습이 되지 않도록 자연배수가 일어나며, 강우와 같이 유입된 공기 중 산소와 용존산소에 의하여 식물뿌리가 호흡을 하면서 건전한 생육을 할 수 있다. 옥상에서 식물이 자라기 위해서는 별도의 배수층을 두어 토양 하부에서 배수가 잘 되어야 하고 닫힌계이기 때문에 자연토양보다 더 많은 수분을 가지며, 배수성, 통기성이 우수한 토양을 사용하여야 한다. 또한 건물옥상을 손상하지 않도록 방근과 하중에 신경을 써야 한다.본고에서는 옥상녹화에 적합한 토양에 대하여 알아보고 실제적인 적용 예와 각 토양의 적합성에 대하여 진단하고자 한다.
  • 옥상녹화용 비오톱 조성시 유의사항
    옥상 비오톱의 효과, 계획 및 설계, 유지관리를 중심으로옥상 비오톱의 중요성지난 2009년 환경부는 2012년까지 녹색지붕을 1,000ha까지 조성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녹색지붕은 Green Roof를 옮긴 용어로 옥상 공간을 비오톱화하겠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환경부에서는 녹색지붕 활성화 사업을, 녹색성장을 위한 실천 계획임과 동시에 그린-블루 네트워크를 실현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언급하고 있다. 녹색지붕 즉, 옥상녹화가 생태네트워크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징검다리Stepping Stone형 연결지역이라는 것은 많은 이들이 알고 있을 것이다. 생태네트워크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요소를 핵심지역과 완충지역, 연결지역(또는 코리더), 그리고 복원․창출지역으로 구분할 때, 옥상에 만들어지는 비오톱 공간은 흔히 핵심지역과 핵심지역을 이어주는 연결지역으로 인식되고 있다. 물론 옥상 비오톱 자체를 하나의 생물종 서식처로서 역할을 하는 복원․창출지역으로도 볼 수 있을 것이다. 옥상 비오톱의 중요성 중에서 가장 가치있는 것을 언급하라고 하면 단연 이 부분이 될 것이다. 또한, 저탄소 녹색성장과 관련하여 옥상에 습지와 숲의 비오톱을 조성하면 탄소의 저감 및 흡수, 저장의 역할까지도 기대할 수 있다. 옥상비오톱의 효과와 기능옥상 비오톱의 효과와 기능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 중의 하나는 단연 생물서식처의 제공이다. 독일의 비오톱 유형 분류를 보면, 아파트 베란다에 내놓은 작은 화분 하나가 비오톱 유형으로 분류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곳에는 분명히 나비나 벌 등 다양한 생물종이 찾아온다. 삭막한 도심의 아파트나 빌딩숲 공간에서 자연을 만날 수 있는 소중한 공간이기도 하다. 도시의 옥상을 생태적으로 조성한다는 것은 그것을 자유롭게 왕래할 수 있는 새와 곤충들에게 있어서는 새로운 서식처, 곧 비오톱이 된다. 적어도 서식지와 서식지를 잇는 이동경로(코리더)의 역할은 충분히 할 수 있다.
  • 옥상녹화 설계·시공시 유의사항
    국토해양부 건축물 녹화 설계기준을 중심으로최근 들어 대도시나 지자체를 중심으로 도시녹화사업을 적극적으로 전개하고 도시녹지 보전 및 확보를 도시환경개선사업의 역점으로 진행하고 있으나 이미 대부분의 개발이 이루어진 대도시의 경우 녹화가 가능한 토지를 확보하기조차 어려운 실정이라 할 수 있다.특히 녹지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도심부의 경우는 거의 모든 토지에 건물이 들어서 있어 건물을 철거하지 않으면 녹지 확보가 불가능한 상황이라 할 수 있으며, 도심부에서 녹지조성이 가능한 장소 모색의 결과로 대두되고 있는 공간들은 대부분 건축물의 내․외부 공간이다. 또한 도심부의 토지는 가용지가 있다 해도 워낙 높은 지가로 인해 토지 확보를 통한 녹지 조성이 경제논리에 의해 우선순위에서 밀리기 마련인 상황에서 도시 내 특히 도심부 및 생활권내에서 녹지를 확보하기 위하여 건축물의 내․외부를 녹화하는 건축물 녹화 방안이 현실적으로 실현가능한 대안 중의 하나라 할 수 있다.이러한 현실에서 국토해양부는 “건축법 제2조에서 정의하고 있는 ‘건축물’의 실내, 옥상, 벽면에 식물의 생장이 지속적으로 영위될 수 있도록 조성하는 것“을 건축물 녹화라 정의하고 건축물 녹화 설계를 수행함에 있어 기존 조경설계와는 차별화 되는 건축물 녹화 구성요소에 대한 표준적이고 기본적인 최소한의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건축물 녹화설계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설계의 합리성 및 효율성을 도모함과 동시에 설계, 시공 및 유지관리를 위하여 일반적으로 적용되어야 하는 기본원칙과 요구사항을 건축물 녹화 설계기준으로 제시하였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국토해양부 건축물 녹화 설계기준에 대해 간략히 소개하고, 이 설계기준을 중심으로 옥상녹화 설계·시공시 유의사항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다.
<< 1 2 3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