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층층나무
    식생 층층나무(Cornus controversa Hemsl)는 층층나무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으로 우리나라 어디에서나 생육이 가능하고, 산지의 계곡 및 숲 속 등 전국 없는 곳을 찾기 어려울 만큼 흔한 나무이다. 속성수이며 수고(樹高)가 20m에 달하기도 한다. 이용 층층나무는 정원수, 공원수, 가로수로 이용하면 좋을 우리나무이다. 초여름에 일시적으로 개화하는 꽃도 좋고 줄기의 배열이 질서정연한 나무의 모양도 특별하지만 가을에 달리는 열매들은 새를 부르니, 아기자기한 작은 정원에는 어울리지 않지만 생태공원 등의 조류유인목이나 풍치수로 쓰기에는 좋은 점이 많다. 그리고 층을 이뤄 뻗어나간 줄기 탓에 그 나무 그늘이 다른 어느 나무보다도 짙고 시원하기에 녹음식재용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며, 독립수나 군식으로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 도심지 경관내 갱신하는 배수인프라 시설을 위한 여러 혁신적인 접근방법들
    홍수유출수를 발생장소에서 관리하는 ‘Source Area 관리 접근방법’이 있다. 이와 같은 분산식 접근방법은 우수를 배출지역까지 운송하는 대신에 빗물이 지표면에 닿는 지점에서 우수를 집수하고, 토양에 침투하도록 유도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Low Impact Development(LID)”라고 알려진 이 디자인 전략은 개발에 따른 불침투성 포장면적을 감소시키고 우수가 토양에 침투하도록 유도하는 기술을 적용하여 자연수문과 흡사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개발전 시애틀의 자연수문은 LID 디자이너들이 모방하려고 하는 산림생태계의 기능을 가지고 있었다. 태평양 북서지역의 오래된 산림의 경우, 아주 적은 양의 유출수만 지표면을 흐른다. 우수의 대부분은 토양 속으로 흡수되면서 정화되고 식물의 뿌리를 통해 흡수된다. 이처럼 토양에 흡수된 우수의 일부분은 지하수를 만나 호수와 하천으로 이동하게 한다. 이러한 접근방법에서 디자이너들이 풀어나가야 할 최우선 과제는 자연유역과 흡사한 기능을 하는 인공환경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홍수유출수 관리의 접근사례 중 하나가 지역내 홍수관리 및 수자원관리를 담당하는 도시자치기관의 하나인 Seattle Public Utilities(이하 Utility)에서 진행된 Street Edge Alternatives(SEA Streets)프로젝트이다. 2001년에 완공된 초창기 프로젝트는 주거지역 거리의 재조정을 위한 LID의 전략을 보여준 사례이다. 이 프로젝트에서는 2.3 에이커(0.93 헥타르) 규모의 Pipers Creek 유역의 시애틀 지역으로부터 우수를 집수한다. 공공도로에 적용된 복원(retrofit) 디자인은 기존 거리의 불투수성 지표면을 10%이상 감소시켰다. 여러 단계의 생태저류 습지가 조성되어 비옥한 표토층과 식생을 통해 정화된 우수가 집수되도록 디자인되었다. 추가적으로 디자이너와 조경가는 100그루가 넘는 교목과 1,000그루가 넘는 관목을 도로변에 식재하였다. <본 원고는 요약문 입니다>
  • 이게타야 옥상정원을 굴삭
