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CODA] 술과 공원
  • 환경과조경 2016년 8월

K의 남편 L에게 감사한다. 그가 밤낮으로 도면을 그리며 저녁 없는 삶을 보내는 바람에, 나는 L 대신 창경궁의 밤 풍경을 구경할 수 있었다. 고궁을 찾는 사람이 얼마나 많겠나 싶던 내 예상과 달리 창경궁 야간특별관람은 인기가 좋아서 난 번번이 예매에 실패했다. 예매에 성공한 부지런한 K는 어느 초여름, 나를 데리고 홍화문에 들어섰다. 제한된 인원만 예약을 받아 운영하니 붐비지는 않았다. 저녁 바람은 시원했고 길을 따라 세워진 미색 조명은 땅거미가 지는 고궁에 은근한 분위기를 자아냈다. 연인들은 명정전을 배경으로 서로를 찍어주기 바빴고, 녹색과 푸른색 조명으로 빛나는 통명전에서는 고궁음악회가 열리고 있었다.

여자 둘이서, 명정전을 지나 한창 공연 중인 통명전을 흘깃 보고 춘당지를 따라 걷다가 불 꺼진 대온실을 보고 돌아오니 산책은 금방 끝이 났다. 생각보다 심심한, 그런 풍경이었다. 무얼 기대했던 걸까. 다시 홍화문을 빠져나온 K와 나는 맥주나 한잔 하자며 원서동까지 걸었지만, 9시면 문 닫을 준비를 하는 조용한 북촌 동네에서 그날의 음주는 불발되었다.


사실 창경궁의 야간 개방 역사는 짧지 않다. 그렇다고 왕조 시대에 지엄한 궁궐을 개방했을 리 만무하니 조선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것은 아니다. 조선이 망국의 길로 들어서고, 일제가 창경궁을 유원지 창경원으로 만들면서, 원내에 ‘사쿠라’를 대량으로 심었다. 매년 늘려 심은 벚나무가 자리를 잡아가자, 1924년부터 창경원에서 밤벚꽃놀이, 야앵夜櫻이 시작되었다. 봄이 되면 흰 꽃이 구름처럼 피고 지며 밤을 밝히는 풍경을 보기위해 전국에서 사람들이 몰려들었고, 창경원 야앵은 1945년 광복 때까지 단 한 차례도 거르지 않고 매년 열렸다.

1920~30년대 창경원의 밤벚꽃놀이는 기자들의 단골 취재거리였다. 이번 휴일에는 얼마나 많은 입장자들이 몰렸는지, 올해는 지난해에 비해 어떤 새로운 조명 시설을 갖추었는지, 연예장에서는 또 어떤 공연이 펼쳐지는지, 그리고 곳곳에서 벌어지는 볼썽사나운 일들에 대한 개탄까지. 당시 창경원의 봄밤은 무질서와 향락, 일탈의 도가니였다.


야앵의 첫날밤. 20일 밤 7시 반 대경성의 지붕 밑에는 춘흥에 취한 무리들이 수백수천으로 떼를 지어 창경원으로 창경원으로! 꽃구경하러 밀려든다. 창경원 쪽 하늘을 바라보면 큰 불이 난 듯이 환한 화광이 하늘을 뻗찌르고 그 속에는 검은 하늘 산허리에 안개가 끼인 듯 밤 벚꽃은 흰데 찬란한 오색등이 열을 지어 꽃 속에 꽃을 피우고 흥에 겨워 미친 듯한 사람 떼는 물결을 이루고 있다. … 이 나무 밑에 춘흥에 취한 떼의 젊은이들이 잔디 위에 둘러 앉아 잔을 돌리는데 삐루는 거품을 내며 넘쳐흐른다. 요란스럽게 울려오는 축음기 소리에 장단을 맞추어 손뼉 치는 사람 엉덩춤추는 사람, 가고 오는 사람보고 웃는 사람까지 모다 취하여 버렸다.1


신문과 잡지 기자들은 난장판이 되어가는 창경원의 밤벚꽃놀이에 혀를 끌끌 차면서도 꾸역꾸역 기사를 내보냈다. 당시 대중잡지인 『별건곤』의 한 여기자는 퇴근 무렵 ‘야앵 첫날밤에 창경원에 가보라’는 편집국장의 명령을 받았다. “그저 구경을 하러 가라는 말은 아니겠고 무슨 기사를 얻어 오라는 말이겠는데 창경원 야앵 기사야 그동안 신문에서 잡지에서 신물이 나도록 우려먹지 아니했나? 그러니 그대로 평범한 꽃 이야기만 늘어놓을 수도 없고 그렇다고 그다지 신기한 것이 있을 것 같지도 않고…”2 80여 년의 시차에도 불구하고 퇴근 무렵 잡지사 풍경은 별 다를 게 없어 보인다.


광복 이후에도 그런 창경궁의 밤 풍경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창경원의 밤벚꽃놀이는 1958년 재개되었고, 창경원이 다시 창경궁으로 복원되는 1980년대 초까지 계속되었다.


해마다 벚꽃이 망울질 무렵인 4월 15일쯤부터 시작해서 약 한 달간 계속되는 창경원의 밤벚꽃놀이는 이제 40여년의 역사를 가진 시민축제라기보다는 온 백성의 축제인지도 모른다. 매년 높아가는 인기 속에 맞는 밤벚꽃놀이지만 “오색등에 조명된 벚꽃 아래서 조용한 봄밤의 정서에 젖어 본다”는 낭만은 요란한 고고 리듬이나 니나노 가락에 흥청대는 소란 속에 밀려나고 있고 놀랍게 번창하는 갖가지 바가지 상혼과 폭력 풍기 사범 등으로 한때나마 서민의 휴식처를 엉망으로 만드는 것은 마음 아픈 일. … 요새는 10대 20대의 청소년들이 포터블 전축을 간편히 들고 들어와 흘러나오는 음악에 맞춰 고고춤의 일대 향연을 벌이고 있으니 세상은 많이도 변했다.3


광복 이후에도 갈 곳이 마땅치 않았던 서울 시민들에게 창경원은 대중적인 공원과 다름없었다. 벚나무 아래서 니나노 가락을 흥얼거리는 어르신들에게나, 음악을 틀고 고고춤을 추는 청소년들에게나. 일제의 강점에서 벗어난 지 30여 년이 넘었는 데도 일제가 만들어 놓은 유원지에서 식민지 시대와 똑 닮은 모습으로 봄밤을 즐기는 모습을 떠올리면 서글프기도 하다. 또 한편으로는 그 창경원의 봄밤이 세파에 시달리는 서울 시민들에게 해방구 역할을 하지 않았나도 싶다.

사람들의 관성은 쉽사리 변하지 않는다. 얼마 전 서울시에서 ‘건전한 음주문화 조성에 관한 조례안’이 입법 예고되었다고 한다. 도시공원이나 어린이 놀이터, 그 밖의 서울시장이 지정한 장소에서는 술을 마실 수 없는 일명 ‘음주청정지역’으로 만들겠다는 것이다. 사람들이 많이 찾는 한강공원이나 얼마 전 개장해 인기를 누리는 경의선숲길도 역시 사람들이 먹고 마시고 버린 쓰레기나 밤이 되도 멈추지 않는 소음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고 하니 공원에서의 음주가무의 역사는 길고도 끈질기다. 또 한편으로는 여전히 공원이 우리의 해방구가 되고 있다는 의미인지 입맛이 쓰다.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