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스튜디오 201, 설계를 다시 생각하다] 딴짓하기
  • 환경과조경 2015년 1월

그림45.png

 

딴짓하지마

상담 어땠냐고? 결론부터 말하자면 딴짓하지 말라고 하시네. 처음에는 훈훈한 분위기로 시작했지. 그러다 복수 전공 이야기를 꺼내니까 안색이 변하시면서 3학년이 되면 전공에 집중을 하는 것이 좋다, 요즘처럼 경기가 어려울 때일수록 전문적인 능력을 배양해야 한다고 하시더라고. 솔직히 말하자면 그럴 때라서 내가 복수 전공을 고민하는 것 아니냐? 요즈음 어디서나 융·복합에 크로스오버를 외치는 시대인데 전공에만 집중하라니. 물론 처음부터 이 전공이 좋아서 학교에 왔고, 설계가 특히 재미있었던 건 사실이야. 하지만 그렇다고 꼭 전공에 들어맞는 회사에 들어가서 전공과 관련된 일을 해야 하는 게 맞을까? 난 잘 모르겠다.


간추린 조경의 역사

1858년 옴스테드(Frederick Law Olmsted)는 센트럴 파크 공모전에서 근대적인 의미의 조경(landscape architecture)이라는 개념을 처음으로 사용한다.1 그리고 5년 뒤 센트럴 파크의 책임자 지위에서 물러나면서 공식적으로 본인을 조경가(landscape architect)로 지칭한다.2 옴스테드가 스스로를 최초의 조경가로 선언한 이 날은 조경이 독립된 전문 분야로 출발하게 되는 상징적인 날이기도 했다.3 물론 옴스테드 이전에도 정원, 공원, 광장, 가로 등 조경의 대상들은 존재했다. 그러나 조경의 개념이 제시되고 나서야 비로소 이들은 하나의 종합된 방법으로 다룰 수 있는 동일한 영역의 대상으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19세기가 끝나고 현대가 시작되는 시점에서 옴스테드는 새로운 시대가 필요로 하는 조경이라는 새로운 분야를 만들어냈다.

 

옴스테드는 조경을 개념적으로만 정의한 것이 아니다. 그는 과거의 정원술이나 건축과는 전혀 다른 방식의 실천을 보여주었다. 옴스테드는 단일한 공원의 개념에서 더 나아가 도시와 지역의 녹지 체계를 제시한다. 그는 수많은 계획안들을 제시했을 뿐만 아니라 실제로 많은 미국 도시의 광역적 녹지 체계를 완성한다.4 1865년 요세미티에 대한 보고서를 통해 옴스테드는 이전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종류의 공원, 국립공원을 제안한다.5 그때까지만 해도 자연은 인간이 정복하고 이용할 대상이었지 그 어느 누구도 자연을 보존해야 한다고 주장하지 않았다. 옴스테드가 최초로 인공적 자연으로서의 공원이 아닌 자연 그대로의 공원을 만든 것이다. 옴스테드가 조경이라는 분야를 만든 지 100년 후 조경은 환경 계획(environmental planning)이라는 새로운 분야를 창조해낸다. 20세기 초 생태학이라는 학문 분야가 등장한 이후로 환경에 대한 이해와 관심은 나날이 증대되고 있었다.

 

그러나 1950년대까지도 생태학의 성과를 현실에 적용할 구체적인 대안은 마련되지 않았다.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의 조경학과 교수였던 맥하그(Ian L. McHarg)는 생태학을 접목한 과학적 조경 계획의 방법론을 제시한다.6 그가 제시한 이론을 바탕으로 GIS라는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이는 이후 인간이 다루는 모든 공간을 이해하고 연구하는 데 필수적인 도구가 된다. 맥하그를 통해서 이제 조경가의 역할은 공간과 관련된 인문적·자연적 시스템 전체를 다루는 범위로 넓어진다.

1980년대 조경은 예술이 되고자 한다. 20세기 중반까지만 하더라도 일부 예술가의 정원을 제외하고 대다수의 조경작품은 제대로 예술적 가치를 인정받지 못했다. 특히 맥하그가 조경의 과제를 과학적 계획으로 제시하면서 더더욱 조경은 예술과 멀어져가는 듯 보였다. 이러한 경향에 반기를 든 새로운 작가들이 등장한다. 피터 워커(Peter Walker)는 다양한 작품을 통해 조경이 공간에 새로운 예술적 가치를 부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마사 슈왈츠(Martha Schwaltz)는 아방가르드적인 팝아트의 미학을 그대로 조경 작품으로 구현했으며, 마이클 반 발켄버그(Michael Van Valkenburgh)와 조지 하그리브스(George Hargreaves)는 자연과 야외 공간을 예술적 매체로 보고 조경과 환경 예술의 경계를 허문다. 이러한 다양한 시도를 통해 조경의 범위는 예술과 문화의 영역으로 다시 한 번 넓어진다.

