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청계천 복원공사 모니터링 및 물순환 해석 기술 적용
    수문모니터링 및 물순환 해석서울특별시는 서울의 도심부 중심을 관통하여 흐르는 복개된 청계천을 복원하는 계획을 수립하고 2005년 9월을 완공 목표로 2003년 7월 1일부터 고가도로의 철거 및 복개 구간의 복원 공사를 착수하였으며 2005년 10월 준공하였다.청계천을 복원하면서 하천의 본래 모습과 생태계의 복원을 추진하였으며, 하천 폭은 30~80m와 30㎝ 깊이의 수심을 유지하도록 설계하였다. 중랑하수처리장의 정수 처리된 물과 자양취수장에서 끌어올린 한강물을 전용용수관을 통하여 98,000㎥과 지하철역에서 배출되는 지하수 22,000㎥을 유지용수로 사용하여 일평균 총 120,000㎥의 물을 복원공사후 청계천으로 공급하고 있다.청계천의 유출특성과 도시화로 인한 지하수위의 저하 등은 복원하게 되는 청계천의 수량·수질을 비롯한 하천생태에 불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이러한 복원 사례는 국내,외적으로 매우 드물기 때문에 공사 전은 물론 공사 중,후에도 지속적인 관찰을 통하여 계획의 조정과 유지관리계획 및 앞으로의 발전방향을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 연구방법본 연구사업의 효율적인 수행을 위하여 주관기관인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연구책임자를 포함한 2명의 책임급 연구원과 3명의 연구원이 참여하여 수문모니터링과 물순환 해석을 수행하였다. 수문모니터링을 위하여 1단계에 선정된 갈수량 측정 지점에 대해서 지속적인 유량측정을 수행하고, 서울시에서 관할하고 있는 수위관측소 뿐만 아니라, 청계천 본류구간에 신설되는 수위관측소의 모니터링 성과도 분석했다. 또한, 청계천 복원의 하천공사가 완료되는 시점에서는 복원구간의 홍수량 및 유사량을 측정하여 본류구간의 홍수특성을 파악하였다. 홍수량 및 유사량 측정은 고려대학교 연구팀(유철상 교수)에 의해 수행되었다. 물순환 해석을 위하여 1단계에 수행되었던 격자기반의 물순환 해석 모형을 보다 정밀하게 적용하고자 한다. 1단계에 작성한 입력자료의 특성값을 명확히 하며, 지하수 거동과 지표수-지하수 연계 부분에 대한 특성을 면밀히 분석하였다. 침투시설과 저류지 및 도심녹지 등의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며, 도심지역의 물순환 해석을 위한 모니터링과 해석 지침서를 작성하였다.본 연구의 성과는 세미나와 심포지엄을 통하여 일반에 홍보하고, 전문가들로부터의 의견을 수렴하였다. 본 연구사업의 효율적인 수행을 위하여 해당 수문성분분야의 전문팀과 상호 협력연구를 수행하며, 각 전문 분석팀은 총괄책임자와 긴밀한 협조를 이루게 한다. * 본 연구(청계천 복원공사 모니터링 및 물순환 해석 기술 적용)는 21세기 프론티어 사업인 수자원의 지속적 확보기술 개발 사업의 세부과제로 수행되었으며(2003.8~2007.3), 본 보고서는 2단계 연구결과(2004.8~2007.3)에 대한 요약보고서이다. 연구는 수문, 지하수, 수질 및 생태의 세 분야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본 원고는 요약문 입니다>
  • 폭스글러브
    특성 및 품종 폭스글러브(Foxglove)는 현삼과 식물이며, 2년생 또는 다년생이다. 폭스글러브의 학명은 'Digitalis purpurea'인데 속명 Digitalis는 골무라는 뜻의 라틴어 digitabulum에서 유래되었고, 종명 purpurea는 자홍색이라는 뜻에서 유래되었다. 그리고 영명은 foxglove외에 요정과 관련된 이름이 많은데, fairy caps(요정의 모자), fairy thimble(요정의 골무), fairy petticoats(요정의 패티코트) 그 외 Folks glove(난장이 장갑), witch's thimble(마녀의 골무)등 종모양의 꽃을 연상하여 이름이 잘 지어진 것 같다. 원산지는 영국제도를 포함한 서유럽이 원산지이다. 그리고 유럽의 다른 지역과 아시아, 북 아프리카, 캐나다 그리고 미국의 많은 곳으로 귀화되었다. 그래서 남극대륙을 제외한 대부분의 곳에서 볼 수 있으며 다양한 화색과 크기의 관상용 품종이 많은 식물이다. 그 중 국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품종인 일반 폭스글러브(Digitalis purpurea)와 옐로우 폭스글러브(Digitalis grandiflora), 그레시안 폭스글러브(Digitalis lanata) 등이 있다. 작년 화훼시장에서는 “심장병 풀”이라는 이름으로 선보이기도 했다.
