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상지 분석
전라남도는 한국에서 꿀벌로 인해 가장 큰 피해를 입고 있는 지역이다. 이에 주목해 전라남도 양봉 산업 지역 중 꿀벌에게 직접적 피해를 주는 농약 영향이 가장 적은 시가지 내 브라운필드를 대상지로 선정했다. 과거 시멘트 공장 부지였던 대상지는 토양 중금속 오염, 채광 작업으로 인한 알칼리성 호수 생성 등 오염이 진행되고 있었다. 따라서 꿀벌 서식지 조성 전 대상지 회복 전략을 정립해야 한다. 대상지의 자연을 충분히 회복시킨 뒤 밀원 식물 식재 등을 통해 꿀벌을 위한 서식지를 조성한다. 이후 주변 환경도 함께 살리는 상생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꿀벌이 월동 가능한 서식지를 제공하고 밀원 식물 네트워크를 조성해 안전하게 집으로 돌아와 겨울을 날 수 있도록 돕는 프로젝트를 제안한다.
회복 전략
토양 회복: 세 가지 공법을 이용한다. 첫째, 심토 반전 공법이다. 상부 오염층과 하부 비오염층의 위치를 바꿔 지표면에 비오염 토양이 형성되도록 하는 공법으로, 오염 정도가 비교적 낮은 토양 복원에 적용된다. 둘째, 석회 안정화제 공법이다. 석회석과 제강 슬러그를 이용해 중금속 오염 물질의 이동성을 저감해 생물학적 유효도를 감소시킨다. 단기간에 적은 비용으로 정화가 가능하다. 셋째, 식물 정화 공법이다. 식물 조직이 중금속을 체내 축적하는 식물 추출 공법과 오염 물질을 식물 효소에 의해 비활성 상태로 만드는 식물 안정화 공법이 있다. 장기간에 걸쳐 진행되며 가장 친환경적인 토양 복원 방법이다.
절개지 회복: 경사각 60도 이상의 암석 비탈면이 주는 시각적 위압감을 감소시키기 위해 비탈면의 경사 각도를 완만하게 조정한다. 이를 통해 산사태를 방지하고 안정성을 높인다. 절개지에는 안정된 생육 활착과 지속적인 생장을 도모하기 위해 식생 구멍 공법을 활용해 식물을 식재한다.
폐석 적치장 호수 회복: 기존 오염수를 폐수 처리한 후 토양 안정화 작업과 호수 정화를 진행한다. 이를 통해 자연을 회복시키고 생물 다양성을 증진시키고자 한다.
* 환경과조경 438호(2024년 10월호) 수록본 일부