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편집자가 만난 문장들] 당신의 우주는 그런 식으로 비좁아져간다
  • 환경과조경 2023년 08월

누구라도 만날 수 있는 모호한 제목이 좋겠다고 생각했다. 조경을 중심에 두되 그 경계에서 활동하는 사람도 끌어안을 수 있는 인터뷰가 되기를 바랐으니까. 그래서 누구나 가지고 있지만 고유의 색을 보여줄 수 있는 키워드가 무엇일지 고민했고, 그 끝에서 일상이라는 단어와 마주쳤다. 그냥 일상이라는 말은 너무 막연하니까 시간이라는 기준을 세워 쪼개고 나름의 이유를 붙여주었다.

 

격월 인터뷰 ‘오늘의 대화, 어제의 재구성’은 세상을 다르게 보고, 새롭게 생각하는 사람들의 어제를 들여다본다. 조경의 한복판에서, 혹은 조경의 언저리에서 독특한 활동을 펼치고 있는 이들을 찾아간다. 어떤 일을 하고 있는지는 물론, 관심사는 무엇이며 어떤 시선으로 세상을 해석하고 있는지 살피고, 인생에서 꼭 이루고 싶은 버킷리스트는 무엇인지 같은 내밀한 대화까지 나누는 것이 목표다. 첫 질문은 늘 “어제 뭐했어요?”다. 단순히 안부를 묻는 말처럼 느껴질 수 있지만, 사실 어제는 일상의 축소판이니까. 어제를 재구성한 오늘의 대화가 조경의 매력을 발굴하고, 누군가에게 새로운 레퍼런스를 주기를 기대한다.

 

김혜리는 1995년부터 『씨네21』에서 영화와 관련한 에세이, 리뷰 등 여러 글을 써왔는데, 그중에서도 나는 인터뷰를 특히 좋아한다. 적확하고 아름다운 단어로 쓴 질문들은 팔레트 위에 풀어놓은 물감 같다. 김혜리는 나긋하면서도 부담을 느끼지않을 정도로만 거리를 좁혀 말을 건네며, 펼쳐놓은 물감 중 적당한 것을 붓에 묻혀 캔버스에 올린다. 김혜리의 인터뷰는 묻고 답하는 행위라기보다 그렇게 어떤 인물을 그려내는 작업처럼 보였다.

 

글 속에서 김혜리는 인터뷰이와 어릴 적부터 알고 지낸 친구가 되기도 하고, 오랜 팬이 되기도 하고, 취향이 비슷해 동네 카페에서 자주 마주치는 이웃이 되기도 한다. 나열된 문장들을 들여다보고 있으면 얼마나 공들여 오랜 시간 인터뷰 대상을 연구했는지 느껴졌다. 실제로 김혜리는 인터뷰이의 글과 작품, 다른 사람과의 인터뷰를 읽을 뿐 아니라 상대의 사진을 책상 한편에 붙여 자주 바라보고, 그 사람에게 중요한 게 무엇인지 생각한다고 한다. 인터뷰를 할 때 꼭 지키려 한다는 작은 원칙이 참 좋았다. “그에 관해 전혀 몰랐던 독자도 인물의 실루엣을 더듬을 수 있게 하고, 그의 가장 열렬한 팬도 미처 몰랐던 면모를 하나쯤 발견하는 인터뷰가 되는 것.”

 

그래서 첫 인터뷰이로 김수린이 탐이 났다. 인터뷰를 여는 글(108쪽)에 썼듯, 김수린이 어떤 인물인지 짐작할 수 있는 여러 힌트를 가지고 있던 참이었다. 같은 학교를 졸업해 사석에서는 날 선배라고 친근하게 부르지만, 사실 학창시절에는 한 번도 얼굴을 본 적 없는 사이라 조금 서먹한 기운이 감도는 게 좋았다. 아는 것 같지만 사실 전혀 모르는 상대를 향한 조각난 추측들을 물음과 답으로 얼기설기 이으면 진짜 김수린의 모습을 조금이라도 보여줄 수 있는지 궁금했다. 김혜리 기자도 같은 생각을 했을까, 인터뷰 중 가장 보람을 느끼는 순간으로 “‘덕분에 나를 알게 됐다’는 말 들을 때”를 골랐다. 그래서 “김수린에게는 저보다 더 많은 자아가 있는 것 같아요”라는 말에 “곰곰이 생각해보니 맞는 것 같아요. 제 수많은 자아 중 어떤 모습이 저인지 모를 때가 많았어요”라는 답이 돌아온 게 기뻤다. “전에는 헷갈렸는데 지금은 제 장점이 뭔지 알겠어요. 인터뷰를 하면서 제 생각을 많이 정리할 수 있었어요”라는 말은 더욱.

 

인터뷰는 여전히 어려운 일이다. 혼자 쓰는 글과 달리 대화 내내 긴장을 늦출 수 없고, 막힘없이 말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인터뷰이를 탐구해가야 한다. 하지만 그 과정은 성격유형 검사를 하면 내향성 95%라는 결과를 받는 내게 도움이 된다. 인터뷰이를 파헤치며 낯섦을 줄이고 남몰래 친근감을 쌓아올린다. 인터뷰는 이미 알고 있는 영화나 책, 노래만 즐기려하는 내 우주를 넓히는 일이기도 하다. 사람을 만나는 걸 두려워하지 않으려 한다. 어느 날 밤, 김혜리의 트윗을 읽고 스스로 날 외딴 섬에 밀어 넣고 있을지 모른다는 생각을 한 이후부터다. “아무도 읽지 않는다는 이유로 장문의 글을 쓰지 않다보면 어느 새벽, 당신은 읽는 이가 기다린대도 긴 글을 쓸 수 없게 됐음을 깨닫게 된다. 아무도 먹어주지 않는다는 이유로 요리하지 않다보면 혼자만의 식사도 거칠어진다. 당신의 우주는 그런 식으로 비좁아져간다.”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