 

1990년대 말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landscape urbanism)은 건축이 아닌 조경이 도시를 주도적으로 다루어야 한다고 선언한다. 조경이 탄생했을 무렵부터 조경은 도시에 적극적으로 개입해 왔다. 그러나 조경의 역할은 어디까지나 조연 정도에 한정되어 있었다. 언제나 주연은 건축이나 토목, 행정이었지 조경은 한 번도 도시 만들기의 주체가 되었던 적이 없다. 그러나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이라는 새로운 사조는 지금까지의 건축과 도시의 이론과 실천을 비판하면서 경관이 도시를 만들어나가는 중심적 매체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대담한 선언은 10년 뒤 조경은 물론, 건축, 도시설계의 전 분야를 포섭하는 가장 영향력 있는 이론으로 발전한다.7 지금 이 순간에도 조경은 이전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영역을 찾아내고 만들어나가며 끊임없이 내연과 외연을 확장해나가고 있다(그림1).


기반시설 vs 공원

스페인의 바르셀로나를 관통하는 B20 고속도로와 C58 고속도로는 도시의 북동부에서 교차한다. 바로셀로나의 가장 중요한 관문 중 하나인 인터체인지는 반경 200m의 거대한 원형의 모습이다. 그런데 이 인터체인지의 특별한 점은 형태뿐만이 아니다. 거대한 인터체인지 내부에는 각종 스포츠 시설을 갖춘 공원이 있다. 트리니타트 파크(Trinitat Park)는 기존의 도시 계획의 상식을 모두 깨트린다. 고속도로 인터체인지는 엄연히 교통 기반시설이다. 지금까지 교통기반시설과 공원의 영역은 엄격히 분리되어 왔고 이 두 가지 토지 이용은 양립할 수 없었다. 물론 도시계획 상에서 교통 기반시설과 공원을 분리시켜 구분했던 데에는 그럴만한 이유가 있었다. 사방이 고속도로로 둘러싸인 인터체인지는 사람들의 접근이 매우 불편하다. 아이들이 뛰어노는 장소이니만큼 안전의 문제도 있다. 또한 자동차 소음과 매연으로 인해 교통 기반시설 주변은 공원의 부지로 부적격이라고 생각되어 왔다. 하지만 만약 설계를 통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면 어떨까(그림2)?

설계가는 공원으로의 접근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인터체인지의 서쪽 경계를 가로수가 늘어선 거대한 발코니 형태의 구조물로 덮는다. 덕분에 동쪽 주거지에서 공원으로 접근하면 이 공원의 경계가 인터체인지인지조차 알기 힘들다.

 

그런데 이 구조물의 역할은 단순히 고속도로를 가리는 데 한정되지 않는다. 구조물 내에는 지하철역이 있어 인근 주민들뿐 아니라 도시의 다른 지역에서도 쉽게 공원을 찾아올 수 있다(그림3, 4).

 

접근성의 문제를 해결한 뒤 설계가는 구조물의 위압감, 각종 소음, 매연 등 인터체인지의 성격상 나타날 수밖에 없는 문제를 해결하려고 한다. 여기에서도 설계의 발상의 전환이 이루어진다. 우선 고속도로 구조물로 생기는 단 차이보다 더 높은 지형을 공원 내부에 만든다. 이로써 공원에서 동쪽의 고속도로는 아예 보이지도 않는다. 그리고 다른 공원의 경계에는 물과 나무, 낮은 지형으로 이루어진 켜를 만든다. 이러한 설계 때문인지 일단 공원으로 들어오면 주변이 고속도로로 둘러싸여 있다는 사실을 까맣게 잊게 된다. 오히려 다른 공원에서는 볼 수 없는 물과 숲으로 위요된 아늑함까지 느껴진다. 거대한 벽이 될 수밖에 없는 고속도로의 구조물을 역으로 이용하여 그 어디에도 없는 특별한 공원이 만들어진다. 설계를 통해 고속도로는 디자이너가 손댈 수 없는 까다로운 토목과 공학의 영역이라는 편견을 유쾌하게 무너뜨린다.

 

 

김영민은 1978년생으로, 서울대학교에서 조경과 건축을 함께 공부하였고 이후 하버드 대학교 GSD에서 조경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의 SWA Group에서 6년간 다양한 조경 설계와 계획 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USC 건축대학원의 교수진으로 강의를 하였다. 동시대 조경과 인접 분야의 흐름을 인문학적인 시각으로 읽어내는 데 관심이 있으며, 설계와 이론을 넘나드는 다양한 활동을 펴나가고 있다. 역서로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이 있으며, 『용산공원』 외에 다수의 공저가 있다.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