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고양, 일산지구 중앙공원
    일산신도시의 도심과 호수공원, 도시외곽의 자연녹지를 연결하는 정발산을 정적, 전통적 광간의 성격을 지니는 중앙공원으로 개발하여 도시경관에 입체성과 방향성을 부여하고 도시민에게 쾌적한 자연환경을 제공하는데 있다. ※ 키워드 : 중앙공원 ※ 페이지 : 166-173
  • 대구 중앙도서관 전정 환경조형계획
    작품명제 : EF9405(산, 물, 자연의 소리, 빛) 작품내용 : 동양철학적 사색의 바탕으로 우리 전통사상적 내용을 형상화하여 꾸밈없는 솔직한 자연에 신비와 설법적 세계를 보여주며, 그 산수자연의 모습으로 인간심성을 순화하고 생명의 기를 증진케 하려는 의도의 작품으로서 오늘의 환경예술 표현양식의 시대적 방향의 한 단면을 제시하려는 의도의 내용 작품의 특징 : 이용자들의 사색, 휴식, 대화, 물의 시각적 촉각적 체험, 공간적 환경체험의 기회를 제공케 하려는 환경조각 ※ 키워드: 대구 중앙도서관 ※ 페이지 : 88-91
  • 내가 들른 일본공원 ; 일본의 환경분야
    이 공장의 특징은 첫째 최우선으로 지역주민 건강과 환경보전 및 공해방지 대책수립 시행 둘째 컴퓨터에 의한 집중관리로 작업효율화 및 고부가가치 창출, 셋째 쓰레기 소각시 발생되는 증기를 이용발전으로 공장차제 활용 후 남는 전지는 전력회사에 판매 넷째 소각시 발생되는 증기를 정화하여 재인접지의 목욕탕, 온실 등에 공급하는 것 등이다. ※ 키워드: 일본, 환경 ※ 페이지 : 134-135
  • 해외시장 진출을 모색해본다 ; 중동조경시장 진출의 유의점 및 전망
    현재 국내의 조경시장도 UR타결에 따라 97년부터 개방될 것이며, 이에 대비할 국제경쟁력 함양을 위해서도, 또한 국내 조경과 출신들의 수급 불균형의 전향적 해결을 위해서도 중동 조경시장 진출은 큰 역할을 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해외진출의 구비조건은 첫째, 엔지니어링 능력 둘째, 시공능력 셋째, 자재 조달능력 넷째, 자본능력이라 한다. 이러한 조건들을 어느 정도 갖춘 국내의 조경업계도 그 동안의 기술축적을 바탕으로 현지 사정을 깊이 이해하고 언어습득에 힘쓰며 현지 수목의 생태와 관개시설에 대한 지식과 이해를 높여 중동조경에서 새로운 도약과 알찬 결실이 있기를 기대해 본다. ※ 키워드 : 중동조경시장 ※ 페이지 : 66-70
  • 해외시장 진출을 모색해본다 ; 사이판
    국내의 투자자가 이곳 현지에 사업을 시작할 경우 이를 대행해주는 기관 및 현지 엔지니어링 컨설팅사를 이용하면 되고, 전편에 표현한 개발사업절차에 의하여 이들이 각종도면 및 계획서를 각색하여 관에 제출하며, 허가를 대행하여 처리해줄 수 있다. 조경설계의 경우 국내 설계자에 의하여 수종표기를 제외한 전반적인 도면을 작성하여 현지 컨설팅사를 통하여 현지조경업체의 노하우를 이용하는 방법이 적절하며, 예산이 풍부할 경우 외국의 우수 설계업체를 통하여 설계를 의뢰하는 방법도 있겠다. ※ 키워드 : 사이판 ※ 페이지 : 60-65
  • 한국의 전통 생활환경 보전림
    학술림이란 지구환경변화에 따른 생태계의 유지, 보존 등 임학전반에 걸쳐 학술적으로 가치가 있고 연구대상이 되며 그 방면에 영향을 주는 산림으로서 학문의 향상과 임업기술 발전을 위하여 보존할 가치가 있는 산림을 말한다. 그 대표적인 것으로는 유전자 보존림, 우리나라에서 점차 사라져 가는 상록활엽수림 및 원시림, 우리 주변에서 사라지기 쉬운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 오랜 세월에 걸쳐 북방최전선을 지키며 낮은 온도를 이겨내면서 살아 남은 종류로서 어떤 종이 어디까지 자랄 수 있는가를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이며 학술연구의 자원인 남방계통식물의 북한자생지 등을 수 있다. ※ 키워드: 학술림 ※ 페이지 : 82-87
