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무공해 천연식물 활력제 _ 키토메이트
    식물이 병원균에 감염되면 뿌리로부터 흡수된 키토산은 병원균의 세포벽을 가수분해시키는 효소를 유도하여 병원균의 증식을 억제하고 살균한다. 또 항균단백질 등의 생합성 효소생산을 높여 식물세포의 자기활성화기능은 물론 자기방어능력을 키워준다. 인위적인 키토산의 살포는 식물에 해충이나 병원균에 대한 내성을 부여하여 키토산이 병원균의 세포벽이나 해충의 표피를 부분적으로 분해시켜 이들을 사멸한다. 키토메이트는 자연에 풍부한 갑각류에서 추출한 키토산을 사용하기에 편리하도록 제조한 식물활력제이다. ※ 키워드: 활력제, 키토메이트, 키토산용액, 식물활력제 ※ 페이지 : 172-173
  • 실내조경의 이해 _ 실내 수정원
    실내조경에 있어서 아늑한 공간 창출을 위하여 아열대 식물을 중심목으로 쓰며 설계자에 따라서는 물을 즐겨 이용하기도 한다. 물은 정적으로 이용되기도 하고 동적ㅇ로 이용되기도 하는 양면적 특성을 가지고 있는 소재이다. 실내조경에서의 물의 이용은 일반인들에게 흥미를 유발시ㅋ며 또한 설계자나 시공자의 의도 등을 다양하게 표출할 수 있으므로 물을 이용하여 만든 수정원에 대하여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 키워드: 수정원, 실내조경, 수중연못, 수련못, 실내연못 ※ 페이지 : 152-157
  • 지금 우리는 지구환경을 살리기 위해 한 목소리를 내야한다_ 조경공사 표준품셈 합리화 방안 모색
    조경공사는 일반 건설공사가 지니는 특성 외에 공종의 소규모성과 다양성, 식물의 분포에 따른 지방성과 환경설, 무생물성과 대비되는 식물재료의 특수성으로 인한 규격화, 표준화의 난점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환경조성 작업상 집중적인 시공보다는 분산시공되는 경우가 많다는 점재성과 단순시공의 차원보다는 미관을 고려한 예술적 작품성이 요구된다는 점, 식물재료의 생장과 관리를 위한 유지관리비가 뒤따라야 한다는 특수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표준화를 통한 능률성과 합리성의 제고라는 표준품셈 자체가 지닌 의도와 현행 조경공사 품셈은 그 체제나 내용면에 있어서 불합리한 점을 많이 내포하고 있어 서로 상충되는 부분의 개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 키워드: 표준품셈, 품셈, 조경공사품셈 ※ 페이지 : 55-57
  • 일리노이 대학교
    일리노이 대학교는 시카고 도심에서 정남쪽으로 약 2시간 떨어져 있는 어바나와 샴페인의 쌍둥이 도시에 소재하고 있는 일리노이주의 가장 큰 주립대학교이다. 어바나와 샴페인의 두 도시는 도로를 경계로 맞닿아 있어서 마치 한 도시가 둘로 나누어져 있는 것과 같은 인상을 주기 때문인지 두 도시의 거주자들은 보편적으로 두 도시를 하나의 도시로 인식하고 있다. 일리노이대학교는 미국 중서부의 유명한 10개 대학으로 구성된 빅텐의 하나로써 빅텐 리그로 벌이는 대학농구나 축구 등은 대학 뿐만 아니라 어바나와 샴페인 시민 전체의 큰 관심사이기도 하다. 사립과 주립을 포함한 미국 전체대학을 대상으로 한 평가에서 거의 모든 분야가 10위 이내로 랭크되는 대학으로 인정받고 있다. ※ 키워드: 일리노이대학, 해외대학, 유학, 해외 조경학과 ※ 페이지 : 160-165
  • 지금 우리는 지구환경을 살리기 위해 한 목소리를 내야한다_ 조경수목단가의 합리적 산정방안
    조경수목은 조경시공에 있어서 필수불가결한 소재이며, 금액적인 측면에서도 전체 총공사비 약 40%를 차지하듯이 그 중요성이 매우 높다. 한편 조경수목은 타건설용 자재와는 다른 특성을 지니고 있는데 첫째는 생명력을 가진 생물재료라는 점이다. 둘째는 생산과정에 장시간이 요구된다. 셋째는 소재자체가 생육환경의 제한을 받는다. 넨째로는 장래 수요예측에 가변적 요인이 많다는 점이다. 본 글에서는 현재 조경수목의 생산과 유통 및 가격산정의 현황과 문제점을 알아보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 키워드: 조경수목, 수목단가, 수목유통 ※ 페이지 : 58-61
  • 대전엑스포 조경현장 ; 전통 수공원
