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정지작업에 따른 성토, 절토량을 구하는 방법 - Parallel Plane Method
    이번호에서는 정지작업에 따른 성토량과 절토량을 계산하는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정지작업시 발생되는 성토량과 절토량을 계산하는 방법은 크게 다음의 4가지로 나눌 수 있다. 1. Parallel Plane Method2. Contour Plane Method (등고선법)3. Cross Section Method (횡단면법)4. Grid Method (점고법) 주어진 부지를 어떻게 설계하느냐에 따라 여러 가지의 복잡한 형태의 정지작업이 생길 수 있다. 복잡한 형태의 정지작업에서 성토, 절토량을 구하기 위해서는 위 4가지 방법 모두 설계가가 익숙하여 상황에 따라 어떤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을지 판단하여야 한다. 약 10년 전, 제2회와 제3회 여름조경학교에서 2주 동안 단지공학을 가르칠 때, 어떤 학생으로부터 이런 질문을 받은 적이 있다. “Earth Work computer program을 사용하면 쉽게 정지작업에 따른 성토, 절토량을 구할 수 있는데 무엇 때문에 어렵게 수작업으로 구하느냐고?” 그때 그 질문에 대해 다음과 같이 대답했다. “물론 학생 말처럼 Earth Work program을 사용하면 쉽게 구할 수 있다. 그렇지만 대학에서 배우는 학생들은 되도록이면 Earth Work program을 사용하는 것보다 수작업으로 구하는 방법에 익숙해 지는 것이 조경 교육상 꼭 필요하다.” “그에 대한 이유로 초등학교에서 산수시간에 셈본을 배울 때 계산기를 사용하지 않고 수작업이나 암산으로 계산하는 것을 연습한다.”는 비유를 들었다. 주어진 부지에 시설물 배치에 따른 정지작업을 할 때 본인이 설계한 것이 어떤 부분이 성토되고 절토되는지 감각적으로 느끼기 위해서는, 위 4가지 방법 모두 숙달하여 수작업으로 구하는 것에 능숙하여야 한다. 위 방법 중 Parallel Plane Method를 제외하고 국내 조경시공 관련 책 등에 소개되어 있다. 이번호에서는 그동안 국내에서 잘 소개되지 않은 Parallel Plane Method에 대해서 먼저 설명하고 다음호에서는 국내에 가장 잘 알려진 Grid Method를 제외한 Contour Plane Method와 Cross Section Method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
  • P-CATCH 수질정화 시스템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 2006년04월 / 20
  • 에지시공 사례; 표면배수, 계류부 에지처리 외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 2006년04월 / 20
  • 폐콘크리트를 활용한 지오백 옹벽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 2006년04월 /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