    한국 · 서울의 옥상녹화명동 유네스코 빌딩2005년 11월 서울대학교로부터 초대를 받아 옥상녹화에 관한 한일전문가회의에 출석했었다.회의 1개월전 쯤 서울대학교에서 직접 전화가 걸려와 우선 출석하겠다는 대답을 해 두었지만, 직전까지 누가 참가하는지도 몰라 과연 잘 진행이 될 것인지 의문이었지만, 일본측 출석자가 베테랑들이 모여서 무사하게 끝낼 수 있었다. 회의는 아침부터 저녁까지 회의실에 갇혀 있어야 했었지만, 전날 서울로 들어간 우리는 서울시내의 옥상녹화를 안내 받았었다.그 중의 한 곳이 이 명동의 유네스코 빌딩이다. 가이드 북에는 “명동은 일본의 하라쥬쿠(原宿)와 같은 장소” 라고 써 있지만, 하라쥬쿠(原宿)라고 하는 것은 조금 과언으로 오사카(大阪)의 신사이바시(心?橋), 아메마을(アメ村)로 비유하는 것이 정답이라고 생각된다(오사카에게는 미안하지만).젊은이들이 왕래하는 길로 나아가면 우측에 유네스코 빌딩이 나타난다. 꽤 오래된 건물로서, 올려다 보면 옥상에는 나뭇가지가 간간이 얼굴을 내 밀고 있는 것이 보인다. 이 느낌은 타메이케(溜池)의 코마쯔(コマツ) 빌딩을 올려다 본 느낌에 가깝다. 엘리베이터나 계단의 오래된 가감도 코마쯔 빌딩과 정말 비슷하다. 엘리베이터 최상층에서 2층 정도 더 올라가면 비상문을 통해 옥상으로 나갈 수 있다. 훌륭한 간판이 몇 개가 세워져 있고 상세하게 해설이 써 있었지만, 유감스럽게도 모두 한글 표기라서 전혀 알 수가 없었다. 안내해 준 사람도 내용이 전문적이라 능숙하게 번역할 수 없다고 하여, 결국 나중에 달려와 준 일본조경계의 학부를 졸업한 전문가의 이야기를 듣고 간신히 전모가 판명되었다.이 빌딩에는 한국의 유네스코 본부가 있으며, 유네스코 활동의 일환으로서 이 옥상을 사용한 환경 교육을 하고 있다는 것. 초등학생 전용이라 생각되는 훌륭한 팜플렛도 만들어져 있어 유네스코의 진진함이 전해져 온다. <본 원고는 요약문 입니다>
    • / 2008년06월 / 46
  • 산림토양
    본 프로그램이 전달하려는 메시지는 무엇보다도 토양과의 여러 산림내(혹은 공원)의 생명체들의 관계와 더불어 자연의 모든 사물이나 생물들이 서로 연관되어있다는 것을 일깨우는데 있다. 이러한 관찰을 통해 토양의 종류에 따라 다른 생명체가 살고 있다는 사실과 건강한 토양으로 존재하지 못하면 귀중한 토양미생물들이 모두 사라진다는 지식을 얻게 한다. 또한 관찰과정을 통해 어떠한 방법으로 미생물들을 관찰할 것인가를 또한 익히게 된다. 학습목적건강한 토양의 보존이 곧 건강한 자연자원의 보존에 근원이라는 것을 일깨운다. 지식(1) 토양의 관찰을 통해 토양 속에 살고 있는 생물들을 알게 한다.(2) 동식물들의 생존이 토양과 아주 밀접한 관계를 지니고 있다는 것을 이해한다. <본 원고는 요약문 입니다>
  • 독일의 Street Furniture 업체, Erlau
    Erlau사가 추구하는 이념 독일의 Baden-Wurttemberg에 위치한 Erlau사는 역사가 깊은 회사이다. 처음부터 도시조형물을 제작한 것은 아니었다. 처음에는 산업분야에서 전문성을 갖추어 두각을 나타낸 후, 뮌헨올림픽을 계기로 독일은 물론 유럽부터 미국, 아시아지역까지 성장하였다.Erlau의 철학은 제품의 기능성, 디자인, 다양성과 내구성을 주요주제로, 도심지나 공원 어디에서도 잘 어울리는 작품을 창조하는 것에 있다. 주로 제작되는 것은 벤치 종류이며, 놀이터나 보행자 전용로, 공원에 어울리면서 앉았을 때의 편안함을 고려한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Erlau사의 또 다른 장점은 어떠한 환경에서도 뛰어난 내구성을 지닌 제품으로 정평이 나있다. 노르웨이의 산악지방, 잦은 우기의 싱가폴, 낮에는 45도에서 밤엔 영하 25도까지 온도차가 심한 캐나다의 캘거리 등지에서 Erlau사의 제품을 발견할 수 있다. 이런 내구성에 근간이 되는 기술은 옥외시설물에 적용되는 그들만의 독특한 코팅시스템으로 가능하게 된 것이다.Erlau사의 street furniture는 독일 전지역은 물론, 창립 초창기부터 인정받았던 그들만의 기술 덕택에 고객이 원하는 것이라면 무엇이든 제작이 가능하다. <본 원고는 요약문 입니다>
  • 토리 파인즈 골프코스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 2008년06월 / 46
<<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