    전통수공원은 과학공원구역의 중심부에 한빛탑 및 정부관과 연계된 축선상에 위치한 인공연못으로 관람객에게 휴식 및 조망을 위한 공간을 제공코자 조성되어진 주요 조경시설 중 하나이다. 외형상의 특징을 살펴보면 우리의 역사적 연못의 하나인 안압지의 형태를 받아들여 구체화시킨 것으로 수면적 약 1천9백평, 수심 80센티미터이며 동쪽에는 정부관이 위치하고 있고, 서쪽은 세계의 유명한 작가들의 작품이 전시될 야외조각전시장과 접하고 있다. 연못은 남서쪽에 위치한 대식당의 수공간과 연결되며 연결부분에는 화강석으로 마감한 다리를 설치하여 수경관에 운치를 더하였다. ※ 키워드 : 대전EXPO, 대전세계박람회, 대전 엑스포 조경, 수공원, 수경시설, 인공연못 ※ 페이지 : 98-99
  • 대전엑스포 조경현장 ; 한국의 빛과 소리
    대전엑스포 기간 중 수많은 문화예술행사가 개최되는데 그 중에서도 국내에서는 처음이라 할 수 있는 빛과 소리가 주가 되는 야간·옥외행사를 실시하게 된다. 바로 이 행사가 대전엑스포 문화행사 중 압권이라 할 수 있는 “한국의 빛과 소리” 행사이다. “한국의 빛과 소리” 행사의 테마는 ‘위대한 한국인의 재창조’로 한국적 이미지와 미를 창출하는데 큰 의의를 두며, 또한 엑스포의 주제인 ‘새로운 도약에의 길’에도 부합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 키워드 : 대전 EXPO, 엑스포, 대전세계박람회, 대전 엑스포 조경, 하이테크 ※ 페이지 : 92-93
  • 대전엑스포 조경현장 ; 대전 엑스포 조경
    대전 엑스포 조경계획 및 설계는 1990년 10월 5일부터 1991년 6월 29일까지 조경설계서안(주)에서 용역을 맡아 기본설계 및 실시설계로 구분하여 시행되었다. 그 계획에 의거 1990년 12월 31일 조경공사 1단계의 착공으로 엑스포 회장내 조경공사가 개시되었다. 1단계공사는 (주)한양(당시 새한종합조경)이 선정되어 느티나무를 비롯한 대형목 78주를 회장내 조기녹음 조성을 위하여 요소요소에 식재하였다. 이어서 1991년 7월 8일 조경의 본공사라 할 수 있는 2단계 공사가 착공되어 상설전시구역(시공자 : 상우종합건설), 국제전시구역(시공자:남해종합개발), 남문주차장(시공자 : 신일종합건설)으로 구분 시행되고 있으며 박람회장 내 조직위 시행 조경공사비로 약 170억원이 투자되어 관람객에게 충분한 녹음과 휴식공간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 키워드 : 대전 EXPO, 엑스포, 대전세계박람회, 대전 엑스포 조경 ※ 페이지 : 86-89
  • 대전엑스포 조경현장 ; 엑스포 대종
    엑스포 93 회장에는 전통기술과 첨단 과학기술의 만남을 상징하는 기념물이 될 엑스포대종 및 종각이 건립된다. 면면히 이어 온 우리 조상의 과학적 슬기를 되살리고 민족문화의 우수성을 부각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우리나라 종의 특징인 음통, 용뉴, 아름다운 문양, 은은하고 청아한 종소리 등을 훌륭하게 살려 국내외 관람객들에게 한국 전통기술을 보여주고 또한 현대 과학기술과의 조화를 통해 인류의 화합과 공동번영을 기원하는 상징물로 사랑받게 될 것이다. 국가 발전과 인류 공동 번영의 뜻을 담아 만든 엑스포대종의 아름다운 종소리는 대전엑스포 93의 개폐문을 알리는 소리로 활용할 계획이며, 다른 모든 행사의 개폐회식 때도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 키워드 : 대전 EXPO, 엑스포, 대전세계박람회, 대전 엑스포 조경, 대종, 엑스포대종 ※ 페이지 : 96-97
  • 한국형 도시공원 개발모색 ; 한국형 도시공원 개발모색을 1단계 마무리하면서
    본 ‘한국형 도시공원 개발모색’ 특별기획은 좁은 국토 속에서도 우리 정서에 맞는 공원이 어떠한 형태로 도출될 수 있으며, 또 한국형이라 명명했을 때 전통공원의 원형을 어떻게 해석해야 되는가에 대해 정리해 보고자 시도한 것이다. 그동안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분들이 한국형도시공원 모색을 위한 참신한 아이디어와 자료를 내주어 새로운 개념으로 생각될 수 밖에 없었던 한국형 도시공원의 형태 윤곽을 조금이나마 그릴 수 있게 된 것에 대해 다행스럽게 생각한다. 이제 그동안 별여놓고 던져진 질문에 대한 해답을 한자리에 모아 좀더 구체적이고 실현가능할 수 있도록 마무리를 하고자 좌담회를 마련, 여러 각도 분야에서 조명한 ‘한국형 도시공원’의 개념, 자원의 확보, 놀이형태, 실천방안을 농축해 짚어 보았다. ※ 키워드 : 도시공원, 한국형 도시공원, 도시공원개발, 이규목, 박재숙, 문정희, 양윤재, 정영선, 최용호 ※ 페이지 : 146-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