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공간 공감] 정독도서관의 여름 뜰
  • 환경과조경 2016년 8월
psj01.jpg
1976년 경기고등학교가 강남 삼성동으로 이전하면서 남겨진 교사를 보수해 정독도서관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김용택

 

‘정독’이라는 어감은 어쩐지 좀 무겁다. 강한 받침이 연속될 뿐 아니라 혀뿌리가 목구멍을 탁 막으면서 나오는 소리로 끝나는지라, 여운도 없이 냉정하기만 하다. 더욱이 ‘도서관’이라는 좀 지루한 느낌의 단어가 이어지다보니, 이 공간에는 참 무거운 공기가 흐르겠구나 하는 생각이 앞선다. 답사를 위해 찾은 일행의 발걸음도, 잡지에 실을 만한 장면을 찾아 부지런히 카메라 셔터를 누르는 소리도 좀 크게 느껴져 고요히 도서관을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살며시 미안함이 느껴졌다. 그러니 이름이 가지는 무게감이 공간에 그대로 스며 있다는 생각도 틀리지는 않아 보인다.

스스로를 수형자로 여기고 마치 감옥에 갇힌 듯 공부에 열중하는 이들에게 바깥의 뜰은 어떤 의미일까? 삼십 년도 더 지난 고교 시절, 새벽잠을 설치고 도달한 도서관 앞 뜰. 자리를 차지하지 못하고 되돌아가던 열여섯 소년은 그 뜰을 기억하지 못한다.

바르게 읽는다는 뜻의 정독正讀도서관에서 중첩된 시간을 읽어내는 일은 즐겁다. 1976년에 경기고등학교가 지금의 강남 삼성동으로 이전하면서 그 터에 지어진 것이 오늘의 정독도서관이다. 벌써 40년이나 되었다. 당시 교사校舍로 쓰이던 건물들이 보수되어 도서관이 되었고, 학교 운동장으로 사용되던 곳을 정원으로 만든것이 이 뜰의 역사다. 도서관으로 1977년 1월에 개관했으니, 1년 미만의 공사를 마치고 만들어진 뜰이다. 자료를 검색해보니 개관 당시 도서관보의 표지에 건물과 뜰의 조감도가 그려져 있는데, 지금의 모습과 크게 다르지 않다. 위성 사진에서 보면 마치 한자 ‘서울 경景’을 본뜬 것 같은 정형적인 평면 구조가 선명히 드러난다. 대부분의 녹지는 잔디밭으로 조성되어 비워져 있고, 그 둘레를 따라 향나무며 몇몇의 낙엽수들이 나이 든 모습으로 서 있어 공간에 위엄을 드러낸다. 나무 기둥의 둘레가 오십 센티미터쯤 되는 벚나무에서 그간 뜰을 스치고 간 시간을 쉽게 감지할 수 있다. 오로지 걷는 것과 앉아서 머무는 것만 허용되는 이 뜰은 어쩌면 북촌에 남겨진 고성과 같은 곳이다.

 

 

이 연재를 위해 factory L의 이홍선 소장, KnL 환경디자인 스튜디오의 김용택 소장, 디자인 스튜디오 loci의 박승진 소장 그리고 서울대학교 정욱주 교수와 서울시립대학교 김아연 교수 등 다섯 명의 조경가가 의기투합하여 작은 모임을 구성했다. 이들은 새로운 대상지 선정을 위해 무심코 지나치던 작은 공간들을 세밀한 렌즈로 다시 들여다보며, 2014년 1월부터 한 달에 한 번씩 유쾌한 답사 모임을 이어가고 있다.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