  • 담장
    담장과 울타리는 인간이 거주지를 정하고 정착생활을 하게 되었을 때부터 적의 방어를 위하여 또는 외부와의 경계를 표시하기 위하여 만들기 시작하였을 것이다. 담장은 그 방어적인 기능과 경계표시를 위한 기능이외에 차츰 장식적인 기능이 가미되기 시작되었다. ※ 키워드: 담장 ※ 페이지 : 76-81
  • 해외시장 진출을 모색해본다 ; 한국 조경의 인도네시아 진출에 따른 제언
    해외 현장에서 외국의 우수한 엔지니어들과 경쟁하면서 인정받을 수 있는 것은 오직 가시화되어 나타나는 실력이다. 자기가 맡은 분야에 전문가가 되는 철저한 프로정신을 바탕으로 하여 새로운 정보를 습득하고 다각도에서 생각함으로써 변화를 추구해야 하며 항상 문제를 찾고 사고의 전환과 비판적 발상으로 그것을 해결해 나가는 아이디어를 창출해 나가야겠다. 또한 조경업무를 담당해 나가면서 합리적인 사고방식을 보여줌으로써 굳세면서도 답답하다는 이미지를 현지인들에게 심어주는 것이 필요하며 아울러 진심에서 우러나오는 정으로써 현지인들을 대해야 되겠다.현지인들을 단지 본공사를 수행하는 수단으로만 생각하는 얕은 생각과 실제로 그렇게 대함으로써 받는 그들의 원망들을 곁에서 지켜보면서 안타까움을 삼켰던 기억은 아직도 생생하다. 다시한번 schematic design의 국산화를 강조해 보면서 본 글이 향후 인도네시아에 진출하게 될 국내 조경인들에 의해 되새겨질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해본다. ※ 키워드 : 인도네시아 ※ 페이지 : 50-59
  • 금송, 노간주나무
    금송나무는 일본 특산종으로 우리나라에는 일제시에 들어와 주로 관상수로 정원, 공원 및 학교원과 사찰등에 식재되어 왔다. 비교적 큰 나무를 곳곳에서 볼 수 있는데, 특히 부산 범어사에 있는 노대목은 전국적으로 잘 알려진 나무이다. 최근에 와서 이 나무의 희귀성과 조경적 가치가 재 인식되면서 이나무의 수요가 날로 증가되고 현재 어린 나무는 많이 육묘되고 있는 실정이다. 노간주나무는 표고 1100m이하의 전국각처에 자생되고 있으며 특히 마을 주변이나 우물가 또는 광장주변에 식재된 것을 힌히 볼 수 있고 예부터 묘원이나 사찰등지에 많이 심어 왔다. 낙엽활엽수가 많은 야산에 겨울이 되면 이 나무가 푸른 기둥처럼 우뚝 솟아 있는 것을 곳곳에서 볼 수 있다. ※ 키워드: 금송, 노간주나무 ※ 페이지 : 96-101
  • 어느 곳에서도 화려한 색상의 지피화초/플라워 카펫트
    장미는 비록 신이 꽃으로 출발하여 귀족사회의 상징처럼 숭앙을 받았으나 언제부터인가 우리 모두의 관심을 끌게 되었다. 따라서 장미의 육종은 반드시 그 어떤 자연조건이나 환경에서도 장미 본래의 아름다움과 향기, 지속적인 개화, 온갖 병충해로부터 강한 것을 첫째로 꼽았다. 또 하나는 그 장미의 모태를 잊고, 육종된 그 모습 그대로 피어나야 한다는 것을 원칙으로 하기 때문에 유난히 까다롭다. 가끔 육종에 성공했다고 떠들어도 신품종이 곧 자취를 감추는 것도 그 장미가 모태의 모습으로 희귀했기 때문이다. ※ 키워드: 플라워 카펫트 ※ 페이지 : 151-1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