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세종로공원 및 상징조형물 조성 설계공모
Design Competition for Sejongno Park and Symbolic Sculptures
  • 환경과조경 2025년 4월호

[크기변환]lak444_공모-세종로공원-1.jpg

 

공모 과정과 심사 주안점


세종로는 경복궁~광화문~세종문화회관~청계천~서울광장을 잇는 서울의 중심가로다. 1992년 서울시는 이 도로의 일부를 광화문광장과 연계한 개방형 공원으로 조성했다. 분수대, 야외 원형 무대, 각종 조형물이 들어선 세종로공원은 도심에 부족한 녹지를 제공하며 시민의 소통 공간으로 활용됐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세종로공원은 조금씩 노후됐고, 기존 틀을 유지한 채 일부 수선되며 주변과 서서히 단절되었다. 2022년 8월, 새로운 광화문광장 조성과 더불어 그 일대가 변화하며 세종로공원 역시 주변과 함께 호흡할 수 있는 형태로 개편할 필요성이 제기됐다.

 

2024년 9월, 세종로공원 재구조화를 위한 ‘세종로공원 및 상징조형물 조성 설계공모’가 공고됐다. 주변과 단절된 기존 공간의 한계를 극복하고, 열린 공간 조성으로 광화문광장과 하나의 공간처럼 연계를 강화해 시민 공간을 확장하는 한편, 광화문광장에 부족한 식음 시설, 화장실, 실내 휴식 공간 등을 시민에게 제공하는 것이 공모 목표다. 또한 대한민국의 자유를 지키기 위해 희생한 사람들을 기억하고 감사를 표현하는 공간으로 만들어 미래 세대와의 연결을 꾀하고자 했다.

 

설계 대상은 세종로공원과 상징조형물이다. 공원에는 지하2층~지하1층 증개축을 통해 시민 편의 시설(식음 시설 포함)을 마련하고, 세종로공원 북측 사직로8길 출차 램프 1개소를 추가로 설치해야 한다. 세종로공원과 연접한 광화문광장의 사계정원은 광화문광장과 세종로 공원과의 연계 활용을 고려해 계획해야 하며, 이 부지에 들어서는 상징조형물 역시 세종로공원과 조화롭게 어우러져야 한다.

 

심사위원은 1차 디지털 패널 심사를 통해 2차 심사에 오를 5개 작품을 선정하고, 2차 발표 심사를 거쳐 당선작으로 삶것건축사사무소+프라우드건축사사무소+엘피스케이프 팀의 ‘윗마루, 아랫마당, 추모공간: 22’를 선정했다. 2등작은 우리동인건축사사무소+동심원조경기술사사무소+엠엘엔피아키텍츠건축사사무소 팀의 ‘픽셀마루’, 3등작은 운생동건축사사무소+스튜디오일공일엘앤씨 팀의 ‘시민의 숲, 시민 세종 공원’, 4등작은 건축사사무소 원우건축의 ‘일상의 반추’, 5등작은 SSK의 ‘서울 기억의 정원’이 차지했다.(각주 1)

 

심사위원은 당선작이 광화문광장 기본계획의 방향을 잘 이해하고 광화문광장에 부족한 시민 휴식 공간 및 편의 시설을 적절하게 제시하고, 상징조형물을 입체적으로 훌륭하게 제안했다고 말했다. 세종문화회관 측의 큰 아트리움을 통해 지하 공간으로 접근이 가능하게 한 점, 지하 공간을 가변적으로 제안하고 다른 공간과 연계시키려 한 점, 지상 사계공원을 연장해 나무 그늘과 수공간을 적절히 갖춘 시민 정원을 제안한 점, 작지만 식음료 공간을 둠으로써 시민 휴게 공간의 기능을 잘 담으려고 노력한 점을 우수하게 평가했다. 다만 상징조형물이 지나치게 견고하게 보이기에 미래적향적 콘텐츠를 담을 수 있는 재료 물성을 검토해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각주 2)

 

공모는 세종로공원과 상징조형물의 이름도 함께 제안할 것을 요구했는데, 현재 서울시는 ‘감사의 정원’과 ‘감사의 빛 22’라 명명해 부르고 있다. 다섯 개 수상작 중 당선작을 소개한다.


**각주 정리

1. 작품명은 2차 영상 심사에서 발표한 내용을 토대로 작성했다.

2. 2등작~5등작에 대한 평을 포함한 심사평 전문은 프로젝트 서울 홈페이지(project.seoul.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주최 서울시 균형발전본부 광화문광장사업과

위치 세종로 공원 및 사계정원 일원

(서울시 종로구 세종로 80-1번지, 세종로 1-68번지 외)

면적 10,912㎡

방식 일반 설계공모, 국제 설계공모

공사비 49,677백만 원(부가세 포함)

설계비 2,658백만 원(부가세 포함)

설계 기간 2025. 1. ~ 2025. 12.

공사 기간

상징조형물: 2025. 5. ~ 2025. 9.(예정)

세종로공원: 2026. 1. ~ 2027. 5.(예정)

시상

당선작: 기본 및 실시설계 계약 체결 우선협상권

2등작: 6천만 원

3등작: 4천5백만 원

4등작: 3천만 원

5등작: 1천5백만 원

심사위원

신춘규(심사위원장, 씨지에스건축사사무소)

김영진(한양대학교 교수)

김지엽(성균관대학교 교수)

노승범(한양대학교 교수)

박성기(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

서미경(해안건축)

이인화(도원건축사사무소)


진행 김모아 디자인 팽선민 자료제공 서울시, 당선 팀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