  • 골프코스 경영방법과 문제점
    골프장 운영 경쟁력 강화 전략 골프장 업의 특성을 개장 전과 개장 후 로 나누어 살펴보면, 개장 전은 ① 대규모 투자사업 ② 분양사업이라 할 수 있으며, 개장 후에는 ① 집객사업 ② 한정자원 판매사업 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골프장 사업은 초기에 정확한 자금 수요가 예측되고, 이 대규모 투자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자금 조달 계획이(차입 계획+회원권 분양 계획) 철저히 준비되어야 할 것이다. 회원권 분양에 대한 막연한 장밋빛 전망만으로 골프장 사업을 시작한다는 것은 무모한 일이며, 철저한 사전 준비로 투자비 규모를 최대한 줄여 나가, 회원권 분양에서부터 가격 경쟁력을 갖추지 않으면 소비자로부터 외면당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개장 후에는 골프장 사업이 매출 규모가 크지 않고, 또한 한정된 자원을 판매하는 사업이란 특성 때문에 불황기로 들어설 경우 불황을 탈출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① 다양한 마케팅 활동을 통해 집객력을 높이는 방법과 ② 철저한 원가관리를 통해 영업이익률을 높이는 방법이 동시에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본 원고는 요약문 입니다>
  • 대만의 이에류 해양지질공원과 타이루커 대협곡(2)
    주요 자생식물 - 북부지역에는 동북계절풍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연중 많은 강우와 바닷바람으로 각두과, 여장과식물이 주요수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금양(桃金孃, Rhodomyrtus tomentosa (Ait.) Hassk 후엽석반목(厚葉石斑木, Rhaphiolepis indica (L.) Lin이 var. umbellata(Thunb. ex Murray)Ohashi, 장미과) 두견화(杜鵑, 진달래과), 대만금사도(金絲桃科, 물레나물과 식물로 대만 특산종). 대만야자(종려과) 이며 - 중부지역은 양광이 풍부하고 비교적 풍해가 적은지역으로 해발 500m이하 지역에는 주요 산림수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 목부용(木芙蓉, 아욱과), 산황치(山黃梔,꼭두선이과로 치자나무 비슷), 대만 모감주나무(무환자나무과), 백화야목단(白花野牧丹, 야목단과로 우리나라에는 없는 순백색의 꽃이 5장으로 피는 나무) - 남부지방은 해안과 평야지대는 겨울동안 5개월간의 건조기가 계속된다. 식생은 낙엽수림비율이 높으며 남부지역의 해안가 저지대는 원시림적 특색이 높다. 돈나무(돈나무과, 대만명 ‘海桐’), 산호수(珊瑚樹, 인동과의 관목) 상사수(相思樹,콩과식물의 아카시나무 비슷한 노랑색꽃이 원추화서로 핀다), 초해동(草海桐, 초해동과의 왜성수목), 복목(福木, 금사도과의 소교목) - 도서지방은 대개 화산섬이거나 화성암으로 구성되고 토질은 척박하고 연평균 기온은 22.4℃ 년평균상대습도는 90% 년강수량은 3,077㎜, 강풍일수는 275일 달한다. 문주란(수선화과의 다년생초본), 난서산마차(蘭嶼山馬茶, 협죽도과) 등이다 <본 원고는 요약문 입니다>
<<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